梅蘭菊竹(매난국죽) 풀이

梅蘭菊竹

매난국죽

(1)매화와 난초와 국화와 대나무라는 뜻으로, ‘사군자’를 달리 이르는 말. (2)매화와 난초와 국화와 대나무라는 뜻으로, ‘사군자’를 달리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매란국죽’이다.

#난초 # #지칭 #규범 #소재 #국화 #매화 #대나무


한자 풀이:
  • (매화나무 ): 매화나무, 절후 이름, 신맛, 어둡다, 매실이 익을 무렵인 장마철.
  • (난초 ): 난초, 목란(木蘭), 병가(兵架), 가로 뻗은 혈관, 우리.
  • (국화 ): 국화, 대국(大菊), 엉거시과의 여러해살이풀, 꽃송이가 큰 국화, 대륜(大輪).
  • (대 ): 대, 피리, 죽간(竹簡), 대나무.
🍷 梅蘭菊竹(매난국죽) 웹스토리 보기
梅蘭菊竹(매난국죽)의 의미: (1)매화와 난초와 국화와 대나무라는 뜻으로, ‘사군자’를 달리 이르는 말. (2)매화와 난초와 국화와 대나무라는 뜻으로, ‘사군자’를 달리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매란국죽’이다.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梅妻鶴子 획순 妻鶴子(처학자) : 유유자적한 풍류 생활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임포(林逋)가 서호(西湖)에 은거하면서, 처자도 없이 오직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며 생활을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
  • 子鶴(처자학) : 매화(梅花)를 아내로 삼고, 학을 아들로 삼음.
  • 子十二(자십이) : 매실나무는 심은 지 12년이 되어야 열매를 맺는다는 말.
  • 松竹(송죽) : 소나무와 대나무와 매화나무를 아울러 이르는 말. 예로부터 세한삼우라고 하여 시나 그림의 소재로 많이 삼아 왔다.

  • 竹馬故友 획순 馬故友(마고우) : 대말을 타고 놀던 벗이라는 뜻으로, 어릴 때부터 같이 놀며 자란 벗.
  • 垂于帛(수우백) : 대나무와 비단에 드리운다는 뜻으로, 종이가 발명되기 전에 죽간(竹簡)이나 비단에 글을 써서 기록으로 남긴 것에서 이름을 역사에 남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正松五(정송오) : 소나무는 정월에 옮겨 심고, 대나무는 오월에 옮겨 심어야 잘 산다는 말.
  • 垂名帛(수명백) : 이름을 죽간과 비단에 드리운다는 뜻으로, 입신양명(立身揚名)하여 이름을 역사에 남긴다는 의미.


梅蘭菊竹(매난국죽) 관련 한자

  • 魂飛中天 획순 魂飛中天(혼비중천) : (1)혼이 하늘의 한가운데에 떴다는 뜻으로, 정신없이 허둥거림을 이르는 말. (2)죽은 사람의 혼이 공중에 떠돌아다님.
  • 齒亡脣亦支(치망순역지) :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산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있던 것이 없어져서 불편(不便)하더라도 없는 대로 참고 살아간다는 말.
  • 愚問賢答(우문현답) : 어리석은 질문에 대한 현명한 대답.

  • 祖行 획순 祖行(조항) : (1)할아버지뻘의 항렬. ⇒규범 표기는 ‘조항’이다. (2)할아버지뻘의 항렬.
  • 推敲(퇴고) : (1)글을 지을 때 여러 번 생각하여 고치고 다듬음. 또는 그런 일. 당나라의 시인 가도(賈島)가 ‘僧推月下門’이란 시구를 지을 때 ‘推’를 ‘敲’로 바꿀까 말까 망설이다가 한유(韓愈)를 만나 그의 조언으로 ‘敲’로 결정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규범 표기는 ‘퇴고’이다. (2)글을 지을 때 여러 번 생각하여 고치고 다듬음. 또는 그런 일. 당나라의 시인 가도(賈島)가 ‘僧推月下門’이란 시구를 지을 때 ‘推’를 ‘敲’로 바꿀까 말까 망설이다가 한유(韓愈)를 만나 그의 조언으로 ‘敲’로 결정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 鑿枘(조예) : (1)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모난 장부에 둥근 구멍이라 맞지 않는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규범 표기는 ‘조예’이다. (2)사물이 서로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모난 장부에 둥근 구멍이라 맞지 않는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 三益友 획순 三益友(삼익우) :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세 가지의 벗. 심성이 곧은 사람과 믿음직한 사람, 문견이 많은 사람을 이른다.
  • 梅妻鶴子(매처학자) : 유유자적한 풍류 생활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임포(林逋)가 서호(西湖)에 은거하면서, 처자도 없이 오직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며 생활을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
  • 雅致高節(아치고절) : 아담(雅淡ㆍ雅澹)한 풍치(風致)나 높은 절개(節槪)라는 뜻으로, 매화(梅花)를 이르는 말.

  • 松竹梅 획순 松竹梅(송죽매) : 소나무와 대나무와 매화나무를 아울러 이르는 말. 예로부터 세한삼우라고 하여 시나 그림의 소재로 많이 삼아 왔다.
  • 四君子(사군자) : 동양화에서, 매화ㆍ난초ㆍ국화ㆍ대나무를 그린 그림. 또는 그 소재. 고결함을 상징으로 하는 문인화의 대표적 소재이다.

  • 大王大妃 획순 大王大妃(대왕대비) : 살아 있는, 전전 임금의 비(妃). 주로 왕의 할머니를 이르는 말이다.
  • 村學究(촌학구) : (1)시골 글방의 스승. (2)학식이 좁고 고루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都邑華夏(도읍화하) : 도읍(都邑)은 왕성(王城)의 지위(地位)를 말한 것이고, 화하(華夏)는 당시(當時) 중국(中國)을 지칭(指稱)하던 말임.

  • 三益友 획순 三益友(삼익우) :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세 가지의 벗. 심성이 곧은 사람과 믿음직한 사람, 문견이 많은 사람을 이른다.
  • 簞食瓢飮(단사표음) :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는 말.
  • 竹馬故友(죽마고우) : 대말을 타고 놀던 벗이라는 뜻으로, 어릴 때부터 같이 놀며 자란 벗.

#신하 62 #은혜 70 #여자 101 #방법 59 #비유 1177 #노력 69 #임금 189 #부모 136 #세상 339 #표현 88 #싸움 61 #의미 1817 #이익 89 #나라 392 #고사 108 #상대 56 #나이 97 #사이 200 #사람 1461 #사랑 91 #실패 56 #생각 236 #문장 59 #어버이 60 #예전 60 #아래 86 #경계 56 #행동 137 #구름 67 #바람 136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개) : 매난국죽, 모내기조, 무늬가죽, 모난 골재, 모녀 가정, 미니 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