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133개

  • 박하엽 : 薄荷葉 박하의 잎.
  • 박하유 : 薄荷油 박하의 잎과 줄기를 건조ㆍ증류하여 얻은 기름을 식혀서 정제한 연노란색의 액체. 특이한 향기와 신맛이 있어 화장품, 과자, 의약품, 청량제 따위에 향료로 쓴다. 건위와 가스 제거의 효과가 있다.
  • 박효업 : 朴孝業 신라 하대에 당나라에 파견된 숙위 학생(宿衛學生)(?~?). 헌덕왕(憲德王) 17년(825) 신라 조정에서 수학(受學) 연한이 지났는데도 귀국하지 않고 체류하고 있는 학생들을 귀국시켜 줄 것을 당나라에 요청하였다. 이때 귀국한 유학생 중 한 명으로, 헌덕왕 초에 당나라에 건너간 것으로 추정되며, 귀국 후의 활동은 전해지지 않는다.
  • 반할인 : 半割引 정해진 금액에서 절반을 깎음.
  • 반항아 : 反抗兒 다른 사람이나 대상에 맞서 대들거나 반대하는 아이. 또는 그런 사람.
  • 반항인 : 反抗人 다른 사람이나 대상에 맞서 대들거나 반대하는 사람.
  • 반향어 : 反響語 다른 사람의 언어를 무의식적으로 되풀이하는 증상.
  • 반향음 : 反響音 음탐기에서 발사된 음파가 수중의 어느 물체에 부딪쳐 되돌아오는 현상. 또는 그 음.
  • 반혀염 : 半혀炎 혀의 한쪽에서만 생기는 염증.
  • 반현애 : 半懸崖 분재에서, 줄기나 가지가 분의 윗면보다 아래로 뻗어 나무의 중심 위치가 분 밑과 같거나 분 밑보다 약간 위로 올라오도록 가꾼 나무 모양.
  • 반환액 : 返還額 빌리거나 차지했던 돈을 되돌려주는 액수.
  • 반환열 : 返還熱 터빈계로부터 보일러계로 반환되는 열량.
  • 반환일 : 返還日 빌리거나 차지했던 것을 되돌려주는 날.
  • 반황원 : 半荒原 완전 사막과 사바나 또는 완전 사막과 완전 초원의 사이에 있는 사막.
  • 반회의 : 班會議 한 반에 속한 사람들의 모임.
  • 반휴일 : 半休日 한나절만 일하고 쉬는 날.
  • 반흔암 : 瘢痕癌 반흔에서 생긴 피부암. 어떤 질환으로 인해 피부에 궤양이 형성되어 반흔 치유가 반복되면서 상피의 이상 증식이 일어나 피부암을 일으킨다.
  • 발한욕 : 發汗浴 콩팥병이나 기타의 부종을 치료하기 위하여 뜨거운 물이나 김으로 땀을 내는 일.
  • 발행인 : 1 發行人 출판물을 발행하는 사람. 2 發行人 법이 정해 놓은 요건을 갖춘 어음이나 수표를 최초로 작성하여 교부하는 사람.
  • 발행일 : 1 發行日 출판물을 발행한 날짜. 2 發行日 어음이나 수표를 발행한 날짜. 어음이나 수표에 적혀 있는 날짜를 이르며, 실제로 발행된 날과 일치하지 않아도 된다.
  • 발헤엄 : 몸을 세우고 발만 써서 치는 헤엄.
  • 발헤염 : ‘발헤엄’의 옛말.
  • 발현율 : 發現率 속에 있거나 숨은 것이 밖으로 나타나는 비율.
  • 발화약 : 發火藥 약간의 충격이나 마찰, 감전으로 쉽게 발화(發火)하여 작약(炸藥)이나 폭파약을 폭발시키는 데 쓰이는 화약. 뇌홍, 뇌은, 뇌금 따위가 있다.
  • 발효액 : 醱酵液 발효 과정을 거쳐 얻어 낸 액체.
  • 발효열 : 醱酵熱 발효할 때에 생기는 열.
  • 발효유 : 醱酵乳 우유, 양유(羊乳) 따위를 유산균이나 효모균으로 발효시켜 만든 유제품. 요구르트 따위가 있으며, 몸의 영양을 돕는 자양 식료로 쓰인다.
  • 발효일 : 發效日 조약, 법, 공문서 따위의 효력이 나타나는 날.
  • 방한용 : 防寒用 추위를 막는 데 쓰임. 또는 그런 물건.
  • 방한의 : 防寒衣 추위를 막기 위하여 입는 옷.
  • 방한일 : 訪韓日 한국을 방문하는 날.
  • 방해용 : 妨害用 방해하는 데 씀. 또는 그런 것.
  • 방향안 : 方向案 어떤 뜻이나 현상이 일정한 목표를 향하여 나아가는 안건.
  • 방향약 : 芳香藥 식물성 약. 향기가 있고 약간 자극적인 특성이 있다.
  • 방향욕 : 芳香浴 향기가 있는 풀, 나뭇잎, 솔잎, 창포 열매 따위를 물에 넣고 목욕하는 일. 온열 작용과 향기로운 냄새의 작용으로 신경 마비ㆍ신경통의 치료와 원기 회복, 체력 단련 따위에 효과가 있다.
  • 방향용 : 芳香用 좋은 향을 내는 데 씀. 또는 그런 물건.
  • 방향유 : 芳香油 식물의 잎, 줄기, 열매, 꽃, 뿌리 따위에서 채취한 향기로운 휘발성의 기름. 테레빈유 화합물이나 방향족 화합물로 이루어져 있는데 물에는 녹지 않고 알코올과 에테르에는 녹는다. 향료로 쓰거나 인조 향료의 원료로 쓴다.
  • 방호용 : 防護用 어떤 공격이나 위험으로부터 막아서 보호하는 데에 쓰임. 또는 그런 물건.
  • 방호원 : 防護員 어떤 공격이나 해로부터 막아 지켜서 보호하는 일을 임무로 하는 사람.
  • 방화율 : 放火率 일정한 기간 동안 일어난 화재 중 방화가 차지하는 비율.
  • 방효유 : 方孝孺 중국 명나라 초기의 학자ㆍ정치가(1357~1402). 자는 희직(希直)ㆍ희고(希古). 호는 손지(遜志)ㆍ정학(正學). 영락제가 건문제를 내몰고 황제가 되어 즉위의 조서를 기초하도록 시켰으나, 이를 거절하여 처형당하였다. 저서에 ≪손지재집(遜志齋集)≫ 따위가 있다.
  • 배하인 : 陪下人 벼슬아치를 따라다니던 사령.
  • 백화엽 : 白化葉 건조 시에 직사광선과 고온에 노출되어 빛이 바랜 담뱃잎.
  • 백화왕 : 百花王 ‘모란’을 달리 이르는 말. 온갖 꽃 중에서 으뜸이라는 뜻이다.
  • 백화원 : 百花園 온갖 화초와 꽃나무로 꾸며진 동산.
  • 벌휴왕 : 伐休王 신라 제9대 왕(?~196). 성(姓)은 석(昔). 탈해왕의 손자로 처음으로 좌군주(左軍主), 우군주(右軍主)의 군직을 만들어 소문국(召文國)을 정벌하였다. 재위 기간은 184~196년이다.
  • 범호엄 : 범虎广 한자 부수의 하나. ‘處’, ‘號’ 따위에 쓰인 ‘虍’을 이른다.
  • 법화원 : 法華院 통일 신라 때에, 당나라 산둥성, 원덩현(文登縣), 적산촌(赤山村)에 장보고가 세운 절. 겨울에는 법화경을, 여름에는 금광명경을 강론하였다.
  • 법흥왕 : 法興王 신라 제23대 왕(?~540). 성은 김(金). 이름은 원종(原宗). 이 무렵 불교가 들어왔고, ‘건원’이라는 연호를 썼다. 처음으로 율령을 반포하여 백관(百官)의 공복(公服)을 정하는 등 국가 체제의 확립에 힘을 기울였다. 재위 기간은 514~540년이다.
  • 베하임 : Behaim, Martin 마르틴 베하임, 독일의 항해가ㆍ지리학자(1436?~1507). 1492년에 최초로 지구의(地球儀)를 만들었다.
  • 베훑이 : ‘벼훑이’의 방언
  • 베훝이 : ‘벼훑이’의 방언
  • 벼훑이 : 두 개의 나뭇가지나 수숫대 또는 댓가지의 한끝을 동여매어 집게처럼 만들고 그 틈에 벼 이삭을 넣고 벼의 알을 훑는 농기구.
  • 변형엽 : 變形葉 동화 작용 이외의 다른 특수 작용을 하기 위하여 형태가 변한 잎. 선인장의 가시 따위가 있다.
  • 변호인 : 辯護人 형사 소송에서, 피의자나 피고인의 이익을 보호하는 보조자로서 변호를 담당하는 사람.
  • 변화율 : 1 變化率 바뀌어 달라지는 비율. 2 變化率 함수 임의의 한 점에서의 미분 계수. Math Image 를 이 함수의 x에서의 변화율이라 하며 Math Image , Math Image , Math Image 로 나타낸다.
  • 변화음 : 1 變化音 원음을 변음 기호에 따라 반음 또는 온음 낮춤. 또는 그렇게 변한 음. 2 變化音 동화에 참여하는 요소 가운데 변화를 입어 음이 변하는 소리. 동화음과 같거나 비슷하게 바뀌는 소리를 이른다. 예를 들어, ‘집+만’이 ‘짐만’이 될 때 ‘ㅂ’이 동화음의 영향을 받아 ‘ㅁ’으로 변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 변환열 : 變換熱 고체가 액체로, 액체가 기체로 변할 때, 온도 상승의 효과를 나타내지 않고 단순히 물질의 상태를 바꾸는 데 쓰는 열. 곧 액화열과 기화열을 가리킨다.
  • 변환용 : 變換用 변환하는 데 쓰임. 또는 그런 물건.
  • 변환율 : 1 變換率 기본파의 출력 전력과 입력 전력 사이의 비율. 2 變換率 전원 측 전압에 대한 부하 측 전압의 비율.
  • 병해엽 : 病害葉 병원균의 침해를 받아 상처가 난 잎.
  • 보행욕 : 步行浴 욕조 내를 걸어 다니면서 혈액 순환과 물질대사를 원활하게 하는 목욕법.
  • 보행인 : 步行人 걸어서 길거리를 왕래하는 사람.
  • 보험액 : 保險額 보험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보험 계약에 따라 보험 회사에서 손해 보험의 피보험자나 생명 보험의 보험금 수취인에게 실제로 지급하는 돈.
  • 보험업 : 保險業 보험이라는 무형의 상품을 보험 가입자에게 공급하고 그 대가로 받은 보험료를 관리ㆍ운영하여 사고가 발생하거나 만기가 도래하였을 때 소정의 보험금을 지급하는 사업.
  • 보험왕 : 保險王 보험 상품을 매우 많이 판 사람.
  • 보험용 : 保險用 보험에 쓰임. 또는 그런 것.
  • 보험의 : 保險醫 보험 회사의 위촉을 받아 생명 보험에 가입할 사람의 체질, 건강 상태 따위를 진찰하는 의사.
  • 보험인 : 保險人 보험업에 종사하여 피보험자에게 보험 상품을 소개하고 이를 권하는 사람.
  • 보혁유 : 保革油 가죽을 보존하기 위하여 바르는 동물성 기름.
  • 보호액 : 保護液 어떤 대상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쓰는 액체.
  • 보호엽 : 保護葉 여러 개의 인편으로 되어 있는 마늘이나 양파에서 안쪽의 저장엽, 맹아엽, 보통엽을 감싸서 보호하는 바깥쪽 인편.
  • 보호용 : 保護用 보호를 하는 데에 씀. 또는 그런 것.
  • 보호의 : 保護衣 독물, 독가스, 세균, 방사성 물질 따위의 독기로부터 몸을 보호하도록 화학적으로 처리한 옷.
  • 복학원 : 復學願 대학 등지에서, 복학을 하기 위하여 내는 서류.
  • 복학일 : 復學日 정학이나 휴학을 하고 있던 학생이 다시 학교에 복귀하는 날.
  • 복합어 : 複合語 하나의 실질 형태소에 접사가 붙거나 두 개 이상의 실질 형태소가 결합된 말. ‘덧신’, ‘먹이’와 같은 파생어와, ‘집안’, ‘공부방’과 같은 합성어로 나뉜다.
  • 복합음 : 1 複合音 주파수가 다른 사인파 성분의 결합으로 생기는 음파. 2 複合音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높이의 음을 동시에 내는 일. 또는 그 음.
  • 본허울 : 本허울 사물의 근본이 되는 꼴.
  • 본환입 : 本還入 아악에 속하는 국악곡의 하나. 현악 보허자 미후사의 둘째 구 환입(還入) 가락을 독립시켜 그 끝에 첫째 구인 환두(還頭)까지를 첨가하여 변주한 곡으로, 하성조 따위의 아명(雅名)으로 불리기도 한다.
  • 본회의 : 本會議 전원이 참석하는 정식 회의를 분과 회의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 봉황음 : 鳳凰吟 조선 세종 때에, 윤회가 지은 악장. 조선의 문물제도를 찬미하고 왕가(王家)의 태평을 기원한 송축가로, 궁중 잔치 때 연화대 학춤에 불렀다. 가사를 세 번 되풀이하는데, 가사는 ≪악학궤범≫에, 악보는 ≪세종실록≫과 ≪대악후보≫에 전한다.
  • 봉황의 : 鳳凰衣 새끼를 깐 새알 껍데기 속의 희고 얇은 속껍질.
  • 부하율 : 負荷率 어떤 기간의 평균 수요 전력과 최대 수요 전력의 비(比).
  • 부행이 : ‘부엉이’의 방언
  • 부허이 : ‘부엉이’의 방언
  • 부헝이 : ‘부엉이’의 방언
  • 부헤이 : ‘부엉이’의 방언
  • 부헹이 : ‘부엉이’의 방언
  • 부호어 : 符號語 완전한 뜻을 가지는 부호. 또는 그런 부호들의 모임.
  • 부화업 : 孵化業 ‘축산법’에서, 닭 또는 오리의 알을 인공 부화 시설로 부화시켜 판매하는 업. 다른 사람에게 사육을 위탁하는 것을 포함한다.
  • 부화율 : 1 孵化率 부화시키기 위하여 넣어 놓은 알에 대한, 부화된 알의 비율. 2 孵化率 수정란에 대한, 부화된 알의 비율.
  • 부화음 : 副和音 주음 외의 음계들 위에 구성되는 화음 꼴.
  • 부화인 : 副貨印 다른 화물과 구별하려고 송화인, 수출자, 제조업자 등을 표시하여 화물의 겉 포장에 찍는 도장. 주화인의 보조 역할을 한다.
  • 부활일 : 復活日 예수의 부활을 기념하는 축일. 춘분(春分) 뒤의 첫 만월(滿月) 다음에 오는 일요일이다.
  • 부흥이 : ‘부엉이’의 방언
  • 부히이 : ‘부엉이’의 방언
  • 부힝이 : ‘부엉이’의 방언
  • 북학의 : 北學議 조선 정조 2년(1778)에 실학자인 박제가가 지은 책. 청나라의 풍속과 제도를 시찰하고 자신의 의견을 덧붙여 쓴 책으로, 실학사상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2권 1책의 사본(寫本).
  • 북한어 : 北韓語 남북으로 분단된 대한민국의 휴전선 북쪽 지역에서 사용하는 언어를 가리키는 말.
2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429 개의 단어) 🍎
  • 바하 : 독일의 작곡가(1685~1750). 많은 종교곡, 기악곡 소나타, 협주곡, 관현악 모음곡 따위를 썼고, 대위법 음악을 완성하여 바로크 음악의 정상에 올랐다. 작품으로 <마태 수난곡>,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부활제> 따위가 있다. ⇒규범 표기는 ‘바흐’이다.
  • 바확 : ‘방아확’의 방언
  • 바회 : ‘바위’의 옛말.
  • 바후 buff : ‘버프’의 북한어.
  • 바흐 Bach, Johann Sebastian :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 독일의 작곡가(1685~1750). 많은 종교곡, 기악곡 소나타, 협주곡, 관현악 모음곡 따위를 썼고, 대위법 음악을 완성하여 바로크 음악의 정상에 올랐다. 작품으로 <마태 수난곡>,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부활제> 따위가 있다.
  • 바히 : ‘바이’의 옛말.
  • 박하 薄荷 :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60~100cm이며, 잎은 마주나고 유선(油腺)이 있다. 여름에 옅은 자주색 또는 흰색의 작은 꽃이 줄기 윗부분에 윤산(輪繖) 화서로 피고, 열매는 달걀 모양의 수과(瘦果)를 맺는다. 한방에서는 잎을 약용하고 향기가 좋아 향료, 음료, 사탕 제조에도 쓴다. 중국이 원산지로 아시아, 유럽,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 박학 博學 : 배운 것이 많고 학식이 넓음. 또는 그 학식.
  • 박한 薄汗 : 조금 나는 땀.
(총 962 개의 단어) 🍀
  • 하아 夏芽 : 여름에 나서 겨울을 지나지 아니하고 그해 안에 터서 자라는 눈.
  • 하악 下顎 : 아래쪽의 턱.
  • 하안 何晏 : 중국 삼국 시대 위(魏)나라의 학자(193?~249). 자는 평숙(平叔). 벼슬은 시중상서에 이르렀으며, 청담을 즐겨 그것이 유행하는 계기를 만들고 경학을 노장풍(老莊風)으로 해석하였다. 저서에 ≪논어집해≫가 있다.
  • 하애 夏刈▽ : 농작물 따위를 여름철에 베어 들임. ⇒남한 규범 표기는 ‘하예’이다.
  • 하야 下野 : 시골로 내려간다는 뜻으로, 관직이나 정계에서 물러남을 이르는 말.
  • 하약 : ‘화약’의 방언
  • 하얌 : ‘하품’의 방언
  • 하양 : 하얀 빛깔이나 물감.
  • 하어 下語 : 선원에서, 고칙ㆍ공안ㆍ수시ㆍ상당 따위의 법어에 대하여 자기의 견해를 드러내는 말.
(총 112 개의 단어) 🐩
  • : 삼이나 칡 따위로 세 가닥을 지어 굵다랗게 드린 줄.
  • : 물이 새지 아니하도록 하려고, 배에 댄 널빤지에 난 틈을 메우는 물건.
  • : 어떤 선이나 금을 넘어선 쪽.
  • : 얇게 펴서 다듬어 만든 조각.
  • : 사람이나 동물의 다리 맨 끝부분.
  • : 해가 져서 어두워진 때부터 다음 날 해가 떠서 밝아지기 전까지의 동안.
  • : 쌀, 보리 따위의 곡식을 씻어서 솥 따위의 용기에 넣고 물을 알맞게 부어, 낟알이 풀어지지 않고 물기가 잦아들게 끓여 익힌 음식.
  • baht : 타이의 화폐 단위. 1밧은 1사땅의 100배이다. 기호는 B.
  • : 윷판의 한가운데에 있는 밭.
(총 98 개의 단어) 💘
  • : 정도가 매우 심하거나 큼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아주’, ‘몹시’의 뜻을 나타낸다.
  • : 급히 토하거나 뱉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그 수량이 하나임을 나타내는 말.
  • : ‘하늘’의 방언
  • : ‘흙’의 방언
  • : ‘달팽이’의 방언
  • : 여럿이 한데 모임. 또는 여럿을 한데 모음.
  • : ‘짝을 갖춘’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 몹시 놀라서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며 입을 짝 벌리는 모양.
(총 161 개의 단어) 🐩
  • : 한글 자모 ‘ㅏ’의 이름.
  • : 있는 힘을 다하여 모질게 마구 쓰는 기운.
  • : ‘아우’의 방언
  • : 어떤 물체나 공간의 둘러싸인 가에서 가운데로 향한 쪽. 또는 그런 곳이나 부분.
  • : ‘안’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안’으로 나타난다.
  • : 조류, 파충류, 어류, 곤충 따위의 암컷이 낳는, 둥근 모양의 물질.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새끼나 애벌레로 부화한다.
  • : 아는 일.
  • : ‘앞’의 옛말.
  • : ‘알’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알’로 나타난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