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83

  • 人鬼相半 획순 人鬼相半(인귀상반)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人: 사람 鬼: 귀신 相: 서로 半:

  • 無何之症 획순 無何之症(무하지증) : 명을 몰라서 고칠 수 없는 .
    無: 없을 何: 어찌 之: 症: 증세

  • 遽篨戚施 획순 遽篨戚施(거저척이) : 엎드릴 수도 없고, 위를 쳐다볼 수도 없는 이란 뜻으로, 오만(傲慢)하고 아첨(阿諂)하는 사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거저(遽篨)는 새가슴, 척이(戚施)는 곱사등이.
    遽: 갑자기 篨: 대자리 戚: 겨레 施: 옮을

  • 短兵接戰 획순 短兵接戰(단병접전) : 칼이나 창 따위의 단으로 적과 직접 맞부딪쳐 싸움. 또는 그런 전투.
    短: 짧을 兵: 군사 接: 사귈 戰: 싸움

  • 病入骨髓 획순 病入骨髓(병입골수) : 이 골수 깊이 스며들 정도로 뿌리 깊고 중함.
    病: 入: 骨: 髓: 골수

  • 納粟加資(납속가자) : 조선 시대에, 흉년이 들거나 란이 있을 때 많은 곡식을 바친 사람에게 공명첩을 주던 일.
    納: 들일 粟: 加: 더할 資: 재물

  • 藥籠中物(약롱중물) : (1)을 고치는 약처럼 사람의 잘못을 고치도록 하는 것. (2)약롱 속의 약품이라는 뜻으로, 꼭 필요한 사람을 이르는 말. (3)가까이 사귀어 자기편으로 만든 사람.
    藥: 籠: 대그릇 中: 가운데 物: 만물

  • 命脈所關(명맥소관) : 이나 상처(傷處)가 중하여 목숨에 관계(關係)됨.
    命: 목숨 脈: 所: 關: 빗장

  • 患候平復(환후평복) : 웃어른의 이 평상시와 같이 회복됨.
    患: 근심 候: 平: 평평할 復: 회복할

  • 狐不二雄(호불이웅) : 여우는 수놈이 짝을 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수놈 두 마리가 동거하지 못하는 여우처럼 양웅(兩雄)은 립(竝立)할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狐: 여우 不: 아니 二: 雄: 수컷

  • 才子多病(재자다병) : 재주 있는 사람은 이 잦음.
    才: 재주 子: 아들 多: 많을 病:

  • 半身不隨(반신불수) : 이나 사고로 반신이 마비되는 일. 또는 그런 사람.
    半: 身: 不: 아니 隨: 따를

  • 風寒暑濕(풍한서습) : 바람과 추위와 더위와 습기를 아울러 이르는 말.
    風: 바람 暑: 더울 濕: 축축할

  • 萬波息笛(만파식적) : 신라 때의 전설상의 피리.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 전하는데, 신라 신문왕이 아버지 문무왕을 위하여 동해변에 감은사(感恩寺)를 지은 뒤, 문무왕이 죽어서 된 해룡(海龍)과 김유신이 죽어서 된 천신(天神)이 합심하여 용을 시켜서 보낸 대나무로 만들었다 하며, 이것을 불면 적이 물러가고 이 낫는 등 나라의 모든 근심, 걱정이 사라졌다고 한다.
    萬: 일만 波: 물결 息: 숨쉴 笛: 피리

  • 單食壺漿(단사호장) : 도시락 밥과 에 담은 음료수(飮料水)라는 뜻으로, 잔소한 음식(飮食)을 마련하여 군대(軍隊)를 환영(歡迎)함을 이르는 말.
    單: 食: 壺: 漿: 미음

  • 八苦(팔고) : 사람이 세상에서 면하기 어렵다고 하는 여덟 가지 괴로움. 곧 생고, 노고, 고, 사고, 애별리고, 원증회고, 구부득고, 오음성고를 이른다.
    八: 여덟 苦:

  • 干戚(간척) : (1)방패와 도끼라는 뜻으로, 전쟁에 쓰는 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2)간척무를 출 때 손에 잡는 무구(舞具). 간은 왼손의 방패를, 척은 오른손의 도끼를 이른다.
    干: 방패 戚: 겨레

  • 雲捲天晴(운권천청) : (1)구름이 걷히고 하늘이 맑게 갬. (2)이나 근심 따위가 씻은 듯이 없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雲: 구름 捲: 天: 하늘 晴:

  • 隨病投藥(수병투약) : 에 따라 약을 쓴다는 뜻으로, 상대방의 학문이나 교양 등의 정도에 따라 설법(說法)을 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
    隨: 따를 病: 投: 던질 藥:

  • 千人所指無病而死(천인소지무병이사) : 여러 사람에게 손가락질 당(當)하면 (病)을 앓지 않고도 죽음.
    千: 일천 人: 사람 所: 指: 손가락 無: 없을 病: 而: 말 이을 死: 죽을

  • 投兵息戈(투병식과) : 기를 던지고 창을 멈춘다는 뜻으로, 전쟁이나 싸움을 그만둠을 이르는 말.
    投: 던질 兵: 군사 息: 숨쉴 戈:

  • 無病長壽(무병장수) : 없이 건강하게 오래 삶.
    無: 없을 病: 長: 壽: 목숨

  • 鐘鳴漏盡(종명누진) : 때를 알리는 종이 울리고 물시계의 물이 다한다는 뜻으로, 깊은 밤이나 늙고 든 늙바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鐘: 鳴: 盡: 다할

  • 藥籠之物(약롱지물) : (1)약롱 속의 약품이라는 뜻으로, 꼭 필요한 사람을 이르는 말. (2)을 고치는 약처럼 사람의 잘못을 고치도록 하는 것. (3)가까이 사귀어 자기편으로 만든 사람.
    藥: 籠: 대그릇 之: 物: 만물

  • 先病服藥(선병복약) : 이 걸리기 전에 미리 약을 복용한다는 뜻으로, 을 미연에 막음을 의미하는 말.
    先: 먼저 病: 服: 藥:

  • 心腹之患(심복지환) : (1)없애기 어려운 근심. (2)쉽게 고치기 어려운 .
    心: 마음 腹: 之: 患: 근심

  • 萬病通治(만병통치) : (1)한 가지 처방으로 온갖 을 다 고침. (2)어떤 한 가지 대책이 여러 가지 경우에 두루 효력을 나타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萬: 일만 病: 通: 통할 治: 다스릴

  • 病上添病(병상첨병) : 앓는 중에 또 다른 이 겹쳐 생김.
    病: 上: 添: 더할 病:

  • 除病延命(제병연명) : 을 물리쳐 목숨을 연장함.
    除: 病: 延: 命: 목숨

  • 兵盡矢窮(병진시궁) : 싸움터에서 사들이 거의 다 희생되고 화살이 다 떨어짐.
    兵: 군사 盡: 다할 矢: 화살 窮: 다할

  • 病從口入(병종구입) : 원래 (病)이란 음식을 조심하지 않는 데에서 생긴다는 뜻으로, 지나친 구복(口腹)의 욕심을 삼가야 함을 이르는 말.
    病: 從: 좇을 口: 入:

  • 兵家常事(병가상사) : (1)실패하는 일은 흔히 있으므로 낙심할 것이 없다는 말. (2)군사 전문가도 전쟁에서 이기고 지는 일은 흔히 있는 일임을 이르는 말.
    兵: 군사 家: 常: 항상 事:

  • 采薪之憂(채신지우) : 이 들어 나무를 할 수 없다는 뜻으로, 자기(自己)의 (病)을 겸손(謙遜)하게 이르는 말.
    采: 薪: 섶나무 之: 憂: 근심

  • 借書一瓻(차서일치) : 책을 빌리면 술 한 (甁). 옛날에 책을 빌릴 때와 돌려보낼 때의 사례(謝禮)로 술 한 (甁)을 보낸 것을 이르는 말.
    借: 書: 一: 瓻: 술 단지

  • 病入膏肓(병입고황) : 이 고치기 어렵게 몸속 깊이 듦.
    病: 入: 膏: 기름 肓: 명치끝

  • 正氣(정기) : (1)생명의 원기(元氣). 에 대한 생체의 저항력으로 작용한다. (2)지극히 크고 바르고 공명한 천지의 원기(元氣). (3)바른 기풍. (4)정상적인 기후.
    正: 바를 氣: 기운

  • 雜施方藥(잡시방약) : 을 고치려고 갖가지 약을 시험(試驗)으로 써 봄.
    雜: 섞일 施: 베풀 方: 藥:

  • 壺裏乾坤(호리건곤) : 호리 속의 천지라는 뜻으로, 늘 술에 취하여 있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壺: 裏: 乾: 마를 坤: 곤괘

  • 嘗糞(상분) : (1)부모의 세를 살피려고 그 대변을 맛봄. 지극한 효행을 이르는 말이다. (2)몹시 아첨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嘗: 맛볼 糞:

  • 膏肓之疾(고황지질) : (1)고황에 들어 고치기 어려운 . (2)고치기 어렵게 된 버릇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膏: 기름 肓: 명치끝 之: 疾:

  • 河魚腹疾(하어복질) : 물고기의 배앓이 이라는 뜻으로, 물고기가 배부터 썩어들기 때문에 뱃속의 이나 배앓이를 이르는 말로 사용됨.
    河: 강 이름 魚: 고기 腹: 疾:

  • 烽鼓(봉고) : 봉화와 북이라는 뜻으로, 란, 전쟁(戰爭)을 이름.
    烽: 봉화 鼓:

  • 無病自灸(무병자구) : 이 없는 데 스스로 뜸을 뜬다는 뜻으로, 쓸데없이 불필요한 노력을 하는 상황을 비유하는 말.
    無: 없을 病: 自: 스스로 灸:

  • 多才多病(다재다병) : 재주가 많은 사람이 흔히 몸이 약하고 이 많음을 이르는 말.
    多: 많을 才: 재주 多: 많을 病:

  • 病風喪性(병풍상성) : 에 시달려 본성을 잃어버림.
    病: 風: 바람 喪: 복입을 性: 성품

  • 良藥苦於口(양약고어구) : 좋은 약은 입에 쓰다는 뜻으로, 입에 쓴 약이 을 잘 고치듯이 충고하는 말은 듣기엔 거북하지만, 자기 몸엔 이로움을 비유한 말.
    藥: 苦: 於: 어조사 口:

  • 無病呻吟(무병신음) : 도 아닌 데 괴로워 앓는 소리를 낸다는 뜻으로, 곧 별것도 아닌 데 떠벌려 소란(騷亂)을 떨거나 엄살을 피움을 이르는 말.
    無: 없을 病: 呻: 끙끙거릴 吟: 읊을

  • 護疾忌醫(호질기의) : 을 숨겨 의사에게 보여 주지 않는다는 뜻으로, 남에게 충고받기를 꺼려 자신의 잘못을 숨기려 함을 이르는 말.
    護: 보호할 疾: 忌: 꺼릴 醫: 의원

  • 採薪之憂(채신지우) : 땔나무를 할 수 없는 근심이라는 뜻으로, 환을 이르는 말. ≪맹자≫의 <공손추편>에 나오는 말이다.
    採: 薪: 섶나무 之: 憂: 근심

  • 煙霞之癖(연하지벽) : 자연의 아름다운 경치를 몹시 사랑하고 즐기는 성벽(性癖).
    煙: 연기 霞: 之: 癖: 버릇

  • 七出(칠출) : 예전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따위이다.
    七: 일곱 出:

  • 病救死葬(병구사장) : 이 나면 돕고 죽으면 장례를 치러 줌.
    病: 救: 건질 死: 죽을 葬: 장사지낼

  • 七年之病求三年之艾(칠년지병구삼년지애) : 칠년간 앓는 (病)을 고치기 위(爲)해 삼년간 말린 쑥을 구(求)한다는 뜻으로, 평소(平素)에 준비(準備)해 두지 않다가 일을 당해서 갑자기 구(求)할 때는 이미 때가 늦음을 이르는 말.
    七: 일곱 年: 之: 病: 求: 구할 三: 年: 之: 艾:

  • 幷州故鄕(병주고향) : 주가 고향이라는 뜻으로, 오래 살아서 정든 타향을 고향에 견주어 이르는 말. 제2의 고향.
    幷: 어우를 州: 고을 故: 鄕: 시골

  • 病不離身(병불이신) : (1)‘불이신’의 북한어. (2)몸에 이 떠날 날이 없음.
    病: 不: 아니 離: 떠날 身:

  • 稱病不出(칭병불출) : 을 핑계로 나가지 아니함.
    稱: 일컬을 病: 不: 아니 出:

  • 百病通治(백병통치) : (1)한 가지 처방으로 온갖 을 다 고침. (2)어떤 한 가지 대책이 여러 가지 경우에 두루 효력을 나타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百: 일백 病: 通: 통할 治: 다스릴

  • 老病有孤舟(노병유고주) : 늙고 든 몸을 의탁(依託)할 것은 오직 작은 배 한 척 뿐이라는 뜻으로, 노후(老後)의 고적(孤寂)함을 형용(形容)하는 말.
    病: 有: 있을 孤: 외로울 舟:

  • 父母有病憂而謀療(부모유병우이모료) : 부모(父母)님이 중에 계시면 근신(謹愼)하며 이 낫게 할 것을 꾀함.
    父: 아비 母: 어미 有: 있을 病: 憂: 근심 而: 말 이을 謀: 꾀할 療: 병고칠

  • 人事不省(인사불성) : (1)제 몸에 벌어지는 일을 모를 만큼 정신을 잃은 상태. (2)사람으로서의 예절을 차릴 줄 모름.
    人: 사람 事: 不: 아니 省: 살필

  • 負薪之憂(부신지우) : 땔나무를 할 수 없는 근심이라는 뜻으로, 환을 이르는 말.
    負: 薪: 섶나무 之: 憂: 근심

  • 藥石之言(약석지언) : 약으로 을 고치는 것처럼 남의 잘못된 행동을 훈계하여 그것을 고치는 데에 도움이 되는 말.
    藥: 石: 之: 言: 말씀

  • 竝州故鄕(병주고향) : 오래 살아서 정든 타향을 고향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가도(賈島)가 주(竝州)에 오래 살다가 떠나면서 한 말에서 유래한다.
    竝: 아우를 州: 고을 故: 鄕: 시골

  • 殘疾之人(잔질지인) : 몸에 질이 남아 있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을 많이 치러 쇠약해진 사람을 이르는 말.
    殘: 해칠 疾: 之: 人: 사람

  • 白衣勇士(백의용사) : 전투나 군사상 공무 중에 몸을 다친 군인.
    白: 衣: 勇: 날랠 士: 선비

  • 七去之惡(칠거지악) : (1)예전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따위이다. (2)독일 출생의 미국 작곡가 바일의 작품. 샹젤리제의 파리 극장에서 1933년 6월 7일에 초연되었다.
    七: 일곱 去: 之: 惡: 악할

  • 先病者醫(선병자의) : 먼저 을 앓아 본 사람이 의원이라는 뜻으로, 먼저 경험을 해 본 사람은 비슷한 상황에 처한 사람을 도와줄 수 있음을 이르는 말.
    先: 먼저 病: 者: 醫: 의원

  • 百藥無效(백약무효) : 온갖 약이 효과가 없다는 뜻으로, 온갖 약을 써도 효력이 없는 것처럼 해결이 난감한 상황을 이르는 말.
    百: 일백 藥: 無: 없을 效: 본받을

  • 兵不血刃(병불혈인) : 사가 칼에 피를 묻히지 아니하였다는 뜻으로, 피를 흘릴 만한 싸움도 하지 아니하고 쉽게 이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兵: 군사 不: 아니 血: 刃: 칼날

  • 四百四病(사백사병) : (1)사람의 오장에 있는 405종의 중에서 죽는 을 제외한 404종의 . (2)사람의 몸에서 땅, 물, 불, 바람의 네 요소가 조화를 이루지 못하여 얻는 . 한 요소마다 101가지이므로 모두 404가지가 된다.
    四: 百: 일백 四: 病:

  • 以孝傷孝(이효상효) : 효로써 효를 상하게 한다는 뜻으로, 효성이 지극한 나머지 어버이의 죽음을 너무 슬퍼하여 이 나거나 죽음을 이르는 말.
    以: 孝: 효도 傷: 다칠 孝: 효도

  • 兩手執餠(양수집병) : (1)‘양수집’의 북한어. (2)두 손에 떡을 쥐고 있다는 뜻으로, 두 가지 일이 똑같이 있어서 무엇부터 하여야 할지 모르는 경우를 이르는 말.
    手: 執: 잡을 餠:

  • 諸子百家(제자백가) : 춘추 전국 시대의 여러 학파. 공자(孔子), 관자(管子), 노자(老子), 맹자(孟子), 장자(莊子), 묵자(墨子), 열자(列子), 한비자(韓非子), 윤문자(尹文子), 손자(孫子), 오자(吳子), 귀곡자(鬼谷子) 등의 유가(儒家), 도가(道家), 묵가(墨家), 법가(法家), 명가(名家), 가(兵家), 종횡가(縱橫家), 음양가(陰陽家) 등을 통틀어 이른다.
    諸: 모든 子: 아들 百: 일백 家:

  • 七去(칠거) : 예전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따위이다.
    七: 일곱 去:

  • 三界八苦(삼계팔고) : 중생이 생사 왕래한다는 삼계에서 가장 힘이 드는 여덟 가지의 고통.
    三: 界: 지경 八: 여덟 苦:

  • 蜂起(봉기) : 벌 떼처럼 떼 지어 세차게 일어남.
    蜂: 起: 일어날

  • 腹心之疾(복심지질) : (1)배나 가슴을 앓는 고치기 어려운 . (2)떨쳐 버릴 수 없는 근심이나 걱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腹: 心: 마음 之: 疾:

  • 丙坐壬向(병좌임향) : 풍수지리에서, 집터나 묏자리가 방(丙方)을 등지고 임방(壬方)을 향한 좌향(坐向).
    丙: 남녘 坐: 앉을 壬: 북방 向: 향할

  • 同病相憐(동병상련) : 같은 을 앓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긴다는 뜻으로, 어려운 처지에 있는 사람끼리 서로 가엾게 여김을 이르는 말. ≪오월춘추≫의 <합려내전(闔閭內傳)>에 나온다.
    同: 한가지 病: 相: 서로 憐: 불쌍히여길

  • 壺中天地(호중천지) : 항아리 속에 있는 신기한 세상이라는 뜻으로, 별천지ㆍ별세계ㆍ선경(仙境) 따위를 이르는 말.
    壺: 中: 가운데 天: 하늘 地:

  • 煙霞痼疾(연하고질) : 자연의 아름다운 경치를 몹시 사랑하고 즐기는 성벽(性癖).
    煙: 연기 霞: 痼: 고질 疾:

  • 破釜沈船(파부침선) : 솥을 깨뜨려 다시 밥을 짓지 아니하며 배를 가라앉혀 강을 건너 돌아가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죽을 각오로 싸움에 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破: 깨뜨릴 釜: 가마 沈: 잠길 船:

  • 蒲柳之質(포류지질) : 갯버들 같은 체질이라는 뜻으로, 갯버들의 나뭇잎이 가을이 되자마자 떨어지는 데서, 사람의 체질이 허약하거나 나이보다 일찍 노쇠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세설신어≫의 <언어편(言語篇)>에 나오는 말이다.
    蒲: 부들 柳: 버들 之: 質: 바탕

#형용 67 #세월 71 #조금 96 #학문 107 #물건 136 #사이 200 #가운데 104 #어버이 60 #나무 166 #경계 56 #세상 339 #집안 93 #문장 59 #표현 88 #생활 82 #생각 236 #편안 62 #서로 71 #사용 312 #음식 79 #의지 69 #나라 392 #예전 60 #이름 211 #머리 141 #나이 97 #노력 69 #자식 104 #가난 90 #아침 7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12개) : 바, 박, 밖, 반, 발, 밤, 밥, 밧, 방, 밭, 밯, 배, 백, 밲, 밴, 밸, 뱀, 뱁, 뱅, 뱍, 뱐, 뱔, 뱜, 버, 벅, 벆, 번, 벋, 벌, 범, 법, 벗, 벙, 벚, 벜, 베, 벡, 벢, 벤, 벨, 벰, 벱, 벳, 벵, 벸, 벹, 벼, 벽, 벾, 변, 볃, 별, 볋, 볌, 볏, 병, 볔, 볕, 보, 복, 볶, 본, 볼, 봄, 봅, 봇, 봉, 봋, 봌, 봏, 뵈, 뵐, 뵘, 뵴, 부, 북, 분, 붇, 불, 붉, 붐, 붑, 붓, 붕, 붘, 붚, 붝, 붞, 붤, 붬, 붴, 붸, 붺, 뷔, 뷖, 뷰, 브, 블, 븟, 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