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에 관한 한자 모두 1,461

  • 欲食其肉 획순 欲食其肉(욕식기육) : 그 사람의 고기를 먹고 싶다는 뜻으로, 매우 원한이 깊음을 이르는 말.
    欲: 하고자 할 食: 其: 肉: 고기

  • 死灰復然 획순 死灰復然(사회부연) : 사그라진 재에서 불이 되살아난다는 뜻으로, 세력(勢力)을 잃은 사람이 다시 세력(勢力)을 얻음.
    死: 죽을 灰: 復: 다시 然: 그러할

  • 見蚊拔劍 획순 見蚊拔劍(견문발검) : 모기를 보고 칼을 뺀다는 뜻으로, 사소한 일에 크게 성내어 덤빔을 이르는 말.
    見: 蚊: 모기 拔: 劍:

  • 惑世誣民 획순 惑世誣民(혹세무민) : 세상을 어지럽히고 백성을 미혹하게 하여 속임.
    惑: 미혹할 世: 인간 誣: 속일 民: 백성

  • 論功行賞 획순 論功行賞(논공행상) : (1)‘논공행상’의 북한어. (2)어떤 사람의 공적을 평가하여 그에 알맞은 상을 줌.
    功: 行: 賞: 상줄

  • 白衣從軍(백의종군) : 벼슬 없이 군대를 따라 싸움터로 감.
    白: 衣: 從: 좇을 軍: 군사

  • 生死肉骨(생사육골) : 죽은 사람을 살려 내어 뼈에 살을 붙인다는 뜻으로, 큰 은혜를 베풂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生: 死: 죽을 肉: 고기 骨:

  • 輔弼之才(보필지재) : 임금을 보좌할 만한 재능. 또는 그런 사람.
    輔: 도울 弼: 도울 之: 才: 재주

  • 懲一勵百(징일여백) : 한 사람을 징계하여 여러 사람을 격려함.
    懲: 혼날 一: 百: 일백

  • 各心所願(각심소원) : 저마다 바라는 바가 서로 다름.
    各: 각각 心: 마음 所: 願: 원할

  • 愚者一得(우자일득) :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잘하는 것이 있음.
    愚: 어리석을 者: 一: 得: 얻을

  • 鳳去臺空(봉거대공) : 봉황은 가고 대는 비어있다는 뜻으로, 봉황이 떠난 자리에 봉황대만 남아 있다는 것에서, 찾아갔던 사람이 이미 떠나고 없거나, 기녀를 찾아갔으나 이미 다른 곳으로 옮긴 경우의 의미.
    鳳: 봉새 去: 臺: 空:

  • 荒淫無道(황음무도) : 주색에 빠져 사람으로서 마땅히 할 도리를 돌아보지 않는 면이 있음.
    荒: 거칠 淫: 음란할 無: 없을 道:

  • 殘疾之人(잔질지인) : 몸에 질병이 남아 있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병을 많이 치러 쇠약해진 사람을 이르는 말.
    殘: 해칠 疾: 之: 人: 사람

  • 壯年(장년) : 사람의 일생 중에서, 한창 기운이 왕성하고 활동이 활발한 서른에서 마흔 안팎의 나이. 또는 그 나이의 사람.
    壯: 씩씩할 年:

  • 自知者明(자지자명) : 자기(自己)를 아는 사람은 총명(聰明)한 사람이라 할 수 있다는 말.
    自: 스스로 知: 者: 明: 밝을

  • 孤露餘生(고로여생) : 어려서 부모를 잃은 사람.
    孤: 외로울 露: 이슬 餘: 남을 生:

  • 無可無不可(무가무불가) : 옳은 것도 없고 그를 것도 없다는 뜻으로, 사람의 언행(言行)이 다 중용(中庸)을 취(取)하여 과불급(過不及)이 없음을 이르는 말.
    無: 없을 可: 옳을 無: 없을 不: 아니 可: 옳을

  • 鷄窓(계창) : ‘서재’를 달리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 송처종(宋處宗)이 서재의 창 밑에서 기른 닭이 사람의 말을 이해하고 그와 더불어 이야기하며 학식을 도왔다는 데서 유래한다.
    鷄: 窓:

  • 滿山遍野(만산편야) : (1)산과 들에 가득함. (2)사람이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滿: 山: 遍: 두루 野:

  • 人給家足(인급가족) : 사람들이 넉넉하고 집안이 풍족하다는 뜻으로, 집집마다 의식주에 부족함이 없다는 의미.[ = 家給人足].
    人: 사람 給: 넉넉할 家: 足:

  • 木從繩則正(목종승즉정) : 나무도 먹줄을 따르면 바로 된다는 뜻으로, 굽은 나무도 먹줄을 놓아서 깎으면 바르게 되는 거처럼 학문을 하거나 충고를 따르면 훌륭한 사람이 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木: 나무 從: 좇을 繩: 노끈 則: 正: 바를

  • 飮河滿腹(음하만복) : 강물처럼 많이 있는 물을 마신다 하여도 실제로 마시는 분량은 배를 채울 정도에 지나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자기 분수에 넘지 아니하게 조심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飮: 마실 河: 강 이름 滿: 腹:

  • 四面春風(사면춘풍) : 누구에게나 좋게 대하는 일. 또는 그런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四: 面: 春: 風: 바람

  • 內相(내상) : (1)아내가 집안을 잘 다스림. 또는 그런 아내. (2)고려 시대에, 지신사(知申事)와 승선(承宣)을 아울러 이르던 말. (3)조선 시대에, 내무 대신이나 내부대신을 이르던 말. (4)일부 나라에서, 내무성(內務省)의 우두머리를 이르는 말.
    內: 相: 서로

  • 豊年花子(풍년화자) : 풍년(豊年) 거지라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여러 사람이 다 이익(利益)을 볼 때에 혼자 빠져 이익(利益)을 못 봄을 이르는 말.
    豊: 풍년 年: 花: 子: 아들

  • 桃園結義(도원결의) : 의형제를 맺음을 이르는 말. ≪삼국지연의≫에 나오는 말로 유비, 관우, 장비가 도원에서 의형제를 맺은 데에서 유래한다.
    桃: 복숭아나무 園: 동산 結: 맺을 義: 옳을

  • 政出多門(정출다문) : 정사(政事)가 나오는 문이 많다는 뜻으로, 문외한으로서 정치에 대하여 아는 체하는 사람이 많음을 이르는 말.
    政: 정사 出: 多: 많을 門:

  • 鷄肋(계륵) : (1)닭의 갈비라는 뜻으로, 그다지 큰 소용은 없으나 버리기에는 아까운 것을 이르는 말. ≪후한서(後漢書)≫의 <양수전(楊修傳)>에 나오는 말이다. (2)몸이 몹시 약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鷄: 肋: 갈빗대

  • 力田不如逢年(역전불여봉년) : 힘을 다하여 농사(農事)를 지어도 일기(日氣)가 순조(順調)롭지 못하면 오히려 풍년(豊年)을 만난 것만 같지 못하다는 뜻으로, 사람의 힘이 하늘의 힘에 미치지 못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田: 不: 아니 如: 같을 逢: 만날 年:

  • 登樓去梯(등루거제) : 다락에 오르게 하고 사다리를 치운다는 뜻으로, 사람을 꾀어서 어려운 처지에 빠지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登: 오를 樓: 다락 去: 梯: 사다리

  • 春意無分別人情有淺深(춘의무분별인정유천심) : 봄의 뜻은 분별(分別)이 없으나(따스한 기운(氣運)으로 만물(萬物)을 생장(生長)시킴), 사람의 정은 깊고 얕음이 있음.
    春: 意: 無: 없을 分: 나눌 別: 나눌 人: 사람 情: 有: 있을 淺: 얕을 深: 깊을

  • 大人(대인) : (1)자라서 어른이 된 사람. 보통 만 19세 이상의 남녀를 이른다. (2)몸이 아주 큰 사람. (3)말과 행실이 바르고 점잖으며 덕이 높은 사람. (4)신분이나 관직이 높은 사람. (5)문어체에서,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6)문어체에서, ‘남’을 높여 이르는 말. (7)고구려에서 둔, 오부(五部)의 으뜸 벼슬. (8)읍루(挹婁)에서 읍락의 장(長)을 이르던 말.
    大: 人: 사람

  • 佩韋佩弦(패위패현) : 가죽을 차고 활시위를 찬다는 뜻으로, 성질이 급한 사람은 부드러운 가죽을 차고, 성질이 느린 사람은 팽팽한 활시위를 차서 스스로 反省(반성)하고 修養(수양)함.
    佩: 韋: 다룸가죽 佩: 弦: 활시위

  • 五十步百步(오십보백보) : 조금 낫고 못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본질적으로는 차이가 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 양(梁)나라 혜왕(惠王)이 정사(政事)에 관하여 맹자에게 물었을 때, 전쟁에 패하여 어떤 자는 백 보를, 또 어떤 자는 오십 보를 도망했다면, 백 보를 물러간 사람이나 오십 보를 물러간 사람이나 도망한 것에는 양자의 차이가 없다고 대답한 데서 유래한다.
    五: 다섯 十: 步: 걸을 百: 일백 步: 걸을

  • 寡德之人(과덕지인) : 덕이 적은 사람이란 뜻으로, 과거에 왕이 자신을 겸손하게 표현해서 부르던 과인(寡人)의 본 의미. 혹은 다른 나라에 대하여 자신의 국왕을 지칭할 경우에도 사용.
    寡: 적을 德: 之: 人: 사람

  • 酒有別腸(주유별장) : 술 마시는 사람은 창자가 따로 있다는 뜻으로, 주량(酒量)은 몸집의 크고 작음에 관계가 없음을 이르는 말.
    酒: 有: 있을 別: 나눌 腸: 창자

  • 堂狗風月(당구풍월) : 서당에서 기르는 개가 풍월을 읊는다는 뜻으로, 그 분야에 대하여 경험과 지식이 전혀 없는 사람이라도 오래 있으면 얼마간의 경험과 지식을 가짐을 이르는 말.
    堂: 狗: 風: 바람 月:

  • 喪家之狗(상가지구) : 상가집의 개라는 뜻으로, 상가에서는 경황이 없이 개밥도 제대로 주지 못하므로 개가 몹시 여윈다는 데서 몹시 수척한 사람을 빈정거리는 말로 사용됨.
    喪: 복입을 家: 之: 狗:

  • 死灰復燃(사회부연) : 죽은 불씨에 다시 불이 붙었다는 뜻으로, 세력을 잃었던 사람이 다시 세력을 얻음을 이르는 말. ≪사기≫의 <한장유열전(韓長孺列傳)>에 나오는 말이다.
    死: 죽을 灰: 復: 다시 燃: 사를

  • 下穽投石(하정투석) : 함정에 빠진 사람에게 돌을 떨어뜨린다는 뜻으로, 어려운 처지에 놓인 사람을 도와주기는커녕 도리어 괴롭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下: 아래 穽: 허방다리 投: 던질 石:

  • 相形不如論心(상형불여론심) : 생김새를 보는 것은 마음씨를 논(論)함만 같지 못하다는 뜻으로, 사람의 용모(容貌)를 가지고 길흉(吉凶)을 말하는 것보다 그 사람의 마음씨의 선악(善惡)을 논(論)하는 것이 낫다는 말.
    相: 서로 形: 형상 不: 아니 如: 같을 論: 의논할 心: 마음

  • 先病者醫(선병자의) : 먼저 병을 앓아 본 사람이 의원이라는 뜻으로, 먼저 경험을 해 본 사람은 비슷한 상황에 처한 사람을 도와줄 수 있음을 이르는 말.
    先: 먼저 病: 者: 醫: 의원

  • 換骨(환골) : (1)뼈대를 바꾸어 낀다는 뜻으로, 고인의 시문의 형식을 바꾸어서 그 짜임새와 수법이 먼저 것보다 잘되게 함을 이르는 말. (2)사람이 보다 나은 방향으로 변하여 전혀 딴사람처럼 됨. (3)도가(道家)에서, 인간이 속골(俗骨)을 선골(仙骨)로 바꾸어 몸에 털이 난다는 뜻으로, 신선이 되는 일을 이르는 말.
    換: 바꿀 骨:

  • 唯杖無將(유장무장) : 오직 몽둥이에는 장수가 없다는 뜻으로, 매질에 장사가 없다는 것처럼 매질하는데 굴복하지 않는 사람이 없다는 의미.
    唯: 오직 杖: 지팡이 無: 없을 將: 장수

  • 剖棺斬屍(부관참시) : 죽은 뒤에 큰 죄가 드러난 사람을 극형에 처하던 일. 무덤을 파고 관을 꺼내어 시체를 베거나 목을 잘라 거리에 내걸었다.
    剖: 쪼갤 棺: 斬: 屍: 주검

  • 痴人說夢(치인설몽) : 어리석은 사람이 꿈 이야기를 한다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이 허망한 말을 늘어놓는다는 뜻이나, 설명이 요령부득(要領不得)이라는 의미로 사용됨.
    痴: 어리석을 人: 사람 說: 말씀 夢:

  • 徙宅忘妻(사택망처) : 집을 이사하며 아내를 잊어버린다는 뜻으로, 심한 건망증이 있는 사람을 의미하거나, 의리(義理)를 분별하지 못하는 어리석은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徙: 옮길 宅: 忘: 잊을 妻: 아내

  • 萬口稱善(만구칭선) : 많은 사람이 한결같이 칭찬함.
    萬: 일만 口: 稱: 일컬을 善: 착할

  • 法三章(법삼장) : 중국 한나라 때에, 고조가 진나라 때의 가혹한 법을 없애고 단 세 가지 죄만을 정한 법. 사람을 죽이는 자는 죽고, 사람을 상하게 하거나 물건을 훔치는 자는 벌을 받는다는 내용이었다.
    法: 三: 章: 문채

  • 附和隨行(부화수행) : 줏대 없이 다른 사람의 주장에만 따라서 그가 하는 짓을 따라 행동함.
    附: 붙을 和: 고를 隨: 따를 行:

  • 投筆成字(투필성자) : 글씨에 능한 사람은 정성을 들이지 아니하고 붓을 아무렇게나 던져도 글씨가 잘됨을 이르는 말.
    投: 던질 筆: 成: 이룰 字: 글자

  • 閑雲野鶴(한운야학) : 한가로이 떠도는 구름과 들에 노니는 학이라는 뜻으로, 아무 매인 데 없는 한가로운 생활로 유유자적하는 경지를 이르는 말.
    閑: 한가할 雲: 구름 野: 鶴:

  • 白眼視(백안시) : 남을 업신여기거나 무시하는 태도로 흘겨봄. 중국의 ≪진서(晉書)≫ <완적전(阮籍傳)>에서 나온 말로, 진나라 때 죽림칠현의 한 사람인 완적(阮籍)이 반갑지 않은 손님은 백안(白眼)으로 대하고, 반가운 손님은 청안(靑眼)으로 대한 데서 유래한다.
    白: 眼: 視:

  • 風前細柳(풍전세류) : 바람 앞에 나부끼는 세버들이라는 뜻으로, 부드럽고 영리한 전라도 사람의 성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風: 바람 前: 細: 가늘 柳: 버들

  • 子誠齊人(자성제인) : 견문이 좁고 고루한 사람을 이르는 말. 중국 제나라의 공손추(公孫丑)가 관중(管仲), 안자(晏子)만을 강하다고 알고 있으므로 맹자가 그에게 ‘자네는 참으로 제나라 사람이로다.’라고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子: 아들 誠: 정성 齊: 가지런할 人: 사람

  • 泰山樑木(태산양목) : 산 중(中)의 산인 태산(泰山)이나 지붕을 받치는 대들보처럼 의지(依支)가 되는 사람이나 의지(依支)할 수 있는 거룩한 것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泰: 山: 木: 나무

  • 斯文亂賊(사문난적) : 성리학에서, 교리를 어지럽히고 사상에 어긋나는 언행을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斯: 文: 글월 賊: 도둑

  • 十盲一杖(십맹일장) : 열 맹인(盲人)에 한 개의 지팡이라는 뜻으로, 여러 곳에 긴요하게 쓰이는 물건을 이르는 말.
    十: 盲: 소경 一: 杖: 지팡이

  • 從多數決(종다수결) : 여러 사람의 의견 가운데서 많은 사람이 지지하는 의견을 따라 결정함.
    從: 좇을 多: 많을 數: 決:

  • 膾炙人口(회자인구) : 사람의 입에 날고기 회나 구운 고기가 맛있게 여겨진다는 뜻으로, 명성(名聲)이나 좋은 평판(評判)이 여러 사람의 입에 오르내리는 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膾: 炙: 고기구울 人: 사람 口:

  • 與虎謀皮(여호모피) : 호랑이와 더불어 호랑이 가죽을 벗길 것을 꾀한다는 뜻으로, 이해관계가 서로 맞지 않는 사람과 의논하면 원하는 바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이르는 말.
    與: 虎: 謀: 꾀할 皮: 가죽

  • 八斗才(팔두재) : 여덟 말의 재주라는 뜻으로, 팔 두나 되는 많은 양의 재주를 지닌 사람의 의미인데, 주로 시문(詩文)을 짓는 재주가 풍부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八: 여덟 斗: 才: 재주

  • 逐鹿者不見山(축록자불견산) : 사슴을 쫓는 사람은 산을 보지 못한다는 뜻으로, 눈앞의 작은 일에 치우치다가 다른 중요한 것을 놓치게 됨을 이르는 말.
    逐: 쫓을 鹿: 사슴 者: 不: 아니 見: 山:

  • 吳牛喘月(오우천월) : 오우가 더위를 두려워한 나머지 밤에 달이 뜨는 것을 보고도 해인가 하고 헐떡거린다는 뜻으로, 간이 작아 공연한 일에 미리 겁부터 내고 허둥거리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세설신어≫의 <언어편(言語篇)>에서 유래한다.
    吳: 나라 이름 牛: 喘: 헐떡거릴 月:

  • 一呼百諾(일호백낙) : (1)한 사람이 소리 내어 외치면 여러 사람이 예 하고 그에 따름. (2)한 사람의 말이나 행동에 따라 여러 사람이 일사불란하게 움직임을 이르는 말.
    一: 呼: 부를 百: 일백 諾: 대답할

  • 得隴望蜀(득롱망촉) : 농(隴)을 얻고서 촉(蜀)까지 취하고자 한다는 뜻으로, 만족할 줄을 모르고 계속 욕심을 부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후한(後漢)의 광무제가 농(隴) 지방을 평정한 후에 다시 촉(蜀) 지방까지 원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得: 얻을 隴: 고개 이름 望: 바랄 蜀: 나라 이름

  • 汝南月旦(여남월단) : 여남지방의 매월 첫날 평이라는 뜻으로, 여남지방의 허소(許昭)와 그 종형 허정(許靖)이라는 사람이 매월 첫날에 향리의 인물들을 평가했는데, 아주 정확하여 후에 조조의 평까지 남길 정도로 유명해졌다는 고사에서 유래.<후한서>.
    汝: 南: 남녘 月: 旦: 아침

  • 蝌蚪時代(과두시대) : 개구리가 올챙이였던 때라는 뜻으로, 현재가 과거보다 발전한 경우 그 발전하기 이전의 과거를 이르는 말.
    蝌: 올챙이 蚪: 올챙이 時: 代: 대신

  • 乞不竝行(걸불병행) : 비럭질은 여럿이 함께 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어떤 것을 요구하는 사람이 여럿이면 그것을 얻기가 어려움을 이르는 말.
    乞: 不: 아니 竝: 아우를 行:

  • 竹頭木屑(죽두목설) : 대나무 조각과 나무 부스러기라는 뜻으로, 쓸모가 적은 물건을 이르는 말.
    竹: 頭: 머리 木: 나무 屑: 가루

  • 黜陟幽明(출척유명) : 어둡고 밝음에 따라 물리치고 올린다는 뜻으로, 관리의 공적이 없는 그릇된[幽] 사람은 내쫓고, 공적이 좋고 많은 올바른[明] 사람은 승진(昇進)시킨다는 의미.
    黜: 내칠 陟: 오를 幽: 그윽할 明: 밝을

  • 大巧若拙(대교약졸) : 매우 공교한 솜씨는 서투른 것같이 보인다는 뜻으로, 진정으로 총명한 사람은 뽐내거나 과장하지 아니하므로 도리어 어리석은 것처럼 보인다는 말이다.
    大: 巧: 공교할 若: 같을 拙: 못날

  • 反裘而負薪(반구이부신) : 갖옷의 털이 상할까하여 뒤집어 입고, 나무를 등(等)에 졌더니 도리어 갖옷이 못쓰게 되었다는 뜻으로,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는 사람이나 생각이 좁은 사람을 두고 이르는 말.
    反: 돌이킬 裘: 갖옷 而: 말 이을 負: 薪: 섶나무

  • 吳越同舟(오월동주) : 서로 적의를 품은 사람들이 한자리에 있게 된 경우나 서로 협력하여야 하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전국 시대에, 서로 적대시하는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탔으나 풍랑을 만나서 서로 단합하여야 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출전은 ≪손자(孫子)≫의 <구지편(九地篇)>이다.
    吳: 나라 이름 越: 넘을 同: 한가지 舟:

  • 黔驢之技(검려지기) : (1)보잘것없는 솜씨와 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옛 중국의 검주(黔州)에 어떤 사람이 처음으로 나귀를 끌고 갔을 때, 그 울음소리가 크므로 범이 나귀를 보고 두려워하다가 나귀에게 별다른 힘이 없고 그 발길질도 신통하지 못함을 알고는 오히려 그 나귀를 잡아먹어 버렸다는 데서 유래한다. (2)자신의 솜씨와 힘이 없음을 모르고 뽐내다가 화를 스스로 부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黔: 검을 驢: 당나귀 之: 技: 재주

  • 齊紫敗素(제자패소) : 제자(齊紫)는 제(齊)나라에서 나는 자색 천을 말하고, 패소(敗素)는 거칠고 흰 비단(緋緞)을 말하는 것으로 거칠고 나쁜 물건(物件)이라도 자줏빛 물만 들이면 값이 열 곱으로 뛴다는 데서, 어진 사람은 풍부(豊富)한 지식(知識)으로 재난(災難)을 복으로 돌리고, 실패(失敗)를 성공(成功)으로 이끈다는 말.
    齊: 가지런할 紫: 자주빛 敗: 패할 素:

  • 一字千金(일자천금) : 글자 하나의 값이 천금의 가치가 있다는 뜻으로, 글씨나 문장이 아주 훌륭함을 이르는 말. 중국 진(秦)나라 여불위가 ≪여씨춘추≫를 지어 셴양(咸陽)의 성문에 놓아두고, 내용 가운데 한 글자라도 첨삭(添削)하는 사람이 있다면 천금을 주겠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一: 字: 글자 千: 일천 金:

  • 下山之勢(하산지세) : 어찌할 도리가 없어 되어 가는 대로 내버려 둘 수밖에 없는 형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下: 아래 山: 之: 勢: 기세

  • 盲者失杖(맹자실장) : 소경이 지팡이를 잃다는 뜻으로, 믿고 의지할 곳이 없어졌다는 의미.
    盲: 소경 者: 失: 잃을 杖: 지팡이

  • 堯鼓舜木(요고순목) : 요임금의 북과 순임금의 나무라는 뜻으로, 요임금이 성문에 북을 매달아 간할 사람은 북을 처서 알리게 하고, 순임금은 잠목(箴木)을 세워놓고 경계할 말을 쓰게 한 고사에서 성군(聖君)의 바른 정치의 전형으로 표현됨.
    堯: 요임금 鼓: 舜: 순임금 木: 나무

  • 以暴易暴(이포역포) : 횡포한 사람으로써 횡포한 사람을 바꾼다는 뜻으로, 나쁜 사람을 바꾼다면서 또 다른 나쁜 사람을 들어앉힘을 이르는 말.
    以: 暴: 사나울 易: 바꿀 暴: 사나울

  • 俯仰無愧(부앙무괴) : 하늘을 우러러보나 세상을 굽어보나 양심에 거리낄 것이 없음.
    俯: 구부릴 仰: 우러를 無: 없을 愧: 부끄러워할

  • 假夫子(가부자) : 가짜 공자(孔子)라는 뜻으로, 옛날 성균관 유생(儒生)들 사이에서 유난히 공부에 골몰하거나 언행을 성인(聖人)처럼 하는 이를 놀림조로 이르던 말.
    假: 거짓 夫: 지아비 子: 아들

  • 有脚陽春(유각양춘) : 다리가 있는 양춘이라는 뜻으로, 각양각처(各樣各處)에 은혜를 베푸는 사람을 이르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
    有: 있을 脚: 다리 陽: 春:

  • 燕趙悲歌士(연조비가사) : 우국지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에, 연나라와 조나라에는 세상을 비관하여 슬픈 노래를 부르는 선비가 많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燕: 제비 趙: 조나라 悲: 슬플 歌: 노래 士: 선비

  • 呑刀刮腸(탄도괄장) : 칼을 삼켜 창자를 도려낸다는 뜻으로, 잘못된 마음을 없애고 새 사람이 됨을 이르는 말.
    呑: 삼킬 刀: 刮: 깎을 腸: 창자

  • 泰山北斗(태산북두) : (1)태산(泰山)과 북두칠성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세상 사람들로부터 존경받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泰: 山: 北: 북녘 斗:

  • 怨天尤人(원천우인) : 하늘을 원망하고 사람을 탓함.
    怨: 원망할 天: 하늘 尤: 더욱 人: 사람

  • 鴻漸之翼(홍점지익) : 큰 기러기의 날개는 한 번 날갯짓을 해서 천 리를 날아갈 수 있을 만큼 강력한 것이라는 뜻으로, 뛰어난 재능이나 위대한 능력 또는 그런 재능을 가진 사람을 이르는 말.
    鴻: 큰기러기 漸: 점점 之: 翼: 날개

  • 貴鵠賤鷄(귀곡천계) : 고니를 귀하게 여기고 닭을 천하게 여긴다는 뜻으로, 드문 것은 귀하게, 흔한 것은 천하게 여김을 이르는 말.
    貴: 귀할 鵠: 고니 賤: 천할 鷄:

  • 賞一人而天下譽之(상일인이천하예지) : 한 사람에게 상을 주면 천하(天下)가 기린다는 뜻으로, 군주(君主)가 정치(政治)를 베풀어 선인을 한 사람 표창(表彰)하면 천하(天下)의 백성(百姓)은 그 정사(政事)의 공평(公平)함을 칭송(稱頌)한다는 말.
    賞: 상줄 一: 人: 사람 而: 말 이을 天: 하늘 下: 아래 譽: 기릴 之:

  • 道學君子(도학군자) : (1)도학을 닦아 덕이 높은 사람. (2)도덕의 이론에만 밝고 실제의 세상일에는 어두운, 융통성 없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道: 學: 배울 君: 임금 子: 아들

  • 四百四病(사백사병) : (1)사람의 오장에 있는 405종의 병 중에서 죽는 병을 제외한 404종의 병. (2)사람의 몸에서 땅, 물, 불, 바람의 네 요소가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얻는 병. 한 요소마다 101가지이므로 모두 404가지가 된다.
    四: 百: 일백 四: 病:

  • 使驥捕鼠(사기포서) : 천리마로 하여금 쥐를 잡게 한다는 뜻으로, 사람을 쓸 줄 몰라 유능한 사람을 말직(末職)에 임명함을 비유하는 말.
    使: 부릴 驥: 천리마 捕: 잡을 鼠:

  • 八面六臂(팔면육비) : (1)‘팔면육비’의 북한어. (2)여덟 개의 얼굴과 여섯 개의 팔이라는 뜻으로, 언제 어디서 어떤 일에 부딪치더라도 능히 처리하여 내는 수완과 능력을 이르는 말.
    八: 여덟 面: 臂:

  • 一生一代(일생일대) : 한 사람이 나서 죽을 때까지의 동안.
    一: 生: 一: 代: 대신

  • 悖逆無道(패역무도) : 사람으로서 마땅히 하여야 할 도리에 어긋나고 순리를 거슬러 사람다운 데가 없음.
    悖: 어그러질 逆: 거스를 無: 없을 道:

  • 鷄卵有骨(계란유골) : 달걀에도 뼈가 있다는 뜻으로, 운수가 나쁜 사람은 모처럼 좋은 기회를 만나도 역시 일이 잘 안됨을 이르는 말.
    鷄: 卵: 有: 있을 骨:

  • 本來面目(본래면목) : (1)자기의 본디의 모습. (2)중생이 본디 지니고 있는 순수한 심성.
    來: 面: 目:

9 10 11 13 14 15
#가난 90 #실패 56 #사이 200 #학문 107 #군자 56 #음식 79 #속담 63 #이치 67 #근심 65 #비유 1177 #머리 141 #아래 86 #세상 339 #처음 91 #자연 73 #따위 228 #바람 136 #예전 60 #행동 137 #죽음 73 #가운데 104 #천하 94 #이름 211 #나무 166 #서로 71 #동안 70 #구름 67 #형용 67 #얼굴 99 #문장 59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60개) : 사라, 사락, 사란, 사람, 사랍, 사랑, 사랖, 사래, 사램, 사략, 사량, 사레, 사려, 사력, 사련, 사렬, 사렴, 사렵, 사령, 사례, 사로, 사록, 사론, 사롬, 사롭, 사롱, 사료, 사룡, 사루, 사룩, 사룻, 사룽, 사류, 사륙, 사륜, 사륵, 사름, 사릅, 사릉, 사릋, 사리, 사린, 사림, 사립, 삭로, 삭료, 삭름, 삭립, 삭릿, 산락, 산란, 산랑, 산략, 산량, 산력, 산령, 산로, 산록, 산뢰, 산료, 산류, 산륜, 산릉, 산리, 산림, 산립, 살랑, 살래, 살략, 살럼, 살레, 살렘, 살렙, 살렴, 살로, 살롤, 살롱, 살륙, 살릭, 살림, 삼라, 삼락, 삼략, 삼량, 삼력, 삼련, 삼렬, 삼령, 삼례, 삼로, 삼록, 삼론, 삼롱, 삼뢰, 삼룡, 삼루, 삼류, 삼륜, 삼릉, 삼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