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156

  • 天方地方 획순 天方地方(천방지방)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天: 하늘 方: 地: 方:

  • 頂天履地 획순 頂天履地(정천이지) : 하늘을 이고 을 밟음.
    頂: 정수리 天: 하늘 地:

  • 賜牌之地 획순 賜牌之地(사패지지) : 고려ㆍ조선 시대에, 임금이 내려 준 논밭. 주로 외교와 국방 따위의 분야에서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왕족이나 벼슬아치에게 내려 주었으며, 세습이 되는 토지와 안 되는 토지가 있었다.
    賜: 牌: 之: 地:

  • 當禁之地 획순 當禁之地(당금지지) : 다른 사람이 뫼를 쓰지 못하게 하는 .
    當: 마땅할 禁: 금할 之: 地:

  • 肝腦塗地 획순 肝腦塗地(간뇌도지) : 참혹한 죽임을 당하여 간장(肝臟)과 뇌수(腦髓)가 에 널려 있다는 뜻으로, 나라를 위하여 목숨을 돌보지 않고 애를 씀을 이르는 말.
    肝: 腦: 塗: 진흙 地:

  • 天壤之判(천양지판) : 하늘과 사이와 같이 엄청난 차이.
    天: 하늘 壤: 之: 判: 뻐갤

  • 下堂伏地(하당복지) : 윗사람에 대한 존경의 뜻으로 아랫사람이 방이나 마루에서 내려와 에 엎드림.
    下: 아래 堂: 伏: 엎드릴 地:

  • 咽喉之地(인후지지) : 목구멍과 같은 곳이라는 뜻으로, 매우 중요한 길목을 이르는 말.
    咽: 목구멍 喉: 목구멍 之: 地:

  • 天地玄黃(천지현황) : 하늘은 위에 있어 그 빛이 검고 은 아래 있어서 그 빛이 누름.
    天: 하늘 地: 玄: 검을 黃: 누를

  • 沙石之地(사석지지) : 모래와 돌이 많은 거칠고 메마른 .
    沙: 모래 石: 之: 地:

  • 俯仰無傀(부앙무괴) : 하늘을 우러러보나 을 굽어보나 양심(良心)에 부끄러움이 없음을 이르는 말.
    俯: 구부릴 仰: 우러를 無: 없을 傀: 꼭두각시

  • 投石地雷(투석지뢰) : 구덩이를 파서 폭약과 자갈을 메우고 전기로 폭발하여 돌이 날아가도록 만든 지뢰.
    投: 던질 石: 地: 雷: 우레

  • 走伏無地(주복무지) : 달아나고 엎드리기가 이 없다는 뜻으로, 도망치고 숨으려 해도 그럴 만한 곳이 없는 달아나 숨을 곳이 없다는 의미.
    走: 달릴 伏: 엎드릴 無: 없을 地:

  • 人傑地靈(인걸지령) : 뛰어난 인재는 의 신령스러움에서 난다는 뜻으로, 위대한 인물이 난 곳에 이름이 나는 것처럼 사람의 운명은 그가 태어나 자란 산천의 기운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는 견해임. [= 地靈人傑 ].
    人: 사람 傑: 뛰어날 地: 靈: 신령

  • 置錐之地(치추지지) : 송곳 하나 세울 만한 이란 뜻으로, 매우 좁아 조금의 여유도 없음을 이르는 말.
    置: 錐: 송곳 之: 地:

  • 歡天喜地(환천희지) : 하늘도 즐거워하고 도 기뻐한다는 뜻으로, 아주 즐거워하고 기뻐함을 이르는 말.
    歡: 기뻐할 天: 하늘 喜: 기쁠 地:

  • 莫非王土(막비왕토) : 왕의 이 아닌 곳이 없음.
    莫: 없을 非: 아닐 王: 임금 土:

  • 驚天動地(경천동지) : 하늘을 놀라게 하고 을 뒤흔든다는 뜻으로, 세상을 몹시 놀라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驚: 놀랄 天: 하늘 動: 움직일 地:

  • 率土之濱(솔토지빈) : 온 나라의 영토 안.
    率: 거느릴 土: 之: 濱: 물가

  • 貴脚踏賤地(귀각답천지) : 귀한 발로 천한 을 밟았다는 뜻으로, 누추한 곳에 잘 오셨다는 겸손한 인사말의 의미.
    貴: 귀할 脚: 다리 踏: 밟을 賤: 천할 地:

  • 天尊地卑(천존지비) : 하늘을 존중하고 을 천시한다는 뜻으로, 윗사람만 받들고 아랫사람은 업신여김을 이르는 말.
    天: 하늘 尊: 높을 地: 卑: 낮을

  • 掃地黃金出(소지황금출) : 을 쓸면 황금이 나온다는 뜻으로, 청결한 덕있는 행동을 하면 좋은 일이 생긴다는 의미인데, 주로 입춘첩(立春帖)으로 사용하는 글귀.
    掃: 地: 黃: 누를 金: 出:

  • 天變地異(천변지이) : 하늘과 에서 일어나는 자연계의 여러 가지 변동과 이변.
    天: 하늘 變: 변할 地: 異: 다를

  • 含笑入地(함소입지) : 웃음을 머금고 에 들어간다는 뜻으로, 의사(義士)가 죽음을 두려워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含: 머금을 笑: 웃을 入: 地:

  • 頓首再拜(돈수재배) : 머리가 에 닿도록 두 번 절을 함. 또는 그렇게 하는 절. 경의를 표한다는 뜻으로 주로 편지의 첫머리나 끝에 쓴다.
    頓: 조아릴 首: 머리 再: 拜:

  • 落地(락지) : (1)에 떨어진다는 뜻으로, 사람이 세상에 태어남을 이르는 말. (2)‘낙지’의 북한어.
    地:

  • 地上神仙(지상신선) : (1)인간 세상에 존재한다고 상상하는 신선. (2)팔자가 썩 좋은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천도교에서, 사람이 천도(天道)를 믿어서 법열(法悅)을 얻으면, 정신적으로 이 세상의 극락을 얻고 영적으로 장생을 얻게 되므로, 이것이 곧 위의 신선이라는 말.
    地: 上: 神: 仙: 신선

  • 形勝之地(형승지지) : 지세나 풍경이 아주 뛰어난 .
    形: 형상 勝: 이길 之: 地:

  • 地靈人傑(지령인걸) : 은 영묘(靈妙)하고 사람은 빼어나다는 뜻으로, 산천이 수려하고 지세가 빼어나서, 그 지기를 띠고 태어난 그 곳 주민도 한결 뛰어나다는 의미.
    地: 靈: 신령 人: 사람 傑: 뛰어날

  • 乾坤一擲(건곤일척) : 주사위를 던져 승패를 건다는 뜻으로, 운명을 걸고 단판걸이로 승부를 겨룸을 이르는 말.
    乾: 마를 坤: 곤괘 一: 擲: 던질

  • 零落掃地(영락소지) : 지위나 부귀 따위가 쓸려 내려간 듯이 싹 없어짐.
    落: 떨어질 掃: 地:

  • 天經地緯(천경지위) : 하늘이 정하고 이 받드는 길이라는 뜻으로, 영원히 변하지 않는 진리나 법칙을 이르는 말.
    天: 하늘 經: 지날 地: 緯:

  • 天翻地覆(천번지복) : 하늘이 날아가고, 이 뒤집힌다는 뜻으로, 천지(天地)에 큰 이변이 일어남을 이르는 말.
    天: 하늘 翻: 地: 覆: 뒤집힐

  • 立錐之地(입추지지) : (1)‘입추지지’의 북한어. (2)송곳 하나 세울 만한 이란 뜻으로, 매우 좁아 조금의 여유도 없음을 이르는 말.
    錐: 송곳 之: 地:

  • 天府之土(천부지토) : 이 매우 기름져 온갖 산물이 많이 나는 .
    天: 하늘 府: 곳집 之: 土:

  • 適地敵樹(적지적수) : 알맞은 에 알맞은 나무를 심음.
    適: 地: 敵: 원수 樹: 나무

  • 天覆地載(천부지재) : 하늘이 덮고 은 싣는다는 뜻으로, 천지(天地)의 큰 사랑을 이르는 말.
    天: 하늘 覆: 덮을 地: 載: 실을

  • 塞翁馬(새옹마) : 인생의 길흉화복은 변화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塞: 변방 翁: 늙은이 馬:

  • 置身無地(치신무지) : ‘치신무지하다’의 어근.
    置: 身: 無: 없을 地:

  • 尺寸之地(척촌지지) : 얼마 안 되는 좁은 .
    尺: 寸: 마디 之: 地:

  • 旋乾轉坤(선건전곤) : (1)천지를 뒤집는다는 뜻으로, 나라의 난을 평정함을 이르는 말. (2)나라의 나쁜 풍습을 크게 고침을 이르는 말.
    旋: 乾: 마를 轉: 구를 坤: 곤괘

  • 河山之陽(하산지양) : 강과 산의 양기라는 뜻으로, 강의 북쪽과 산의 남쪽의 인 양지(陽地)바른 농경(農耕)에 적당한 을 이르는 말.
    河: 강 이름 山: 之: 陽:

  • 乾星照濕土(건성조습토) : 반짝이는 별이 눅눅한 을 비춘다는 뜻으로, 다음 세대(世代)에는 반대(反對)되는 현상(現象)이 나타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乾: 마를 星: 照: 비출 濕: 축축할 土:

  • 吠日之怪(폐일지괴) : 해를 보고 짖는 괴이함이라는 뜻으로, 비 오는 날이 많은 蜀(촉) 의 개가 해가 뜨면 괴이하게 여겨 짖는 것에서 신기한 것을 보고 놀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吠: 짖을 日: 之: 怪: 기이할

  • 拔地倚天(발지의천) : 에서 빼어나 하늘에 닿았다는 뜻으로, 시문(詩文) 등이 뛰어나고 웅대함을 비유하는 말.
    拔: 地: 倚: 의지할 天: 하늘

  • 以頭搶地(이두창지) : 머리를 에 대고 비빈다는 뜻으로, 무엇을 호소하거나 잘못을 뉘우쳐 용서를 빎을 이르는 말.
    以: 頭: 머리 搶: 닿을 地:

  • 足不履地(족불리지) : 발이 에 닿지 않는다는 뜻으로, 몹시 급하게 달아나거나 걸어감을 이르는 말.
    足: 不: 아니 履: 밟을 地:

  • 下陵上替(하릉상체) :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능가하여 윗사람의 권위(權威)가 에 떨어진다는 뜻으로, 세상(世上)이 어지러움을 이르는 말.
    下: 아래 陵: 큰 언덕 上: 替: 바꿀

  • 天壤之差(천양지차) : 하늘과 사이와 같이 엄청난 차이.
    天: 하늘 壤: 之: 差: 어긋날

  • 天藏地祕(천장지비) : 하늘과 속에 감추어져 있다는 뜻으로, 파묻혀서 세상에 알려지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天: 하늘 藏: 감출 地: 祕: 숨길

  • 高峯撐天立長江割地去(고봉탱천립장강할지거) : 높은 봉우리는 하늘을 지탱(支撐)하여 서 있고, 긴 강은 을 가르고 감.
    高: 높을 峯: 봉우리 撐: 버틸 天: 하늘 立: 長: 江: 割: 나눌 地: 去:

  • 天崩地坼(천붕지탁) : (1)요란한 소리에 하늘이 무너지고 이 터져 나갈 듯이 흔들려 움직임. (2)제왕의 죽음, 큰 재앙 등 중대한 사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天: 하늘 崩: 무너질 地: 坼: 터질

  • 發福之地(발복지지) : 자손이 복을 받게 되는 좋은 집터나 묏자리.
    發: 福: 之: 地:

  • 邯鄲之枕(한단지침) :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邯: 땅 이름 鄲: 조나라 서울 之: 枕: 베개

  • 天災地變(천재지변) : 지진, 홍수, 태풍 따위의 자연 현상으로 인한 재앙.
    天: 하늘 災: 재앙 地: 變: 변할

  • 天旋地轉(천선지전) : (1)세상일이 크게 변함. (2)하늘과 이 핑핑 돈다는 뜻으로, 정신이 헷갈려 어수선함을 이르는 말.
    天: 하늘 旋: 地: 轉: 구를

  • 天涯地角(천애지각) : 하늘의 끝이 닿은 곳과 의 한 귀퉁이라는 뜻으로, 서로 멀리 떨어져 있음을 이르는 말.
    天: 하늘 涯: 물가 地: 角:

  • 天知地知汝知我知(천지지지여지아지) : 하늘이 알고, 이 알며, 자네가 알고, 내가 안다는 뜻으로, 세상(世上)에 비밀(秘密)이란 있을 수 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天: 하늘 知: 地: 知: 汝: 知: 我: 知:

  • 天地分格(천지분격) : 하늘과 이 갈라진 것처럼 서로 매우 다름.
    天: 하늘 地: 分: 나눌 格: 바로잡을

  • 片片沃土(편편옥토) : 어느 논밭이나 모두 다 비옥함.
    片: 조각 片: 조각 沃: 기름질 土:

  • 平身低頭(평신저두) : 몸을 낮추고 머리를 숙임.
    平: 평평할 身: 低: 낮을 頭: 머리

  • 花天月地(화천월지) : 꽃 피고 달 밝은 봄밤의 좋은 경치.
    花: 天: 하늘 月: 地:

  • 落庭米(락정미) : (1)되나 말 따위로 곡식을 되다가 에 떨어뜨린 곡식. (2)수고한 끝에 조금 얻어 차지하게 되는 변변치 못한 물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낙정미’의 북한어.
    庭: 米:

  • 辟陋之地(벽루지지) : 구석지고 비루(鄙陋)한 .
    辟: 임금 陋: 좁을 之: 地:

  • 浩氣(호기) : (1)하늘과 사이에 가득 찬 넓고 큰 원기. (2)거침없이 넓고 큰 기개.
    浩: 넓을 氣: 기운

  • 彈丸之地(탄환지지) : 사방이 적국에 싸여 공격의 대상이 되는 매우 좁은 .
    彈: 탄환 丸: 之: 地:

  • 天地開闢(천지개벽) : (1)원래 하나의 혼돈체였던 하늘과 이 서로 나뉘면서 이 세상이 시작되었다는 중국 고대의 사상에서 나온 말로, 천지가 처음으로 열림을 이르는 말. (2)자연계에서나 사회에서 큰 변혁이 일어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天: 하늘 地: 開: 闢:

  • 伏地流涕(복지유체) : 에 엎드려 눈물을 흘림.
    伏: 엎드릴 地: 涕: 눈물

  • 天壤懸隔(천양현격) : 하늘과 사이 같이 아주 현격(懸隔)한 차이(差異).
    天: 하늘 壤: 懸: 매달 隔: 사이 뜰

  • 螻蟻(루의) : (1)강아지와 개미라는 뜻으로, 작은 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누의’의 북한어.
    蟻: 개미

  • 天崩地壞(천붕지괴) : 하늘이 무너지고 이 꺼짐.
    天: 하늘 崩: 무너질 地: 壞: 무너질

  • 仰天府地(앙천부지) : 하늘을 우러러보고 을 굽어봄.
    仰: 우러를 天: 하늘 府: 곳집 地:

  • 天地神明(천지신명) : 천지의 조화를 주재하는 온갖 신령.
    天: 하늘 地: 神: 明: 밝을

  • 天傾西北邊地卑東南界(천경서북변지비동남계) : 하늘은 서북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은 동남쪽(東南-) 경계(境界)로 낮음.
    天: 하늘 傾: 기울 西: 서녘 北: 북녘 邊: 地: 卑: 낮을 東: 동녘 南: 남녘 界: 지경

  • 尺地莫非其有(척지막비기유) : 한 자의 도 그의 소유(所有) 아닌 것이 없다는 뜻으로, 임금이 천하(天下)의 모든 을 다 갖고 있음을 이르는 말.
    尺: 地: 莫: 없을 非: 아닐 其: 有: 있을

  • 上天下地(상천하지) : 위에 있는 하늘과 아래에 있는 이라는 뜻으로, 온 천지(天地)를 이르는 말.
    上: 天: 하늘 下: 아래 地:

  • 脚踏實地(각답실지) : 다리로 실제 을 밟았다는 뜻으로, 어떤 일을 하기 위하여 발로 뛰며 현장을 확인하는 성실한 태도를 이르는 말.
    脚: 다리 踏: 밟을 實: 열매 地:

  • 郢書燕說(영서연설) : 영(郢) 사람의 글을 연(燕)나라 사람이 설명(說明)한다는 뜻으로, 도리(道理)에 맞지 않는 일을 억지로 끌어대어 도리(道理)에 닿도록 함을 이르는 말.
    郢: 땅 이름 書: 燕: 제비 說: 말씀

  • 頂天立地(정천입지) : 하늘을 이고 위에 선다는 뜻으로, 홀로 서서 타인(他人)에게 의지(依支)하지 않음.
    頂: 정수리 天: 하늘 地:

  • 下凌上替(하릉상체) : 아래가 능멸하여 위가 쇠퇴한다는 뜻으로, 아랫사람이 윗사람을 능멸(凌犯)하여 윗사람의 권위(權威)가 에 떨어짐을 이르는 말.
    下: 아래 凌: 업신여길 上: 替: 바꿀

  • 驚天(경천) : 하늘을 놀라게 하고 을 뒤흔든다는 뜻으로, 세상을 몹시 놀라게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驚: 놀랄 天: 하늘

  • 家貧落魄(가빈낙탁) : 집안이 가난하여 혼백(魂魄)이 에 떨어진다는 뜻으로, 집안이 가난하여 뜻을 얻지 못하고 실의(失意)에 빠짐.
    家: 貧: 가난할 魄: 영락할

  • 地醜德齊(지추덕제) : 토지의 크기나 덕이 서로 비슷하다는 뜻으로, 서로 조건이 비슷함을 이르는 말. ≪맹자≫의 <공손추하(公孫丑下)>에서 유래한다.
    地: 醜: 더러울 德: 齊: 가지런할

  • 邊上重地(변상중지) : 변경의 중요한 .
    邊: 上: 重: 무거울 地:

  • 山中開野(산중개야) : 산속에 넓게 자리 잡은 편평한 평야.
    山: 中: 가운데 開: 野:

  • 天長地久(천장지구) : (1)하늘과 은 영원함을 이르는 말. (2)하늘과 처럼 영구히 변함이 없음을 이르는 말.
    天: 하늘 長: 地: 久: 오랠

  • 望蜀之歎(망촉지탄) : 촉(蜀) 을 얻고 싶어 하는 탄식(歎息ㆍ嘆息)이라는 뜻으로, 인간(人間)의 욕심(慾心)은 한이 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望: 바랄 蜀: 나라 이름 之: 歎: 탄식할

  • 千里乾坤(천리건곤) : 멀리 넓게 뻗친 하늘과 .
    千: 일천 里: 마을 乾: 마를 坤: 곤괘

  • 伏地謝禮(복지사례) : (1)에 엎드려 공손히 고마움에 대한 사례를 표함. (2)에 엎드려 공손히 용서를 빎.
    伏: 엎드릴 地: 謝: 사례할 禮: 예도

  • 懷橘墮地(회귤타지) : 품었던 귤이 에 떨어진다는 뜻으로, 효자의 정성을 이르는 말.
    懷: 품을 橘: 귤나무 墮: 떨어질 地:

  • 宵壤之判(소양지판) : 하늘과 의 떨어짐이라는 뜻으로, 하늘과 처럼 두 사물의 차이가 엄청나게 다르다는 말.
    宵: 壤: 之: 判: 뻐갤

  • 鴻鵠高飛不集汚地(홍곡고비부집오지) : 큰 기러기와 고니는 높이 날면서 더러운 에는 머무르지 않음.
    鴻: 큰기러기 鵠: 고니 高: 높을 飛: 不: 아닌가 集: 모일 汚: 더러울 地:

  • 一敗塗地(일패도지) : 싸움에 한 번 패하여 간과 뇌가 바닥에 으깨어진다는 뜻으로, 여지없이 패하여 다시 일어날 수 없게 되는 지경에 이름을 이르는 말. 한 고조 유방의 말로서 ≪사기≫의 <고조본기(高祖本紀)>에 나오는 말이다.
    一: 敗: 패할 塗: 진흙 地:

  • 天圓地方(천원지방) : (1)하늘은 둥글고 은 네모남을 이르는 말. 중국 진(秦)나라 때의 ≪여씨춘추전(呂氏春秋傳)≫에 나오는 말이다. (2)‘돈’의 북한어.
    天: 하늘 圓: 둥글 地: 方:

  • 伏地不動(복지부동) : 에 엎드려 움직이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주어진 일이나 업무를 처리하는 데 몸을 사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伏: 엎드릴 地: 不: 아닌가 動: 움직일

  • 一牛鳴地(일우명지) : 소의 울음소리가 들릴 정도로 가까운 거리의 .
    一: 牛: 鳴: 地:

  • 適地適作(적지적작) : 알맞은 에 알맞은 작물을 골라 심음.
    適: 地: 適: 作: 지을

  • 容之如地(용지여지) : 포용함이 과 같다는 뜻으로, 대지(大地)가 만물을 포용하듯이 받아들이는 마음이 너그럽고 큼을 비유하는 말.
    容: 얼굴 之: 如: 같을 地:

  • 沖和之氣(충화지기) : 하늘과 사이의 조화를 이루는 기운.
    沖: 和: 고를 之: 氣: 기운

  • 擊壤之歌(격양지가) : 을 두드리며 부르는 노래라는 뜻으로, 매우 살기 좋은 시절(時節)을 말함.
    擊: 壤: 之: 歌: 노래

2
#자연 73 #의지 69 #구름 67 #사용 312 #모습 66 #물건 136 #얼굴 99 #이름 211 #생활 82 #상대 56 #학문 107 #신하 62 #형용 67 #유래 280 #따위 228 #실패 56 #때문 58 #목숨 58 #고사 108 #재앙 64 #훌륭 85 #나라 392 #노력 69 #경계 56 #이익 89 #백성 105 #속담 63 #여자 101 #나무 166 #하늘 251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47개) : 따, 딱, 딴, 딸, 땀, 땃, 땅, 땇, 때, 땜, 땡, 떡, 떨, 떰, 떵, 떼, 떽, 뗌, 뗑, 또, 똑, 똔, 똘, 똠, 똥, 똧, 뙈, 뙤, 뙹, 뚜, 뚝, 뚤, 뚱, 뛔, 뛰, 뜀, 뜨, 뜩, 뜰, 뜸, 뜻, 뜾, 띄, 띠, 띡, 띰, 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