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59개

  • 바흐친 : Bakhtin, Mikhail Mikhailovich 미하일 미하일로비치 바흐친, 소련의 문예학자(1895~1975). 형식주의 이론을 발전시켜, 독자적인 대화 이론을 제창하였다. 저서에 ≪도스토옙스키론:창작 방법의 제문제≫, ≪프랑수아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ㆍ르네상스의 민중 문화≫ 따위가 있다.
  • 박하초 : 薄荷草 ‘박하풀’의 북한어.
  • 반향청 : 反響聽 정상적으로 소리를 들은 후에 반향을 자각하는 현상.
  • 반혼초 : 返魂草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1.5미터이며, 근생엽은 뭉쳐나고 경엽은 어긋난다. 9~10월에 엷은 자주색 두상화가 산방(繖房) 화서로 가지 끝에 모여 피고 어린잎은 식용한다. 깊은 산속 습지에서 자생하나 재배하기도 하며 한국, 일본, 중국, 몽골 등지에 분포한다.
  • 반화창 : 反花瘡 목화송이가 터지듯이 퍼지는 부스럼을 이르는 말.
  • 반화치 : 反花痔 항문이 밖으로 나와 자흑색을 띠며 아픔이 심하고 피가 흐르는 치질.
  • 발행처 : 發行處 출판물을 찍어 펴내는 기관이나 기업체.
  • 발현체 : 發現體 속에 있거나 숨은 것이 밖으로 나타난 물질이나 물체.
  • 발효차 : 醱酵차 산화 효소를 파괴하지 않고 발효시켜 만든 차. 홍차 따위가 있다.
  • 방학책 : 放學冊 예전에, 방학 동안에 공부하도록 만든 책을 이르던 말.
  • 방해책 : 妨害策 적의 레이더,아이아르, 광학, 음향 장비 따위의 탐지 장비가 아군 물체 표적을 탐지하기 위하여 발사한 전파를 수신하여 역으로 그 전파의 발사원을 탐지하거나 그 탐지 전파를 교란하고 방해하는 것.
  • 방해초 : 螃蟹炒 고추장을 푼 물에 살코기와 파의 머리 부분을 이겨 넣고 깨소금과 기름을 넣고 끓인 뒤, 방게를 소금 푼 물에 담갔다가 꺼내서 그 끓는 물에 넣어 물이 자질자질하도록 조린 음식.
  • 방향취 : 芳香臭 휘발성 물질에 의해 유발되는 냄새.
  • 방향치 : 方向癡 방향에 대한 감각이나 지각이 무디어 방향을 바르게 인식하지 못하거나 찾지 못하는 사람.
  • 방호책 : 防護柵 통행하는 차량이 차도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거나 보행자의 무단 횡단 따위를 방지하기 위하여 도로변에 설치하는 울타리.
  • 배합초 : 配合醋 액체 조미료의 하나. 식초ㆍ설탕ㆍ소금을 일정한 비율로 섞어 만든 것으로, 요리에 새콤한 맛을 더한다.
  • 배화채 : 배花菜 배를 얇게 썰어서 불그스름하게 연지(臙脂)를 푼 꿀이나 설탕에 재었다가, 오미자를 푼 꿀물에 넣고 실백을 띄운 화채.
  • 백화채 : ‘풍접초’의 북한어.
  • 백화춘 : 百花春 찹쌀로 빚은 술. 맛이 시원하고 향기롭다.
  • 백후추 : 白후추 껍질을 벗기고 건조하여 흰색을 띠는 후추.
  • 번행초 : 蕃杏草 석류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40~60cm이고 육질(肉質)이며, 약간 덩굴져 땅 위로 뻗으며 사마귀 같은 돌기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의 마름모꼴인데 약간 두툼하다. 봄에서 가을에 걸쳐 노란 꽃이 한두 개씩 잎겨드랑이에서 피며, 어린잎은 식용하고 전체를 약용한다. 해변의 모래땅에서 나는데 한국 남부, 일본, 중국, 남아시아, 남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 번화창 : 飜花瘡 목화송이가 터지듯이 퍼지는 부스럼을 이르는 말.
  • 번화치 : 飜花痔 항문이 밖으로 나와 자흑색을 띠며 아픔이 심하고 피가 흐르는 치질.
  • 범헤치 : ‘범띠’의 방언
  • 법황청 : 法皇廳 교황을 중심으로 하여 전 세계의 가톨릭교회와 교도를 다스리는 교회 행정의 중앙 기관. 바티칸 시국에 있다.
  • 벼훌채 : ‘벼훑이’의 방언
  • 벽한초 : 辟汗草 콩과에 속한 전동싸리의 생약명. 전초를 약용하며 청열(淸熱), 해독, 살충의 효능이 있어 말라리아, 이질, 임질을 치료하는 데 쓴다.
  • 변형체 : 變形體 점균류의 아메바 같은 영양체. 세포벽이 없는 다핵의 원형질체로, 원형질 유동으로 이동하며 세균 따위를 잡아먹는다.
  • 병해충 : 病害蟲 주로 농작물 따위에 해를 입히는 병과 해충.
  • 보현찰 : 普賢刹 고려 시대의 동요. 의종 때의 무신 정중부, 이의방 등이 난을 일으켜 여러 문신들을 보현원(普賢院)에서 죽인 무렵에 세간에 불렸던 노래로, 원래 가사는 전하지 아니하고 한역(漢譯)된 시가 ≪동국문헌비고≫에 실려 있다. 작자와 연대는 알 수 없다.
  • 보혈초 : 補血草 갯질경잇과에 속한 갯질경이의 생약명. 지상부를 약으로 사용하며 지혈산어, 지통, 소염의 효능이 있어 자궁 출혈, 신경통, 이명 따위를 치료한다.
  • 보호책 : 1 保護柵 사람들의 접근을 막아 사물을 보호하기 위해 세우는 울타리. 2 保護柵 기차나 자동차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울타리. 3 保護策 보호하기 위한 방법이나 계책.
  • 보호초 : 1 保護鞘 목화하여 표피의 대용이 된 내부 조직. 2 保護鞘 생체 내의 기관이나 개체를 보호하기 위해 겉을 둘러싸고 있는 구조물.
  • 보호층 : 1 保護層 웨이퍼의 표면을 외부 오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산화막, 질화막 따위를 입혀 부식을 억제한 부분. 2 保護層 부식 환경에서, 재료의 환원 전위를 양의 방향으로 현저하게 상승시키는 재료의 표면. 3 保護層 식물에서 손상된 기관을 보호하기 위하여 형성된 세포층. 식물의 잎이나 기타 기관이 이탈한 자리에 수분이 삼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 (총 4개의 의미)
  • 복합창 : 1 複合창 두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수지나 고무를 혼합 가공 하여 만든 신발창. 2 複合唱 이중으로 된 합창. 한 합창곡이 두 부분으로 나뉘어 각각 하나의 합창이 된다.
  • 복합천 : 複合천 풀 따위로 두 겹의 천을 붙인 천.
  • 복합체 : 複合體 두 가지 이상의 물체가 모여서 된 물체.
  • 복핵체 : 複核體 식물에서 유성 생식의 결과로 만들어진 생식 세포인 접합자의 핵을 이르는 말.
  • 복활차 : 複滑車 고정 도르래와 움직도르래를 두 개 이상 결합한 도르래.
  • 봉합책 : 縫合策 틀어진 일이나 불거진 문제 따위가 더 이상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한 방책.
  • 봉합침 : 縫合針 상처를 꿰매는 데 쓰는 굽은 바늘.
  • 봉화치 : 烽火峙 충청북도 제천시에 있는 고개. 높이는 1,337미터.
  • 봉황침 : 鳳凰枕 ‘봉침’의 북한어.
  • 부핵체 : 副核體 조균류의 알로마이세스의 배우자나 유주자의 핵을 둘러싸고 있는 세포질에서 유래한 아르엔에이 단백질성 부속체.
  • 부호층 : 富豪層 재산이 넉넉하고 세력이 있는 사람들의 계층.
  • 부활체 : 賦活體 화학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 또는 촉매의 구실을 증대시켜 반응이 일어나기 쉽도록 하는 물질.
  • 부활초 : 復活초 성토요일 부활 전야제에서 특별한 의식과 함께 축성된 초.
  • 부활촉 : 復活燭 성토요일 부활 전야제에서 특별한 의식과 함께 축성된 초.
  • 부흡착 : 負吸着 흡착에 있어 액체나 기체가 어떤 물체의 표면에서 탈착되는 현상. 계면(界面) 주위의 농도가 상(相) 내부의 농도보다 작게 될 때 일어난다. 일반적으로 흡착은 계면 주위의 농도가 상 내부보다 높을 때를 이른다.
  • 부흥책 : 復興策 쇠퇴하였던 것을 다시 일어나게 할 방책.
  • 부흥청 : 復興廳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피해를 복구하고 되살릴 목적으로 일정 기간 동안 설치된 일본의 행정 기관.
  • 분해층 : 分解層 유기물의 분해가 일어나는 층위.
  • 불합치 : 1 不合致 합치가 되지 아니함. 2 不合致 유전학에서, 쌍둥이 가운데 한쪽에만 어떤 특징이 나타나는 일.
  • 불환치 : 不換齒 일생 동안 한 번도 갈지 아니하는 이. 악어, 돌고래 따위에서 볼 수 있다.
  • 비행체 : 飛行體 날아다니는 물체.
  • 비행층 : 飛行層 비행기, 로켓 따위가 대기를 날 때, 여러 조건을 고려하여 취하는 수직층.
  • 비흑체 : 非黑體 입사한 빛의 일정한 비율을 반사하는 물체. 물체는 모두 이 성질을 가진다.
  • 방학 철 : 放學철 방학을 지내는 시기.
  • 보행 차 : 步行車 거동이 불편한 사람들이 몸을 의지하여 밀고 다닐 수 있도록 만든 차.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429 개의 단어) ⭐
  • 바하 : 독일의 작곡가(1685~1750). 많은 종교곡, 기악곡 소나타, 협주곡, 관현악 모음곡 따위를 썼고, 대위법 음악을 완성하여 바로크 음악의 정상에 올랐다. 작품으로 <마태 수난곡>,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부활제> 따위가 있다. ⇒규범 표기는 ‘바흐’이다.
  • 바확 : ‘방아확’의 방언
  • 바회 : ‘바위’의 옛말.
  • 바후 buff : ‘버프’의 북한어.
  • 바흐 Bach, Johann Sebastian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독일의 작곡가(1685~1750). 많은 종교곡, 기악곡 소나타, 협주곡, 관현악 모음곡 따위를 썼고, 대위법 음악을 완성하여 바로크 음악의 정상에 올랐다. 작품으로 <마태 수난곡>,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부활제> 따위가 있다.
  • 바히 : ‘바이’의 옛말.
  • 박하 薄荷 :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60~100cm이며, 잎은 마주나고 유선(油腺)이 있다. 여름에 옅은 자주색 또는 흰색의 작은 꽃이 줄기 윗부분에 윤산(輪繖) 화서로 피고, 열매는 달걀 모양의 수과(瘦果)를 맺는다. 한방에서는 잎을 약용하고 향기가 좋아 향료, 음료, 사탕 제조에도 쓴다. 중국이 원산지로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 박학 博學 : 배운 것이 많고 학식이 넓음. 또는 그 학식.
  • 박한 薄汗 : 조금 나는 땀.
(총 495 개의 단어) 🏵
  • 하차 下車 : 타고 있던 차에서 내림.
  • 하찬 下竄 : 경련이 일어날 때에, 눈동자가 아래로 내려가는 증상.
  • 하찰 下札 : 주로 편지글에서, 웃어른이 주신 글월을 높여 이르는 말.
  • 하창 夏昶 : 중국 명나라의 화가(1388~1470). 자는 중소(仲昭). 시(詩)ㆍ서(書)ㆍ화(畫)에 능한 전형적인 사대부 문인 화가로, 원나라ㆍ명나라 때 최고의 묵죽(墨竹) 화가라는 칭송을 받았다.
  • 하책 下策 : 가장 나쁜 대책이나 방책.
  • 하처 下處 : 손님이 길을 가다가 묵음. 또는 묵고 있는 그 집. ⇒규범 표기는 ‘사처’이다.
  • 하천 下賤 : 지위나 사회적 신분이 낮고 천함. 또는 그런 사람.
  • 하철 下嚞 : 삼철(三嚞)의 하나. 대종교에서 참된 정기를 타고 나서 이를 잘 보존하며, 억세고 날랜 기운을 가진 이를 이른다.
  • 하첨 下籤 : 신묘(神廟) 같은 곳에서 산가지를 뽑아 길흉을 점칠 때에 나오는 가장 흉한 산가지.
(총 112 개의 단어) 🌾
  • : 삼이나 칡 따위로 세 가닥을 지어 굵다랗게 드린 줄.
  • : 물이 새지 아니하도록 하려고, 배에 댄 널빤지에 난 틈을 메우는 물건.
  • : 어떤 선이나 금을 넘어선 쪽.
  • : 얇게 펴서 다듬어 만든 조각.
  • : 사람이나 동물의 다리 맨 끝부분.
  • : 해가 져서 어두워진 때부터 다음 날 해가 떠서 밝아지기 전까지의 동안.
  • : 쌀, 보리 따위의 곡식을 씻어서 솥 따위의 용기에 넣고 물을 알맞게 부어, 낟알이 풀어지지 않고 물기가 잦아들게 끓여 익힌 음식.
  • baht : 타이의 화폐 단위. 1밧은 1사땅의 100배이다. 기호는 B.
  • : 윷판의 한가운데에 있는 밭.
(총 98 개의 단어) 🍊
  • : 정도가 매우 심하거나 큼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아주’, ‘몹시’의 뜻을 나타낸다.
  • : 급히 토하거나 뱉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그 수량이 하나임을 나타내는 말.
  • : ‘하늘’의 방언
  • : ‘흙’의 방언
  • : ‘달팽이’의 방언
  • : 여럿이 한데 모임. 또는 여럿을 한데 모음.
  • : ‘짝을 갖춘’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 몹시 놀라서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며 입을 짝 벌리는 모양.
(총 61 개의 단어) 🍍
  • : 십팔기에서 ‘작살’을 병장기의 하나로 이르는 말.
  • : 물체가 바싹 다가붙거나 끈기 있게 달라붙는 모양. ‘짝’보다 거센 느낌을 준다.
  • : ‘배’의 방언
  • : 갑옷에 단 비늘 모양의 가죽 조각이나 쇳조각.
  • : 사실이나 이치에 조금도 어긋남이 없는 것.
  • chop : 프로 레슬링에서, 손으로 상대편을 베듯이 치는 일. ⇒규범 표기는 ‘촙’이다.
  • : ‘덫’의 방언
  • : 천이나 가죽 따위의 얇은 물건이 해져서 뚫린 구멍.
  • : 발구, 달구지, 수레 따위의 앞쪽 양옆에 댄 긴 나무.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