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풀이

🦚
  • 하나 , 처음 , 모조리 , 같다 , 어떤
  • 가로 그은 획 하나로 '하나'라는 수를 나타낸 글자임

# 에 관한 한자 모두 218

  • 借書一瓻 획순 借書瓻(차서일치) : 책을 빌리면 술 한 병(甁). 옛날에 책을 빌릴 때와 돌려보낼 때의 사례(謝禮)로 술 한 병(甁)을 보낸 것을 이르는 말.
    借: 書: 一: 瓻: 술 단지

  • 萬法一如 획순 萬法如(만법일여) : 온갖 법이 공(空) 또는 진여(眞如)로 귀착하여 하나로 됨을 이르는 말.
    萬: 일만 法: 一: 如: 같을

  • 便同一室 획순 便同室(변동일실) : 사이가 아주 가까워 한 가족 같음.
    便: 똥오줌 同: 한가지 一: 室:

  • 一望無際 획순 望無際(일망무제) : 한눈에 바라볼 수 없을 정도로 아득하게 멀고 넓어서 끝이 없음.
    一: 望: 바랄 無: 없을 際: 사이

  • 一資半級 획순 資半級(일자반급) : 예전에, 보잘것없는 작은 벼슬을 이르던 말.
    一: 資: 재물 半: 級: 등급

  • 毛不拔(일모불발) : 털 하나라도 남을 위하여 뽑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몹시 인색하고 이기적임을 이르는 말.
    一: 毛: 不: 아니 拔:

  • 短(일장일단) : 일면의 장점과 다른 일면의 단점을 통틀어 이르는 말.
    一: 長: 一: 短: 짧을

  • 退(일진일퇴) : 한 번 앞으로 나아갔다 한 번 뒤로 물러섰다 함.
    一: 進: 나아갈 一: 退: 물러날

  • 毫半點(일호반점) : ‘일호’를 강조하여 이르는 말.
    一: 毫: 가는 털 半: 點:

  • 白鷺千點雪黃鶯片金(백로천점설황앵일편금) : 백로는 천점의 눈과 같이 희고, 누런 꾀꼬리는 한 조각의 금과 같음.
    白: 鷺: 해오라기 千: 일천 點: 雪: 黃: 누를 鶯: 꾀꼬리 一: 片: 조각 金:

  • 口二言(일구이언) : 한 입으로 두 말을 한다는 뜻으로, 한 가지 일에 대하여 말을 이랬다저랬다 함을 이르는 말.
    一: 口: 二: 言: 말씀

  • 千金笑(천금일소) : 한 번의 웃음이 천금의 값이 나간다는 뜻으로, 미인(美人)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千: 일천 金: 一: 笑: 웃을

  • 日之長(일일지장) : (1)하루 먼저 세상에 태어났다는 뜻으로, 나이가 조금 위임을 이르는 말. (2)조금 나음. 또는 그런 선배.
    一: 日: 之: 長:

  • 百聞不如見(백문불여일견) : 백 번 듣는 것이 한 번 보는 것만 못 하다는 뜻으로, (1) 무엇이든지 경험(經驗)해 보아야 보다 확실(確實)히 알 수 있다는 말 (2) 간접적(間接的)으로 듣기 만하면 암만 해도 직접(直接) 보는 것보다는 확실(確實)하지 못하다는 말.
    百: 일백 聞: 들을 不: 아니 如: 같을 一: 見:

  • 場春夢(일장춘몽) : (1)한바탕의 봄꿈이라는 뜻으로, 헛된 영화나 덧없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단가의 하나. 세상 공명(功名) 하직하고, 부귀영화도 일장춘몽에 지나지 않으니 경치나 찾아다니며 흥취를 돋우자는 내용이다.
    一: 場: 마당 春: 夢:

  • 名滿國(명만일국) : 이름이 한 나라에 널리 퍼짐.
    名: 이름 滿: 一: 國: 나라

  • 不知二(지일부지이) : 하나만 알고 둘을 모른다는 뜻으로, 한쪽은 알면서 다른 한쪽은 모르는 것처럼 식견이 좁음을 이르는 말.
    知: 一: 不: 아닌가 知: 二:

  • 渾然致(혼연일치) : 의견이나 주장 따위가 완전히 하나로 일치함.
    渾: 흐릴 然: 그러할 一: 致: 이룰

  • 顧傾城(일고경성) : 한 번 돌아보면 성이 기운다는 뜻으로, 뛰어난 미인을 이르는 말.
    一: 顧: 돌아볼 傾: 기울 城:

  • 烏飛色(오비일색) : 날고 있는 까마귀가 모두 같은 빛깔이라는 뜻으로, 모두 같은 부류이거나 서로 똑같음을 이르는 말.
    烏: 까마귀 飛: 一: 色:

  • 觸卽發(일촉즉발) : 한 번 건드리기만 해도 폭발할 것같이 몹시 위급한 상태.
    一: 觸: 닿을 卽: 發:

  • 以貫之(일이관지) : (1)하나의 방법이나 태도로써 처음부터 끝까지 한결같음. (2)모든 것을 하나의 원리로 꿰뚫어 이야기함.
    一: 以: 貫: 之:

  • 九死生(구사일생) : 아홉 번 죽을 뻔하다 한 번 살아난다는 뜻으로, 죽을 고비를 여러 차례 넘기고 겨우 살아남을 이르는 말.
    九: 아홉 死: 죽을 一: 生:

  • 豚蹄酒(돈제일주) : 돼지 발굽과 술 한 잔이라는 뜻으로, 작은 물건으로 많은 물건을 구하려 한다는 뜻.
    豚: 돼지 蹄: 一: 酒:

  • 萬口談(만구일담) : 많은 사람의 의견이 일치함.
    萬: 일만 口: 一: 談: 말씀

  • 泰山鳴動鼠匹(태산명동서일필) : 태산이 떠나갈 듯 요동쳤으나 뛰어나온 것은 쥐 한 마리뿐이라는 뜻으로, 예고는 거창하게 했으나 결과가 보잘것없음을 이르는 말.
    泰: 山: 鳴: 動: 움직일 鼠: 一: 匹:

  • 千載遇(천재일우) : 천 년 동안 단 한 번 만난다는 뜻으로,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좋은 기회를 이르는 말.
    千: 일천 載: 실을 一: 遇: 만날

  • 始終如(시종여일) : 처음부터 끝까지 변함없이 한결같음.
    始: 처음 終: 끝날 如: 같을 一:

  • 滄海滴(창해일적) : 넓고 큰 바다 속의 물방울 하나라는 뜻으로, 아주 큰 물건(物件) 속에 있는 아주 작은 물건(物件).
    滄: 海: 바다 一: 滴: 물방울

  • 掀動世(흔동일세) : 위세가 대단하여 한세상을 뒤흔듦.
    掀: 치켜들 動: 움직일 一: 世: 인간

  • 天下色(천하일색) : 세상에 드문 아주 뛰어난 미인.
    天: 하늘 下: 아래 一: 色:

  • 點(청일점) : 많은 여자 사이에 끼어 있는 한 사람의 남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靑: 푸를 一: 點:

  • 千載時(천재일시) : 단 한 번의 순간이라는 뜻으로,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좋은 기회를 이르는 말.
    千: 일천 載: 실을 一: 時:

  • 敗塗地(일패도지) : 싸움에 한 번 패하여 간과 뇌가 땅바닥에 으깨어진다는 뜻으로, 여지없이 패하여 다시 일어날 수 없게 되는 지경에 이름을 이르는 말. 한 고조 유방의 말로서 ≪사기≫의 <고조본기(高祖本紀)>에 나오는 말이다.
    一: 敗: 패할 塗: 진흙 地:

  • 知十(문일지십) : 하나를 듣고 열 가지를 미루어 안다는 뜻으로, 지극히 총명함을 이르는 말. ≪논어≫의 <공야장편(公冶長篇)>에 나오는 말이다.
    聞: 들을 一: 知: 十:

  • 未成簣(미성일궤) : 산을 만들 때에 마지막 한 삼태기를 덜 얹어 산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뜻으로, 마지막 노력을 소홀히 하면 일이 실패함을 이르는 말.
    未: 아닐 成: 이룰 一: 簣: 삼태기

  • 鷄群鶴(계군일학) :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鷄: 群: 무리 一: 鶴:

  • 眼空世(안공일세) : 온 세상이 눈 안에 들어온다는 뜻으로, 세상 사람을 업신여김을 이르는 말.
    眼: 空: 一: 世: 인간

  • 心機轉(심기일전) : 어떤 동기가 있어 이제까지 가졌던 마음가짐을 버리고 완전히 달라짐.
    心: 마음 機: 베틀 一: 轉: 구를

  • 萬法歸(만법귀일) : 모든 것이 마침내 한군데로 돌아감. 1,700가지 공안(公案) 가운데 하나이다.
    萬: 일만 法: 歸: 돌아갈 一:

  • 學行致(학행일치) : 배움과 실천이 하나로 들어맞음. 또는 배운 대로 실행함.
    學: 배울 行: 一: 致: 이룰

  • 牛鳴地(일우명지) : 소의 울음소리가 들릴 정도로 가까운 거리의 땅.
    一: 牛: 鳴: 地:

  • 無二(유일무이) : 오직 하나뿐이고 둘도 없음.
    唯: 오직 一: 無: 없을 二:

  • 激化路(격화일로) : 격렬하게 되는 과정.
    激: 부딪쳐흐를 化: 화할 一: 路:

  • 可取(무일가취) : 한 가지도 취할 만한 것이 없음.
    無: 없을 一: 可: 옳을 取: 취할

  • 如失臂(여실일비) : 한쪽 팔을 잃은 것과 같다는 뜻으로, 가장 믿고 힘이 되는 사람을 잃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如: 같을 失: 잃을 一: 臂:

  • 形體雖異素受血(형체수이소수일혈) : 형상(形像)과 몸은 비록 다르나 본래(本來) 한 핏줄기를 이어받았음.
    形: 형상 體: 雖: 비록 異: 다를 素: 受: 받을 一: 血:

  • 桃梨千機錦江山畵屛(도리천기금강산일화병) : 복숭아와 배는 일 천 개 베틀의 비단(緋緞)이요, 강과 산은 한 폭의 병풍(屛風)임.
    桃: 복숭아나무 梨: 배나무 千: 일천 機: 베틀 錦: 비단 江: 山: 一: 畵: 그림 屛: 병풍

  • 答(일문일답) : 한 번 물음에 대하여 한 번 대답함.
    一: 問: 물을 一: 答: 대답할

  • 終始如(종시여일) : 처음부터 끝까지 변함없이 한결같음.
    終: 끝날 始: 처음 如: 같을 一:

  • 大海粟(대해일속) : 큰 바닷속의 좁쌀 한 알이라는 뜻으로, ‘창해일속’을 달리 이르는 말.
    大: 海: 바다 一: 粟:

  • 凡聖如(범성일여) : 범부와 성자는 구별이 있으나, 그 본성은 동일하다는 말.
    凡: 무릇 聖: 성스러울 一: 如: 같을

  • 同功體(동공일체) : (1)같은 공로를 세워 같은 지위에 있음. (2)일의 공효(功效)가 서로 같음.
    同: 한가지 功: 一: 體:

  • 筆揮之(일필휘지) : 글씨를 단숨에 죽 내리 씀.
    一: 筆: 揮: 휘두를 之:

  • 魚濁水(일어탁수) : 한 마리의 물고기가 물을 흐린다는 뜻으로, 한 사람의 잘못으로 여러 사람이 피해를 입게 됨을 이르는 말.
    一: 魚: 고기 濁: 흐릴 水:

  • 始終貫(시종일관) : 일 따위를 처음부터 끝까지 한결같이 함.
    始: 처음 終: 끝날 一: 貫:

  • 四歸成(사귀일성) : 넷이 모여 하나를 이룸. 목화 네 근이 솜 한 근이 되고 말리지 아니한 인삼 네 근이 건삼 한 근이 되는 것 따위를 이른다.
    四: 歸: 돌아갈 一: 成: 이룰

  • 等覺轉(등각일전) : 깊은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러 그 길의 한 파(派)를 새로 엶. 등각에서 일전하여 묘각의 자리에 이른다는 마하지관에서 유래한다.
    等: 등급 覺: 깨달을 一: 轉: 구를

  • 面目新(면목일신) : 얼굴이 아주 새로워졌다는 뜻으로, 세상(世上)에 대(對)한 체면(體面)이나 명예(名譽), 사물(事物)의 모양(模樣), 일의 상태(狀態)가 완전(完全)히 새롭게 됨을 이르는 말.
    面: 目: 一: 新:

  • 言文致(언문일치) : 실제로 쓰는 말과 그 말을 적은 글이 일치함.
    言: 말씀 文: 글월 一: 致: 이룰

  • 在此擧(재차일거) : 단판으로 결판을 내어야 할 형세.
    在: 있을 此: 一: 擧:

  • 不成(무일불성) : 이루지 못하는 일이 한 가지도 없음.
    無: 없을 一: 不: 아니 成: 이룰

  • 兩者擇(량자택일) : (1)둘 중에서 하나를 고름. (2)‘양자택일’의 북한어.
    者: 擇: 가릴 一:

  • 危機髮(위기일발) : 여유가 조금도 없이 몹시 절박한 순간.
    危: 위태할 機: 베틀 一: 髮: 터럭

  • 目瞭然(일목요연) : ‘일목요연하다’의 어근.
    一: 目: 然: 그러할

  • 葉片舟(일엽편주) : 한 척의 조그마한 배.
    一: 葉: 片: 조각 舟:

  • 切唯心造(일체유심조) : (1)불교에서, 모든 것은 마음먹기에 달려 있다고 여기는 사상. (2)모든 것은 오직 마음이 지어낸다는 뜻으로, 모든 일에 마음가짐이 중요함을 이르는 말.
    一: 切: 모두 唯: 오직 心: 마음 造: 지을

  • 千慮得(천려일득) : 천 번을 생각하여 하나를 얻는다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많은 생각을 하면 그 과정에서 한 가지쯤은 좋은 것이 나올 수 있음을 이르는 말.
    千: 일천 慮: 생각할 一: 得: 얻을

  • 諾千金(일낙천금) : (1)한번 승낙한 것은 천금같이 귀중하다는 뜻으로, 약속을 소중히 여기라는 말. (2)천금같이 귀중한 승낙.
    一: 諾: 대답할 千: 일천 金:

  • 初志貫(초지일관) : 처음에 세운 뜻을 끝까지 밀고 나감.
    初: 처음 志: 一: 貫:

  • 巢林枝(소림일지) : 규모가 작은 집.
    巢: 보금자리 林: 수풀 一: 枝: 가지

  • 大喝聲(대갈일성) : 크게 외쳐 꾸짖는 한마디의 소리.
    大: 喝: 꾸짖을 一: 聲: 소리

  • 可觀(무일가관) : 한 가지도 볼 만한 것이 없음.
    無: 없을 一: 可: 옳을 觀:

  • 黃粱炊夢(황량일취몽) :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잠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산 꿈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黃: 누를 粱: 기장 一: 炊: 불땔 夢:

  • 勵百(징일여백) : 한 사람을 징계하여 여러 사람을 격려함.
    懲: 혼날 一: 百: 일백

  • 愚者得(우자일득) :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잘하는 것이 있음.
    愚: 어리석을 者: 一: 得: 얻을

  • 實(일허일실) : 없어졌다 생겨났다 한다는 뜻으로, 변화가 무쌍함을 이르는 말.
    一: 虛: 一: 實: 열매

  • 寸光陰(일촌광음) : 매우 짧은 동안의 시간.
    一: 寸: 마디 光: 陰: 응달

  • 絲不亂(일사불란) : 한 오리 실도 엉키지 아니함이란 뜻으로, 질서가 정연하여 조금도 흐트러지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一: 絲: 不: 아니 亂: 어지러울

  • 紅爐上點雪(홍로상일점설) : (1)빨갛게 달아오른 화로 위에 한 송이의 눈을 뿌리면 순식간에 녹아 없어지는 데에서, 도를 깨달아 의혹이 일시에 없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사욕(私慾)이나 의혹(疑惑)이 일시에 꺼져 없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紅: 붉을 爐: 화로 上: 一: 點: 雪:

  • 網打盡(일망타진) : 한 번 그물을 쳐서 고기를 다 잡는다는 뜻으로, 어떤 무리를 한꺼번에 모조리 다 잡음을 이르는 말. ≪송사(宋史)≫의 <범순인전(范純仁傳)>에 나오는 말이다.
    一: 網: 그물 打: 盡: 다할

  • 桂林枝(계림일지) : (1)대수롭지 않은 출세를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극선(郤詵)이 현량과에 제일(第)로 천거되었으나 이에 만족하지 않고 겨우 계수나무 숲에서 나뭇가지 하나를 얻었을 뿐이라고 말한 데에서 유래한다. (2)사람됨이 출중하면서도 청빈하고 겸손함을 이르는 말.
    桂: 계수나무 林: 수풀 一: 枝: 가지

  • 十盲杖(십맹일장) : 열 맹인(盲人)에 한 개의 지팡이라는 뜻으로, 여러 곳에 긴요하게 쓰이는 물건을 이르는 말.
    十: 盲: 소경 一: 杖: 지팡이

  • 呼百諾(일호백낙) : (1)한 사람이 소리 내어 외치면 여러 사람이 예 하고 그에 따름. (2)한 사람의 말이나 행동에 따라 여러 사람이 일사불란하게 움직임을 이르는 말.
    一: 呼: 부를 百: 일백 諾: 대답할

  • 百尺竿頭進步(백척간두진일보) : 백 자나 되는 높은 장대 위에 다달아 또 한걸음 더 나아간다는 뜻으로, 이미 할 수 있는 일을 다한 것인 데 또 한 걸음 나아간다 함은 더욱 노력(努力)하여 위로 향한다는 말.
    百: 일백 尺: 竿: 장대 頭: 머리 進: 나아갈 一: 步: 걸을

  • 字千金(일자천금) : 글자 하나의 값이 천금의 가치가 있다는 뜻으로, 글씨나 문장이 아주 훌륭함을 이르는 말. 중국 진(秦)나라 여불위가 ≪여씨춘추≫를 지어 셴양(咸陽)의 성문에 놓아두고, 내용 가운데 한 글자라도 첨삭(添削)하는 사람이 있다면 천금을 주겠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一: 字: 글자 千: 일천 金:

  • 九牛毛(구우일모) : 아홉 마리의 소 가운데 박힌 하나의 털이란 뜻으로, 매우 많은 것 가운데 극히 적은 수를 이르는 말.
    九: 아홉 牛: 一: 毛:

  • 千篇律(천편일률) : (1)여러 시문의 격조(格調)가 모두 비슷하여 개별적 특성이 없음. (2)여럿이 개별적 특성이 없이 모두 엇비슷한 현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千: 일천 篇: 一: 律:

  • 言以蔽之(일언이폐지) : 한마디로 그 전체의 뜻을 다 말함.
    一: 言: 말씀 以: 蔽: 가릴 之:

  • 人而天下譽之(상일인이천하예지) : 한 사람에게 상을 주면 천하(天下)가 기린다는 뜻으로, 군주(君主)가 정치(政治)를 베풀어 선인을 한 사람 표창(表彰)하면 천하(天下)의 백성(百姓)은 그 정사(政事)의 공평(公平)함을 칭송(稱頌)한다는 말.
    賞: 상줄 一: 人: 사람 而: 말 이을 天: 하늘 下: 아래 譽: 기릴 之:

  • 代(일생일대) : 한 사람이 나서 죽을 때까지의 동안.
    一: 生: 一: 代: 대신

  • 刀兩斷(일도양단) : (1)칼로 무엇을 대번에 쳐서 두 도막을 냄. (2)어떤 일을 머뭇거리지 아니하고 선뜻 결정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一: 刀: 斷: 끊을

  • 如出口(여출일구) : 한 입에서 나오는 것처럼 여러 사람의 말이 같음을 이르는 말.
    如: 같을 出: 一: 口:

  • 反三(거일반삼) : 하나를 들어 셋을 돌이켜 안다는 뜻으로, 한 가지 일을 하여 여러 가지 이익을 얻음을 이르는 말.
    擧: 一: 反: 돌이킬 三:

  • 萬不失(만불실일) : 조금도 과실이나 틀림이 없음.
    萬: 일만 不: 아니 失: 잃을 一:

  • 鼓作氣(일고작기) : 개전(開戰) 신호로 한 번 북을 쳐 병사들의 원기를 진작한다는 뜻으로, 맨 처음에 원기를 진작하여 일에 임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一: 鼓: 作: 지을 氣: 기운

  • 事不再理(일사부재리) : 형사 소송법에서, 한번 판결이 난 사건에 대하여서는 다시 공소를 제기할 수 없다는 원칙.
    一: 事: 不: 아닌가 再: 理: 다스릴

  • (毛利天) : 下不爲也발일모리천하불위야 - 털 하나 뽑는 것 같은 작은 일로써 천하(天下)를 이롭게 할 수 있는 것도 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다만 자기(自己) 이익(利益)에 사로잡혀 타인(他人)의 일은 조금도 생각하지 않음.

  • 萬死生(만사일생) : 만 번 죽을 고비를 넘겨 한 번 살아난다는 뜻으로, 목숨이 매우 위태로운 처지에서 겨우 살아남을 이르는 말. ≪정관정요≫에 나오는 말이다.
    萬: 일만 死: 죽을 一: 生:

  • 群鷄鶴(군계일학) :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진서(晉書)≫의 <혜소전(嵆紹傳)>에 나오는 말이다.
    群: 무리 鷄: 一: 鶴:

1 3
#상태 110 #처음 91 #이익 89 #자연 73 #비유 1177 #이치 67 #세상 339 #부부 76 #표현 88 #이름 211 #죽음 73 #사용 312 #구름 67 #지위 65 #태도 72 #사이 200 #가운데 104 #모습 66 #바람 136 #동안 70 #근본 66 #실패 56 #음식 79 #사랑 91 #싸움 61 #하늘 251 #은혜 70 #정도 153 #소리 96 #형용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