擧一反三(거일반삼) 풀이

擧一反三

거일반삼

하나를 들어 셋을 돌이켜 안다는 뜻으로, 한 가지 일을 하여 여러 가지 이익을 얻음을 이르는 말.

# #영리 #사리 #이익 # #출전 #능력 #의미 #해결


한자 풀이:
  • (들 ): 들다, 오르다, 움직이다, 행실(行實), 가다.
  • (한 ): 하나, 처음, 모조리, 같다, 어떤.
  • (돌이킬 ): 돌이키다, 반절(反切), 뒤치다, 팔다, 뒤엎음.
  • (석 ): 석, 자주, 세, 거듭, 셋.
🥝 擧一反三(거일반삼) 웹스토리 보기
擧一反三(거일반삼)의 의미: 하나를 들어 셋을 돌이켜 안다는 뜻으로, 한 가지 일을 하여 여러 가지 이익을 얻음을 이르는 말.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擧棋不定 획순 棋不定(기부정)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覺(각) : 스승이 들어 보여서 학인(學人)이 깨닫는다는 뜻으로, 스승과 학인이 만나는 일을 이르는 말.
  • 頭對面(두대면) : 머리를 들어 서로 얼굴을 마주 대함.
  • 百捷(백백첩) : 백 번 들어 백 번 다 빠르게 하다는 뜻으로, 온갖 일이 다 뜻대로 잘 되어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言行相反 획순 言行相(언행상) : 말과 행동이 하나로 이른다는 뜻으로, 말과 행동이 같다는 의미.
  • 抑揚覆(억양복) : 혹은 억제하고 혹은 찬양하기를 여러 번 뒤집음.
  • 迷途知(미도지) : 길을 잃으면 돌아올 줄 안다는 뜻으로, 바른 길을 찾다가 못 찾으면 근본에서 다시 생각할 줄을 안다는 의미.
  • 哺之孝(포지효) :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효(孝)라는 뜻으로, 자식이 자란 후에 어버이의 은혜를 갚는 효성을 이르는 말.

  • 三益友 획순 益友(익우) :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세 가지의 벗. 심성이 곧은 사람과 믿음직한 사람, 문견이 많은 사람을 이른다.
  • 分鼎足(분정족) : 셋으로 나뉜 것이 솥의 발 같다는 뜻으로, 솥발처럼 삼자(三者) 천하를 삼분(三分)하고 있다는 의미.
  • 水甲山(수갑산) : 우리나라에서 가장 험한 산골이라 이르던 삼수와 갑산. 조선 시대에 귀양지의 하나였다.
  • 豕渡河(시도하) : 글자를 오독(誤讀)하거나 오용(誤用)함을 이르는 말. ‘기해’를 ‘삼시(三豕)’로, ‘섭하(涉河)’를 ‘도하’로 잘못 읽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擧一反三(거일반삼) 관련 한자

  • 魂飛中天 획순 魂飛中天(혼비중천) : (1)혼이 하늘의 한가운데에 떴다는 뜻으로, 정신없이 허둥거림을 이르는 말. (2)죽은 사람의 혼이 공중에 떠돌아다님.
  • 齒亡脣亦支(치망순역지) :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산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있던 것이 없어져서 불편(不便)하더라도 없는 대로 참고 살아간다는 말.
  • 愚問賢答(우문현답) : 어리석은 질문에 대한 현명한 대답.

  • 天方地方 획순 天方地方(천방지방)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可與樂成(가여낙성) :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함께 일의 성공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 濫竽(남우)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불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불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一騎當千 획순 一騎當千(일기당천) : 한 사람의 기병이 천 사람을 당한다는 뜻으로, 싸우는 능력이 아주 뛰어남을 이르는 말.
  • 述者之能(술자지능) : (1)글이 잘되고 못 되는 것은 쓴 사람의 능력에 달렸음을 이르는 말. (2)일이 잘되고 안되는 것은 그 사람의 수단에 달렸음을 이르는 말.
  • 經國之才(경국지재) : 나라의 일을 맡아 다스릴 만한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사람.

  • 哲夫成成哲婦傾城 획순 哲夫成成哲婦傾城(철부성성철부경성) : 현명(賢明)한 남자(男子)는 성을 흥하게 하지만, 영리(怜悧ㆍ伶俐)한 여자(女子)는 성을 기울게 한다는 뜻으로, 지나치게 똑똑한 여성(女性)은 오히려 화를 불러옴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聰明好學(총명호학) : 재주가 있고 영리하며 학문을 좋아함.
  • 風前細柳(풍전세류) : 바람 앞에 나부끼는 세버들이라는 뜻으로, 부드럽고 영리한 전라도 사람의 성격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擧棋不定 획순 擧棋不定(거기부정)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束手無策(속수무책)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함.
  • 空前絶後(공전절후) : 앞에도 비어있고, 뒤에도 끊어졌다는 뜻으로, 비교할 것이 이전에도 없고 이후에도 없다는 의미로 워낙 독특해서 비교할 만한 것이 없다는 의미.

  • 輪遞天子 획순 輪遞天子(윤체천자) : 바퀴가 돌 듯 갈마드는 천자라는 뜻으로, 돌아가며 한번씩 하는 천자자리인 ‘돌림천자’라는 의미인데, 사대주의로부터 벗어나야 한다는 호방한 기상을 엿볼 수 있는 백호(白湖) 임제(林悌)의 주장에서 유래함.[출전]《성호사설(星湖僿說)》〈선희학(善戱謔)>.
  • 出於何典(출어하전) : 어느 책에 나왔냐는 뜻으로, 근거가 되는 출전(出典)이 무엇이냐고 묻는 말.
  • 地醜德齊(지추덕제) : 토지의 크기나 덕이 서로 비슷하다는 뜻으로, 서로 조건이 비슷함을 이르는 말. ≪맹자≫의 <공손추하(公孫丑下)>에서 유래한다.

  • 百計無策 획순 百計無策(백계무책) : 어려운 일을 당하여 온갖 계교를 다 써도 해결할 방도를 찾지 못함.
  • 結者解之(결자해지) : 맺은 사람이 풀어야 한다는 뜻으로, 자기가 저지른 일은 자기가 해결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 釜底抽薪(부저추신) : 솥 밑의 장작을 뺀다는 뜻으로, 타는 장작을 빼내 솥이 끓어오르는 것을 막는 것처럼 어떤 일을 근본적으로 해결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중국 253 #어머니 72 #나라 392 #관계 90 #동안 70 #음식 79 #속담 63 #때문 58 #사용 312 #행동 137 #상대 56 #집안 93 #인간 65 #의지 69 #사물 172 #모습 66 #얼굴 99 #경우 64 #마음 496 #나이 97 #방법 59 #자연 73 #소리 96 #태도 72 #죽음 73 #유래 280 #지위 65 #따위 228 #물건 136 #서로 71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57개) : 가얌버슷, 개암버섯, 갱유분서, 거일반삼, 검열분석, 검임배심, 게울박수, 견여반석, 견이불식, 과일빙수, 관안보살, 관음보살, 관인복색, 금은보석, 기와버섯, 가압 부상, 가약 분수, 가요 방송, 간이 방석, 간이 분석, 감압 반사, 감압 부싱, 개인 비서, 거울 반사, 게임 백서, 경영 방식, 경영 분석, 고압 배선, 고역 보상, 고온 부식, 고유 반사, 곧은 버선, 공업 분산, 공업 분석, 공영 방송, 공영 버스, 공용 변수, 공유 변수, 과업 분석, 관용 버스, 광역 버스, 광역 변수, 교육 봉사, 교육 분석, 구역 반사, 국영 방송, 군용 버스, 권원 분석, 균일 부식, 근위 병사, 근육 발생, 근육 변성, 기약 분수, 기어 박스, 기어 변속, 기우 법석, 깊은 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