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85개

  • 하래불 : ‘화롯불’의 방언
  • 하래비 : ‘학질’의 방언
  • 하량별 : 河梁別 떠나는 사람을 전송할 때에 강의 근처에서 헤어진다는 뜻으로, ‘송별’을 이르는 말.
  • 하렛밤 : ‘하룻밤’의 방언
  • 하례배 : 下隷輩 하인의 무리.
  • 하로불 : ‘화롯불’의 방언
  • 하롯밤 : ‘하룻밤’의 방언
  • 하롯불 : ‘화롯불’의 방언
  • 하루밤 : 1 ‘하룻밤’의 북한어. 2 ‘하룻밤’의 북한어.
  • 하루방 : 1 ‘할아버지’의 방언 2 ‘할아버지’의 방언
  • 하루볕 : ‘하룻볕’의 북한어.
  • 하룻밤 : 1 해가 지고 나서 다음 날 해가 뜰 때까지의 동안. 2 어떤 날 밤.
  • 하룻볕 : 하루 동안 쬐는 햇볕.
  • 하르방 : ‘할아버지’의 방언
  • 하르비 : 1 ‘할아버지’의 방언 2 ‘할아버지’의 방언
  • 하를밤 : ‘하룻밤’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를밤’으로도 적는다.
  • 하릇밤 : ‘하룻밤’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릇밤’으로도 적는다.
  • 하리방 : 1 ‘할아버지’의 방언 2 ‘할아버지’의 방언
  • 하리보 : haribô[針棒] 재봉틀에서, 바늘이 꽂히는 대.
  • 하리비 : 1 ‘할아버지’의 방언 2 ‘할아버지’의 방언
  • 하릿밤 : ‘하룻밤’의 방언
  • 하릿불 : ‘화롯불’의 방언
  • 학력별 : 學力別 학력에 따른 구별.
  • 학력병 : 學歷病 좋은 학력, 높은 학력을 갖기 위해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병적인 현상.
  • 학령부 : 學齡簿 관할 안의 학령 아동에 관한 장부. 시ㆍ읍ㆍ면장이 작성한다.
  • 한라봉 : 漢拏▽峰 일반 감귤보다 당도가 훨씬 높은 감귤 품종의 하나. 맛이 달콤하고 껍질을 벗길 때에 독특한 향이 뿜어져 나온다. 1978년 일본에서 처음 결실을 맺은 만다린계 교잡종으로, 1990년부터 제주 지역에서 시범 재배가 시작되어 국내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다.
  • 한량북 : 閑良북 광대 출신이 아닌 비전문가 고수의 북장단.
  • 할룻밤 : ‘하룻밤’의 방언
  • 할룻불 : ‘화롯불’의 방언
  • 해래비 : ‘할아비’의 방언
  • 해례본 : 解例本 조선 세종 28년(1446)에 훈민정음 28자를 세상에 반포할 때에 찍어 낸 판각 원본. 세종이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를 밝힌 어제 서문(御製序文), 자음과 모음의 음가와 운용 방법을 설명한 예의(例義), 훈민정음을 해설한 해례, 정인지 서(序)로 되어 있다.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보 정식 명칭은 ‘훈민정음’이다.
  • 해류병 : 海流甁 바닷물의 흐름을 조사하기 위하여 바다에 띄우는 병. 병 속에 엽서를 넣고 꼭 닫은 다음 흘려 보내고, 그것을 주운 사람이 주운 시간과 장소 따위를 기입하여 되돌려보낸 엽서를 통해 해류의 방향과 속도를 알 수 있게 된다.
  • 해리법 : 解離法 식물을 응용 해부학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의 하나. 조직편을 산이나 염으로 처리하여 조직 세포의 중층을 용해하고, 세포를 낱개로 분리하여,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의 크기, 형태, 막의 구조 등의 입체적 형태를 관찰한다.
  • 행랑방 : 行廊房 대문간에 붙어 있는 방.
  • 행려병 : 行旅病 나그네로 떠돌아다니다가 앓는 병.
  • 행렬법 : 行列法 순수 상호 배부법으로 부문별 원가 계산을 할 때, 상호 배부법 문제를 행렬로 만들어 역행렬과 행렬의 거듭제곱을 컴퓨터로 계산하는 방법. 연립 방정식의 해와 보조 부문비의 재배부액을 계산할 때 쓰인다.
  • 향로봉 : 1 香爐峯 강원도 고성군과 인제군 사이에 있는 산. 높이는 1,296미터. 2 香爐峯 평안남도 영원군과 함경남도 정평군 사이에 있는 산. 높이는 1,600미터.
  • 허락법 : 許諾▽法 화자가 청자의 요구를 받아들임을 나타내는 서법. ‘-려무나’, ‘-게나’, ‘-구려’ 따위의 어미로 실현된다.
  • 허룸박 : ‘목물’의 방언
  • 허름박 : ‘목물’의 방언
  • 허리바 : ‘허리띠’의 방언
  • 허리박 : ‘테왁’의 옛말.
  • 허리벽 : 허리壁 건물 벽체에서, 밑부분부터 사람의 몸이 닿을 수 있는 높이까지 마무리를 달리 한 부분.
  • 허리부 : 허리部 ‘요부’의 북한어.
  • 허릿바 : ‘허리띠’의 방언
  • 허릿발 : ‘허리끈’의 방언
  • 헤링본 : herringbone 물고기의 뼈 모양 혹은 화살의 오늬 같은 모양을 여러 개 짜 맞춘 무늬. 또는 그런 모양이 되도록 짠 능직(綾織).
  • 헨리밤 : Henry밤 중국이 원산지인 참나뭇과 교목 과수. 밤나무의 한 종류로, 내한성이 약하다. 줄기마름병에는 약하나 혹벌에는 내충성이 있다. 과실이 작아 주로 목재 생산용으로 적합하다.
  • 호로병 : 葫蘆甁 ‘호리병’의 원말.
  • 호롱박 : 박과의 한해살이 덩굴풀. 줄기는 덩굴지고 덩굴손에 의해서 다른 물체에 감아 붙으며, 잎은 어긋나고 심장 모양인데 털이 있다. 암수한그루로 7월에 깔때기 모양의 흰 꽃이 잎겨드랑이에 피고 열매는 장과로 길쭉하며 가운데가 잘록한 모양이다. 열매의 껍질이 단단하여 말려서 그릇으로 쓴다. 인가 근처에서 자란다.
  • 호롱불 : 호롱에 켠 불.
  • 호리벵 : ‘호리병’의 방언
  • 호리병 : 호리甁 위와 아래가 둥글며 가운데가 잘록한 모양으로 생긴 병. 보통 윗부분의 지름이 더 작으며, 술이나 약 따위를 담아 가지고 다니는 데 쓴다.
  • 혼례법 : 婚禮法 혼례를 올리는 방법.
  • 혼례복 : 婚禮服 혼례식 때에 신랑과 신부가 예복으로 입는 옷.
  • 혼례비 : 婚禮費 결혼을 할 때 드는 돈.
  • 홀래비 : ‘홀아비’의 방언
  • 홀로백 : hollow back 책을 폈을 때에 표지의 등과 책 알맹이의 등이 떨어져 빈틈이 생기도록 제본하는 방식.
  • 화롯발 : 火爐발 ‘다리쇠’의 방언
  • 화롯불 : 火爐불 화로에 담아 놓은 불.
  • 화룻불 : ‘화롯불’의 방언
  • 화류반 : 樺榴盤 자단의 목재로 만든 소반.
  • 화류병 : 花柳病 ‘성병’을 달리 이르는 말.
  • 화류빗 : 樺榴빗 자단의 목재로 만든 머리빗.
  • 화리발 : ‘다리쇠’의 방언
  • 화리불 : ‘화롯불’의 방언
  • 화릿불 : ‘화롯불’의 방언
  • 환류비 : 還流比 증류에 의한 액체의 환류에서, 환류되는 용액과 환류되지 않고 생성되는 용액 간의 비율.
  • 활룻불 : ‘화롯불’의 방언
  • 황량반 : 黃粱飯 맨 좁쌀로 짓거나 입쌀에 좁쌀을 많이 두어서 지은 밥.
  • 회리밤 : 1 ‘회오리밤’의 준말. 2 ‘회오리밤’의 준말.
  • 회리봉 : 회리峯 ‘회오리봉’의 준말.
  • 후림불 : 1 정신 차릴 사이도 없이 급작스레 휩쓸리는 서슬. 2 남의 옆에 있다가 아무 까닭 없이 걸려드는 일.
  • 훈련법 : 訓鍊法 가르쳐서 익히게 하는 방법.
  • 훈련별 : 訓鍊別 훈련에 따른 구별.
  • 훈련병 : 訓鍊兵 각 부대에 배치되기 전에 훈련 기관에서 훈련을 받고 있는 병사.
  • 훈련복 : 訓鍊服 훈련을 할 때에 입는 옷.
  • 훈련비 : 訓鍊費 가르쳐서 익히게 하는 데 드는 비용.
  • 흐름법 : 흐름法 기체 또는 액체의 반응을 관찰하거나 반응 속도를 결정하는 데 쓰이는 방법의 하나. 두 가지 물질을 빠르게 혼합한 후, 반응 진행 과정을 적절한 방법으로 관측한다. 연속 흘림법, 스톱 플로법 따위가 있다.
  • 흑레벨 : 黑level 텔레비전 화면이 흑색이 될 때의 전기 신호 레벨. 텔레비전 신호에서는 이 레벨을 항시 일정하게 유지하며, 이 레벨에 변동이 없으면 화면의 명도가 바뀌어도 화면의 평균 명도는 바르게 전달된다.
  • 흑리병 : 黑痢病 비육기의 육성 돼지에게 발생하는 질병. 혈액이나 점액이 포함되어 있는 설사를 한다.
  • 흘림법 : 1 흘림法 도자기의 표면에 유약을 흘러내리게 하여 입히는 방법. 2 흘림法 기체 또는 액체의 반응을 관찰하거나 반응 속도를 결정하는 데 쓰이는 방법의 하나. 두 가지 물질을 빠르게 혼합한 후, 반응 진행 과정을 적절한 방법으로 관측한다. 연속 흘림법, 스톱 플로법 따위가 있다.
  • 헬륨 볼 : helium ball 테니스에서, 친 공이 공중으로 높이 떴다가 경기장 끝의 베이스라인 근처로 떨어지는 샷.
  • 홈런 볼 : home run ball 야구에서, 타자가 쳐서 홈런이 된 공.
  • 흐른 볼 : 흐른ball 구기 종목의 경기에서, 볼 경합 도중에 흘러나온 공.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506 개의 단어) 😀
  • 하라 : ‘화로’의 방언
  • 하락 下落 : 값이나 등급 따위가 떨어짐.
  • 하란 下欄 : 아래의 난.
  • 하랍 下臘 : 법랍(法臘)이 적은 승려. 출가한 지 얼마 되지 아니한 승려를 이른다.
  • 하랑 : ‘정주간’의 방언
  • 하래 下來 :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내려옴.
  • 하략 下略 : 글이나 말의 아랫부분을 줄임.
  • 하량 下諒 : 주로 편지글에서, 윗사람이 아랫사람의 심정을 살피어 알아줌을 높여 이르는 말.
  • 하러 : ‘하루’의 방언
(총 227 개의 단어) 🐬
  • 라반 Laban, Rudolf : 루돌프 라반, 헝가리 태생의 독일 무용가(1879~1958). 제일 차 세계 대전 후 독일의 신무용 운동의 이론적 지도자로 뮌헨과 베를린에 연구소를 설립하여 많은 문하생을 길러 냈다. 저서에 ≪무용가의 세계≫, ≪무용 방법론≫ 따위가 있다.
  • 라발 Laval, Carl Gustav Patrik de : 칼 구스타브 파트리크 데 라발, 스웨덴의 과학자ㆍ공학자ㆍ발명가(1845~1913). 증기 터빈을 발명하고, 팽창식 노즐에 의하여 초음속 가스 분사를 가능하게 하였다.
  • 라배 羅拜 : ‘나배’의 북한어.
  • 라베 Labé, Louise : 루지 라베, 프랑스의 시인(1524?~1566). 여성으로서, 미모와 분방한 생애로 알려져 있으며, 사랑의 정열을 솔직하게 노래한 소네트는 릴케 등 후세 시인에게 애호되었다.
  • 라벨 label : 종이나 천에 상표나 품명 따위를 인쇄하여 상품에 붙여 놓은 조각. 분류 번호, 취급상의 주의 사항, 제품의 크기, 가격 따위를 써넣기도 한다.
  • 라병 邏兵 : ‘나졸’의 북한어. ⇒남한 규범 표기는 ‘나병’이다.
  • 라복 蘿蔔 : ‘나복’의 북한어.
  • 라부 裸婦 : ‘나부’의 북한어.
  • 라북 羅北 : 나침반이 가리키는 북쪽. ⇒남한 규범 표기는 ‘나북’이다.
(총 98 개의 단어) 🌈
  • : 정도가 매우 심하거나 큼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아주’, ‘몹시’의 뜻을 나타낸다.
  • : 급히 토하거나 뱉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그 수량이 하나임을 나타내는 말.
  • : ‘하늘’의 방언
  • : ‘흙’의 방언
  • : ‘달팽이’의 방언
  • : 여럿이 한데 모임. 또는 여럿을 한데 모음.
  • : ‘짝을 갖춘’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 몹시 놀라서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며 입을 짝 벌리는 모양.
(총 64 개의 단어) 🐠
  • : 서양 음악의 칠음 체계에서, 두 번째 음이름. 계이름 ‘레’와 같다.
  • : ‘낙’의 북한어.
  • : ‘알’의 뜻을 나타내는 말.
  • : ‘-라고 할’이 줄어든 말.
  • rum : ‘럼’의 북한어.
  • : ‘라’의 음역어.
  • : 낭자라는 뜻으로 ‘여자’를 이르던 말. ⇒남한 규범 표기는 ‘낭’이다.
  • : 해할 자리에 쓰여, 어떤 사실을 주어진 것으로 치고 그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이 섞여 있다.
  • lac : 랙깍지진디 따위가 내는, 끈적거리는 나무의 진 같은 분비물. 또는 그것을 가공한 것. 주로 무환자나무, 보리수, 고무나무 따위의 가지에 분비하며, 주로 셸락과 랙 물감을 만드는 데 쓴다.
(총 112 개의 단어) 🤟
  • : 삼이나 칡 따위로 세 가닥을 지어 굵다랗게 드린 줄.
  • : 물이 새지 아니하도록 하려고, 배에 댄 널빤지에 난 틈을 메우는 물건.
  • : 어떤 선이나 금을 넘어선 쪽.
  • : 얇게 펴서 다듬어 만든 조각.
  • : 사람이나 동물의 다리 맨 끝부분.
  • : 해가 져서 어두워진 때부터 다음 날 해가 떠서 밝아지기 전까지의 동안.
  • : 쌀, 보리 따위의 곡식을 씻어서 솥 따위의 용기에 넣고 물을 알맞게 부어, 낟알이 풀어지지 않고 물기가 잦아들게 끓여 익힌 음식.
  • baht : 타이의 화폐 단위. 1밧은 1사땅의 100배이다. 기호는 B.
  • : 윷판의 한가운데에 있는 밭.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