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 에 관한 한자 모두 137

  • 懸權而動 획순 懸權而動(현권이동) : 저울추를 매달아 움직인다는 뜻으로, 추를 저울에 걸어 무게를 달듯이, 일의 경중을 잘 헤아린 뒤에 행동함.
    懸: 매달 權: 저울추 而: 말 이을 動: 움직일

  • 言行相反 획순 言行相反(언행상반) : 말과 행동이 하나로 이른다는 뜻으로, 말과 행동이 같다는 의미.
    言: 말씀 行: 相: 서로 反: 돌이킬

  • 徑情直行 획순 徑情直行(경정직행) : 예절이나 법식 따위에 얽매이지 않고 곧이곧대로 행동함.
    徑: 지름길 情: 直: 곧을 行:

  • 他山之石 획순 他山之石(타산지석) : 다른 산의 나쁜 돌이라도 자신의 산의 옥돌을 가는 데에 쓸 수 있다는 뜻으로, 본이 되지 않은 남의 말이나 행동도 자신의 지식과 인격을 수양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시경≫ <소아(小雅)>에 나오는 말이다.
    他: 다를 山: 之: 石:

  • 行不由徑 획순 行不由徑(행불유경) : 길을 가는데 지름길을 말미암지 않는다는 뜻으로, 행동을 공명정대(公明正大)하게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行: 不: 아니 由: 말미암을 徑: 지름길

  • 見機而作(견기이작) : 낌새를 알아채고 미리 조치함.
    見: 機: 베틀 而: 말 이을 作: 지을

  • 渾然一體(혼연일체) : 생각, 행동, 의지 따위가 완전히 하나가 됨.
    渾: 흐릴 然: 그러할 一: 體:

  • 餘桃之罪(여도지죄) : 같은 행동(行動)이라도 사랑을 받을 때와 미움을 받을 때가 각기 다르게 받아 들여질 수 있다는 것을 비유(比喩)하는 말.
    餘: 남을 桃: 복숭아나무 之: 罪: 허물

  • 言行一致(언행일치) : 말과 행동이 하나로 들어맞음. 또는 말한 대로 실행함.
    言: 말씀 行: 一: 致: 이룰

  • 恕而行之(서이행지) : 용서하고 행동한다는 뜻으로, 남의 처지를 깊이 동정하는 마음으로써 일을 행한다는 의미.
    恕: 용서할 而: 말 이을 行: 之:

  • 羊頭狗肉(양두구육) : 양의 머리를 걸어 놓고 개고기를 판다는 뜻으로, 겉보기만 그럴듯하게 보이고 속은 변변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羊: 頭: 머리 狗: 肉: 고기

  • 抱炭希凉(포탄희량) : 숯불을 안고 서늘하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행동(行動)과 목적(目的)이 상치됨을 이르는 말.
    抱: 안을 炭: 希: 바랄 凉: 서늘할

  • 妻城子獄(처성자옥) : 아내는 성(城)이고 자식은 감옥이라는 뜻으로, 처자가 있는 사람은 거기에 얽매여 자유롭게 활동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妻: 아내 城: 子: 아들 獄:

  • 北行至楚(북행지초) : 북쪽으로 가면서 초(楚)나라에 이른다는 뜻으로, 남쪽의 초나라로 간다면서 북쪽을 향해 가는 것처럼 행동이 뜻한 바와 모순됨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
    北: 북녘 行: 至: 이를 楚: 모형

  • 前轍(전철) : 앞에 지나간 수레바퀴의 자국이라는 뜻으로, 이전 사람의 그릇된 일이나 행동의 자취를 이르는 말.
    前: 轍: 바퀴 자국

  • 止於止處(지어지처) : (1)일정하게 머무르는 곳이 없고 정처 없이 어디든지 이르는 곳에서 머물러 잠. (2)일이나 행동을 마땅히 그쳐야 할 자리에서 알맞게 그침.
    止: 그칠 於: 어조사 止: 그칠 處: 머무를

  • 嘉言善行(가언선행) : 좋은 말과 착한 행실을 아울러 이르는 말.
    嘉: 아름다울 言: 말씀 善: 착할 行:

  • 峯岠(봉거) : (1)산봉우리가 험하여 가까이 갈 수 없음. (2)말이나 행동 또는 뜻이 맞지 아니하여 친근해질 수 없음.
    峯: 봉우리 岠: 큰 산

  • 傲慢無禮(오만무례) : 태도나 행동이 건방지거나 거만하여 예의(禮義)를 지키지 아니함.
    傲: 거만할 慢: 게으를 無: 없을 禮: 예도

  • 仁者樂山(인자요산) : 어진 사람은 의리에 만족하여 몸가짐이 무겁고 덕이 두터워 그 마음이 산과 비슷하므로 자연히 산을 좋아함.
    仁: 어질 者: 樂: 좋아할 山:

  • 大義名分(대의명분) : (1)사람으로서 마땅히 지키고 행하여야 할 도리나 본분. (2)떳떳이 내세울 만한 도덕적 원칙이나 이유.
    大: 義: 옳을 名: 이름 分: 나눌

  • 掃地黃金出(소지황금출) : 땅을 쓸면 황금이 나온다는 뜻으로, 청결한 덕있는 행동을 하면 좋은 일이 생긴다는 의미인데, 주로 입춘첩(立春帖)으로 사용하는 글귀.
    掃: 地: 黃: 누를 金: 出:

  • 齋戒沐浴(재계목욕) : 신불(神佛)에게 제사(祭祀)를 드리기 전(前)에 몸과 마음을 깨끗이 하기 위(爲)하여 음식(飮食)이나 행동(行動)을 삼가고 몸을 깨끗이 씻음을 이르는 말.
    齋: 재계할 戒: 경계할 沐: 머리감을 浴: 목욕할

  • 衣錦夜行(의금야행) : 비단옷을 입고 밤에 다닌다는 뜻으로, 모처럼 성공하였으나 남에게 알려지지 않음을 이르는 말.
    衣: 錦: 비단 夜: 行:

  • 心廣體胖(심광체반) : 마음이 너그러우면 몸이 편해 살이 찜.
    心: 마음 廣: 넓을 體: 胖: 희생 반쪽

  • 一擧一動(일거일동) : 하나하나의 동작이나 움직임.
    一: 擧: 一: 動: 움직일

  • 蛇心佛口(사심불구) : 뱀의 마음에 부처의 입이라는 뜻으로, 속으로는 간악한 마음을 품고 있으면서 입으로는 착한 말을 하는 행동이나 그런 행동을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蛇: 心: 마음 佛: 부처 口:

  • 搖手觸禁(요수촉금) : 손을 움직이면 금령(禁令)에 저촉된다는 뜻으로, 작은 행동도 법령을 어기게 되는 것처럼 법령이 혹독하고 가혹함을 비유하는 말.
    搖: 흔들릴 手: 觸: 닿을 禁: 금할

  • 不顧廉恥(불고염치) : 염치를 돌아보지 아니함.
    不: 아니 顧: 돌아볼 恥: 부끄러워할

  • 蝙蝠之役(편복지역) : 자기 이익만을 위하여 이리 붙고 저리 붙고 하는 줏대 없는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蝙: 박쥐 蝠: 박쥐 之: 役: 부릴

  • 風吹草動(풍취초동) : 바람이 불어 풀이 움직인다는 뜻으로, 경미한 행동에 의하여 영향이 일어남을 이르는 말.
    風: 바람 吹: 草: 動: 움직일

  • 天眞爛漫(천진난만) : 말이나 행동에 아무런 꾸밈이 없이 그대로 나타날 만큼 순진하고 천진함.
    天: 하늘 眞: 漫: 질펀할

  • 無父無君(무부무군) : 어버이도 임금도 안중에 없을 만큼 행동이 막됨.
    無: 없을 父: 아비 無: 없을 君: 임금

  • 一心同體(일심동체) : 한마음 한몸이라는 뜻으로, 서로 굳게 결합함을 이르는 말.
    一: 心: 마음 同: 한가지 體:

  • 訥言敏行(눌언민행) : 말은 느려도 실제 행동은 재빠르고 능란함.
    訥: 말더듬을 言: 말씀 敏: 재빠를 行:

  • 輕薄浮虛(경박부허) : 말하고 행동하는 것이 신중하지 못하고 가벼움.
    輕: 가벼울 薄: 엷을 浮: 虛:

  • 前後矛盾(전후모순) : 앞서 한 말과 뒤에 한말이나 행동(行動)이 서로 일치(一致)하지 아니함.
    前: 後: 矛: 盾: 방패

  • 皮匠再日(피장재일) : 갖바치의 내일이라는 뜻으로, 내일 된다, 모레 된다 하면서 약속한 날짜를 이날 저 날로 미루는 행동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皮: 가죽 匠: 장인 再: 日:

  • 同床各夢(동상각몽) : 같은 침상(寢床)에서 서로 다른 꿈을 꾼다는 뜻으로, (1) 겉으로는 같이 행동(行動)하면서 속으로는 각기 딴 생각을 함을 이르는 말 (2) 비유적(比喩的)으로, 같은 입장(立場)ㆍ일인 데도 목표(目標)가 저마다 다름을 일컫는 말(3) 기거(起居)를 함께 하면서 서로 다른 생각을 함.
    同: 한가지 床: 各: 각각 夢:

  • 興淸亡淸(흥청망청) : 흥청이 망청이 되었다는 뜻으로, 이것저것 가릴 것 없이 마구 낭비하고 마구 행동하면 망한다는 의미.
    興: 淸: 맑을 亡: 잃을 淸: 맑을

  • 晝出魍魎(주출망량) : 낮에 나타난 도깨비.
    晝: 出: 魍: 도깨비 魎: 도깨비

  • 矛盾(모순) : (1)어떤 사실의 앞뒤, 또는 두 사실이 이치상 어긋나서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상인이 창과 방패를 팔면서 창은 어떤 방패로도 막지 못하는 창이라 하고 방패는 어떤 창으로도 뚫지 못하는 방패라 하여, 앞뒤가 맞지 않은 말을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2)두 가지의 판단, 사태 따위가 양립하지 못하고 서로 배척하는 상태. 두 판단이 중간에 존재하는 것이 없이 대립하여 양립하지 못하는 관계로, 이를테면 ‘고양이는 동물이지만 동물이 아니다.’ 따위이다. (3)투쟁 관계에 있는 두 대립물이 공존하면서 맺는 상호 관계. 논리적 모순과 변증법적 모순이 있는데, 논리적 모순이 사유의 영역에만 존재하는 데 비해 변증법적 모순은 사물, 체계 따위의 객관적 실재에 속하며 모든 운동과 변화, 발전의 근원이 된다. (4)2001년 류석훈이 발표한 안무 작품. 앵벌이 소년의 삶과 죽음을 통해 사회의 모순을 고발한 작품이다.
    矛: 盾: 방패

  • 三省吾身(삼성오신) : 매일 세 번 자신을 반성함.
    三: 省: 살필 吾: 身:

  • 智圓行方(지원행방) : 슬기로움은 원만하고 행동은 방정하다는 뜻으로, 슬기로움은 두루 통하여 모르는 것이 없기를 원하고, 행실은 방정하여 예에 어긋남이 없기를 원한다는 의미.
    智: 슬기 圓: 둥글 行: 方:

  • 倒行逆施(도행역시) : 차례나 순서를 바꾸어서 행함.
    倒: 넘어질 行: 逆: 거스를 施: 베풀

  • 操心操心(조심조심) : 잘못이나 실수가 없도록 말이나 행동에 매우 마음을 쓰는 모양.
    操: 잡을 心: 마음 操: 잡을 心: 마음

  • 行動擧止(행동거지) : 몸을 움직여 하는 모든 짓.
    行: 動: 움직일 擧: 止: 그칠

  • 豹變(표변) : (1)마음, 행동 따위가 갑작스럽게 달라짐. 또는 마음, 행동 따위를 갑작스럽게 바꿈. (2)표범의 무늬가 가을이 되면 아름다워진다는 뜻으로, 허물을 고쳐 말과 행동이 뚜렷이 달라짐을 이르는 말. ≪주역≫의 <혁괘(革卦)>에 나오는 말이다.
    豹: 표범 變: 변할

  • 無道之人(무도지인) : 도가 없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도리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는 사람을 의미함.
    無: 없을 道: 之: 人: 사람

  • 打草驚蛇(타초경사) : 수풀을 휘저어 뱀을 놀라게 한다는 뜻으로, 의도하지 않은 행동이 뜻밖의 결과를 낳을 수 있음을 이르는 말.
    打: 草: 驚: 놀랄 蛇:

  • 浮浪悖類(부랑패류) : 일정하게 사는 곳과 하는 일 없이 떠돌아다니며 못된 짓이나 하는 무리.
    浮: 浪: 물결 悖: 어그러질 類: 무리

  • 無我夢中(무아몽중) : 자기를 모르고 꿈속에 있는 것 같다는 뜻으로, 마음이 외곬으로 쏠리거나 넋을 잃어 자기도 모르게 행동하는 지경을 이르는 말.
    無: 없을 我: 夢: 中: 가운데

  • 獨斷專行(독단전행) : 남과 상의하지 않고 혼자 판단하거나 결정하여 멋대로 행동함.
    獨: 홀로 斷: 끊을 專: 오로지 行:

  • 內淸外濁(내청외탁) : 속은 맑으나 겉은 흐리다는 뜻으로, 어지러운 세상을 살아가려면 마음은 맑게 가지면서도 행동은 흐린 것처럼 하여야 한다는 말.
    內: 淸: 맑을 外: 바깥 濁: 흐릴

  • 言美響美(언미향미) : 말이 아름다우면 그 울림도 아름답다는 뜻으로, 인격이나 행동이 훌륭하면 자연 명예도 얻게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言: 말씀 美: 아름다울 響: 울림 美: 아름다울

  • 快人快事(쾌인쾌사) : 쾌활한 사람의 시원스러운 행동.
    快: 쾌할 人: 사람 快: 쾌할 事:

  • 瘡疣百出(창우백출) : 부스럼, 혹, 굳은살 따위가 매우 많이 생긴다는 뜻으로, 말과 행동에 흠이 많음을 이르는 말.
    瘡: 부스럼 疣: 사마귀 百: 일백 出:

  • 窈窕淑女(요조숙녀) : 말과 행동이 품위가 있으며 얌전하고 정숙한 여자.
    窈: 아득할 窕: 정숙할 淑: 맑을 女: 여자

  • 形格勢禁(형격세금) : 행동을 자유로이 할 수 없게 됨.
    形: 형상 格: 바로잡을 勢: 기세 禁: 금할

  • 可觀(가관) : (1)행동이나 모습 등이 마음에 들지 않거나 우스운 상태를 비웃는 말. (2)경치 따위가 꽤 볼만함.
    可: 옳을 觀:

  • 仁者不憂(인자불우) : 어진 사람은 마음이 항상 평화스러워 근심을 가지지 아니함.
    仁: 어질 者: 不: 아니 憂: 근심

  • 輕浮(경부) : 말하고 행동하는 것이 신중하지 못하고 가벼움.
    輕: 가벼울 浮:

  • 疾行無善迹(질행무선적) : 급한 행동은 좋은 흔적이 없다는 뜻으로, 급히 한 일에 좋은 결과가 없다는 의미.
    疾: 行: 無: 없을 善: 착할 迹: 자취

  • 狷狂(견광) : 과장이 심하거나 극단에 치우친 행동을 하는 사람.
    狷: 성급할 狂: 미칠

  • 人面獸心(인면수심) : 사람의 얼굴을 하고 있으나 마음은 짐승과 같다는 뜻으로, 마음이나 행동이 몹시 흉악함을 이르는 말.
    人: 사람 面: 獸: 짐승 心: 마음

  • 前軌(전궤) : 앞에 지나간 수레바퀴의 자국이라는 뜻으로, 이전 사람의 그릇된 일이나 행동의 자취를 이르는 말.
    前: 軌:

  • 見利思義(견리사의) : 눈앞의 이익을 보면 의리를 먼저 생각함.
    見: 利: 날카로울 思: 생각할 義: 옳을

  • 輕躁浮薄(경조부박) : 마음이 침착(沈着)하지 못하고 행동(行動)이 신중(愼重)하지 못함.
    輕: 가벼울 躁: 성급할 浮: 薄: 엷을

  • 自由奔放(자유분방) : 격식이나 관습에 얽매이지 아니하고 행동이 자유로움.
    自: 스스로 由: 말미암을 奔: 달릴 放: 놓을

  • 荒唐無稽(황당무계) : ‘황당무계하다’의 어근.
    荒: 거칠 唐: 당나라 無: 없을 稽: 생각할

  • 輕擧妄動(경거망동) : 경솔하여 생각 없이 망령되게 행동함. 또는 그런 행동.
    輕: 가벼울 擧: 妄: 망령될 動: 움직일

  • 婆羅門行(바라문행) : 승려의 건방지고 거친 행동.
    婆: 음역자 羅: 그물 門: 行:

  • 傍若無人(방약무인) : 곁에 사람이 없는 것처럼 아무 거리낌 없이 함부로 말하고 행동하는 태도가 있음.
    傍: 若: 같을 無: 없을 人: 사람

  • 知難行易(지난행이) : 알기는 어려워도 행동은 쉽다는 뜻으로, 도리를 알기는 어려우나, 알기만 하면 이것을 실천하기는 쉽다는 의미인데, 손문의 주장.
    知: 難: 어려울 行: 易: 쉬울

  • 矛盾撞着(모순당착) : 같은 사람의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서로 맞지 아니하고 모순됨.
    矛: 盾: 방패 撞: 着: 붙을

  • 兵貴神速(병귀신속) : 군사를 지휘함에는 귀신같이 빠름을 귀히 여긴다는 뜻으로, 군사 행동은 언제나 신속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兵: 군사 貴: 귀할 神: 速: 빠를

  • 四方響應(사방향응) : 어떤 주의나 사상에 응하여 사방에서 모두 힘차게 일어남.
    四: 方: 響: 울림 應: 응할

  • 自肅自戒(자숙자계) :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조심하고 경계함.
    自: 스스로 肅: 엄숙할 自: 스스로 戒: 경계할

  • 特立獨行(특립독행) : 세속(世俗)에 따르지 않고 스스로 믿는 바를 행함.
    特: 유다를 立: 獨: 홀로 行:

  • 前言往行(전언왕행) : 옛사람이 남겨 놓은 말과 행동.
    前: 言: 말씀 往: 行:

  • 我田引水(아전인수) : 자기 논에 물 대기라는 뜻으로, 자기에게만 이롭게 되도록 생각하거나 행동함을 이르는 말.
    我: 田: 引: 당길 水:

  • 携手同歸(휴수동귀) : 손을 잡고 같이 간다는 뜻으로, 서로 행동을 같이함을 이르는 말.
    携: 手: 同: 한가지 歸: 돌아갈

  • 滄浪自取(창랑자취) : 물이 맑고 흐린 데 맞추어 처신한다는 뜻으로, 칭찬이나 비난ㆍ상이나 벌을 받는 것이 모두 자기가 할 탓임을 이르는 말.
    滄: 浪: 물결 自: 스스로 取: 취할

  • 率先垂範(솔선수범) : 남보다 앞장서서 행동해서 몸소 다른 사람의 본보기가 됨.
    率: 거느릴 先: 먼저 垂: 드리울 範:

  • 胡行亂走(호행난주) : 함부로 날뛰며 돌아다님.
    胡: 오랑캐 行: 走: 달릴

  • 擇言擇行(택언택행) : 말을 가리고 행동을 가린다는 뜻으로, 선과 악을 가려서 해야 할 말이나 행동을 이르는 말.
    擇: 가릴 言: 말씀 擇: 가릴 行:

  • 縱橫無盡(종횡무진) : 자유자재로 행동하여 거침이 없는 상태.
    縱: 늘어질 橫: 가로 無: 없을 盡: 다할

  • 自家撞着(자가당착) : 같은 사람의 말이나 행동이 앞뒤가 서로 맞지 아니하고 모순됨.
    自: 스스로 家: 撞: 着: 붙을

  • 口尙乳臭(구상유취) : 입에서 아직 젖내가 난다는 뜻으로, 말이나 행동이 유치함을 이르는 말.
    口: 尙: 오히려 乳: 臭: 냄새

  • 不愧屋漏(불괴옥루) : 사람이 보지 아니하는 곳에서도 행동을 경계하고 신중히 하여 부끄럽지 아니함. ≪중용(中庸)≫에 나오는 말이다.
    不: 아니 愧: 부끄러워할 屋: 漏:

  • 行無越思(행무월사) : 행동이 생각을 넘음이 없다는 뜻으로, 행동이 그 생각하고 있는 바에서 벗어나는 일이 없음을 이르는 말.
    行: 無: 없을 越: 넘을 思: 생각할

  • 癡猿捉月(치원착월) : 어리석은 원숭이가 달을 잡는다는 뜻으로, 물에 비친 달을 잡으려는 어리석은 원숭이의 행동처럼 무지하고 무모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癡: 어리석을 猿: 원숭이 捉: 잡을 月:

  • 阿諛苟容(아유구용) : 남에게 아첨하여 구차스럽게 굶. 또는 그런 행동.
    阿: 언덕 諛: 알랑거릴 苟: 구차할 容: 얼굴

  • 輿時府仰(여시부앙) : 시대(時代)의 흐름을 따라 행동(行動)함.
    輿: 수레 時: 府: 곳집 仰: 우러를

  • 搖頭顚目(요두전목) : 머리를 흔들고 눈알을 굴린다는 뜻으로, 행동이 침착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
    搖: 흔들릴 頭: 머리 顚: 넘어질 目:

  • 藥石之言(약석지언) : 약으로 병을 고치는 것처럼 남의 잘못된 행동을 훈계하여 그것을 고치는 데에 도움이 되는 말.
    藥: 石: 之: 言: 말씀

  • 隱忍自重(은인자중) : 마음속에 감추어 참고 견디면서 몸가짐을 신중하게 행동함.
    隱: 숨을 忍: 참을 重: 무거울

  • 行必誠義(행필성의) : 행하면 반드시 의로움에 곡진하다는 뜻으로, 행동에 반드시 의를 실천한다는 의미.
    行: 必: 반드시 誠: 정성 義: 옳을

  • 自暴自棄(자포자기) : 절망에 빠져 자신을 스스로 포기(抛棄)하고 돌아보지 아니함.
    自: 스스로 暴: 사나울 自: 스스로 棄: 버릴

  • 鳳鳴朝陽(봉명조양) : (1)봉황새가 산의 동쪽에서 운다는 뜻으로, 천하가 태평할 길조(吉兆)를 이르는 말. (2)뛰어난 행위를 칭찬하여 이르는 말.
    鳳: 봉새 鳴: 朝: 아침 陽:

2
#재주 82 #세상 339 #무리 64 #부모 136 #머리 141 #아래 86 #조금 96 #얼굴 99 #죽음 73 #상대 56 #모습 66 #아내 81 #나라 392 #경우 64 #은혜 70 #자신 208 #자연 73 #동안 70 #지위 65 #예전 60 #사이 200 #목숨 58 #경계 56 #훌륭 85 #어머니 72 #물건 136 #어버이 60 #형용 67 #나이 97 #관계 90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447개) : 하다, 하닥, 하단, 하달, 하담, 하답, 하당, 하대, 하덕, 하도, 하돈, 하동, 하두, 하드, 하든, 하등, 하디, 하딕, 하딩, 학답, 학당, 학대, 학덕, 학도, 학독, 학돌, 학돔, 학동, 학등, 한닥, 한단, 한달, 한담, 한당, 한닻, 한대, 한댁, 한댕, 한덩, 한데, 한뎐, 한도, 한독, 한돈, 한동, 한두, 한둔, 한둘, 한들, 한등, 한디, 할다, 할단, 할당, 할대, 할동, 핥다, 핧다, 함담, 함답, 함당, 함대, 함덕, 함도, 함독, 합다, 합당, 합덕, 합독, 합동, 핫대, 핫둘, 항담, 항덕, 항도, 항독, 항두, 항등, 항딘, 해다, 해단, 해달, 해담, 해답, 해당, 해대, 해덧, 해도, 해독, 해돈, 해동, 해둔, 해득, 해들, 핵도, 핵득, 핸드, 핸들, 핸디, 햇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