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172

  • 擧棋不定 획순 擧棋不定(거기부정)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擧: 棋: 바둑 不: 아닌가 定: 정할

  • 高堂畵閣 획순 高堂畵閣(고당화각) : 높다랗게 짓고 호화(豪華)롭게 꾸민 .
    高: 높을 堂: 畵: 그림 閣: 문설주

  • 積善之家 획순 積善之家(적선지가) : 착한 일을 많이 한 .
    積: 쌓을 善: 착할 之: 家:

  • 屠門大嚼 획순 屠門大嚼(도문대작) : 조선 시대에, 허균이 전국 팔도의 식품과 명산지에 관하여 적은 책.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식품 전문서이다. 1권.
    屠: 잡을 門: 大: 嚼: 씹을

  • 朝出暮入 획순 朝出暮入(조출모입) : (1)날마다 아침에 일찍 나갔다가 저녁에 늦게 들어온다는 뜻으로, 에 있는 시간이 얼마 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 (2)사물이 항상 바뀌어 정체됨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朝: 아침 出: 暮: 저물 入:

  • 家無擔石(가무담석) : 석(石)은 한 항아리, 담(擔)은 두 항아리의 뜻으로, 에 조금도 없다는 말로, 에 재물(財物)의 여유(餘裕)가 조금도 없음.
    家: 無: 없을 擔: 石:

  • 破屋數間(파옥수간) : 부서진 몇 칸이라는 뜻으로, 허물어지고 협소(狹小)한 을 의미하는 말.
    破: 깨뜨릴 屋: 數: 間:

  • 養祖父(양조부) : 양자로 간 의 할아버지.
    養: 기를 祖: 할아비 父: 아비

  • 千門萬戶(천문만호) : (1)수많은 백성들의 . (2)대궐의 많은 문호를 이르는 말.
    千: 일천 門: 萬: 일만 戶: 지게

  • 在家貧亦好(재가빈역호) : 제 에 있으면 가난하여도 마음은 편하다는 뜻으로, 객지(客地)에 있는 사람이 고향(故鄕)을 그리워하는 심정(心情)을 이르는 말.
    在: 있을 家: 貧: 가난할 亦: 好: 좋을

  • 鷄棲鳳凰食(계서봉황식) : 닭에서 봉황(鳳凰)이 함께 살면서 모이를 먹는다는 뜻으로, 충신(忠臣)이 천(賤)한 죄인(罪人)들과 함께 하는 삶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鷄: 棲: 鳳: 봉새 凰: 봉황새 食:

  • 赤手成家(적수성가) : 몹시 가난한 에서 태어나 제 스스로의 힘으로 노력하여 가산(家産)을 이룸.
    赤: 붉을 手: 成: 이룰 家:

  • 天寒白屋(천한백옥) : 추운 날의 허술한 초가이라는 뜻으로, 엄동설한에 떠는 가난한 생활을 이르는 말.
    天: 하늘 寒: 白: 屋:

  • 無水立沙鷗排草失家蟻(무수입사구배초실가의) : 물이 없으니 모래 위에 선 기러기요, 풀을 헤치니 을 잃은 개미임.
    無: 없을 水: 沙: 모래 鷗: 갈매기 排: 밀칠 草: 失: 잃을 家: 蟻: 개미

  • 蓬室(봉실) : (1)쑥으로 지붕을 인 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을 이르는 말. (2)자기 을 낮추어 이르는 말.
    蓬: 室:

  • 不蔽風雨(불폐풍우) : 이 허술하여서 바람과 비를 가리지 못함.
    不: 아니 蔽: 가릴 風: 바람 雨:

  • 三間草家(삼간초가) : 세 칸밖에 안 되는 초가라는 뜻으로, 아주 작은 을 이르는 말.
    三: 間: 草: 家:

  • 在家讀書(재가독서) : 밖에 나가지 아니하고 에 머물며 글을 읽음.
    在: 있을 家: 讀: 읽을 書:

  • 碧海黃龍宅靑松白鶴樓(벽해황용택청송백학루) : 푸른 바다는 누런 용의 이요, 푸른 소나무는 흰 학의 누각(樓閣)임.
    碧: 푸를 海: 바다 黃: 누를 宅: 靑: 푸를 松: 白: 鶴: 樓: 다락

  • 家徒壁立(가도벽립) : 가난한 이라서 안에 세간살이는 하나도 없고 네 벽만 서 있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하다는 말. ≪한서≫의 <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에 나오는 말이다.
    家: 徒: 무리 壁: 立:

  • 斷機之戒(단기지계) : 학문을 중도에서 그만두면 짜던 베의 날을 끊는 것처럼 아무 쓸모 없음을 경계한 말. ≪후한서≫의 <열녀전(列女傳)>에 나오는 것으로, 맹자가 수학(修學) 도중에 에 돌아오자, 그의 어머니가 짜던 베를 끊어 그를 훈계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斷: 끊을 機: 베틀 之: 戒: 경계할

  • 愛及屋烏(애급옥오) : 사람을 사랑하면 그 지붕 위에 앉은 까마귀까지도 귀엽게 보인다는 뜻으로, 그 사람과 연관된 사람이나 물건까지도 사랑함을 이르는 말.
    愛: 사랑 及: 미칠 屋: 烏: 까마귀

  • 築室道謀(축실도모) : 을 짓는데 길손에게 묻는다는 뜻으로, 을 지으면서 길가는 사람들에게 방법을 물으니 사람마다 딴소리를 하여 을 완성하지 못했다는 것에서, 쓸데없는 의논을 하여 실패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築: 쌓을 室: 道: 謀: 꾀할

  • 愚公移山(우공이산) :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든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짐을 이르는 말. 우공(愚公)이라는 노인이 을 가로막은 산을 옮기려고 대대로 산의 흙을 파서 나르겠다고 하여 이에 감동한 하느님이 산을 옮겨 주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열자(列子)≫의 <탕문편(湯問篇)>에 나오는 말이다.
    愚: 어리석을 公: 공변될 移: 옮을 山:

  • 一木難支(일목난지) : 한 나무로는 지탱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큰 이 무너지는 것을 한 기둥으로는 받치지 못하는 것처럼, 기울어지는 대세를 혼자서는 감당할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一: 木: 나무 難: 어려울 支: 가를

  • 門前沃畓(문전옥답) : 가까이에 있는 기름진 논.
    門: 前: 沃: 기름질 畓:

  • 上棟下宇(상동하우) : 대들보는 위에 꼿꼿이 가로 놓였고, 서까래는 그 양편에서 밑으로 내려뜨렸다는 뜻으로, 을 짓는 것을 이르는 말.
    上: 棟: 용마루 下: 아래 宇:

  • 在家無日(재가무일) : 바삐 돌아다니느라고 에 있는 날이 없음.
    在: 있을 家: 無: 없을 日:

  • 戴星(대성) : 별을 머리 위에 이고 있다는 뜻으로, 아침 일찍 을 나가 밤늦게 돌아옴을 이르는 말.
    戴: 星:

  • 出嫁外人(출가외인) : 시간 딸은 친정 사람이 아니고 남이나 마찬가지라는 뜻으로 이르는 말.
    出: 嫁: 시집갈 外: 바깥 人: 사람

  • 道謀是用(도모시용) : 길에서 도모하기 때문이라는 뜻으로, 길가에 을 짓는데, 길 가는 사람들에게 어떻게 짓는 것이 좋을까 상의하면 구구한 의견으로 제대로 완성할 수 없는 것처럼 주견(主見) 없이 남의 의견만 쫓으면 일을 성취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作舍道傍(작사도방)].
    道: 謀: 꾀할 是: 옳을 用:

  • 將立待令(장립대령) : 셋줄 있는 에 드나들며 이끗을 바라는 사람을 조롱(嘲弄)하여 일컫는 말.
    將: 장수 立: 待: 기다릴 令: 하여금

  • 三間斗屋(삼간두옥) : 몇 칸 되지 않는 작은 오막살이.
    三: 間: 斗: 屋:

  • 冶家無食刀(야가무식도) : 대장간에서 식칼이 논다는 뜻으로, 생활에 쫓겨 남의 바라지만 하고 정작 제 엔 등한시한다는 의미나, 마땅히 흔해야 할 곳에 도리어 그 물건이 부족하거나 없는 상황을 이르는 의미를 지닌 한역(漢譯) 속담.
    冶: 불릴 家: 無: 없을 食: 刀:

  • 求田問舍(구전문사) : 자기가 부칠 논밭이나 을 구하는 데만 마음을 쓴다는 뜻으로, 원대한 큰 뜻을 지니지 못함을 이르는 말.
    求: 구할 田: 問: 물을 舍:

  • 大廈高樓(대하고루) : 큰 과 높은 누각이라는 뜻으로, 웅장한 건물을 이르는 말.
    大: 廈: 큰집 高: 높을 樓: 다락

  • 大起家舍(대기가사) : 을 굉장히 크게 짓기 시작함.
    大: 起: 일어날 家: 舍:

  • 望門投食(망문투식) : 노자가 떨어졌을 때에 남의 을 찾아가서 얻어먹음.
    望: 바랄 門: 投: 던질 食:

  • 不如歸(불여귀) : 두견과의 새. 편 날개의 길이는 15~17cm, 꽁지는 12~15cm, 부리는 2cm 정도이다. 등은 회갈색이고 배는 어두운 푸른빛이 나는 흰색에 검은 가로줄 무늬가 있다. 여름새로 스스로 을 짓지 않고 휘파람새의 둥지에 알을 낳아, 휘파람새가 새끼를 키우게 한다.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不: 아니 如: 같을 歸: 돌아갈

  • 汝墻折角(여장절각) : 너의 담장이 뿔을 부러뜨렸다는 뜻으로, 네 담장이 없었으면 내 소의 뿔이 부러지지 않았을 거라고 우겨대는 것처럼 자기 잘못으로 생긴 손해를 남에게 넘겨씌우려고 트 잡는 속담을 한역한 말.
    汝: 墻: 折: 꺾을 角:

  • 母文(모문) : 띠로 지붕을 인 문이란 뜻으로, '초라한 '의 일컬음.
    母: 어미 文: 글월

  • 突入內庭(돌입내정) : 주인의 허락 없이 남의 안으로 불쑥 들어감.
    突: 갑자기 入: 內: 庭:

  • 反顧(반고) : 뒤를 돌아본다는 뜻으로, 가족을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反: 돌이킬 顧: 돌아볼

  • 閉戶先生(폐호선생) : 안에 틀어박혀 독서만 하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閉: 닫을 戶: 지게 先: 먼저 生:

  • 野屋村舍(야옥촌사) : 격식을 갖추지 않고 조그맣게 지어 놓은 .
    野: 屋: 村: 마을 舍:

  • 草家三間(초가삼간) : 세 칸밖에 안 되는 초가라는 뜻으로, 아주 작은 을 이르는 말.
    草: 家: 三: 間:

  • 風窓燈易滅月屋夢難成(풍창등역멸월옥몽난성) : 바람 부는 창에서 등불은 꺼지기 쉽고, 달 뜬 에서 꿈은 꾸기가 어려움.
    風: 바람 窓: 燈: 등불 易: 바꿀 滅: 멸망할 月: 屋: 夢: 難: 어려울 成: 이룰

  • 理院鵲巢(이원작소) : 법원에 까치가 을 짓는다는 뜻으로, 범죄가 없어 법원이 한가한 태평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院: 원집 鵲: 까치 巢: 보금자리

  • 戴星之行(대성지행) : 타향에서 부모의 부음(訃音)을 받고 밤을 새워 돌아가는 길.
    戴: 星: 之: 行:

  • 伏魔殿(복마전) : (1)마귀가 숨어 있는 이나 굴. (2)비밀리에 나쁜 일을 꾸미는 무리들이 모이거나 활동하는 곳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伏: 엎드릴 魔: 마귀 殿: 대궐

  • 屋烏之愛(옥오지애) : 그 사람을 사랑하면 그의 지붕에 있는 까마귀까지도 사랑스럽게 보인다는 뜻으로, 깊은 사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屋: 烏: 까마귀 之: 愛: 사랑

  • 或出或處(혹출혹처) : 혹은 나가고 혹은 머물다는 뜻으로, 혹은 벼슬하여 조정에 나가고, 혹은 은퇴하여 에 있는다는 의미.
    或: 出: 或: 處: 머무를

  • 倉氏庫氏(창씨고씨) : 옛날 중국에서 창씨와 고씨가 대대로 곳을 맡아보았다는 데서, 사물이 오래도록 바뀌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倉: 곳집 氏: 庫: 곳집 氏:

  • 越鳥巢南枝(월조소남지) : 월나라 새가 남쪽 가지에 둥우리를 튼다는 뜻으로, 월조가 남쪽 고국을 생각하며 남쪽 가지에 을 짓듯이 고향을 잊지 못함을 비유함.
    越: 넘을 鳥: 巢: 보금자리 南: 남녘 枝: 가지

  • 換父易祖(환부역조) : 아버지와 할아버지를 바꾼다는 뜻으로, 지체가 낮은 사람이 부정한 방법으로 양반 뒤를 이어 양반 행세를 함을 이르는 말.
    換: 바꿀 父: 아비 易: 바꿀 祖: 할아비

  • 班門弄斧(반문농부) : 자신의 실력도 헤아리지 아니하고 어떤 일을 하려고 당치 아니하게 덤비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노나라에 기계를 잘 만드는 반수(班輸)라는 사람을 흉내 내어, 그의 문 앞에서 도끼를 가지고 기계를 만들려고 한 어리석은 사람이 있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班: 나눌 門: 斧: 도끼

  • 圍籬安置(위리안치) : 유배된 죄인이 거처하는 둘레에 가시로 울타리를 치고 그 안에 가두어 두던 일.
    圍: 둘레 籬: 울타리 安: 편안할 置:

  • 稱家有無(칭가유무) : 의 유무에 맞춘다는 뜻으로, 의 빈부에 따라, 곧 가산(家産)에 따라 일을 알맞게 함을 이르는 말.
    稱: 일컬을 家: 有: 있을 無: 없을

  • 雲蒸礎潤(운증초윤) : 구름이 피어오르면 주추가 젖는다는 뜻으로, 구름이 껴 비가 내리려하면 먼저 의 주추가 눅눅해지는 것처럼 사물의 조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雲: 구름 蒸: 礎: 주춧돌 潤: 젖을

  • 蜂房水渦(봉방수와) : 벌의 과 물의 소용돌이라는 뜻으로, 건물(建物)이 꽉 들어차 있는 모양(模樣)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蜂: 房: 水: 渦: 소용돌이

  • 速去千里(속거천리) : (1)어서 멀리 가라는 뜻으로, 귀신을 쫓을 때 쓰는 말. (2)노래기를 없앤다고 하여 서까래에 써 붙이는 글의 끝마디.
    速: 빠를 去: 千: 일천 里: 마을

  • 金玉滿堂(금옥만당) : (1)금관자나 옥관자를 붙인 높은 벼슬아치들이 방 안에 가득함. (2)현명한 신하가 조정에 가득함.
    金: 玉: 구슬 滿: 堂:

  • 流連荒亡(류련황망) : (1)이곳저곳을 놀러 다니며 주색에 빠짐. (2)‘유련황망’의 북한어.
    連: 이을 荒: 거칠 亡: 잃을

  • 家給千兵(가급천병) : 제후(諸侯) 나라에 일천 군사(軍士)를 주어 그의 을 호위(護衛)시킴.
    家: 給: 넉넉할 千: 일천 兵: 군사

  • 高樓巨閣(고루거각) : 높고 크게 지은 .
    高: 높을 樓: 다락 巨: 閣: 문설주

  • 積惡之家(적악지가) : 악한 일을 많이 한 .
    積: 쌓을 惡: 악할 之: 家:

  • 燕賀(연하) : 제비가 사람이 을 짓는 것을 축하하며 기뻐한다는 뜻으로, 남이 을 지은 것을 축하하는 말.
    燕: 제비 賀: 하례할

  • 膏粱子弟(고량자제) : 부귀한 에서 고량진미만 먹고 귀엽게 자라나서 고생을 전혀 모르는 젊은이.
    膏: 기름 粱: 기장 子: 아들 弟: 아우

  • 數間茅屋(수간모옥) : 몇 칸 안 되는 작은 초가.
    數: 間: 茅: 屋:

  • 作舍道傍三年不成(작사도방삼년불성) : 을 길가에 지으려고 왕래(往來)하는 사람들에게 상의 한즉, 사람마다 의견(意見)이 달라서 삼년이 지나도록 짓지 못했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 異見(이견)이 구구해 결론(結論)을 내리지 못함을 이르는 말.
    作: 지을 舍: 道: 傍: 三: 年: 不: 아니 成: 이룰

  • 沙上樓閣(사상누각) : 모래 위에 세운 누각이라는 뜻으로, 기초가 튼튼하지 못하여 오래 견디지 못할 일이나 물건을 이르는 말.
    沙: 모래 上: 閣: 문설주

  • 毁瓦畫墁(훼와획만) : 기와를 헐고 흙손질을 해 놓은 벽에 금을 긋는다는 뜻으로, 남의 에 해를 끼침을 이르는 말.
    毁: 瓦: 기와 畫: 고를 墁: 흙손

  • 家負疎族聚(가부소족취) : 이 가난하게 되면 어진 아내를 생각한다는 뜻으로, 넉넉히 지낼 때는 몰랐으나 궁박(窮迫)한 형편(形便)에 놓이고 보니 어진 관리자(管理者)를 생각하게 된다는 말.
    家: 負: 疎: 트일 族: 겨레 聚: 모일

  • 比屋可誅(비옥가주) : 들마다 모두 죽일만하다는 뜻으로, 모든 사람들이 벌받을만한 악인인 정도로 걸주(桀紂)의 백성들이 모두 악덕에 물들었다는 뜻에서 比屋可封의 상대 의미로 사용됨.
    比: 견줄 屋: 可: 옳을 誅:

  • 便同一室(변동일실) : 사이가 아주 가까워 한 가족 같음.
    便: 똥오줌 同: 한가지 一: 室:

  • 杜門不出(두문불출) : (1)에만 있고 바깥출입을 아니함. (2)세상을 피하여 에서 숨어 살면서 나라나 사회의 일을 하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杜: 팥배나무 門: 不: 아니 出:

  • 家家戶戶(가가호호) : (1)한 . (2)한 마다.
    家: 家: 戶: 지게 戶: 지게

  • 三間草屋(삼간초옥) : 세 칸밖에 안 되는 초가라는 뜻으로, 아주 작은 을 이르는 말.
    三: 間: 草: 屋:

  • 無主空堂(무주공당) : 주인 없는 빈.
    無: 없을 主: 주인 空: 堂:

  • 秦晉之誼(진진지의) : 혼인을 맺은 두 사이의 가까운 정의(情誼)를 이르는 말. 중국의 진(秦)나라와 진(晉)나라의 왕실이 혼인을 맺고 지낸 데서 유래한다.
    秦: 나라 이름 晉: 나라 이름 之: 誼: 옳을

  • 寒烟(한연) : 한연(寒煙). (쓸쓸하게 올라오는 연기라는 뜻으로)이 가난함의 비유(比喩).
    寒: 烟: 연기

  • 曳尾塗中(예미도중) : 꼬리를 진흙 속에 묻고 끈다는 뜻으로, 벼슬을 함으로써 속박(束縛)되기보다는 가난하더라도 에서 편안(便安)히 사는 편이 나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曳: 尾: 꼬리 塗: 진흙 中: 가운데

  • 篳門圭竇(필문규두) : 섶나무 울타리 사립문과 모나고 둥근 허술한(규격이 없는) 창문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을 이르는 말. ‘篳門閨竇’으로도 표현함.
    篳: 사립문 門: 圭: 竇: 구멍

  • 破落戶(파락호) : 재산이나 세력이 있는 안의 자손으로서 안의 재산을 몽땅 털어먹는 난봉꾼을 이르는 말.
    破: 깨뜨릴 落: 떨어질 戶: 지게

  • 壺裏乾坤(호리건곤) : 호리병 속의 천지라는 뜻으로, 늘 술에 취하여 있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壺: 裏: 乾: 마를 坤: 곤괘

  • 蓬蓽(봉필) : 쑥대나 잡목의 가시로 엮어 만든 문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 사는 을 이르는 말.
    蓬: 蓽: 필발

  • 他家劫舍(타가겁사) : 백성(百姓)의 을 때려 부수고 재물(財物)을 마구 빼앗음'의 뜻.
    他: 다를 家: 劫: 으를 舍:

  • 東食西宿(동식서숙) : 동쪽 에서 먹고 서쪽 에서 잔다는 뜻으로, 떠돌아다니며 얻어먹고 지내는 일이나 사람. 혹은 주소가 일정하지 않은 사람.
    東: 동녘 食: 西: 서녘 宿: 묵을

  • 媒合容止(매합용지) : 남녀 간에 관계를 갖도록 다리를 놓아 주고 자기 에 같이 머무르게 함.
    媒: 중매 合: 합할 容: 얼굴 止: 그칠

  • 萬戶長安(만호장안) : 이 아주 많은 서울.
    萬: 일만 戶: 지게 長: 安: 편안할

  • 家鷄野鶩(가계야목) : 의 닭을 미워하고 들의 물오리를 사랑한다는 뜻으로, 일상(日常) 흔한 것을 피(避)하고 새로운 것, 진기한 것을 존중(尊重)함을 비유(比喩).
    家: 鷄: 野: 鶩: 집오리

  • 同鼎食(동정식) : 한솥밥을 먹는다는 뜻으로, 한에서 같이 삶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同: 한가지 鼎: 食:

  • 家狗向裏吠(가구향리폐) : 에서 기르는 개가 안 쪽을 향(向)해 짖는다는 뜻으로, 은혜(恩惠)를 원수(怨讐)로 갚음을 이르는 말.
    家: 狗: 向: 향할 裏: 吠: 짖을

  • 富潤屋德潤身(부윤옥덕윤신) : 부(富)는 을 윤택(潤澤)하게 하고, 덕(德)은 몸을 윤택(潤澤)하게 함.
    富: 가멸 潤: 젖을 屋: 德: 潤: 젖을 身:

  • 繼姓子孫(계성자손) : 남의 의 양자가 되어 성(姓)을 이어받은 자손.
    繼: 이을 姓: 子: 아들 孫: 손자

  • 捨家棄欲(사가기욕) : 이나 세속적(世俗的)인 욕망(慾望)을 버리고 불문(佛門)에 들어감.
    捨: 버릴 家: 棄: 버릴 欲: 하고자 할

  • 戞過(알과) : (1)어떤 곳의 근처를 지나면서 그곳을 들르지 아니하고 그냥 지나감. (2)사물이나 글을 볼 때 어느 부분을 빠뜨리고 지나감.
    戞: 過: 지날

  • 家貧思良妻(가빈사양처) : 이 가난해지면 좋은 아내를 생각하게 된다는 뜻으로, 궁핍(窮乏)한 지경(地境)이 되면 훌륭한 관리자(管理者)가 생각난다는 의미(意味).
    家: 貧: 가난할 思: 생각할 妻: 아내

  • 目不窺園(목불규원) : 눈으로 정원을 보지 못한다는 뜻으로, 에 있으면서 정원을 바라볼 겨를 없이 강학(講學)에 열중함을 비유.
    目: 不: 아니 窺: 엿볼 園: 동산

  • 赤手起家(적수기가) : 몹시 가난한 에서 태어나 제 스스로의 힘으로 노력하여 가산(家産)을 이룸.
    赤: 붉을 手: 起: 일어날 家:

2
#음식 79 #태도 72 #가운데 104 #소리 96 #모습 66 #노력 69 #목숨 58 #바람 136 #훌륭 85 #천하 94 #아내 81 #상태 110 #근심 65 #아침 72 #사물 172 #재주 82 #속담 63 #문장 59 #시대 114 #인간 65 #어려움 105 #무리 64 #세월 71 #의지 69 #자식 104 #나라 392 #처음 91 #자리 94 #여자 101 #부모 136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04개) : 자, 작, 잔, 잘, 잙, 잠, 잡, 잣, 장, 잩, 잫, 재, 잭, 잰, 잴, 잼, 잽, 쟁, 쟈, 쟉, 쟐, 쟛, 쟤, 저, 적, 전, 젇, 절, 젉, 점, 접, 젓, 정, 젖, 젙, 제, 젠, 젤, 젬, 젯, 젱, 져, 젹, 젼, 졈, 졍, 졎, 조, 족, 존, 졸, 좀, 좁, 좃, 종, 좆, 좋, 좌, 좍, 좔, 좕, 좨, 좩, 좬, 죄, 죈, 죠, 주, 죽, 준, 줄, 줅, 줌, 중, 줴, 줸, 쥐, 쥔, 쥠, 쥥, 쥬, 쥭, 즈, 즉, 즌, 즐, 즑, 즘, 즙, 즛, 증, 지, 직, 진, 짇, 질, 짉, 짐, 집, 짓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