#사람 에 관한 한자 모두 1,461

  • 去者日疎 획순 去者日疎(거자일소) : 죽은 사람에 대한 생각은 날이 갈수록 잊게 된다는 뜻으로, 서로 멀리 떨어져 있으면 점점 사이가 멀어짐을 이르는 말.
    去: 者: 日: 疎: 트일

  • 南大門入納 획순 南大門入納(남대문입납) : (1)주소를 알 수 없는 편지 또는 주소나 이름을 모르고 집을 찾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줄거리나 골자를 알 수 없는 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南: 남녘 大: 門: 入: 納: 들일

  • 朽木糞墻 획순 朽木糞墻(후목분장) : 썩은 나무와 썩은 담장이라는 뜻으로, 조각하거나 칠할 수 없는 나무나 조각처럼 정신이 썩어 있는 사람은 가르치기가 어렵거나, 처치 곤란한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기도 함. [= 朽木糞土(후목분토)].
    朽: 썩을 木: 나무 糞: 墻:

  • 出處語默 획순 出處語默(출처어묵) : 나아가 벼슬하는 일과 물러나 집에 있는 일 또는 의견을 발표하는 일과 침묵을 지키는 일이라는 뜻으로, 사람이 처세하는 데 근본이 되는 일을 이르는 말.
    出: 處: 머무를 語: 말씀 默: 잠잠할

  • 玉不磨無光 획순 玉不磨無光(옥불마무광) : 옥은 갈지 않으면 빛이 나지 않는다는 뜻으로, 뛰어난 소질을 가진 사람이라 하더라도 학문과 수양을 쌓지 않으면 성취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玉: 구슬 不: 아니 磨: 無: 없을 光:

  • 宋襄之仁(송양지인) : 하찮은 인정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송나라 양공(襄公)이 초나라를 칠 때, 공자(公子) 목이(目夷)가 적이 포진하기 전에 치자고 청하였으나, 양공이 받아들이지 않고 적이 포진하기를 기다리다가 오히려 대패하여 세상 사람들이 비웃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宋: 송나라 襄: 도울 之: 仁: 어질

  • 納淸場(납청장) : 되게 얻어맞거나 눌려서 납작해진 사람이나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평안북도 정주의 납청 시장에서 만드는 국수는 잘 쳐서 질기다는 데서 유래한다.
    納: 들일 淸: 맑을 場: 마당

  • 鏡中美人(경중미인) : (1)거울에 비친 미인이라는 뜻으로, 실속 없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경우가 바르고 얌전하다고 하여 서울ㆍ경기 지역 사람의 성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鏡: 거울 中: 가운데 美: 아름다울 人: 사람

  • 英雄豪傑(영웅호걸) : 영웅과 호걸을 아울러 이르는 말.
    英: 꽃부리 雄: 수컷 豪: 호걸 傑: 뛰어날

  • 南橘北枳(남귤북지) : 강남의 귤을 강북에 심으면 탱자가 된다는 뜻으로, 사람은 사는 곳의 환경에 따라 착하게도 되고 악하게도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南: 남녘 橘: 귤나무 北: 북녘 枳: 가지

  • 奸細之輩(간세지배) : 간사한 짓을 하는 나쁜 사람의 무리.
    奸: 범할 細: 가늘 之: 輩: 무리

  • 井中蛙(정중와) :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으로, 견문이 좁고 세상 형편에 어두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井: 우물 中: 가운데 蛙: 개구리

  • 白酒紅人面黃金黑吏心(백주홍인면황금흑리심) : 흰 술은 사람의 얼굴을 붉게 하고, 황금(黃金)은 아전의 마음을 검게 함.
    白: 酒: 紅: 붉을 人: 사람 面: 黃: 누를 金: 黑: 검을 吏: 벼슬아치 心: 마음

  • 煙戶(연호) : (1)굴뚝에서 연기가 나는 집이라는 뜻으로, 사람이 사는 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일반 백성들의 집.
    煙: 연기 戶: 지게

  • 各得其所(각득기소) : 모든 것이 그 있어야 할 곳에 있게 됨. 원래(原來) 사람들이 자기(自己) 분수(分數)에 맞게 하고 싶은 일을 해도 후(後)에는 각자의 능력(能力)과 적성(適性)에 맞게 적절(適切)한 배치(配置)를 받게 되는 것을 말함.
    各: 각각 得: 얻을 其: 所:

  • 結草報恩(결초보은) : 죽은 뒤에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진나라의 위과(魏顆)가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후에 아버지의 첩을 개가시켜 순사(殉死)하지 않게 하였더니, 그 뒤 싸움터에서 그 서모 아버지의 혼이 적군의 앞길에 풀을 묶어 적을 넘어뜨려 위과가 공을 세울 수 있도록 하였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結: 맺을 草: 報: 갚을 恩: 은혜

  • 管鮑之交(관포지교) : 관중과 포숙의 사귐이란 뜻으로, 우정이 아주 돈독한 친구 관계를 이르는 말.
    管: 대롱 鮑: 절인 어물 之: 交: 사귈

  • 胡越一家(호월일가) : (1)중국 북쪽의 호(胡)와 남쪽의 월(越)이 한집안이라는 뜻으로, 온 천하가 한집안 같음을 이르는 말. (2)멀리 떨어져 있던 사람들이 한곳에 모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胡: 오랑캐 越: 넘을 一: 家:

  • 益者三樂(익자삼요) : 사람이 좋아하여 유익한 세 가지. ≪논어≫에 있는 말로, 예악(禮樂)을 적당히 좋아하는 것, 사람의 착함을 좋아하는 것, 착한 벗이 많음을 좋아하는 것을 이른다.
    益: 더할 者: 三: 樂: 좋아할

  • 胡奴子息(호노자식) : 배운 데 없이 막되게 자라 교양이나 버릇이 없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胡: 오랑캐 奴: 子: 아들 息: 숨쉴

  • 死生有命(사생유명) : (1)사람이 죽고 사는 것이 운명에 달려 있다는 뜻으로, 사람의 힘으로 어찌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2)의리를 위하여 죽음을 피하지 않음.
    死: 죽을 生: 有: 있을 命: 목숨

  • 逢人輒說(봉인첩설) : 만나는 사람마다 이야기하여 소문을 널리 퍼뜨림.
    逢: 만날 人: 사람 輒: 문득 說: 말씀

  • 枘鑿不相容(예조불상용) : 네모난 장부(자루)와 둥근 구멍은 서로 용납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네모난 장부를 둥근 구멍에 끼우면 맞지 않는 것처럼, 본질적으로 서로 다른 사람의 의견은 화합할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方枘圓鑿 (방예원조)].
    枘: 장부 鑿: 구멍 不: 아니 相: 서로 容: 얼굴

  • 獨不將軍(독불장군) : (1)무슨 일이든 자기 생각대로 혼자서 처리하는 사람. (2)다른 사람에게 따돌림을 받는 외로운 사람. (3)혼자서는 장군이 될 수 없다는 뜻으로, 남과 의논하고 협조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獨: 홀로 不: 아니 將: 장수 軍: 군사

  • 馭風之客(어풍지객) : ‘신선’을 달리 이르는 말. 바람을 부리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馭: 말 부릴 風: 바람 之: 客:

  • 刻舟求劍(각주구검) : 융통성 없이 현실에 맞지 않는 낡은 생각을 고집하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초나라 사람이 배에서 칼을 물속에 떨어뜨리고 그 위치를 뱃전에 표시하였다가 나중에 배가 움직인 것을 생각하지 않고 칼을 찾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여씨춘추≫의 <찰금편(察今篇)>에 나오는 말이다.
    刻: 새길 舟: 求: 구할 劍:

  • 市道之交(시도지교) : 시장과 길거리에서 이루어지는 교제라는 뜻으로, 단지 이익만을 위한 교제를 이르는 말.
    市: 저자 道: 之: 交: 사귈

  • 濫吹(남취)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吹:

  • 光風霽月(광풍제월) : (1)비가 갠 뒤의 맑게 부는 바람과 밝은 달. (2)마음이 넓고 쾌활하여 아무 거리낌이 없는 인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황정견이 주돈이의 인품을 평한 데서 유래한다.
    光: 風: 바람 霽: 月:

  • 墜茵落溷(추인낙혼) : {꽃잎이 날려} 이불(茵席: 인석)에 떨어지기도 하고 또는 뒷간에 떨어지기도 한다는 뜻으로, 사람에게는 때를 만남과 때를 만나지 못함이 있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墜: 떨어질 茵: 자리 溷: 어지러울

  • 三分天下(삼분천하) : 한 나라를 세 사람의 군주나 영걸(英傑)이 나누어 차지함.
    三: 分: 나눌 天: 하늘 下: 아래

  • 泥田鬪狗(이전투구) : (1)‘이전투구’의 북한어. (2)진흙탕에서 싸우는 개라는 뜻으로, 강인한 성격의 함경도 사람을 이르는 말. (3)자기의 이익을 위하여 비열하게 다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田: 鬪: 싸움 狗:

  • 千無一失(천무일실) : 한결같은 마음으로 전수(專修)하는 사람은 천이면 천 사람, 한 사람도 빠짐없이 극락왕생을 함.
    千: 일천 無: 없을 一: 失: 잃을

  • 豪傑向風(호걸향풍) : 호걸들이 바람을 향한다는 뜻으로, 각처의 호걸들이 세력이 강한 사람에게로 쏠리어 따르는 일을 이르는 말.
    豪: 호걸 傑: 뛰어날 向: 향할 風: 바람

  • 先憂後樂(선우후락) : 세상의 근심할 일은 남보다 먼저 근심하고 즐거워할 일은 남보다 나중에 즐거워한다는 뜻으로, 지사(志士)나 어진 사람의 마음씨를 이르는 말. ≪범중엄(范仲淹)≫ <악양루기(岳陽樓記)>에 나오는 말이다.
    先: 먼저 憂: 근심 後: 樂: 즐거울

  • 一罰百戒(일벌백계) : 한 사람을 벌주어 백 사람을 경계한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하여 본보기로 한 사람에게 엄한 처벌을 하는 일을 이르는 말.
    一: 罰: 百: 일백 戒: 경계할

  • 目短於自見(목단어자견) : 눈은 물건(物件)을 잘 보지만 자기(自己)의 눈 속은 보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람이 자신(自身)의 선악(善惡)을 잘 모름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目: 短: 짧을 於: 어조사 自: 스스로 見:

  • 盲者正門(맹자정문) : 맹자가 정문을 바로 찾아 들어간다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이 어쩌다 이치에 들어맞는 일을 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盲: 소경 者: 正: 바를 門:

  • 鷄鳴狗盜(계명구도) : 비굴하게 남을 속이는 하찮은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사람을 이르는 말. 중국 제나라의 맹상군이 진(秦)나라 소왕(昭王)에게 죽게 되었을 때, 식객(食客) 가운데 개를 가장하여 남의 물건을 잘 훔치는 사람과 닭의 울음소리를 잘 흉내 내는 사람의 도움으로 위기에서 빠져나왔다는 데서 유래한다.
    鷄: 鳴: 狗: 盜: 도둑

  • 本然之性(본연지성) : 모든 사람이 본디부터 가지고 있는 착하고 평등한 천성(天性).
    本: 然: 그러할 之: 性: 성품

  • 如玉其人(여옥기인) : (1)인품이 옥과 같이 맑고 깨끗한 사람. (2)옥과 같이 아름다운 여자.
    如: 같을 玉: 구슬 其: 人: 사람

  • 借廳入室(차청입실) : 대청을 빌려 쓰다가 점점 안방까지 들어간다는 뜻으로, 처음에는 남에게 의지하다가 점차 그의 권리까지 침범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借: 廳: 관청 入: 室:

  • 易姓革命(역성혁명) : (1)왕조가 바뀌는 일. (2)중국에 있었던 유교 정치사상의 기본 관념의 하나. 제왕이 부덕하여 민심을 잃으면, 덕이 있는 다른 사람이 천명을 받아 왕조를 바꾸고 새로운 왕조를 세워도 좋다고 하는 사상이다.
    易: 바꿀 姓: 革: 가죽 命: 목숨

  • 太平人樂德而惡刑(태평인락덕이오형) : 태평(太平)한 세상(世上) 사람은 덕을 행(行)하기는 즐기나, 형법(刑法)에 저촉(抵觸)됨은 몹시 싫어함.
    太: 平: 평평할 人: 사람 樂: 즐거울 德: 而: 말 이을 惡: 미워할 刑: 형벌

  • 空山明月(공산명월) : (1)사람 없는 빈산에 외로이 비치는 밝은 달. (2)‘대머리’를 놀림조로 이르는 말.
    空: 山: 明: 밝을 月:

  • 烏有先生(오유선생) : 세상에 존재하지 아니하는 것처럼 꾸며 낸 인물.
    烏: 까마귀 有: 있을 先: 먼저 生:

  • 麻中之蓬(마중지봉) : 삼밭 속의 쑥이라는 뜻으로, 곧은 삼밭 속에서 자란 쑥은 곧게 자라게 되는 것처럼 선한 사람과 사귀면 그 감화를 받아 자연히 선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麻: 中: 가운데 之: 蓬:

  • 天衣無縫(천의무봉) : (1)천사의 옷은 꿰맨 흔적이 없다는 뜻으로, 일부러 꾸민 데 없이 자연스럽고 아름다우면서 완전함을 이르는 말. ≪태평광기≫의 곽한(郭翰)의 이야기에 나오는 말로, 주로 시가(詩歌)나 문장에 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2)세상사에 물들지 아니한 어린이와 같은 순진함을 이르는 말. (3)완전무결하여 흠이 없음을 이르는 말.
    天: 하늘 衣: 無: 없을 縫: 꿰맬

  • 滄海遺珠(창해유주) : 넓고 큰 바닷속에 캐어지지 않은 채 남아 있는 진주라는 뜻으로, 세상에 미처 알려지지 않은 드물고 귀한 보배나, 덕과 지혜가 높은 어진 사람을 이르는 말. ≪당서≫에 나오는 말이다.
    滄: 海: 바다 遺: 남길 珠: 구슬

  • 大器小用(대기소용) : 유능한 사람을 능력에 걸맞지 않은 낮은 자리에 앉히고 부림.
    大: 器: 그릇 小: 작을 用:

  • 囊中之錐(낭중지추) : 주머니 속의 송곳이라는 뜻으로, 재능이 뛰어난 사람은 숨어 있어도 저절로 사람들에게 알려짐을 이르는 말.
    囊: 주머니 中: 가운데 之: 錐: 송곳

  • 沙鉢通文(사발통문) : 호소문이나 격문 따위를 쓸 때에 누가 주모자인가를 알지 못하도록 서명에 참여한 사람들의 이름을 사발 모양으로 둥글게 삥 돌려 적은 통문.
    沙: 모래 鉢: 바리때 通: 통할 文: 글월

  • 令行禁止(령행금지) : (1)명령에 따라 움직이고 멈춤. 사람들이 법령을 잘 따르고 지키는 것을 이른다. (2)‘영행금지’의 북한어.
    行: 禁: 금할 止: 그칠

  • 同病相憐(동병상련) : 같은 병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긴다는 뜻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김을 이르는 말. ≪오월춘추≫의 <합려내전(闔閭內傳)>에 나온다.
    同: 한가지 病: 相: 서로 憐: 불쌍히여길

  • 餘桃啗君(여도담군) : 먹다 남은 복숭아를 임금에게 먹게 했다는 뜻으로, 똑같은 행위라도 받아들이는 사람의 애증에 따라 다르게 받아들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위(衛)나라의 미자하(彌子瑕)가 임금의 총애를 받을 때에는 제가 먹던 복숭아를 바쳐 신임을 얻었으나, 총애를 잃은 후에는 그 행동 때문에 죄를 얻어 처벌되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餘: 남을 桃: 복숭아나무 啗: 먹을 君: 임금

  • 絜矩之道(혈구지도) : 자기를 척도로 삼아 남을 생각하고 살펴서 바른길로 향하게 하는 도덕상의 길.
    絜: 헤아릴 矩: 곱자 之: 道:

  • 點鬼簿(점귀부) : (1)옛사람의 이름을 많이 따다가 지은 시문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의 문장가인 양형(楊炯)이 시문 가운데에 옛사람의 이름을 많이 따 넣은 것을 세인이 논평한 데서 유래한다. (2)죽은 사람의 이름을 적은 장부.
    點: 鬼: 귀신 簿: 장부

  • 匹夫匹婦(필부필부) : (1)평범한 남녀. (2)한 사람의 남자와 한 사람의 여자.
    匹: 夫: 지아비 匹: 婦: 며느리

  • 如魚得水(여어득수) : 물고기가 물을 얻음과 같다는 뜻으로, 본래의 영역으로 다시 돌아와 크게 활약할 수 있게 됨을 이르는 말.
    如: 같을 魚: 고기 得: 얻을 水:

  • 疾風勁草(질풍경초) : 질풍에도 꺾이지 않는 굳센 풀이라는 뜻으로, 아무리 어려운 일을 당하여도 뜻이 흔들리지 않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疾: 風: 바람 勁: 굳셀 草:

  • 白骨養子(백골양자) : 이미 죽은 사람을 양자로 삼아 대를 잇는 일. 또는 그 양자.
    白: 骨: 養: 기를 子: 아들

  • 人心難測(인심난측) : 사람의 마음은 헤아리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람의 마음속은 알기가 어려움을 이르는 말.
    人: 사람 心: 마음 難: 어려울 測:

  • 以管窺天(이관규천) : 대롱으로 하늘을 엿본다는 뜻으로, 사람의 견문(見聞)이 매우 좁음을 이르는 말.
    以: 管: 대롱 窺: 엿볼 天: 하늘

  • 車在馬前(거재마전) : 수레가 말 앞에 있다는 뜻으로, 처음 말로 마차를 끌게 하려면 다른 수레의 뒤에 말을 매어서 따라오게 한 뒤에 나중에 다른 마차를 끌도록 훈련시킨다는 의미에서, 사람을 훈련시킬 경우에도 기초적인 일부터 훈련을 시킨 뒤에 전문적인 일에 종사하도록 유도한다는 의미.
    車: 수레 在: 있을 馬: 前:

  • 回賓作主(회빈작주) : 손님으로 온 사람이 도리어 주인 행세를 한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 대하여 주장하는 사람을 제쳐 놓고 자기 마음대로 처리함을 이르는 말.
    回: 賓: 作: 지을 主: 주인

  • 性猶湍水(성유단수) : 성품은 여울물 같다는 뜻으로, 세차게 흐르는 여울의 물이 동서 어느 쪽으로도 흐를 수 있듯이, 사람의 본성은 차하게도 되고 악하게도 됨을 이르는 말.
    性: 성품 猶: 오히려 湍: 여울 水:

  • 天賦人權(천부인권) : 자연법에 의하여 인간이 태어나면서부터 가지고 있는 권리. 자기 보존이나 자기 방위의 권리, 자유나 평등의 권리 따위가 있다.
    天: 하늘 賦: 구실 人: 사람 權: 저울추

  • 紅毛碧眼(홍모벽안) : 붉은 털과 푸른 눈이라는 뜻으로, 빨간 머리털과 파란 눈을 지닌 서양 사람을 가리키는 말.
    紅: 붉을 毛: 碧: 푸를 眼:

  • 禍福無門(화복무문) : 화복은 운명적인 것이 아니라 사람이 선한 일을 하거나 악한 일을 함에 따라서 각기 받는다는 말.
    禍: 재난 福: 無: 없을 門:

  • 信賞必罰(신상필벌) : 공이 있는 자에게는 반드시 상을 주고, 죄가 있는 사람에게는 반드시 벌을 준다는 뜻으로, 상과 벌을 공정하고 엄중하게 하는 일을 이르는 말.
    信: 믿을 賞: 상줄 必: 반드시 罰:

  • 三人行必有我師(삼인행필유아사) : 세 사람이 같이 길을 가면 반드시 내 스승이 있다는 뜻으로, 세 사람이 어떤 일을 하면 좋은 것은 본받고, 나쁜 것은 경계(警戒)하게 되므로 선악(善惡) 간(間)에 반드시 스승이 될 만한 이가 있다는 말.
    三: 人: 사람 行: 必: 반드시 有: 있을 我: 師: 스승

  • 尊駕(존가) : 지위가 높고 귀한 사람의 탈것이라는 뜻으로, 지위가 높고 귀한 사람의 행차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尊: 높을 駕: 멍에

  • 寢牛起馬(침우기마) : 소는 눕는 것을 좋아하고 말은 서는 것을 좋아한다는 뜻으로, 사람마다 제각기 취미가 다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寢: 잠잘 牛: 起: 일어날 馬:

  • 象牙塔(상아탑) : (1)속세를 떠나 오로지 학문이나 예술에만 잠기는 경지. 프랑스의 시인이자 비평가인 생트뵈브가 낭만파 시인 비니의 태도를 비평하며 쓴 데서 유래한다. (2)‘대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象: 코끼리 牙: 어금니 塔:

  • 撫摩(무마) : (1)손으로 두루 어루만짐. (2)타이르고 얼러서 마음을 달램. (3)분쟁이나 사건 따위를 시원스럽게 해결하지 못하고 덮어 버림.
    撫: 어루만질 摩:

  • 囊螢(낭형) : 어려운 환경을 이기고 학업에 정진함을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 차윤(車胤)이라는 사람이 등불 켤 기름이 없어 반딧불을 모아 글을 읽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囊: 주머니 螢: 개똥벌레

  • 未亡人(미망인) : 남편을 여읜 여자. ≪춘추좌씨전≫의 <장공편(莊公篇)>에 나오는 말이다.
    未: 아닐 亡: 잃을 人: 사람

  • 曹無傷(조무상) : 남을 참소하는 소인(小人)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한나라의 유방이 초나라의 항우와 대립할 때에, 유방을 헐뜯으며 죄가 있는 것처럼 항우에게 고해바치던 사람의 이름이 조무상이었던 데서 유래한다.
    曹: 마을 無: 없을 傷: 다칠

  • 好爲人師(호위인사) : 남의 스승 되기를 좋아한다는 뜻으로, 늘 아는 체하면서 남의 스승 되기를 즐기는 사람을 이르는 말.
    好: 좋을 爲: 人: 사람 師: 스승

  • 誤國小人(오국소인) : 나라를 그르친 간사한 사람.
    誤: 그릇할 國: 나라 小: 작을 人: 사람

  • 矮子看戱(왜자간희) : 난쟁이가 연극을 본다는 뜻으로, 난쟁이가 키 큰 사람 뒤에서 연극을 관람하는 것처럼 앞사람의 비평에 덩달아 비평하듯이 식견이 없음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
    矮: 키 작을 子: 아들 看: 戱:

  • 秋扇(추선) : (1)가을철의 부채라는 뜻으로, 철이 지나서 쓸모없이 된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이성의 사랑을 잃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秋: 가을 扇: 부채

  • 季布一諾(계포일낙) : 절대로 틀림없는 승낙. 중국 초나라 장수인 계포(季布)의 한 번 승낙은 백금을 얻기보다 더 소중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季: 布: 一:

  • 人乃天(인내천) : 사람이 곧 한울이라는 천도교의 기본 사상. 사람이 한울을 믿어 마침내 하나가 되는 경지를 이른다.
    人: 사람 乃: 이에 天: 하늘

  • 唾面自乾(타면자건) : 다른 사람이 나의 얼굴에 침을 뱉으면 절로 그 침이 마를 때까지 기다린다는 뜻으로, 처세에는 인내가 필요함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唾: 面: 自: 스스로 乾: 마를

  • 剛木水生(강목수생) : 마른나무에서 물이 난다는 뜻으로, 아무것도 없는 사람에게 무리하게 무엇을 내라고 요구함을 이르는 말.
    剛: 굳셀 木: 나무 水: 生:

  • 二寺狗(이사구) : 두 절의 개라는 뜻으로, 두 절을 왕래하던 개가 양쪽 절을 다니다가 어느 절에서도 밥을 얻어먹지 못한다는 의미에서 한 사람이 양쪽에 이름을 걸어놓고 다니면 한 가지 일도 제대로 이루지 못한다는 의미.
    二: 寺: 狗:

  • 形影相同(형영상동) : 형체의 움직임에 따라 그림자도 그대로 나타난다는 뜻으로, 마음먹은 바가 그대로 행동으로 나타남을 이르는 말.
    形: 형상 影: 그림자 相: 서로 同: 한가지

  • 子莫執中(자막집중) : 융통성이 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에 자막이라는 사람이 중용(中庸)만을 지켰다는 데서 유래한다.
    子: 아들 莫: 없을 執: 잡을 中: 가운데

  • 鹿死不擇音(녹사불택음) : 사슴은 그 소리가 아름다우나 죽게 되었을 때에는 그 아름다운 소리를 가리어 낼 여유(餘裕)가 없다는 뜻으로, 사람도 위급(危急)한 지경(地境)을 당했을 때는 절도(節度)를 잃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死: 죽을 不: 아니 擇: 가릴 音: 소리

  • 換骨奪胎(환골탈태) : (1)사람이 보다 나은 방향으로 변하여 전혀 딴사람처럼 됨. (2)뼈대를 바꾸어 끼고 태를 바꾸어 쓴다는 뜻으로, 고인의 시문의 형식을 바꾸어서 그 짜임새와 수법이 먼저 것보다 잘되게 함을 이르는 말. 중국 남송의 승려 혜홍(惠洪)의 <냉재야화(冷齋夜話)>에 나오는 말이다.
    換: 바꿀 骨: 奪: 빼앗을 胎: 아이밸

  • 他界(타계) : (1)다른 세계. (2)인간계를 떠나서 다른 세계로 간다는 뜻으로, 사람의 죽음 특히 귀인(貴人)의 죽음을 이르는 말. (3)불교의 십계(十界) 가운데 인간계 이외의 세계.
    他: 다를 界: 지경

  • 漁夫之利(어부지리) : 두 사람이 이해관계로 서로 싸우는 사이에 엉뚱한 사람이 애쓰지 않고 가로챈 이익을 이르는 말. 도요새가 무명조개의 속살을 먹으려고 부리를 조가비 안에 넣는 순간 무명조개가 껍데기를 꼭 다물고 부리를 안 놔주자, 서로 다투는 틈을 타서 어부가 둘 다 잡아 이익을 얻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漁: 고기잡을 夫: 지아비 之: 利: 날카로울

  • 靑天白日(청천백일) : (1)혐의나 원죄(冤罪)가 풀리어 무죄가 됨. (2)하늘이 맑게 갠 대낮. (3)맑은 하늘에 뜬 해.
    靑: 푸를 天: 하늘 白: 日:

  • 描虎類犬(묘호류견) : 호랑이를 그리려고 했으나 개와 비슷하게 되었다는 뜻으로, 계획은 크게 세웠지만 실패하여 결과는 보잘것없음을 이르는 말.
    描: 그릴 虎: 類: 무리 犬:

  • 名不知姓不知(명부지성부지) : 이름도 모르고 성도 모른다는 뜻으로, 어떤 사람에 대하여 전혀 알지 못함 또는 그런 사람을 이르는 말.
    名: 이름 不: 아닌가 知: 姓: 不: 아닌가 知:

  • 走逐一般(주축일반) : 달아나는 것이나 뒤쫓아 가는 것이나 다 같은 것이라는 뜻으로, 다 같이 옳지 않은 일을 한 바에는 나무라는 쪽이나 나무람을 받는 쪽이나 마찬가지임을 이르는 말.
    走: 달릴 逐: 쫓을 一: 般:

  • 鶯遷(앵천) : 꾀꼬리가 깊은 골짜기에서 나와 높은 나무에 앉는다는 뜻으로, 과거에 급제함을 이르는 말. 승진이나 이사 따위를 축하할 때 쓰는 말이기도 하다.
    鶯: 꾀꼬리 遷: 옮길

  • 虎不食兒(호불식아) : 호랑이는 새끼를 먹지 않는다는 뜻으로, 범은 아무리 배가 고파도 제 새끼를 먹지는 않는 것처럼, 아무리 흉악한 사람도 제 식구는 함부로 하지 않는다는 의미.
    虎: 不: 아니 食: 兒: 아이

  • 魚變成龍(어변성룡) : 물고기가 변하여서 용이 된다는 뜻으로, 아주 곤궁하던 사람이 부귀를 누리게 되거나 보잘것없던 사람이 큰 인물이 됨을 이르는 말.
    魚: 고기 變: 변할 成: 이룰 龍:

11 12 13 15
#지위 65 #소리 96 #편안 62 #동안 70 #따위 228 #행동 137 #의지 69 #자연 73 #상대 56 #중국 253 #목숨 58 #구름 67 #태도 72 #경계 56 #은혜 70 #생각 236 #자식 104 #어려움 105 #표현 88 #의미 1817 #처음 91 #서로 71 #재주 82 #방법 59 #가난 90 #이름 211 #어머니 72 #관계 90 #형제 68 #이치 67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60개) : 사라, 사락, 사란, 사람, 사랍, 사랑, 사랖, 사래, 사램, 사략, 사량, 사레, 사려, 사력, 사련, 사렬, 사렴, 사렵, 사령, 사례, 사로, 사록, 사론, 사롬, 사롭, 사롱, 사료, 사룡, 사루, 사룩, 사룻, 사룽, 사류, 사륙, 사륜, 사륵, 사름, 사릅, 사릉, 사릋, 사리, 사린, 사림, 사립, 삭로, 삭료, 삭름, 삭립, 삭릿, 산락, 산란, 산랑, 산략, 산량, 산력, 산령, 산로, 산록, 산뢰, 산료, 산류, 산륜, 산릉, 산리, 산림, 산립, 살랑, 살래, 살략, 살럼, 살레, 살렘, 살렙, 살렴, 살로, 살롤, 살롱, 살륙, 살릭, 살림, 삼라, 삼락, 삼략, 삼량, 삼력, 삼련, 삼렬, 삼령, 삼례, 삼로, 삼록, 삼론, 삼롱, 삼뢰, 삼룡, 삼루, 삼류, 삼륜, 삼릉, 삼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