高踏主義(고답주의) 풀이

高踏主義

고답주의

속세에 초연하며 현실과 동떨어진 것을 고상하게 여기는 사상이나 태도.

#속세 #생각 #현실 #사상 #태도 #주의 #고상 #초연


한자 풀이:
  • (높을 ): 높다, 높이, 높낮이, 높이다, 높게 하다.
  • (밟을 ): 밟다, 발판, 신, 확인하다, 밟고 올라서는 대.
  • (주인 ): 주인, 주되다, 주장(主掌)하다, 우두머리, 자아.
  • (옳을 ): 옳다, 의(義), 뜻, 은혜, 의협.
💘 高踏主義(고답주의) 웹스토리 보기
高踏主義(고답주의)의 의미: 속세에 초연하며 현실과 동떨어진 것을 고상하게 여기는 사상이나 태도.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熟柿主義 획순 熟柿主(숙시주) : 감이 익기를 기다리는 주의라는 뜻으로, 홍시(紅柿)가 저절로 떨어져 입에 들어오기를 기다리듯이 호기(好期)가 오기를 앉아서 기다리는 주의.
  • 忘恩背(망은배) : 은혜를 모르거나 잊고 의리를 배반함.
  • 行則思(행즉사) : 행하면 의를 생각한다는 뜻으로, 일거일동(一擧一動)에 예(禮)를 잃지 않으며, 한 가기 일을 행함에도 의(義)를 생각한다는 의미.
  • 見利忘(견리망) : 눈앞의 이익을 보면 의리를 잊음.


高踏主義(고답주의) 관련 한자

  • 養志 획순 養志(양지) : (1)부모님을 즐겁게 해 드림. (2)뜻을 기름. 자기가 마음먹은 뜻을 이루기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함을 이른다.
  • 冊床兩班(책상양반) : (1)‘책상양반’의 북한어. (2)평민이지만 학문과 덕행(德行)이 있어서 양반이 된 사람.
  • 芝蘭之交(지란지교) : 지초(芝草)와 난초(蘭草)의 교제라는 뜻으로, 벗 사이의 맑고도 고귀한 사귐을 이르는 말.

  • 太平天國 획순 太平天國(태평천국) : (1)근심이나 걱정이 없는 편안한 이상국. (2)1851년에 홍수전과 농민 반란군이 중국 광시성(廣西省)에 세운 나라. 청나라의 지배에 항거하고, 기독교의 평등사상과 토지의 균등 분배 따위를 바탕으로 한 이상 국가를 세우고자 하였으나, 1864년에 내부의 분열과 증국번ㆍ이홍장 등이 이끄는 한인 의용군, 외국 의용군의 힘을 빌린 청나라에 의하여 망하였다.
  • 金聲玉振(금성옥진) : (1)시가(詩歌)나 음악의 아름다운 가락. (2)사물을 집대성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금은 종(鐘), 옥은 경(磬)을 뜻하는 것으로, 팔음(八音)을 합주할 때에 종을 쳐서 시작하고 마지막에 경을 치는 데서 유래한다. (3)지(智)와 덕(德)을 아울러 갖춘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사상이나 언론이 세상에 널리 알려져 존중받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桃源境(도원경) : (1)이 세상이 아닌 무릉도원처럼 아름다운 경지. (2)인간이 생각할 수 있는 최선의 상태를 갖춘 완전한 사회.

  • 山林處士 획순 山林處士(산림처사) : 벼슬을 하지 않고 세속을 떠나 산골에 파묻혀 글이나 읽고 지내는 선비.
  • 凌雲之志(능운지지) : 높은 구름을 훨씬 넘는 뜻이라는 말로, (1) 속세(俗世)에 초연(超然)한 태도(態度) (2) 속세(俗世)를 떠나서 초탈(超脫)하려는 마음.
  • 許由掛瓢(허유괘표) : 허유가 나뭇가지에 표주박을 걸었다가 시끄러워서 떼어버렸다는 뜻으로, 속세(俗世)를 떠나 청렴(淸廉)하게 살아가는 모양(模樣)을 이름.

  • 熟柿主義 획순 熟柿主義(숙시주의) : 감이 익기를 기다리는 주의라는 뜻으로, 홍시(紅柿)가 저절로 떨어져 입에 들어오기를 기다리듯이 호기(好期)가 오기를 앉아서 기다리는 주의.
  • 側目視之(측목시지) : 곁눈질하여 봄.
  • 信口開合(신구개합) : 말이 나오는 대로 따라서 입을 열었다 닫았다한다는 뜻으로, 말을 할 때 주의하지 않고 되는 대로 지껄여댐을 이르는 말. [=信口開河(신구개하)].

  • 凌雲之志 획순 凌雲之志(능운지지) : 높은 구름을 훨씬 넘는 뜻이라는 말로, (1) 속세(俗世)에 초연(超然)한 태도(態度) (2) 속세(俗世)를 떠나서 초탈(超脫)하려는 마음.
  • 大人大耳(대인대이) : 덕이 높고, 마음에 여유(餘裕)가 있는 사람은 자질구레한 일에 초연(超然)함, 곧 도량(度量)이 넓어서 자질구레한 일에 얽매이지 않음을 이르는 말.
  • 黃金時代(황금시대) : (1)사회의 진보가 최고조에 이르러 행복과 평화가 가득 찬 시대. 그리스 사람이 인류의 역사를 금, 은, 청동, 철의 네 시대로 나눈 가운데서 첫째의 시대를 이르는 말이다. (2)일생에서 가장 번영한 시기. (3)러시아의 작곡가 쇼스타코비치의 작품. 발레 대본 공모에 당선된 이바노브스키(Ivanovsky, A.)의 <황금시대>의 3막 6장의 발레 음악이다. 초연은 1930년 키로프 극장에서 이루어졌다. (4)16세기 초부터 17세기 말까지 이어진 에스파냐 문학의 전성기. 에스파냐의 국토 회복과 정치적 통일이 이룩되고 신대륙의 발견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한 것이 그 배경이 되었다. 에스파냐 문학사에서 가장 찬란한 시기로 손꼽힌다.

  • 實事求是 획순 實事求是(실사구시) : 사실에 토대를 두어 진리를 탐구하는 일. 공리공론을 떠나서 정확한 고증을 바탕으로 하는 과학적ㆍ객관적 학문 태도를 이른 것으로, 중국 청나라 고증학의 학문 태도에서 볼 수 있다. 조선 시대 실학파의 학문에 큰 영향을 주었다.
  • 廓然大公(확연대공) : 거리낌 없어 탁 트여 크게 공변되다는 뜻으로, 널리 모든 사물에 사심이 없이 공평함을 의미하는 성인의 마음을 배우는 군자의 학문하는 태도를 이르는 말.
  • 言笑自若(언소자약) : 근심이나 놀라운 일을 당하였을 때도 보통 때와 같이 웃고 이야기함.

  • 江湖歌道 획순 江湖歌道(강호가도) : 조선 시대에, 은자(隱者)나 시인(詩人), 묵객(墨客) 들이 현실을 도피하여 자연을 벗 삼아 지내면서 일으킨 시가 창작의 한 경향.
  • 卓上空論(탁상공론) : 현실성이 없는 허황한 이론이나 논의.
  • 色卽是空(색즉시공) : 현실의 물질적 존재는 모두 인연에 따라 만들어진 것으로서 불변하는 고유의 존재성이 없음을 이르는 말. 반야심경에 나오는 말이다.

#모습 66 #근본 66 #관계 90 #사이 200 #어버이 60 #아침 72 #실패 56 #부부 76 #중국 253 #조금 96 #비유 1177 #표현 88 #이름 211 #음식 79 #잘못 93 #세상 339 #얼굴 99 #유래 280 #무리 64 #머리 141 #임금 189 #행동 137 #사용 312 #지위 65 #나무 166 #은혜 70 #구름 67 #어려움 105 #소리 96 #이익 89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48개) : 가다재이, 가도종용, 간독정요, 간디주의, 갈동재이, 거대주의, 검덩자우, 검덩저울, 결단주의, 고담준언, 고답주의, 고도작업, 고독지옥, 곡뒤잽이, 곤두잡이, 공독주의, 관둥저우, 광대자약, 광도전율, 구두장이, 구두쟁이, 구두주의, 구둘재이, 그두재이, 그두쟁이, 극단주의, 근대주의, 기등재어, 가동 제언, 간단 작업, 감독 제어, 거담 작용, 계단 전압, 고도 제어, 고도 지역, 공동 작업, 공동 점유, 과도 전압, 과도 지연, 교대 작용, 교도 작업, 구두 질의, 굿 디자인, 궤도 제어, 궤도 진입, 기동 전압, 기동 전위, 기동 제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