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236개

  • 고둥시 : ‘고등어’의 방언
  • 고등신 : 高登神 고구려의 시조 주몽의 신위(神位). ≪북사≫에 의하면 시조 부여신의 아들인 그를 신격화하여 관사를 두고 수호하면서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 고딕식 : 1 Gothic式 12세기 중엽에 유럽에서 생긴 건축 양식. 성당 건축의 전형적인 것으로, 교차 늑골로 받쳐진 아치와 하늘 높이 치솟은 뾰족한 탑 따위의 수직 효과를 강조한 것이 특색이다. 2 Gothic式 고딕의 특성을 보이는 미술의 양식.
  • 곡달산 : 鵠達山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에 있는 산. 광주산맥에 속하며, 인근에 곡달사 등이 있다. 높이는 628미터.
  • 곡도손 : ‘꼭두서니’의 옛말.
  • 곡두선 : 曲頭扇 겉살의 사북 근처에 굽은 뼈나 검은 나무쪽을 붙여 만든 쥘부채.
  • 곡두승 : 斛斗升 주로 곡물의 부피를 재는 단위. 곡(斛)은 한 섬, 두(斗)는 한 말, 승(升)은 한 되를 말한다.
  • 골단선 : 骨端線 긴뼈의 끝에 있는 물렁뼈가 없어지면서 뼈끝과 뼈의 몸 사이에 남은 선.
  • 골동선 : 骨董禪 가볍고 오만한 마음으로 기운 없이 참선하는 모양을 꾸짖는 말.
  • 골드색 : gold色 황금과 같이 광택이 나는 누런색.
  • 골드석 : gold席 공연이나 운동 경기 따위를 관람하기 좋은 자리. 브이아이피석과 에스석 사이 등급의 좌석이다.
  • 골든실 : golden seal 미나리아재빗과 식물인 히드라스티스 뿌리의 가루로 만든 약. 베르베린, 하이드라스틴 따위가 함유되어 미국에서는 고미건위, 각종 염증성 질환에 사용한다.
  • 곱다시 : 1 무던히 곱게. 2 그대로 고스란히.
  • 곱돌솥 : 곱돌로 만든 자그마한 솥.
  • 공대사 : 共代謝 미생물에 의해 세포의 기질이 변화되는 대사. 에너지나 양분은 소모되지 않는다.
  • 공대생 : 工大生 공과 대학에 다니는 학생. 전자ㆍ컴퓨터ㆍ기계 공학 따위를 공부한다.
  • 공덕산 : 公德山 평안북도 강계군에 있는 산. 강남산맥에 속한다. 높이는 1,134미터.
  • 공덕수 : 功德水 부처나 보살에게 공양하는 물. 본래는 모든 공양물을 이르는 말이었으나 변한 것이다.
  • 공덕심 : 1 公德心 사회의 여러 사람을 위하여 도덕과 의리를 소중히 여기고 지키는 마음. 2 功德心 남을 위하여 좋은 일을 많이 하려는 마음. 3 功德心 공덕을 소중하게 여기는 마음.
  • 공동산 : 共同山 ‘공동묘지’의 방언
  • 공동선 : 1 共同善 개인을 위한 것이 아닌 국가나 사회, 또는 온 인류를 위한 선. 2 共同線 하나의 전화 회선에 둘 이상의 가입 전화를 접속시켜 사용하는 전화선.
  • 공동성 : 空洞性 어떤 병이 몸의 조직을 파괴시켜 내장의 어떤 부분에 구멍이 생기게 하는 성질을 지닌 것을 이르는 말.
  • 과단성 : 果斷性 빠르고 단호하게 결정하는 성질.
  • 과대시 : 過大視 사물의 정도를 실제보다 지나치게 크게 봄.
  • 과독성 : 過毒性 병원성이 높고 독성이 강한 상태.
  • 과동사 : 過冬舍 ‘월동사’의 북한어. ‘겨울우리’로 다듬음.
  • 과동성 : 過冬性 ‘월동성’의 북한어. ‘겨울나이성’으로 다듬음.
  • 과동시 : 過冬柴 겨울 땔감으로 마련하여 두는 나무.
  • 관당상 : 館堂上 조선 시대에 둔, 성균관의 당상(堂上).
  • 관대성 : 寬大性 관대한 성격이나 특성.
  • 관도승 : 管道昇 중국 원나라 때의 화가ㆍ서예가(1262~1319). 자는 중희(仲姬). 조맹부(趙孟頫)의 부인이다. 남편 조맹부가 송나라 황실의 후손으로서 원나라의 관리가 되자 벼슬을 그만두고 은거할 것을 권하며 <어부사(漁父詞)> 4수를 지었다. 남편을 따라 낙향하다가 배 안에서 병사하였다. 해서(楷書)를 잘 썼으며, 묵죽매란(墨竹梅蘭)을 잘 그렸다.
  • 관동삼 : 關東蔘 강원도에서 나는 삼(蔘).
  • 광댓살 : 광대뼈에서 윗입술과 입꼬리로 붙는 두 근육을 가리킴. 윗입술과 입꼬리를 위쪽으로 올려 웃을 때 작용한다.
  • 광덕산 : 1 廣德山 강원도 철원군과 화천군, 경기도 포천시 사이에 있는 산. 광주산맥에 속한다. 높이는 1,046미터. 2 廣德山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와 아산시 송악면의 경계에 있는 산. 차령산맥에 속하며, 신라 때에 승려 자장(慈藏)이 창건한 광덕사가 있다. 높이는 699미터.
  • 광동성 : 廣東省 중국 남부, 남중국해에 면한 성. 옛날 월(粤)나라의 거주지로, 진시황 때 중국의 영토가 되었으며, 당나라 때까지는 유형지였다. 성도(省都)는 광저우(廣州), 면적은 17만 8145㎢. ⇒규범 표기는 ‘광둥성’이다.
  • 광동소 : 光同所 어떤 종류의 결정이 빛을 받았을 때 색이 변하였다가 어두운 데에서는 원래의 색으로 돌아가는 성질.
  • 광둥성 : Guangdong[廣東]省 중국 남부, 남중국해에 면한 성. 옛날 월(粤)나라의 거주지로, 진시황 때 중국의 영토가 되었으며, 당나라 때까지는 유형지였다. 성도(省都)는 광저우(廣州), 면적은 17만 8145㎢.
  • 괴동선 : 槐東線 동해 남부선의 효자역(孝子驛)에서 제철 공장이 있는 괴동을 잇는 철도. 1968년 12월에 개통하였다. 길이는 5.6km.
  • 교대생 : 敎大生 ‘교육대생’의 준말.
  • 교대성 : 1 交代性 번갈아 나타나는 성질. 2 交代性 넘겨주거나 넘겨받는 성질.
  • 교대식 : 交代式 다항식에서, 임의의 두 변수의 위치를 바꾸어 놓았을 때, 절댓값은 변하지 않고 양음(陽陰)의 부호만 바뀌는 식. (x-y)=-(y-x)이므로 x-yx, y의 교대식이다.
  • 교도소 : 矯導所 행형(行刑) 사무를 맡아보는 기관. 징역형이나 금고형, 노역장 유치나 구류 처분을 받은 사람, 재판 중에 있는 사람 등을 수용하는 시설이다.
  • 구당사 : 1 勾當使 고려 시대에, 도강(渡江)을 관할하던 벼슬. 성종 12년(993)에 처음으로 압록강에 두었으며 나중에 모든 나루터에 두었다. 2 勾當使 고려 시대에, 탐라(耽羅)를 관할하던 벼슬.
  • 구당서 : 舊唐書 중국 후진(後晉) 때에 유구(劉 呴)가 편찬하여 945년에 장소원(張昭遠)이 완성한 중국 당나라의 정사. 이십오사(二十五史)의 하나로, ≪신당서≫와 더불어 당나라 일대(一代)의 사실(史實)을 적었으며, 여기에 수록된 <음악지(音樂志)>, <지리지> 및 <동이전>은 우리나라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200권.
  • 구덕살 : ‘굳은살’의 방언
  • 구덕새 : ‘구두쇠’의 방언
  • 구덕쇠 : ‘구두쇠’의 방언
  • 구덩식 : 구덩式 위에서 밑으로 주검을 넣도록 되어 있는 무덤 양식.
  • 구도성 : 球淘省 태봉(泰封)에서 기물 만드는 일을 맡아보던 관아.
  • 구도승 : 求道僧 불법의 정도(正道)를 구하는 승려.
  • 구도심 : 1 求道心 도(道)를 구하는 마음. 2 舊都心 도시의 옛 중심부.
  • 구독성 : 購讀性 책이나 신문, 잡지 따위를 구입하여 읽을 수 있는 성질.
  • 구동성 : 驅動性 동력을 가하여 움직일 수 있는 성질.
  • 구동식 : 驅動式 동력을 가하여 움직이는 방식.
  • 구두산 : 龜頭山 경상남도 남해군에 설천면에 있는 산. 정상에 오르면 남해 대교가 한눈에 내려다보이며, 인근에 노량 공원이 있다. 귀두산이라고도 불린다. 높이는 377미터.
  • 구두선 : 1 口頭禪 실행이 따르지 않는 실속이 없는 말. 2 口頭禪 경문(經文)의 글귀만 읽고 참된 선(禪)의 도를 닦지 아니하는 태도.
  • 구두세 : ‘구두쇠’의 방언
  • 구두손 : ‘구둣주걱’의 방언
  • 구두솔 : ‘구둣솔’의 북한어.
  • 구두쇠 : 돈이나 재물 따위를 쓰는 데에 몹시 인색한 사람.
  • 구두순 : ‘구둣주걱’의 방언
  • 구두술 : ‘구둣주걱’의 북한어.
  • 구두쉐 : ‘구두쇠’의 방언
  • 구두식 : 口頭式 마주 대하여 입으로 말하는 방식.
  • 구둑살 : ‘굳은살’의 방언
  • 구둑셰 : ‘구두쇠’의 방언
  • 구둘새 : ‘굴뚝새’의 방언
  • 구둘심 : 전통 가옥에서, 온돌방에 구들을 놓기 위해 방고래와 방고래 사이에 돌과 흙을 이용하여 좁고 길게 쌓아 놓은 둑
  • 구둣솔 : 구두를 닦는 데 쓰는 솔.
  • 구둥살 : ‘굳은살’의 방언
  • 구들심 : 전통 가옥에서, 온돌방에 구들을 놓기 위해 방고래와 방고래 사이에 돌과 흙을 이용하여 좁고 길게 쌓아 놓은 둑
  • 구등살 : ‘굳은살’의 방언
  • 구등신 : 九等身 키가 얼굴 길이의 아홉 배가 되는 몸. 또는 그런 사람.
  • 군대식 : 1 軍隊式 군대에서 하는 것과 같은 방식. 질서나 규율을 중시하기 때문에 개인의 자유로운 행동이나 의견을 용인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2 軍隊食 군대에서 제공하는 식사.
  • 군대실 : 軍隊室 군인들이 생활하는 방.
  • 군덕살 : 영양 과잉이나 운동 부족 따위 때문에 찐 군더더기 살.
  • 군데손 : ‘밑싣개’의 방언
  • 군독성 : 群毒性 집단으로 사육한 동물에 더 강력하게 작용하는 독성. 약물의 엘디 오십을 조사했을 때 집단으로 사육한 동물에 투여해 얻은 값이 단독으로 사육한 동물에 투여한 값보다 작다.
  • 군두쇠 : 軍頭쇠 큰 재목을 옮길 때에, 줄을 매기 위하여 재목의 한쪽 끝에 박는 크고 굵은 쇠고리.
  • 군디신 : ‘밑싣개’의 방언
  • 굴둑새 : ‘굴뚝새’의 방언
  • 굿단속 : 굿團束 광산에서, 갱이 무너지지 아니하도록 손을 보는 일.
  • 궁단속 : 宮團束 장기에서, 궁(宮)의 둘레를 경계하여 지키는 일.
  • 궁둥살 : 볼기뼈 뒤쪽에서 넙다리뼈 위쪽으로 붙은 세 개의 큰 근육.
  • 궁디살 : ‘궁둥살’의 방언
  • 권달수 : 權達手 조선 전기의 문신(1469~1504). 자는 통지(通之). 호는 동계(桐溪). 연산군의 생모인 폐비 윤씨의 추숭(追崇)에 반대하다가 옥사하였다. 중종 때 도승지에 추증되었다.
  • 권대승 : 權大乘 일시적인 방편으로 설한 대승의 가르침. 유식(唯識)ㆍ법상(法相)ㆍ삼론(三論) 따위가 있다.
  • 권두사 : 卷頭辭 책의 머리말.
  • 궐덕산 : 蕨德山 함경남도 풍산군 천남면에 있는 산. 부전령산맥에 속하며, 이 근처에서 허천강을 비롯하여 그 지류인 웅이천과 서동천 따위가 시작한다. 높이는 1,430미터.
  • 궤도선 : 軌道船 태양계를 돌면서 행성을 탐사하는 위성.
  • 규동선 : 硅銅線/珪銅線 구리에 주석, 아연, 규소를 섞어 만든 전선(電線). 전화선으로 쓴다.
  • 균등성 : 均等性 재료의 품질이 균일한 정도.
  • 그단산 : ‘그동안’의 방언
  • 그담새 : ‘그사이’의 방언
  • 그덤새 : ‘그사이’의 방언
  • 극단성 : 極端性 중용을 잃고 한쪽으로 크게 치우치는 성질.
  • 근대사 : 近代史 근대 시대의 역사.
  • 근대성 : 近代性 근대적인 성질이나 특징.
  • 근대시 : 近代詩 개화기 무렵의 개화 가사, 창가, 신체시 따위를 포함하는 시 형식.
  • 근대식 : 近代式 근대의 발전 수준에 맞는 방식.
1 3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702 개의 단어) 🕊
  • 가다 :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장소를 이동하다.
  • 가닥 : 한군데서 갈려 나온 낱낱의 줄.
  • 가단 可鍛 : 두드려서 늘일 수 있는 것.
  • 가달 : 몹시 사나운 사람을 이르는 말.
  • 가닭 : ‘가닥’의 옛말.
  • 가담 加擔 : 같은 편이 되어 일을 함께 하거나 도움.
  • 가당 可當 : ‘가당하다’의 어근.
  • 가대 : ‘갈대’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ue1a7대’로도 적는다.
  • 가댱 : ‘가장’의 방언
(총 528 개의 단어) 🎁
  • 다사 : ‘다사하다’의 어근.
  • 다산 多産 : 아이 또는 새끼를 많이 낳음.
  • 다살 多殺 : 많이 죽임.
  • 다상 多相 : 여러 개의 상(相).
  • 다새 : ‘닷새’의 방언
  • 다색 多色 : 여러 가지 빛깔.
  • 다생 多生 : 많이 남.
  • 다서 多書 : 많은 책.
  • 다석 : ‘다섯’의 방언
(총 141 개의 단어) 🍭
  • : 경계에 가까운 바깥쪽 부분.
  • : 낱낱의.
  • : 음식물에 짠맛을 내는 물질. 소금, 간장, 된장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
  • : 갓. 모자.
  • : 서쪽에서 부는 바람.
  • : ‘가루’의 방언
  • : ‘칼’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갈’로 나타난다.
  • : 감나무의 열매. 모양은 둥글거나 둥글넓적하고 빛이 붉다. 익기 전에는 떫은맛이 나지만 익으면 단맛이 나며 그대로 먹기도 하고 껍질을 벗겨 곶감을 만들기도 한다.
  • : 귤 따위의 껍질을 벗긴 열매가 속껍질로 따로따로 싸인 낱개
(총 100 개의 단어) 🦕
  • : 궁중에서, ‘숭늉’을 이르던 말.
  • : 뽕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는 3미터 정도이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대개 2~3개의 결각이 있다. 암수한그루로 봄에 단성화가 이삭 모양으로 잎겨드랑이에서 피고 열매는 9월에 붉은색의 핵과(核果)를 맺는다. 열매는 ‘저실’ 또는 ‘구수자’라 하여 약용한다. 어린잎은 식용하며 껍질은 한지를 만드는 데 쓴다. 산기슭의 양지바른 곳이나 밭둑에서 자라는데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 ‘닻’의 방언
  • : 짚, 땔나무, 채소 따위의 묶음.
  • : ‘닻’의 옛말.
  • : 심마니들의 은어로, ‘불’을 이르는 말.
  • : 꿩과의 새. 머리에 붉은 볏이 있고 날개는 퇴화하여 잘 날지 못하며 다리는 튼튼하다. 육용과 난용으로 육종된 수많은 품종이 있으며, 가금으로 가장 많이 사육한다. 원종은 인도, 말레이시아 등지의 들꿩이다.
  • : 집의 둘레나 일정한 공간을 둘러막기 위하여 흙, 돌, 벽돌 따위로 쌓아 올린 것.
  • : ‘무렵’의 방언
(총 145 개의 단어) 🍈
  • : 올이 풀리지 아니하도록 단춧구멍이나 꿰맨 솔기 따위의 가장자리를 실로 감치는 일.
  • : 종이나 헝겊 따위를 칼이나 가위로 단번에 베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삯’의 방언
  • : 일한 데 대한 품값으로 주는 돈이나 물건.
  • : 평지보다 높이 솟아 있는 땅의 부분.
  • : 사람이나 동물의 뼈를 싸서 몸을 이루는 부드러운 부분.
  • : 고양잇과의 포유류. 고양이와 비슷한데 몸의 길이는 55~90cm이며, 갈색 바탕에 검은 무늬가 있다. 꼬리는 길고 사지는 짧으며 발톱은 작고 날카롭다. 밤에 활동하고 꿩, 다람쥐, 물고기, 닭 따위를 잡아먹는다. 5월경 2~4마리의 새끼를 낳고 산림 지대의 계곡과 암석층 가까운 곳에 사는데 한국, 인도,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 사는 일. 또는 살아 있음.
  • : ‘삽’의 옛말.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