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 에 관한 한자 모두 1,817

  • 治山治水 획순 治山治水(치산치수) : 산과 내를 잘 관리하고 돌봐서 가뭄이나 홍수 따위의 재해를 입지 아니하도록 예방함. 또는 그런 일.
    治: 다스릴 山: 治: 다스릴 水:

  • 興盡悲來 획순 興盡悲來(흥진비래) : 즐거운 일이 다하면 슬픈 일이 닥쳐온다는 뜻으로, 세상일은 순환되는 것임을 이르는 말.
    興: 盡: 다할 悲: 슬플 來:

  • 鴟目虎吻 획순 鴟目虎吻(치목호문) : 올빼미의 눈과 호랑이의 입술이라는 뜻으로, 탐욕이 많은 상(相)을 이르는 말.
    鴟: 소리개 目: 虎: 吻: 입술

  • 得意揚揚 획순 得意揚揚(득의양양) : 뜻한 바를 이루어 우쭐거리며 뽐냄.
    得: 얻을 意: 揚: 오를 揚: 오를

  • 匪石之心 획순 匪石之心(비석지심) : 돌처럼 단단하여 어떤 일에 쉽게 동요하지 않는 마음을 이르는 말.
    匪: 비적 石: 之: 心: 마음

  • 雲雨之情(운우지정) : 구름 또는 비와 나누는 정이라는 뜻으로,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회왕(懷王)이 꿈속에서 어떤 부인과 잠자리를 같이했는데, 그 부인이 떠나면서 자기는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되어 양대(陽臺) 아래에 있겠다고 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雲: 구름 雨: 之: 情:

  • 三間斗屋(삼간두옥) : 몇 칸 되지 않는 작은 오막살이집.
    三: 間: 斗: 屋:

  • 叩馬而諫(고마이간) : 말을 붙들고 간언한다는 뜻으로, 충신의 간언(諫言)을 의미함.
    叩: 두드릴 馬: 而: 말 이을 諫: 간할

  • 虛往實歸(허왕실귀) : 비우고 가서 채워서 돌아온다는 뜻으로, 잡념 없는 마음으로 대해 나가면 사물의 이치는 저절로 깨닫데 되어 배가 가득 채운 상태로 돌아오게 됨을 의미하거나, 또는 아직 배우지 않고 가서 덕을 얻어서 돌아옴을 이르는 말.
    虛: 往: 實: 열매 歸: 돌아갈

  • 時時刻刻(시시각각) : 각각의 시각.
    時: 時: 刻: 새길 刻: 새길

  • 千秋之恨(천추지한) : 천 년의 원한이라는 뜻으로, 오랜 세월을 두고 쌓인 원한(怨恨)의 의미.
    千: 일천 秋: 가을 之: 恨: 한할

  • 無根而固(무근이고) : 뿌리는 없으나 굳고 견고하다는 뜻으로, 근본은 다르지만 서로 맺어 풀리지 않는 '인정과 사랑'의 의미.
    無: 없을 根: 뿌리 而: 말 이을 固: 굳을

  • 貪權樂勢(탐권낙세) : 권세를 탐내고 세도 부리기를 즐김.
    貪: 탐할 權: 저울추 勢: 기세

  • 救國干城(구국간성) : 나라를 구하는 방패와 성.
    救: 건질 國: 나라 干: 방패 城:

  • 塵飯塗羹(진반도갱) : 먼지를 담아 밥이라 하고 진흙을 담아 국이라 한다는 뜻으로, 어린 아이의 소꿉놀이란 의미에서 실제에 소용되지 않는 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塵: 티끌 飯: 塗: 진흙 羹:

  • 冶家無食刀(야가무식도) : 대장간에서 식칼이 논다는 뜻으로, 생활에 쫓겨 남의 바라지만 하고 정작 제 집엔 등한시한다는 의미나, 마땅히 흔해야 할 곳에 도리어 그 물건이 부족하거나 없는 상황을 이르는 의미를 지닌 한역(漢譯) 속담.
    冶: 불릴 家: 無: 없을 食: 刀:

  • 杖莫如信(장막여신) : 의지함은 신의 만한 것이 없다는 뜻으로, 남에게 의지함에는 신의(信義)보다 더 나은 것이 없다는 의미.
    杖: 지팡이 莫: 없을 如: 같을 信: 믿을

  • 一箭雙雕(일전쌍조) : 하나의 화살로 두 마리 수리를 잡는다는 뜻으로, 한 가지 일로 두 가지 이득을 얻는다는 의미.
    一: 箭: 화살 雙: 雕: 독수리

  • 同氣相求(동기상구) : 같은 무리끼리 서로 통하고 자연히 모인다는 말.
    同: 한가지 氣: 기운 相: 서로 求: 구할

  • 遠禍召福(원화소복) : 화를 물리치고 복을 불러들임.
    遠: 禍: 재난 召: 부를 福:

  • 輕兆浮薄(경조부박) : 경솔하고 방정맞으며 천박하고 가볍다는 뜻으로, 언행이 진중하지 못하고 가볍다는 의미.
    輕: 가벼울 兆: 조짐 浮: 薄: 엷을

  • 夜不踏白(야불답백) : 밤길을 갈 때에 하얗게 보이는 것은 대개 물이므로 밟지 말라는 말.
    夜: 不: 아니 踏: 밟을 白:

  • 不惑之年(불혹지년) : 불혹의 나이라는 뜻으로, ‘마흔 살’을 이르는 말.
    不: 아니 惑: 미혹할 之: 年:

  • 滿場一致(만장일치) : 모든 사람의 의견이 같음.
    滿: 場: 마당 一: 致: 이룰

  • 不伐己長(불벌기장) : 자기의 장점을 자랑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남의 단점을 함부로 말하지 않고 자신의 장점을 드러내지 않는 겸손한 자세의 의미.
    不: 아니 伐: 己: 長:

  • 萬世不易(만세불역) : 영원히 바뀌지 아니함.
    萬: 일만 世: 인간 不: 아니 易: 바꿀

  • 搜章摘句(수장적구) : 문장을 찾아 구절을 따낸다는 뜻으로, 문장 중의 중요한 어구를 기억한다는 의미로 사용하거나 남의 문장을 표절한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搜: 찾을 章: 문채 摘: 句: 글귀

  • 咳唾成珠(해타성주) : 기침과 침이 다 구슬이 된다는 뜻으로, 권세가(權勢家)를 형용하거나 일언일구(一言一句)가 다 귀중하다는 의미로 사용됨. 혹은 시문(詩文)의 재주가 뛰어남을 형용하기도 함. 〔= 月章星句(월장성구)〕.
    咳: 기침 唾: 成: 이룰 珠: 구슬

  • 不患無位(불환무위) : 지위가 없음을 근심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군자는 벼슬자리에 오르지 못함을 개의치 않는다는 의미.
    不: 아니 患: 근심 無: 없을 位: 자리

  • 言之無益(언지무익) : 말해 보아야 소용이 없음.
    言: 말씀 之: 無: 없을 益: 더할

  • 修己治人(수기치인) : 자신의 몸과 마음을 닦은 후에 남을 다스림.
    修: 닦을 己: 治: 다스릴 人: 사람

  • 蛇心佛口(사심불구) : 뱀의 마음에 부처의 입이라는 뜻으로, 속으로는 간악한 마음을 품고 있으면서 입으로는 착한 말을 하는 행동이나 그런 행동을 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蛇: 心: 마음 佛: 부처 口:

  • 燮理陰陽(섭리음양) : 음양을 화합해 다스린다는 뜻으로, 천하의 도(道)를 조화시킨다는 의미에서 재상(宰相)이 천하를 다스림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거나 재상의 직분(職分)을 의미하기도 함.
    燮: 화할 理: 다스릴 陰: 응달 陽:

  • 連戰連勝(련전련승) : (1)싸울 때마다 계속하여 이김. (2)‘연전연승’의 북한어.
    戰: 싸움 勝: 이길

  • 弱能制强(약능제강) : 약한 것이 강한 것을 제어할 수 있다는 뜻으로, 약자가 강자를 이길 수 있다는 의미.
    弱: 약할 能: 능할 制: 마를 强: 굳셀

  • 世降俗末(세강속말) : 세상이 그릇되어 풍속이 어지러움.
    世: 인간 降: 내릴 俗: 풍속 末:

  • 愼終如始(신종여시) : 끝을 신중하게 하는 것을 마치 처음 같이 한다는 뜻으로, 일의 종말(終末)에 이르러서도 처음과 같이 마음을 늦추지 않고 애쓴다는 의미.
    愼: 삼갈 終: 끝날 如: 같을 始: 처음

  • 非一非再(비일비재) : 같은 현상이나 일이 한두 번이나 한둘이 아니고 많음.
    非: 아닐 一: 非: 아닐 再:

  • 應接無暇(응접무가) : 응접에 바빠 겨를이 없다는 뜻으로, 일이 몹시 바쁜 상태를 이르는 말.
    應: 응할 接: 사귈 無: 없을 暇: 겨를

  • 輪遞天子(윤체천자) : 바퀴가 돌 듯 갈마드는 천자라는 뜻으로, 돌아가며 한번씩 하는 천자자리인 ‘돌림천자’라는 의미인데, 사대주의로부터 벗어나야 한다는 호방한 기상을 엿볼 수 있는 백호(白湖) 임제(林悌)의 주장에서 유래함.[출전]《성호사설(星湖僿說)》〈선희학(善戱謔)>.
    遞: 갈마들 天: 하늘 子: 아들

  • 水火無交(수화무교) : 물과 불도 교류함이 없다는 뜻으로, 물이나 불처럼 생활의 필수품도 서로 빌리지 않는 것처럼 아주 담을 쌓고 지낸다는 의미.
    水: 火: 無: 없을 交: 사귈

  • 屍山血海(시산혈해) : 사람의 시체가 산같이 쌓이고 피가 바다같이 흐름을 이르는 말.
    屍: 주검 山: 血: 海: 바다

  • 立錐之地(입추지지) : (1)‘입추지지’의 북한어. (2)송곳 하나 세울 만한 땅이란 뜻으로, 매우 좁아 조금의 여유도 없음을 이르는 말.
    錐: 송곳 之: 地:

  • 同心之言(동심지언) : 마음을 합친 말이라는 뜻으로, 서로 마음을 합치시킨 사람들의 언행은 그 향기가 난초와도 같다는 의미.
    同: 한가지 心: 마음 之: 言: 말씀

  • 勿輕小事(물경소사) : 작은 일도 가볍게 여기지 말라는 뜻으로, 사소한 일이라 하더라도 신중하게 대처하라는 의미.
    勿: 輕: 가벼울 小: 작을 事:

  • 報怨以德(보원이덕) : 원한을 덕으로 갚음.
    報: 갚을 怨: 원망할 以: 德:

  • 緯武經文(위무경문) : 무(武)를 씨로 하고 문(文)을 날로 한다는 뜻으로, 문무를 겸비하였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緯: 武: 호반 經: 지날 文: 글월

  • 君師父一體(군사부일체) : 임금과 스승과 아버지의 은혜가 같음.
    君: 임금 師: 스승 父: 아비 一: 體:

  • 樗櫟之材(저력지재) : 참나무와 가죽나무 재목이라는 뜻으로, 아무 데도 쓸모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樗: 가죽나무 櫟: 상수리나무 之: 材: 재목

  • 兄肥弟瘦(형비제수) : 형은 살찌고 아우는 마르다는 뜻으로, 형제의 신분이 다름을 이르거나, 형은 동생 대신 동생은 형 대신 서로 돕는 일의 의미로 사용됨.
    兄: 肥: 살찔 弟: 아우 瘦: 파리할

  • 隱居放言(은거방언) : 은거하며 살면서 마음속에 품고 있는 생각을 털어놓음. ≪논어≫의 <미자편(微子篇)>에 나오는 말이다.
    隱: 숨을 居: 있을 放: 놓을 言: 말씀

  • 藏頭隱尾(장두은미) : 머리를 감추고 꼬리를 숨긴다는 뜻으로, 일의 전말을 분명히 밝히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藏: 감출 頭: 머리 隱: 숨을 尾: 꼬리

  • 萬化方暢(만화방창) : 따뜻한 봄날에 온갖 생물이 나서 자라 흐드러짐.
    萬: 일만 化: 화할 方: 暢:

  • 難攻不落(난공불락) : 공격하기가 어려워 쉽사리 함락되지 아니함.
    難: 어려울 攻: 不: 아니 落: 떨어질

  • 什佰之器(십백지기) : 열 사람 백 사람의 그릇이라는 뜻으로, 보통 사람들 보다 열 배 백 배 이상 뛰어난 기량의 의미.
    什: 열사람 佰: 백사람 之: 器: 그릇

  • 氾愛兼利(범애겸리) : 두루 사랑하고 이익을 겸한다는 뜻으로, 모든 사람을 골고루 사랑하고 이익을 같이 하는 일을 의미. 묵자(墨子)가 제창한 사상임. [汎愛(범애), 博愛(박애)로도 표현함].
    氾: 넘칠 愛: 사랑 兼: 겸할 利: 날카로울

  • 陽春佳節(양춘가절) : 따뜻하고 좋은 봄철.
    陽: 春: 佳: 아름다울 節: 마디

  • 泗上弟子(사상제자) : 공자의 제자.
    泗: 내 이름 上: 弟: 아우 子: 아들

  • 不顧廉恥(불고염치) : 염치를 돌아보지 아니함.
    不: 아니 顧: 돌아볼 恥: 부끄러워할

  • 吾鼻三尺(오비삼척) : 내 코가 석 자라는 뜻으로, 자기 사정이 급하여 남을 돌볼 겨를이 없음을 이르는 말.
    吾: 鼻: 三: 尺:

  • 一片丹心(일편단심) : 한 조각의 붉은 마음이라는 뜻으로, 진심에서 우러나오는 변치 아니하는 마음을 이르는 말.
    一: 片: 조각 丹: 붉을 心: 마음

  • 紅一點(홍일점) : (1)푸른 잎 가운데 피어 있는 한 송이의 붉은 꽃. 왕안석의 영석류시(詠石榴詩)에서 유래한다. (2)여럿 속에서 오직 하나 이채(異彩)를 띠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많은 남자 사이에 끼어 있는 한 사람의 여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紅: 붉을 一: 點:

  • 各散盡飛(각산진비) : 저마다 따로 흩어져 모두 가 버림.
    各: 각각 散: 흩을 盡: 다할 飛:

  • 一言半句(일언반구) : 한 마디 말과 반 구절이라는 뜻으로, 아주 짧은 말을 이르는 말.
    一: 言: 말씀 半: 句: 글귀

  • 蚤寢晏起(조침안기) : 일찍 자고 늦게 일어난다는 뜻으로, 부지런하지 못하거나 밤 시간을 활용하지 못한다는 의미.
    蚤: 벼룩 寢: 잠잘 晏: 늦을 起: 일어날

  • 虛無孟浪(허무맹랑) : ‘허무맹랑하다’의 어근.
    虛: 無: 없을 孟: 浪: 물결

  • 四書五經(사서오경) : 사서와 오경을 아울러 이르는 말. 곧 ≪논어≫, ≪맹자≫, ≪중용≫, ≪대학≫의 네 경전과 ≪시경≫, ≪서경≫, ≪주역≫, ≪예기≫, ≪춘추≫의 다섯 경서를 이른다.
    四: 書: 五: 다섯 經: 지날

  • 鬱鬱蒼蒼(울울창창) : ‘울울창창하다’의 어근.
    鬱: 답답할 鬱: 답답할 蒼: 푸를 蒼: 푸를

  • 微官末職(미관말직) : 지위가 아주 낮은 벼슬. 또는 그런 위치에 있는 사람.
    微: 작을 官: 벼슬 末: 職: 벼슬

  • 赤手空拳(적수공권) : 맨손과 맨주먹이라는 뜻으로,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음을 이르는 말.
    赤: 붉을 手: 空: 拳: 주먹

  • 衆力移山(중력이산) : 많은 사람의 힘은 산을 옮길 수 있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이 힘을 합하면 산도 옮길 수 있을 정도의 힘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의미.
    衆: 무리 力: 移: 옮을 山:

  • 波瀾曲折(파란곡절) : 사람의 생활이나 일의 진행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나 시련. 또는 그런 변화.
    波: 물결 瀾: 물결 曲: 굽을 折: 꺾을

  • 眞面目(진면목) : 본디부터 지니고 있는 그대로의 상태.
    眞: 面: 目:

  • 人定勝天(인정승천) : 사람이 노력하면 하늘을 이길 수 있다는 뜻으로, 사람이 노력을 하면 어떤 어려운 일도 극복할 수 있어 인력(人力)은 능히 운명을 만회(挽回)할 수 있다는 의미.
    人: 사람 定: 정할 勝: 이길 天: 하늘

  • 才子多病(재자다병) : 재주 있는 사람은 병이 잦음.
    才: 재주 子: 아들 多: 많을 病:

  • 南箕北斗(남기북두) : 남쪽 하늘의 키와 북쪽 하늘의 말이라는 뜻으로, 기성(箕星)은 그 이름에 쌀을 까부는 ‘키’를 뜻하는 ‘箕’ 자가 있지만 쌀을 까불지 못하고, 북두성은 그 이름에 쌀을 되는 ‘말’을 뜻하는 ‘斗’ 자가 있지만 쌀을 되지 못하는 것처럼 이름뿐이고 아무 쓸모가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南: 남녘 箕: 北: 북녘 斗:

  • 拍掌大笑(박장대소) : 손뼉을 치며 크게 웃음.
    拍: 掌: 손바닥 大: 笑: 웃을

  • 歸去來兮(귀거래혜) : ‘돌아갈거나!’라는 뜻으로, 벼슬을 그만두고 전원(田園:고향)으로 돌아갈 결의를 나타내는 의미.
    歸: 돌아갈 去: 來: 兮: 어조사

  • 金科玉條(금과옥조) : 금이나 옥처럼 귀중히 여겨 꼭 지켜야 할 법칙이나 규정.
    金: 科: 과정 玉: 구슬 條: 가지

  • 吟風弄月(음풍농월) : 맑은 바람과 밝은 달을 대상으로 시를 짓고 흥취를 자아내어 즐겁게 놂.
    吟: 읊을 風: 바람 月:

  • 白玉微瑕(백옥미하) : 흰 옥의 작은 티라는 뜻으로, 작은 과실이나 조그마한 실수의 의미.
    白: 玉: 구슬 微: 작을 瑕:

  • 福生於微(복생어미) : 복은 작은 것에서 생긴다는 뜻으로, 행복은 조그마한 일에서부터 싹튼다는 의미.
    福: 生: 於: 어조사 微: 작을

  • 當局者迷(당국자미) : 일을 담당한 사람이 미혹된다는 뜻으로, 방관자(傍觀者)보다 직접 담당자가 사리의 판단에 더 어둡다는 의미. ‘燈下不明(등하불명)’의 비유적 표현.
    當: 마땅할 局: 者: 迷: 미혹할

  • 薄利多賣(박리다매) : 이익을 적게 보고 많이 파는 것.
    薄: 엷을 利: 날카로울 多: 많을 賣:

  • 潛德之幽光(잠덕지유광) : 숨겨져 있는 덕의 그윽한 빛이라는 뜻으로,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유덕(有德)한 사람의 그윽한 빛이라는 의미.
    潛: 잠길 德: 之: 幽: 그윽할 光:

  • 一言之下(일언지하) : 한 마디로 잘라 말함. 또는 두말할 나위 없음.
    一: 言: 말씀 之: 下: 아래

  • 美風良俗(미풍양속) : 아름답고 좋은 풍속이나 기풍.
    美: 아름다울 風: 바람 俗: 풍속

  • 得魚忘筌(득어망전) : 물고기를 잡으면 통발을 잊는다는 뜻으로, 바라던 바를 이루고 나면 이를 이루기 위하여 했던 일들을 잊어버림을 이르는 말. ≪장자≫의 <외물편(外物篇)>에 나오는 말이다.
    得: 얻을 魚: 고기 忘: 잊을 筌: 통발

  • 文不加點(문불가점) : 글에 점 하나 더할 것이 없다는 뜻으로, 글이 아주 잘되어서 흠잡을 곳이 없음을 이르는 말.
    文: 글월 不: 아니 加: 더할 點:

  • 福至心靈(복지심령) : 복이 이르면 마음도 영묘해진다는 뜻으로, 행복이 찾아 올 때는 정신도 영명(靈明)해 진다는 의미.
    福: 至: 이를 心: 마음 靈: 신령

  • 食不二味(식불이미) : 먹을 것이 두 맛을 아니라는 뜻으로, 반찬 한 가지로 만족하고 두 가지를 차리지 않는 검약(儉約)하는 일의 의미.
    食: 不: 아니 二: 味:

  • 爲人設官(위인설관) : 어떤 사람을 채용하기 위하여 일부러 벼슬자리를 마련함.
    爲: 人: 사람 設: 베풀 官: 벼슬

  • 落月屋梁(낙월옥량) : 밤에 벗의 꿈을 꾸고 깨 보니 지는 달이 지붕을 비추고 있다는 뜻에서, 벗을 생각하는 마음이 간절함을 이르는 말.
    月: 屋: 梁: 들보

  • 置身無地(치신무지) : ‘치신무지하다’의 어근.
    置: 身: 無: 없을 地:

  • 率口而發(솔구이발) : 입에서 나오는 대로 경솔하게 함부로 말함.
    率: 거느릴 口: 而: 말 이을 發:

  • 弄假成眞(롱가성진) : (1)장난삼아 한 것이 진심으로 한 것같이 됨. (2)‘농가성진’의 북한어.
    假: 거짓 成: 이룰 眞:

  • 同文受學(동문수학) : 한 스승 밑에서 같이 학문을 닦고 배운다는 의미.
    同: 한가지 文: 글월 受: 받을 學: 배울

  • 如坐針席(여좌침석) : 바늘방석에 앉은 것 같다는 뜻으로, 몹시 거북하고 불안함을 이르는 말.
    如: 같을 坐: 앉을 針: 바늘 席: 자리

  • 推此可知(추차가지) : 이 일로 미루어 다른 일을 알 수 있음.
    推: 옮을 此: 可: 옳을 知:

  • 止足之戒(지족지계) : 그치고 만족하는 경계라는 뜻으로, 자신의 분수를 알아 만족할 때 만족하여 더 이상 욕심을 부리지 않는 일의 의미.
    止: 그칠 足: 之: 戒: 경계할

1 2 3 5 6 7
#가난 90 #따위 228 #자연 73 #어머니 72 #벼슬 88 #비유 1177 #천하 94 #얼굴 99 #은혜 70 #훌륭 85 #생각 236 #실패 56 #집안 93 #의지 69 #상태 110 #나무 166 #중국 253 #신하 62 #모양 142 #행동 137 #부모 136 #자식 104 #이치 67 #처음 91 #어버이 60 #사용 312 #근심 65 #부부 76 #태도 72 #바람 136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856개) : 아마, 아막, 아만, 아말, 아망, 아매, 아먼, 아멘, 아멩, 아명, 아모, 아목, 아몬, 아몽, 아무, 아문, 아물, 아미, 아민, 아밍, 악마, 악막, 악매, 악면, 악명, 악모, 악목, 악몽, 악무, 악문, 악물, 악미, 안마, 안막, 안맥, 안맹, 안멘, 안면, 안명, 안모, 안목, 안무, 안문, 안물, 안민, 안밀, 알마, 알매, 알면, 알목, 알몸, 알못, 알묘, 알무, 알문, 앏면, 앏묗, 암마, 암막, 암만, 암말, 암망, 암매, 암맥, 암맹, 암먼, 암면, 암명, 암모, 암무, 암묵, 암문, 암물, 암민, 압마, 압맥, 압모, 압물, 압미, 압밀, 앙망, 앙면, 앙모, 앙묘, 앙문, 앙물, 앞막, 앞말, 앞면, 앞몸, 앞무, 앞문, 앞물, 애마, 애막, 애망, 애매, 애먼, 애멸, 애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