花有重開日人無更少年(화유중개일인무갱소년) 풀이

花有重開日人無更少年

화유중개일인무갱소년

꽃은 다시 피는 날이 있으나, 사람은 다시 젊은 날은 없음.

#사람 #


한자 풀이:
  • (꽃 ): 꽃, 꽃이 피다, 꽃답다, 무늬, 흐려지다.
  • (있을 ): 있다, 또, 많다, 자재(資材), 보유(保有)하다.
  • (무거울 ): 무겁다, 거듭하다, 아이, 젖, 어린이.
  • (열 ): 열다, 산 이름, 열림, 사라지다, 끓다.
  • (날 ): 해, 햇볕, 낮의 길이, 날, 기한(期限).
  • (사람 ): 사람, 백성(百姓), 남, 어떤 사람, 인간(人間).
  • (없을 ): 없다, 허무의 도(道), 무엇, 비록 …하더라도, 발어사(發語辭).
  • (다시 ): 다시, 고치다, 재차, 개선함, 또.
  • (적을 ): 적다, 젊다, 많지 않음, 모자라다, 조금.
  • (해 ): 해, 아첨하다, 때, 나이, 익다.
花有重開日人無更少年(화유중개일인무갱소년) 웹스토리 보기
花有重開日人無更少年(화유중개일인무갱소년)의 의미: 꽃은 다시 피는 날이 있으나, 사람은 다시 젊은 날은 없음.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長幼有序 획순 長幼序(장서) : 오륜(五倫)의 하나. 어른과 어린이 사이의 도리는 엄격한 차례가 있고 복종해야 할 질서가 있음을 이른다.
  • 百官司(백관사) : 조정(朝廷)의 많은 벼슬아치. 또는 모든 관리(官吏).
  • 殺生擇(살생택) : 세속 오계의 하나. 살생하는 데에 가림이 있다는 뜻으로, 살생을 함부로 하지 말고 가려서 해야 함을 이른다.
  • 出言章(출언장) : 나오는 말마다 문채가 있다는 뜻으로, 하는 말이 아름답고 훌륭함을 이르는 말.

  • 廢時曠日 획순 廢時曠(폐시광) : 때를 버리고 날을 헛되이 보낸다는 뜻으로, 때를 헛되어 보내며 무익(無益)하게 시일을 보낸다는 의미.
  • 孝子愛(효자애) : 효자는 날을 아낀다는 뜻으로, 될 수 있는 한 오래 부모에게 효성을 다하여 섬기고자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驟雨不終(취우부종) : 소나기는 하루 종일 오지 않는다는 뜻으로, 위세(威勢)를 부리는 자는 오래가지 않음을 비유하거나, 급히 서두르는 일이 오래 계속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權不十年 (권불십년)].
  • 可期(지가기) : 멀지 않은 날짜에 일이 이루어질 것을 믿음.


花有重開日人無更少年(화유중개일인무갱소년) 관련 한자

  • 花鳥使 획순 花鳥使(화조사) : 남녀 사이의 애정에 관계되는 일을 심부름하여 주는 사람.
  • 花笑聲未聽鳥啼淚難看(화소성미청조제루난간) : 꽃은 웃으나 소리는 들리지 않고, 새는 우나 눈물은 보기가 어려움.
  • 落花流水(락화류수) : (1)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가는 봄의 경치를 이르는 말. (2)살림이나 세력이 약해져 아주 보잘것없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떨어지는 꽃에 정(情)이 있으면 물에도 또한 정이 있어 떨어지는 꽃은 물이 흐르는 대로 흐르기를 바라고 유수는 떨어지는 꽃을 띄워 흐르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남녀가 서로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4)춘앵전이나 처용무에서, 두 팔을 좌우로 한 번씩 뿌리는 춤사위. (5)1929년에 발매한 우리나라 최초의 창작 가요. 김서정(金曙汀)이 작사ㆍ작곡하고, 이정숙(李貞淑)이 노래하였다. 1927년에 만들어진 동명의 무성 영화의 주제가이다. (6)‘낙화유수’의 북한어.

#서로 71 #이름 211 #벼슬 88 #태도 72 #나무 166 #인간 65 #잘못 93 #정도 153 #아내 81 #표현 88 #상대 56 #재주 82 #사용 312 #구름 67 #나이 97 #어려움 105 #따위 228 #나라 392 #사이 200 #노력 69 #어버이 60 #모양 142 #가난 90 #무리 64 #학문 107 #고사 108 #조금 96 #세상 339 #훌륭 85 #군자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