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 에 관한 한자 모두 1,817

  • 生榮死哀 획순 生榮死哀(생영사애) : 살아서 영화롭고 죽어서 애도하다는 뜻으로, 훌륭한 사람은 살아서는 존경을 받고, 죽어서는 애통해함을 받는다는 의미.
    生: 榮: 영화 死: 죽을 哀: 슬플

  • 白手乾達 획순 白手乾達(백수건달) : 돈 한 푼 없이 빈둥거리며 놀고먹는 건달.
    白: 手: 乾: 마를 達: 통할

  • 代代孫孫 획순 代代孫孫(대대손손) : 오래도록 내려오는 여러 대.
    代: 대신 代: 대신 孫: 손자 孫: 손자

  • 十行俱下 획순 十行俱下(십행구하) : 열 줄의 글을 단번에 읽어 내려간다는 뜻으로, 책 읽는 속도가 매우 빠름을 이르는 말.
    十: 行: 俱: 함께 下: 아래

  • 智圓行方 획순 智圓行方(지원행방) : 슬기로움은 원만하고 행동은 방정하다는 뜻으로, 슬기로움은 두루 통하여 모르는 것이 없기를 원하고, 행실은 방정하여 예에 어긋남이 없기를 원한다는 의미.
    智: 슬기 圓: 둥글 行: 方:

  • 三度得伸(삼도득신) : 송사(訟事)에서 초심(初審), 재심(再審), 삼심(三審)을 계속하여 승소하는 일.
    三: 度: 법도 得: 얻을 伸:

  • 無所忌憚(무소기탄) : 아무 꺼릴 바가 없음.
    無: 없을 所: 忌: 꺼릴 憚: 꺼릴

  • 有心故造(유심고조) : 마음이 있어 일부러 만든다는 뜻으로, 남의 다리를 잡아당기거나 쓰러뜨리려고 음모를 꾀하고 일부러 일을 벌인다는 의미.
    有: 있을 心: 마음 故: 造: 지을

  • 面譽不忠(면예불충) : 면전에서 남을 칭찬하는 사람은 정성스러운 마음이 적음.
    面: 譽: 기릴 不: 아니 忠: 충성

  • 暴殄天物(포진천물) : 물건을 아까운 줄 모르고 마구 써 버리거나 아껴 쓰지 아니하고 함부로 버림.
    暴: 사나울 殄: 다할 天: 하늘 物: 만물

  • 生巫殺人(생무살인) : 선무당이 사람을 잡는다는 뜻으로, 미숙한 사람이 일을 그르침을 이르는 말.
    生: 巫: 무당 殺: 죽일 人: 사람

  • 克己復禮(극기복례) : 자기의 욕심을 누르고 예의범절을 따름.
    克: 이길 己: 復: 회복할 禮: 예도

  • 水至淸無魚(수지청무어) : 물이 너무 맑으면 물고기가 없다는 뜻으로, 사람이 너무 지나치게 따지고 재면 따르는 무리가 없다는 의미. [= 水淸無大魚(수청무대어)].
    水: 至: 이를 淸: 맑을 無: 없을 魚: 고기

  • 速去千里(속거천리) : (1)어서 멀리 가라는 뜻으로, 귀신을 쫓을 때 쓰는 말. (2)노래기를 없앤다고 하여 서까래에 써 붙이는 글의 끝마디.
    速: 빠를 去: 千: 일천 里: 마을

  • 無男獨女(무남독녀) : 아들이 없는 집안의 외동딸.
    無: 없을 男: 사내 獨: 홀로 女: 여자

  • 葉落知秋(엽락지추) : 낙엽이 떨어지는 것으로 가을을 한다는 뜻으로, 낙엽이 하나 떨어지는 것을 보면서 계절이 벌써 가을로 들어섬을 아는 것처럼 조그마한 현상으로부터 커다란 근본을 깨달아야 한다는 의미. [= 一葉落知天下秋(일엽락지천하추)].
    葉: 落: 떨어질 知: 秋: 가을

  • 麥秀之嘆(맥수지탄) : 보리만 무성함을 보고 탄식한다는 뜻으로, 지나간 왕조에 대한 회상의 의미.
    麥: 보리 秀: 빼어날 之: 嘆: 탄식할

  • 寄與補裨(기여보비) : 이익을 주고 모자라는 것을 보탬.
    寄: 부칠 與: 補: 기울 裨: 도울

  • 烏之雌雄(오지자웅) : 까마귀의 암수를 구별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선악과 시비를 가리기 어려운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烏: 까마귀 之: 雌: 암컷 雄: 수컷

  • 鐘鳴漏盡(종명누진) : 때를 알리는 종이 울리고 물시계의 물이 다한다는 뜻으로, 깊은 밤이나 늙고 병든 늙바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鐘: 鳴: 盡: 다할

  • 一攫千金(일확천금) : 단번에 천금을 움켜쥔다는 뜻으로, 힘들이지 아니하고 단번에 많은 재물을 얻음을 이르는 말.
    一: 攫: 붙잡을 千: 일천 金:

  • 變則通(변즉통) : 변하면 통하다는 뜻으로, 지금가지의 주의(主義)나 태도를 바꾸면 막혔던 길이 새로 열린다는 의미.
    變: 변할 則: 通: 통할

  • 一擧兩得(일거양득) : 한 가지 일을 하여 두 가지 이익을 얻음.
    一: 擧: 得: 얻을

  • 惹起鬧端(야기요단) : 서로 시비의 실마리를 끌어 일으킴.
    惹: 이끌 起: 일어날 端: 바를

  • 書不盡言(서부진언) : 글로는 생각을 충분히 다 표현할 수 없음.
    書: 不: 아닌가 盡: 다할 言: 말씀

  • 苟安偸生(구안투생) : 일시적인 안락을 탐하여 헛되이 살아감.
    苟: 구차할 安: 편안할 偸: 훔칠 生:

  • 伯樂一顧(백낙일고) : (1)명마가 백낙을 만나 세상에 알려진다는 뜻으로, 자기의 재능을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 대접을 잘 받음을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백낙일고’이다. (2)명마가 백낙을 만나 세상에 알려진다는 뜻으로, 자기의 재능을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 대접을 잘 받음을 이르는 말.
    伯: 樂: 즐거울 一: 顧: 돌아볼

  • 門不夜關(문불야관) : 문은 밤에 잠그지 않는다는 뜻으로, 도적이 없어 문을 잠그지 않는 태평성대(太平聖代 )의 세상이라는 의미.
    門: 不: 아니 夜: 關: 빗장

  • 年功序列(연공서열) : 근속 연수나 나이가 늘어 감에 따라 지위가 올라가는 일. 또는 그런 체계.
    功: 序: 차례

  • 死生決斷(사생결단) : 죽고 사는 것을 돌보지 않고 끝장을 내려고 함.
    死: 죽을 生: 決: 斷: 끊을

  • 匿跡消聲(익적소성) : 종적을 감추고 소리를 없앤다는 뜻으로, 숨어살면서 세상일을 알려고도 하지 않고 묻지도 않는다는 의미.
    跡: 자취 消: 사라질 聲: 소리

  • 弄巧成拙(농교성졸) : 기교를 너무 부리다가 도리어 서투르게 됨.
    巧: 공교할 成: 이룰 拙: 못날

  • 攸好德(유호덕) : 오복(五福)의 하나. 덕을 좋아하여 즐겨 행하는 일을 이른다.
    攸: 好: 좋을 德:

  • 先賞後罰(선상후벌) : 상을 먼저하고 벌을 나중한다는 뜻으로, 벌주는 일보다 상을 내리는 일을 먼저 하는 위무(慰撫)하는 태도를 유지한다는 의미.
    先: 먼저 賞: 상줄 後: 罰:

  • 縫衣淺帶(봉의천대) : 꿰맨 옷과 엷은 띠라는 뜻으로, 유학자(儒學者)의 옷의 의미에서 그런 행세를 한 사람인 학자나 문인(文人) 등의 의미로 사용됨.
    縫: 꿰맬 衣: 淺: 얕을 帶:

  • 勢利之交(세리지교) : 권세와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맺는 교제.
    勢: 기세 利: 날카로울 之: 交: 사귈

  • 紙筆硯墨(지필연묵) : 종이와 붓과 벼루와 먹을 아울러 이르는 말.
    紙: 종이 筆: 硯: 벼루 墨:

  • 立春大吉(입춘대길) : 입춘을 맞이하여 길운을 기원하며 벽이나 문짝 따위에 써 붙이는 글귀.
    春: 大: 吉: 길할

  • 行且謀之(행차모지) : 행하면서 또한 도모한다는 뜻으로, 일을 처리하면서 거기에 따른 수단 방법을 세운다는 의미.
    行: 且: 謀: 꾀할 之:

  • 垂頭塞耳(수두색이) : 머리를 숙이고 귀를 막는다는 뜻으로, 머리 숙여 아첨하며 귀를 막고 세간의 비난을 염두에 두지 않아 아첨만 일삼는다는 의미.
    垂: 드리울 頭: 머리 塞: 막을 耳:

  • 男中一色(남중일색) : 남자의 얼굴이 썩 뛰어나게 잘생김. 또는 그런 사람.
    男: 사내 中: 가운데 一: 色:

  • 自我陶醉(자아도취) : 스스로에게 황홀하게 빠지는 일.
    自: 스스로 我: 陶: 질그릇 醉: 취할

  • 學如不及(학여불급) : 학문은 미치지 못하는 것처럼 한다는 뜻으로, 학문을 연마하는 것은 마치 달아나는 사람을 뒤쫓되 늘 미치지 못하는 것 같다는 의미. 곧 끈질긴 노력을 거듭하여도 학문의 오묘한 진리에 도달하기가 어려우므로, 한결 더 분발하고 노력해야 한다는 의미.
    學: 배울 如: 같을 不: 아니 及: 미칠

  • 杯酒解怨(배주해원) : 술을 잔에 따르며 원망을 푼다는 뜻으로, 서로 술잔을 나누는 사이에 묵은 원한을 잊어버린다는 의미.
    杯: 酒: 解: 怨: 원망할

  • 名面各知(명면각지) : 같은 사람인 줄 모르고 이름은 이름대로 얼굴은 얼굴대로 따로따로 앎.
    名: 이름 面: 各: 각각 知:

  • 切磨(절마) : 옥이나 돌 따위를 갈고 닦아서 빛을 낸다는 뜻으로, 부지런히 학문과 덕행을 닦음을 이르는 말.
    切: 끊을 磨:

  • 行動擧止(행동거지) : 몸을 움직여 하는 모든 짓.
    行: 動: 움직일 擧: 止: 그칠

  • 群雄割據(군웅할거) : 여러 영웅이 각기 한 지방씩 차지하고 위세를 부림.
    群: 무리 雄: 수컷 割: 나눌 據: 의거할

  • 流連荒亡(류련황망) : (1)이곳저곳을 놀러 다니며 주색에 빠짐. (2)‘유련황망’의 북한어.
    連: 이을 荒: 거칠 亡: 잃을

  • 杜漸防萌(두점방맹) : 점(漸)은 사물(事物)의 처음. 맹(萌)은 싹. 애시당초 싹이 나오지 못하도록 막는다는 뜻으로, 곧 좋지 못한 일의 조짐(兆朕)이 보였을 때 즉시(卽時) 그 해(害)로운 것을 제거(除去)해야 더 큰 해(害)가 되지 않는다는 의미(意味).
    杜: 팥배나무 漸: 점점 防: 萌: 싹틀

  • 善行無鐵迹(선행무철적) : 길을 잘 가는 사람은 수레 자국이나 발자국을 남기지 않는다는 뜻으로, 참된 선행은 남의 눈에 잘 띄지 않는다는 의미.
    善: 착할 行: 無: 없을 鐵: 迹: 자취

  • 富在知足(부재지족) : 부유함은 만족함을 아는 것에 있다는 뜻으로, 자기 분수를 알아 이에 만족해야 한다는 의미.
    富: 가멸 在: 있을 知: 足:

  • 高官大爵(고관대작) : 지위가 높고 훌륭한 벼슬. 또는 그런 위치에 있는 사람.
    高: 높을 官: 벼슬 大: 爵:

  • 識字憂患(식자우환) : 학식이 있는 것이 오히려 근심을 사게 됨.
    識: 字: 글자 憂: 근심 患: 근심

  • 先病服藥(선병복약) : 병이 걸리기 전에 미리 약을 복용한다는 뜻으로, 병을 미연에 막음을 의미하는 말.
    先: 먼저 病: 服: 藥:

  • 四通八達(사통팔달) : 도로나 교통망, 통신망 따위가 이리저리 사방으로 통함.
    四: 通: 통할 八: 여덟 達: 통할

  • 悔過自責(회과자책) : 잘못을 뉘우쳐 스스로 꾸짖음.
    悔: 뉘우칠 過: 지날 自: 스스로 責: 꾸짖을

  • 不惡而嚴(불오이엄) : 미워하지 않으면서도 엄하다는 뜻으로, 미워하여 꾸짖거나 하지 않으면서도 위엄 있는 태도를 가진다는 의미인데, 주로 소인을 멀리하는 방법을 이르는 말.
    不: 아니 惡: 미워할 而: 말 이을 嚴: 엄할

  • 拒門不納(거문불납) : 문을 닫고 들이지 않음.
    拒: 막을 門: 不: 아니 納: 들일

  • 杯盤狼藉(배반낭자) : 술잔과 접시가 이리의 깔개처럼 어지럽다는 뜻으로, 술 마신 뒷자리의 어지러운 상황이나, 너무 지나치면 쇠한다는 의미.
    杯: 盤: 소반 藉: 깔개

  • 見賢思齊(견현사제) : 어진 이를 보면 같아지기를 생각하라는 뜻으로, 자신을 항상 바르게 변화시키려는 노력의 의미. ◈ 원문 - 子曰 見賢思齊焉, 見不賢而內自省也[어질지 못한 이를 보면 안으로 스스로를 반성한다.].《논어》.
    見: 賢: 어질 思: 생각할 齊: 가지런할

  • 無道之人(무도지인) : 도가 없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도리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는 사람을 의미함.
    無: 없을 道: 之: 人: 사람

  • 骨肉相殘(골육상잔) : 가까운 혈족끼리 서로 해치고 죽임.
    骨: 肉: 고기 相: 서로 殘: 해칠

  • 勞心焦思(로심초사) : (1)몹시 마음을 쓰며 애를 태움. (2)‘노심초사’의 북한어.
    心: 마음 焦: 그스를 思: 생각할

  • 有頭無尾(유두무미) : 머리는 있어도 꼬리가 없다는 뜻으로, 시작은 있어도 마침이 없다는 의미나 일이 흐지부지 끝나버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有: 있을 頭: 머리 無: 없을 尾: 꼬리

  • 心腹之患(심복지환) : (1)없애기 어려운 근심. (2)쉽게 고치기 어려운 병.
    心: 마음 腹: 之: 患: 근심

  • 古色蒼然(고색창연) : 오래되어 예스러운 풍치나 모습이 그윽함.
    古: 色: 蒼: 푸를 然: 그러할

  • 白頭如新(백두여신) : 머리가 백발이 되도록 오래 사귀었어도 서로 마음을 깊이 알지 못하면 새로 사귄 사람과 다름이 없다는 뜻으로, 오랫동안 사귀어 온 사이지만 서로 간의 정이 두텁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白: 頭: 머리 如: 같을 新:

  • 打草驚蛇(타초경사) : 수풀을 휘저어 뱀을 놀라게 한다는 뜻으로, 의도하지 않은 행동이 뜻밖의 결과를 낳을 수 있음을 이르는 말.
    打: 草: 驚: 놀랄 蛇:

  • 不達時變(부달시변) : 매우 완고하여 시대의 흐름을 따르려는 변통성이 없음.
    不: 아닌가 達: 통할 時: 變: 변할

  • 掌上煎醬(장상전장) : 손바닥에 장을 지진다는 뜻으로, 무엇을 장담하거나 강력하게 부인할 때 스스로 맹세하여 쓰는 말의 의미.
    掌: 손바닥 上: 煎: 달일 醬: 육장

  • 浮浪悖類(부랑패류) : 일정하게 사는 곳과 하는 일 없이 떠돌아다니며 못된 짓이나 하는 무리.
    浮: 浪: 물결 悖: 어그러질 類: 무리

  • 生老病死(생로병사) : 사람이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네 가지 고통.
    生: 老: 늙을 病: 死: 죽을

  • 以德報怨(이덕보원) : 덕으로써 원수에 보답한다는 뜻으로, 원수에게 은덕을 베풂을 이르는 말.
    以: 德: 報: 갚을 怨: 원망할

  • 方春和時(방춘화시) : 바야흐로 봄이 한창 화창한 때.
    方: 春: 和: 고를 時:

  • 鳳凰于飛(봉황우비) : 봉황이 이에 난다는 뜻으로, 한 자웅의 봉황이 서로 짝지어 나는 것처럼 부부가 서로 화목함을 뜻하거나 타인의 혼인을 축하하는 의미로 사용됨. <詩經>.
    鳳: 봉새 凰: 봉황새 于: 어조사 飛:

  • 蠢蠢無識(준준무식) : 굼뜨고 어리석어 아무것도 아는 것이 없음.
    蠢: 꿈틀거릴 蠢: 꿈틀거릴 無: 없을 識:

  • 田父之功(전부지공) : 농부의 공이라는 뜻으로, 쫓고 쫓기다 서로 지쳐 쓰러진 개와 토끼의 싸움에 제 삼자였던 농부가 둘 다 얻는 득을 본다는 의미.
    田: 父: 아비 之: 功:

  • 恨入骨髓(한입골수) : 원한이 뼈에 사무침.
    恨: 한할 入: 骨: 髓: 골수

  • 疾首蹙頞(질수축알) : 몹시 싫어서 이마를 찡그림.
    疾: 首: 머리 蹙: 대지를 頞: 콧마루

  • 方正之士(방정지사) : 방정한 선비라는 뜻으로, 언행이 바르고 점잖은 사람의 의미.
    方: 正: 바를 之: 士: 선비

  • 風雲兒(풍운아) : 좋은 때를 타고 활동하여 세상에 두각을 나타내는 사람.
    風: 바람 雲: 구름 兒: 아이

  • 不肖子弟(불초자제) : 어버이의 덕행이나 사업을 이어받지 못한 자손.
    不: 아니 肖: 닮을 子: 아들 弟: 아우

  • 大驚失色(대경실색) : 몹시 놀라 얼굴빛이 하얗게 질림.
    大: 驚: 놀랄 失: 잃을 色:

  • 甲男乙女(갑남을녀) : 갑이란 남자와 을이란 여자라는 뜻으로, 평범한 사람들을 이르는 말.
    甲: 갑옷 男: 사내 乙: 女: 여자

  • 耳目口鼻(이목구비) : 귀ㆍ눈ㆍ입ㆍ코를 아울러 이르는 말. 또는 귀ㆍ눈ㆍ입ㆍ코를 중심으로 한 얼굴의 생김새.
    耳: 目: 口: 鼻:

  • 愛之重之(애지중지) : 매우 사랑하고 소중히 여기는 모양.
    愛: 사랑 之: 重: 무거울 之:

  • 內柔外剛(내유외강) : 속은 부드러우나 겉으로 보기에는 강함.
    內: 柔: 부드러울 外: 바깥 剛: 굳셀

  • 陽開陰閉(양개음폐) : 양이 열리고 음이 닫친다는 뜻으로, 이로움을 일으키고 해로움을 물리친다는 의미.
    陽: 開: 陰: 응달 閉: 닫을

  • 五色玲瓏(오색영롱) : ‘오색영롱하다’의 어근.
    五: 다섯 色: 瓏: 옥 소리

  • 見金如石(견금여석) : 황금 보기를 돌 같이 한다는 뜻으로, 재물을 멀리하고 의리를 앞세운다는 의미. ◈ 고려말 충신인 최영 장군의 일화에서 최영의 아버지가 최영에게 남겨준 이야기.
    見: 金: 如: 같을 石:

  • 秋毫不犯(추호불범) : 매우 청렴하여 남의 것을 조금도 건드리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秋: 가을 毫: 가는 털 不: 아니 犯: 범할

  • 剖腹藏珠(부복장주) : 배를 갈라 구슬을 감춘다는 뜻으로, 재물만을 소중하게 여겨 자신의 몸을 망친다는 의미.
    剖: 쪼갤 腹: 藏: 감출 珠: 구슬

  • 篳路藍縷(필로남루) : 거친 수레와 누더기 옷이라는 뜻으로, 섶나무로 거칠게 만든 허술한 수레를 타고 누더기 옷을 입는 것처럼 천신만고를 참으며 노력하는 일의 의미하거나, 일을 처음으로 창시(創始)하는 어려움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篳: 사립문 路: 縷:

  • 面壁九年(면벽구년) : 달마가 중국 쑹산산(嵩山山)의 소림사에서 9년 동안 벽을 보고 좌선하여 도를 깨달은 일을 이르는 말.
    面: 壁: 九: 아홉 年:

  • 片片沃土(편편옥토) : 어느 논밭이나 모두 다 비옥함.
    片: 조각 片: 조각 沃: 기름질 土:

  • 洞房華燭(동방화촉) : 동방에 비치는 환한 촛불이라는 뜻으로, 혼례를 치르고 나서 첫날밤에 신랑이 신부 방에서 자는 의식을 이르는 말.
    洞: 房: 華: 빛날 燭: 촛불

  • 橫草之功(횡초지공) : 풀을 가로로 쓰러뜨리며 세운 공로라는 뜻으로, 싸움터에 나가서 크게 세운 공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橫: 가로 草: 之: 功:

  • 數間茅屋(수간모옥) : 몇 칸 안 되는 작은 초가.
    數: 間: 茅: 屋:

  • 前人未發(전인미발) : 앞사람이 아직 시작하지 않았다는 뜻으로, 이전 사람이 아직 밝히지 않았거나 발명하지 않은 일의 의미.
    前: 人: 사람 未: 아닐 發:

4 5 6 8 9 10
#음식 79 #표현 88 #모양 142 #자신 208 #재앙 64 #모습 66 #마음 496 #죽음 73 #싸움 61 #따위 228 #의지 69 #상태 110 #자식 104 #나이 97 #사람 1461 #목숨 58 #군자 56 #사물 172 #생활 82 #물건 136 #얼굴 99 #근본 66 #집안 93 #때문 58 #실패 56 #잘못 93 #구름 67 #상대 56 🤞 #의미에 관한 1817개의 한자어 #사이 200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856개) : 아마, 아막, 아만, 아말, 아망, 아매, 아먼, 아멘, 아멩, 아명, 아모, 아목, 아몬, 아몽, 아무, 아문, 아물, 아미, 아민, 아밍, 악마, 악막, 악매, 악면, 악명, 악모, 악목, 악몽, 악무, 악문, 악물, 악미, 안마, 안막, 안맥, 안맹, 안멘, 안면, 안명, 안모, 안목, 안무, 안문, 안물, 안민, 안밀, 알마, 알매, 알면, 알목, 알몸, 알못, 알묘, 알무, 알문, 앏면, 앏묗, 암마, 암막, 암만, 암말, 암망, 암매, 암맥, 암맹, 암먼, 암면, 암명, 암모, 암무, 암묵, 암문, 암물, 암민, 압마, 압맥, 압모, 압물, 압미, 압밀, 앙망, 앙면, 앙모, 앙묘, 앙문, 앙물, 앞막, 앞말, 앞면, 앞몸, 앞무, 앞문, 앞물, 애마, 애막, 애망, 애매, 애먼, 애멸, 애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