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에 관한 한자 모두 1,461

  • 羲皇上人 획순 羲皇上人(희황상인) : 복희씨 이전의 오랜 옛적의 사람이라는 뜻으로, 세상일을 잊고 한가하고 태평하게 숨어 사는 사람을 이르는 말.
    羲: 皇: 임금 上: 人: 사람

  • 錐囊 획순 錐囊(추낭) : 송곳이 든 주머니라는 뜻으로, 재능이 뛰어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錐: 송곳 囊: 주머니

  • 長袖善舞 획순 長袖善舞(장수선무) : 소매가 길면 춤을 잘 출 수 있다는 뜻으로, 재물이 넉넉한 사람은 일을 하거나 성공하기가 쉽다는 말. ≪한비자≫의 <오두편(五蠢篇)>에서 유래한다.
    長: 袖: 소매 善: 착할 舞: 춤출

  • 南男北女 획순 南男北女(남남북녀) : 우리나라에서, 남자는 남쪽 지방 사람이 잘나고 여자는 북쪽 지방 사람이 고움을 이르는 말.
    南: 남녘 男: 사내 北: 북녘 女: 여자

  • 蒲柳之質 획순 蒲柳之質(포류지질) : 갯버들 같은 체질이라는 뜻으로, 갯버들의 나뭇잎이 가을이 되자마자 떨어지는 데서, 사람의 체질이 허약하거나 나이보다 일찍 노쇠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세설신어≫의 <언어편(言語篇)>에 나오는 말이다.
    蒲: 부들 柳: 버들 之: 質: 바탕

  • 何面目見之(하면목견지) : ‘무슨 면목으로 보랴?’는 뜻으로, 사람들을 볼 낯이 없다는 말.
    何: 어찌 面: 目: 見: 之:

  • 場中得失(장중득실) : (1)평소에 잘하던 사람이 과거 시험장에서 낙방을 하고 잘 못하는 사람이 급제를 하는 수가 있듯이, 일이 생각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2)거의 다 되어 가던 일이 별안간 뜻대로 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場: 마당 中: 가운데 得: 얻을 失: 잃을

  • 齒亡舌存(치망설존) : 단단한 이는 빠져도 부드러운 혀는 남는다는 뜻으로, 강한 자가 먼저 망하고 유한 자가 나중까지 남음을 이르는 말.
    齒: 亡: 잃을 舌: 存: 있을

  • 推己及人(추기급인) : 자기를 미루어 남에게 미친다는 뜻으로, 자기의 처지에 비추어 다른 사람의 형편을 헤아림을 이르는 말.
    推: 옮을 己: 及: 미칠 人: 사람

  • 逐鹿者不顧兎(축록자불고토) : 사슴을 쫓는 자는 토끼를 돌아보지 않는다는 뜻으로, (1) 명예(名譽)나 욕심(慾心)에 사로잡힌 사람은 도리(道理)를 저버리거나 눈앞의 위험(危險)을 돌보지 않음의 비유(比喩) (2) 큰 일을 이루려는 사람은 작은 일에 사로잡히지 않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逐: 쫓을 鹿: 사슴 者: 不: 아니 顧: 돌아볼 兎: 토끼

  • 無作三身(무작삼신) : 사람이 태어나면서 법신(法身), 보신(報身), 응신(應身)의 삼신(三身)을 갖추는 일. 또는 그 삼신.
    無: 없을 作: 지을 三: 身:

  • 門前成市(문전성시) : 찾아오는 사람이 많아 집 문 앞이 시장을 이루다시피 함을 이르는 말. ≪한서≫의 <정숭전(鄭崇傳)>에 나오는 말이다.
    門: 前: 成: 이룰 市: 저자

  • 以升量石(이승양석) : 되로 한 섬이나 되는 양이라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이 현명한 사람의 마음을 헤아리기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以: 升: 石:

  • 枯木死灰(고목사회) : 겉모습은 마른나무와 같고 마음은 재와 같다는 뜻으로, 생기와 의욕이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枯: 마를 木: 나무 死: 죽을 灰:

  • 尾生之信(미생지신) : 우직하여 융통성이 없이 약속만을 굳게 지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미생(尾生)이라는 자가 다리 밑에서 만나자고 한 여자와의 약속을 지키기 위하여 홍수에도 피하지 않고 기다리다가 마침내 익사하였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사기≫의 <소진전(蘇秦傳)>에 나오는 말이다.
    尾: 꼬리 生: 之: 信: 믿을

  • 皮裏春秋(피리춘추) : 말로는 잘잘못을 가리지 아니하는 사람도 마음속으로는 셈속과 분별력이 있음.
    皮: 가죽 裏: 春: 秋: 가을

  • 伐柯(벌가) : 도끼 자루감을 도끼로 벤다는 뜻으로, (1) 진리(眞理)는 눈앞에 있는 것이니, 먼 데서 구(求)할 것이 아니라는 비유(比喩) (2) 어진 사람을 맞아들이는 데는 어진 사람이 가야한다는 비유(比喩)(3) 혼인(婚姻)에는 중매(仲媒)가 있어야 한다는 비유(比喩).
    伐: 柯: 가지

  • 方寸(방촌) : (1)한 치 사방의 넓이. (2)사람의 마음은 가슴속의 한 치 사방의 넓이에 깃들어 있다는 뜻으로, ‘마음’을 달리 이르는 말.
    方: 寸: 마디

  • 獨掌難鳴(독장난명) : (1)외손뼉만으로는 소리가 울리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혼자의 힘만으로 어떤 일을 이루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2)맞서는 사람이 없으면 싸움이 일어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獨: 홀로 掌: 손바닥 難: 어려울 鳴:

  • 社鼠城狐(사서성호) : 사당의 쥐와 성곽의 여우라는 뜻으로, 사람들이 함부로 손댈 수 없는 신전(神殿)이나 성곽(城郭)에 깃들어 사는 쥐나 여우처럼 임금 측근에 있는 간신들을 비유하는 말.
    社: 토지신 鼠: 城: 狐: 여우

  • 繪事後素(회사후소) : 그림 그리는 일은 흰 바탕을 마련한 다음에 해야 한다는 뜻으로, 내적인 아름다움을 먼저 갖춘 다음에 외적인 아름다움을 가꿀 수 있음을 이르는 말.
    繪: 그림 事: 後: 素:

  • 生呑活剝(생탄활박) : 산채로 삼키고 산채로 껍질을 벗긴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시문(詩文)을 송두리째 도용(盜用)함을 비유하는 말.
    生: 呑: 삼킬 活: 剝: 벗길

  • 爛商公論(난상공론) : 여러 사람이 모여서 충분히 의논함. 또는 그런 의논.
    商: 헤아릴 公: 공변될 論: 의논할

  • 白首北面(백수북면) : 재주와 덕이 없는 사람은 늙어서도 북쪽을 향하여 스승의 가르침을 받음이 마땅하다는 말. 배움에는 나이 제한이 없으므로 백발의 노인이 되어서도 배워야 함을 이르는 말이다.
    白: 首: 머리 北: 북녘 面:

  • 安宅正路(안택정로) : 인(仁)과 의(義)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인은 사람이 입신(立身)할 땅이어서 평안한 주거에 비기고, 의는 사람이 가야 할 길이어서 바른길에 비긴 것으로, 곧 사람이 살 곳과 나아갈 곳을 이른다.
    安: 편안할 宅: 正: 바를 路:

  • 井底之蛙(정저지와) :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으로, 견문이 좁고 세상 형편에 어두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井: 우물 底: 之: 蛙: 개구리

  • 緣高木望四方(연고목망사방) : 높은 나무 위에 올라가 사방(四方)을 바라보면 그 때는 유쾌(愉快)하지만, 큰바람이 일면 떨어질 염려(念慮)가 있다는 뜻으로, 아무런 공도 없이 큰 이득(利得)을 보는 사람을 경계(警戒)해 이르는 말.
    緣: 가선 高: 높을 木: 나무 望: 바랄 四: 方:

  • 鶴鳴之士(학명지사) : 학이 우는 것 같은 선비라는 뜻으로, 많은 사람으로부터 신뢰와 존경(尊敬)을 받는 인물이나, 벼슬하지 못한 채 초야(草野)에서 살아가는 선비를 비유하는 말로 사용됨.
    鶴: 鳴: 之: 士: 선비

  • 竊鈇之疑(절부지의) : 공연한 혐의를 이르는 말. 도끼를 훔쳐 갔다고 의심받은 사람의 행동이나 말이 모두 틀림없이 훔쳐 간 것처럼 보였으나, 다른 데서 그 도끼가 발견되어 누명을 벗은 후에는 그렇게 보이지 않았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竊: 훔칠 鈇: 도끼 之: 疑: 의심할

  • 椽大之筆(연대지필) : (1)서까래만 한 큰 붓이라는 뜻으로, 뛰어난 대문장(大文章)이나 대논문(大論文)을 이르는 말. 중국 남조 시대의 감엄(江淹)이 꿈에 곽박(郭璞)에게 서까래만 한 큰 붓을 받은 후 훌륭한 문장을 남겼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2)훌륭한 문장을 짓는 재능. (3)다른 사람의 문장을 칭송하여 이르는 말.
    椽: 서까래 大: 之: 筆:

  • 三樂(삼악) : (1)≪논어≫에 나오는, 사람이 좋아하는 세 가지. 예악(禮樂)을 절도 있게 좋아하고 남의 선을 말하기 좋아하고 어진 벗이 많음을 좋아하는 익자삼요와, 교만하게 즐김을 좋아하고 편안히 놀기를 좋아하며 주색을 좋아하는 손자삼요가 있다. (2)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3)인생의 세 가지 즐거움. 사람으로 태어난 것, 사내로 태어난 것, 장수하는 것을 이른다. (4)삼락(三樂) 가운데 셋째 가는 즐거움.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5)국악에서, 아악(雅樂)ㆍ당악(唐樂)ㆍ향악(鄕樂)의 세 갈래 음악을 통틀어 이르는 말.
    三: 樂: 즐거울

  • 十匙一飯(십시일반) : 밥 열 술이 한 그릇이 된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이 조금씩 힘을 합하면 한 사람을 돕기 쉬움을 이르는 말.
    十: 匙: 숟가락 一: 飯:

  • 走尸行肉(주시행육) : 달리는 송장과 걸어가는 고깃덩어리라는 뜻으로, 몸은 살아 있어도 정신이 빠져 있거나 아무런 쓸모가 없는 사람을 이르는 말.
    走: 달릴 尸: 주검 行: 肉: 고기

  • 反面敎師(반면교사) : (1)사람이나 사물 따위의 부정적인 면에서 얻는 깨달음이나 가르침을 주는 대상을 이르는 말. (2)극히 나쁜 면만을 가르쳐 주는 선생이란 뜻으로, 중국에서 제국주의자ㆍ반동파ㆍ수정주의자를 이르는 말.
    反: 돌이킬 面: 敎: 가르칠 師: 스승

  • 覆車之戒(복거지계) : 앞의 수레가 엎어지는 것을 보고 뒤의 수레는 미리 경계하여 엎어지지 않도록 한다는 뜻으로, 남의 실패를 거울삼아 자기를 경계함을 이르는 말.
    覆: 뒤집힐 車: 수레 之: 戒: 경계할

  • 男負女戴(남부여대) : (1)‘남부여대’의 북한어. (2)남자는 지고 여자는 인다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들이 살 곳을 찾아 이리저리 떠돌아다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男: 사내 負: 女: 戴:

  • 騷人墨客(소인묵객) : 시문(詩文)과 서화(書畫)를 일삼는 사람.
    騷: 떠들 人: 사람 墨: 客:

  • 玉骨仙風(옥골선풍) : 살빛이 희고 고결하여 신선과 같은 풍채.
    玉: 구슬 骨: 仙: 신선 風: 바람

  • 鐵中錚錚(철중쟁쟁) : 여러 쇠붙이 가운데서도 유난히 맑게 쟁그랑거리는 소리가 난다는 뜻으로, 같은 무리 가운데서도 가장 뛰어남. 또는 그런 사람을 이르는 말.
    鐵: 中: 가운데 錚: 쇳소리 錚: 쇳소리

  • 長蛇陣(장사진) : (1)많은 사람이 줄을 지어 길게 늘어선 모양을 이르는 말. (2)예전의 병법에서, 한 줄로 길게 벌인 군진(軍陣)의 하나.
    長: 蛇: 陣: 진칠

  • 冠婚喪祭(관혼상제) : 성년식, 결혼식, 장례식, 제사 등의 네 가지 전통적인 예식.
    冠: 婚: 혼인할 喪: 복입을 祭: 제사

  • 受和受采(수화수채) : 받아들여 화합하고 받아들여 채색된다는 뜻으로, 단 맛은 다른 맛과 잘 조화되고, 흰색은 다른 색과 잘 조화된다는 의미에서 진실한 성품을 가진 사람은 예의를 잘 익혀 행할 수 있다는 의미를 비유한 말.
    受: 받을 和: 고를 受: 받을 采:

  • 冬烘先生(동홍선생) : 겨울철에 방 안에 앉아서 불만 쬐고 있는 훈장이라는 뜻으로, 학문에만 열중하여 세상 물정에 어두운 사람을 이르는 말.
    冬: 겨울 烘: 횃불 先: 먼저 生:

  • 易世革命(역세혁명) : 중국에 있었던 유교 정치사상의 기본 관념의 하나. 제왕이 부덕하여 민심을 잃으면, 덕이 있는 다른 사람이 천명을 받아 왕조를 바꾸고 새로운 왕조를 세워도 좋다고 하는 사상이다.
    易: 바꿀 世: 인간 革: 가죽 命: 목숨

  • 匹馬單槍(필마단창) : 한 필의 말과 한 자루의 창이란 뜻으로, 혼자 간단한 무장을 하고 한 필의 말을 타고 감을 이르는 말. 또는 그렇게 하는 사람.
    匹: 馬: 單: 槍:

  • 蓮花世界(연화세계) :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로, 괴로움이 없으며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 인간 세계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다.
    花: 世: 인간 界: 지경

  • 安養界(안양계) : 아미타불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로, 괴로움이 없으며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 인간 세계에서 서쪽으로 10만억 불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다.
    安: 편안할 養: 기를 界: 지경

  • 前人未踏(전인미답) : (1)이제까지 그 누구도 가 보지 못함. (2)이제까지 그 누구도 손을 대어 본 일이 없음.
    前: 人: 사람 未: 아닐 踏: 밟을

  • 富貴在天(부귀재천) : 부귀를 누리는 일은 하늘의 뜻에 달려 있어 사람의 힘으로는 어찌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富: 가멸 貴: 귀할 在: 있을 天: 하늘

  • 老蚌生珠(노방생주) : 늙은 방합(蚌蛤)에서 구슬이 나온다는 뜻으로, (1) 총명(聰明)한 아들을 둔 사람에게 그를 기려 축하(祝賀)하는 말 (2) 부자(父子)가 모두 영명(令名)을 가졌음을 이르는 말(3) 만년(晩年)에 아들을 얻음을 이름.
    蚌: 방합 生: 珠: 구슬

  • 奪胎換骨(탈태환골) : 태를 빼앗고 뼈대를 바꾼다는 뜻으로, 옛사람의 시(詩)를 바탕으로 말을 만든다는 의미에서 남의 글을 본떠 지었으나 그 짜임새와 수법이 아니 딴판으로 잘됨을 이르거나, 사람이 보다 나은 방향으로 변하여 전혀 딴사람처럼 됨을 이르기도 함.[= 換骨奪胎].
    奪: 빼앗을 胎: 아이밸 換: 바꿀 骨:

  • 海千山千(해천산천) : 바다에서 천년, 산에서 천년을 산 뱀은 용이 된다는 뜻으로, 오랜 경험(經驗)으로 세상(世上) 안팎을 다 알아 지나치게 약삭빠름 또는 그런 사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海: 바다 千: 일천 山: 千: 일천

  • 大姦似忠(대간사충) : 자신의 이익을 위해 나쁜 마음을 먹은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잘 보이려는 수단을 약삭빠르게 부려서 마치 충성하는 사람과 같아 보임.
    大: 姦: 간사할 似: 같을 忠: 충성

  • 去者不追來者不拒(거자불추내자불거) : 가는 사람 붙들지 말고 오는 사람은 물리치지도 않는다는 뜻.
    去: 者: 不: 아니 追: 쫓을 者: 不: 아니 拒: 막을

  • 虎死留皮人死留名(호사유피인사유명) :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는 뜻으로, 사람은 죽어서 명예를 남겨야 함을 이르는 말.
    虎: 死: 죽을 皮: 가죽 人: 사람 死: 죽을 名: 이름

  • 風聲鶴唳(풍성학려) : 겁을 먹은 사람이 하찮은 일에도 놀람을 이르는 말. 중국 전진 때 진왕 부견(苻堅)이 비수(淝水)에서 크게 패하고 바람 소리와 학의 울음소리를 듣고도 적군이 쫓아오는 것이 아닌가 하고 놀랐다는 데서 유래한다.
    風: 바람 聲: 소리 鶴: 唳:

  • 槌輕釘聳(퇴경정용) : 마치가 가벼우면 못이 도로 솟는다는 뜻으로, 윗사람이 엄하게 다스리지 아니하면 아랫사람이 말을 듣지 아니하거나 도리어 들고일어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槌: 던질 輕: 가벼울 釘: 聳: 솟을

  • 白髮童顔(백발동안) : 머리털이 허옇게 세었으나 얼굴은 어린아이와 같다는 뜻으로, 나이는 많은데 매우 젊어 보이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白: 髮: 터럭 童: 아이 顔: 얼굴

  • 風月主人(풍월주인) : 맑은 바람과 밝은 달 따위의 아름다운 자연을 즐기는 사람.
    風: 바람 月: 主: 주인 人: 사람

  • 易子而敎之(역자이교지) : 다른 사람의 자식은 내가 가르치고 내 자식은 다른 사람에게 부탁하여 가르친다는 말. ≪맹자≫의 <이루(離婁)> 상편에 나오는 말이다.
    易: 바꿀 子: 아들 而: 말 이을 敎: 가르칠 之:

  • 飯囊(반낭) : (1)밥을 담는 주머니. (2)아무 일도 하지 않고 밥이나 축내는 쓸모없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飯: 囊: 주머니

12 13 14
#근심 65 #학문 107 #물건 136 #동안 70 #자식 104 #편안 62 #임금 189 #고사 108 #때문 58 #상대 56 #예전 60 #여자 101 #군자 56 #죽음 73 #은혜 70 #가난 90 #형용 67 #이치 67 #사물 172 #경계 56 #나라 392 #가운데 104 #이름 211 #집안 93 #유래 280 #문장 59 #표현 88 #근본 66 #재앙 64 #비유 1177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60개) : 사라, 사락, 사란, 사람, 사랍, 사랑, 사랖, 사래, 사램, 사략, 사량, 사레, 사려, 사력, 사련, 사렬, 사렴, 사렵, 사령, 사례, 사로, 사록, 사론, 사롬, 사롭, 사롱, 사료, 사룡, 사루, 사룩, 사룻, 사룽, 사류, 사륙, 사륜, 사륵, 사름, 사릅, 사릉, 사릋, 사리, 사린, 사림, 사립, 삭로, 삭료, 삭름, 삭립, 삭릿, 산락, 산란, 산랑, 산략, 산량, 산력, 산령, 산로, 산록, 산뢰, 산료, 산류, 산륜, 산릉, 산리, 산림, 산립, 살랑, 살래, 살략, 살럼, 살레, 살렘, 살렙, 살렴, 살로, 살롤, 살롱, 살륙, 살릭, 살림, 삼라, 삼락, 삼략, 삼량, 삼력, 삼련, 삼렬, 삼령, 삼례, 삼로, 삼록, 삼론, 삼롱, 삼뢰, 삼룡, 삼루, 삼류, 삼륜, 삼릉, 삼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