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섶나무 에 관한 한자 모두 7

  • 抱火臥薪 획순 抱火臥薪(포화와신) : 불을 안고 섶나무 위에 눕는다는 뜻으로, 점점 더 위험(危險)한 짓을 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抱: 안을 火: 臥: 누울 薪: 섶나무

  • 篳路藍縷 획순 篳路藍縷(필로남루) : 거친 수레와 누더기 옷이라는 뜻으로, 섶나무로 거칠게 만든 허술한 수레를 타고 누더기 옷을 입는 것처럼 천신만고를 참으며 노력하는 일의 의미하거나, 일을 처음으로 창시(創始)하는 어려움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篳: 사립문 路: 縷:

  • 篳門圭竇 획순 篳門圭竇(필문규두) : 섶나무 울타리 사립문과 모나고 둥근 허술한(규격이 없는) 창문이라는 뜻으로, 가난한 집을 이르는 말. ‘篳門閨竇’으로도 표현함.
    篳: 사립문 門: 圭: 竇: 구멍

  • 積薪之歎 획순 積薪之歎(적신지탄) : 적신지탄(積薪之嘆). 쌓이고 쌓인 섶나무의 탄식(歎息)이라는 뜻으로, 먼저 쌓인 섶나무는 항상(恒常) 아래에 있듯이 고참이 승진(昇進)하지 못하고 늘 아랫자리에 있음을 한탄(恨歎)함을 이르는 말.
    積: 쌓을 薪: 섶나무 之: 歎: 탄식할

  • 負薪之憂 획순 負薪之憂(부신지우) : 땔나무를 할 수 없는 근심이라는 뜻으로, 병환을 이르는 말.
    負: 薪: 섶나무 之: 憂: 근심

  • 積薪之嘆(적신지탄) : 섶나무를 쌓는 탄식이라는 뜻으로, 땔감을 쌓을 때 새로 해온 것을 늘 위에 있고, 먼저 해 온 것은 늘 아래에 눌려있듯이, 상급자로 승진하지 못하고 항상 남의 아랫자리에 머물러 있음을 한탄하는 말.
    積: 쌓을 薪: 섶나무 之: 嘆: 탄식할

  • 臥薪嘗膽(와신상담) : 불편한 섶에 몸을 눕히고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온갖 어려움과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기≫의 <월세가(越世家)>와 ≪십팔사략≫ 등에 나오는 이야기로,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왕 부차(夫差)가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하여 장작더미 위에서 잠을 자며 월나라의 왕 구천(句踐)에게 복수할 것을 맹세하였고, 그에게 패배한 월나라의 왕 구천이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한 데서 유래한다.
    臥: 누울 薪: 섶나무 嘗: 맛볼 膽: 쓸개

#이름 211 #생각 236 #어려움 105 #잘못 93 #머리 141 #사랑 91 #마음 496 #자연 73 #중국 253 #학문 107 #처음 91 #세상 339 #표현 88 #지위 65 #사용 312 #사물 172 #서로 71 #얼굴 99 #생활 82 #자신 208 #상대 56 #아래 86 #관계 90 #정도 153 #나무 166 #아침 72 #어버이 60 #재주 82 #형제 68 #상황 119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70개) : 사내무, 사냥막, 사냥매, 사냥물, 삯나무, 산나물, 산날망, 살내물, 삼나무, 상나무, 상납미, 새나무, 새는말, 샛나무, 생나무, 생나물, 샤나메, 샹나무, 서나무, 서나미, 서날미, 서낭목, 서널미, 섭나모, 섭나물, 섶나무, 세납미, 세농민, 소나모, 소나무, 소녀물, 소년물, 소년미, 소노마, 소논문, 소농민, 속나무, 속눈물, 솔나무, 솔나물, 솜나물, 쇠나물, 수나무, 수내미, 숭낭물, 숭내말, 숭냥물, 숭녕물, 숭눙물, 숲나무, 쉬나무, 승나물, 시나메, 시나몬, 시나미, 시난미, 시내물, 시냇물, 시냇믈, 시늉말, 시느매, 식나무, 신나무, 신나물, 신너멀, 싣나모, 심나물, 심낭막, 심내막, 산 나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