臨財無求得(임재무구득) 풀이

臨財無求得

임재무구득

재물에 임해서는 구차하게 구하지 말라는 뜻으로, 재물에 있어서는 ‘義’에 합당한지를 먼저 보고 구차하게 얻으려고 하지 말라는 의미.

#의미 #구차 #재물


한자 풀이:
  • (임할 ): 임하다, 곡하다, 장례식에 참례하여 곡(哭)함, 본떠 쓰다, 임거(臨車).
  • (재물 ): 재물, 녹(祿), 마르다, 재주, 거리.
  • (없을 ): 없다, 허무의 도(道), 무엇, 비록 …하더라도, 발어사(發語辭).
  • (구할 ): 구하다, 빌다, 책망하다, 탐내다, 다잡다.
  • (얻을 ): 얻다, 만족하다, 깨닫다, 맞다, 득.
🌷 臨財無求得(임재무구득) 웹스토리 보기
臨財無求得(임재무구득)의 의미: 재물에 임해서는 구차하게 구하지 말라는 뜻으로, 재물에 있어서는 ‘義’에 합당한지를 먼저 보고 구차하게 얻으려고 하지 말라는 의미.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把酒臨風 획순 把酒風(파주임풍) : 술잔을 잡고 바람에 임한다는 뜻으로, 술잔을 손에 잡고 불어오는 맑은 바람의 풍광을 맞이하는 것처럼 여유롭고 자적(自適)하는 경지를 이르는 말.
  • 河羨魚(임하선어) : 물가에 임해서 물고기를 탐낸다는 뜻으로, 부질없이 행복이나 이득을 바란다는 의미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機應變(기응변) : (1)그때그때 처한 사태에 맞추어 즉각 그 자리에서 결정하거나 처리함. (2)‘임기응변’의 북한어.
  • 陣易將(임진역장) : 전쟁터에서 장수를 바꾼다는 뜻으로, 어떤 일이 생겼을 때 그 일에 알맞은 자격을 지닌 사람을 쓰지 아니하고 자격을 지니지 못한 사람을 씀을 이르는 말.

  • 德本財末 획순 德本末(덕본말) : 사람이 살아가는 데 덕(德)이 뿌리가 되고 재물(財物)은 사소(些少)한 부분(部分)임.
  • 貪夫殉(탐부순) : 탐욕스러운 자는 재물 때문에 목숨을 버린다는 뜻으로, 탐욕스러운 사람은 재물을 얻기 위해 어떠한 위험도 돌보지 않아 목숨을 잃을 수도 있음을 이르는 말.
  • 之方(생지방) : (1)재물을 늘리는 방법. (2)생계를 이어갈 방법.
  • 累巨萬(누거만) : (1)‘누거만재’의 북한어. (2)매우 많은 재산.

  • 實事求是 획순 實事是(실사시) : 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탐구하는 일. 공리공론을 떠나서 정확한 고증을 바탕으로 하는 과학적ㆍ객관적 학문 태도를 이른 것으로, 중국 청나라 고증학의 학문 태도에서 볼 수 있다. 조선 시대 실학파의 학문에 큰 영향을 주었다.
  • 短池孤草長通市利來(단지고초장통시리래) : 짧은 연못엔 외로운 풀만 길어나고, 시장(市場)을 통(通)하니 이익(利益)을 구(求)하여 옴.
  • 讀書不甚解(독서불심해) : 책을 읽는 데 이해(理解)하기 어려운 것은 그대로 접어두고 그 뜻을 깊이 연구(硏究)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1) 독서(讀書)는 즐겨 하나 참된 학문(學文)을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2) 되풀이하여 몇 번이고 숙독(熟讀)하면 뜻이 통(通)하지 않던 곳도 저절로 알게 됨. 숙독(熟讀)을 권(勸)하는 것.
  • 禳禍福(양화복) : 재앙을 물리치고 복(福)을 구함.

  • 回避不得 획순 回避不(회피부) : 피하고자 하여도 피할 수가 없음.
  • 投瓜瓊(투과경) : 모과를 선물(膳物)하고 구슬을 얻는다는 뜻으로, 사소(些少)한 선물(膳物)에 대(對)해 훌륭한 답례(答禮)를 받음을 두고 이르는 말.
  • 兎忘蹄(토망제) : 토끼를 잡고는 올무를 잊는다는 뜻으로, 바라던 일을 달성하고는 그에 소용되었던 것을 잊는다는 의미.
  • 開卷有(개권유) : 책을 열면 소득이 있다는 뜻으로, 책을 읽게 되면 항상 유익함을 얻게 된다는 의미.


臨財無求得(임재무구득) 관련 한자

  • 家徒壁立 획순 家徒壁立(가도벽립) : 가난한 집이라서 집 안에 세간살이는 하나도 없고 네 벽만 서 있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하다는 말. ≪한서≫의 <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에 나오는 말이다.
  • 弊衣破冠(폐의파관) : 헤진 도포와 부서진 삿갓이라는 뜻으로, 너절하고 구차한 차림새를 이르는 말.
  • 苟安偸生(구안투생) : 일시적인 안락을 탐하여 헛되이 살아감.

  • 擧棋不定 획순 擧棋不定(거기부정)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束手無策(속수무책)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함.
  • 空前絶後(공전절후) : 앞에도 비어있고, 뒤에도 끊어졌다는 뜻으로, 비교할 것이 이전에도 없고 이후에도 없다는 의미로 워낙 독특해서 비교할 만한 것이 없다는 의미.

  • 家無擔石 획순 家無擔石(가무담석) : 석(石)은 한 항아리, 담(擔)은 두 항아리의 뜻으로, 집에 조금도 없다는 말로, 집에 재물(財物)의 여유(餘裕)가 조금도 없음.
  • 割剝之政(할박지정) : 예전에, 벼슬아치가 백성의 재물을 강제로 빼앗던 일.
  • 生殺與奪(생살여탈) : (1)살리고 죽이는 일과 주고 빼앗는 일. (2)어떤 사람이나 사물을 마음대로 쥐고 흔듦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이치 67 #어머니 72 #학문 107 #사람 1461 #이름 211 #문장 59 #구름 67 #행동 137 #가운데 104 #유래 280 #나이 97 #훌륭 85 #경계 56 #백성 105 #음식 79 #표현 88 #자리 94 #나라 392 #아침 72 #재주 82 #군자 56 #싸움 61 #때문 58 #물건 136 #부부 76 #의미 1817 #생활 82 #의지 69 #근본 66 #인간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