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141개

  • 바아확 : ‘방아확’의 방언
  • 바예호 : Vallejo, C’esar 세사르 바예호, 페루의 전투적인 정치적 시인(1892~1938). 시집에 ≪검은 사자(使者)들≫, 사회 소설에 <텅스텐> 따위가 있다.
  • 바일합 : Weyl合 지수 함수의 유한 합. 합(合)의 과정에서 사용된 용어를 수학자 바일이 이름 지은 데서 유래한다.
  • 박언학 : 博言學 ‘언어학’의 전 용어.
  • 박영호 : 朴英鎬 극작가ㆍ작사가(1911~1952). 예명은 처녀림(處女林)ㆍ김다인(金茶人). 함경남도 원산 출생이다. 대표작은 <눈물의 경부선>, <오빠는 풍각쟁이>, <짝사랑>, <흑장미>, <눈물의 사막길> 등이 있다.
  • 박영효 : 朴泳孝 구한말의 친일 정치가(1861~1939). 자는 자순(子純). 호는 춘고(春皐)ㆍ현현거사(玄玄居士). 정치적 혁신을 부르짖어 김옥균 등과 개화당을 조직하여 갑신정변을 일으켰으나 사대당(事大黨)에 패하여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귀국하여 김홍집 내각의 내무 대신, 이완용 내각의 궁내부 대신을 지냈다. 국권 강탈 후 일본으로부터 후작(侯爵)을 받고 중추원 고문에 임명되었다.
  • 박영희 : 朴英熙 시인ㆍ소설가(1901~?). 호는 회월(懷月)ㆍ송은(松隱). ≪장미촌≫, ≪백조≫ 따위의 동인으로 활동하였고 탐미적ㆍ낭만주의적 시인으로 출발하여, 한때 카프(KAPF)의 대변자로 활약하다가 1934년에 순수 예술로 전향하였다. 6ㆍ25 전쟁 때에 납북되었다. 시ㆍ소설ㆍ평론의 모든 분야에 걸쳐 활동하였으며 작품에 시 <유령의 나라>, 소설 <사냥개>, <전투> 따위가 있다.
  • 박인호 : 朴寅浩 천도교 제4대 교주(1855~1940). 자는 도일(道一). 호는 춘암(春菴). 동학에 들어가 동학 농민 운동 때에 교도를 이끌고 예산, 홍주 등지에서 활약하였고 1908년에는 동학의 도통(道統)을 이어 제4대 교주가 되었다. 3ㆍ1 운동 때는 손병희를 도와 48인 중의 한 사람으로 활동하였다.
  • 박인환 : 朴寅煥 시인(1926~1956). 현대 도시 문명의 퇴폐적인 모습과 우수를 표현하였다. 시집에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 ≪박인환 선시집(選詩集)≫ 따위가 있다.
  • 반야회 : 般若會 대반야바라밀다경을 독송(讀誦)하는 법회. 승려들이 모여서 국가의 안녕을 빌고 진혼(鎭魂)을 위하여 행한다.
  • 반얼혼 : 半얼魂 혼이 절반 나간 것. 또는 그러한 온전하지 못한 정신.
  • 반역향 : 反逆鄕 왕을 배반하여 반란을 일으킨 지역. 반역의 처벌로 읍호(邑號)를 강등하고 수령을 파직하였으며, 다른 지역과 차별 대우를 하여 관리 등용과 승진 따위에도 제한을 두었다.
  • 반완형 : 半椀形 사발이나 대접을 반으로 쪼갠 것 같은 모양.
  • 반원형 : 半圓形 원둘레의 반과 지름으로 이루어지는 반원의 모양.
  • 반월형 : 半月形 반달같이 생긴 모양.
  • 반응형 : 反應型 유전자와 환경의 상호 작용에 따라 동일한 표현형을 나타내는 개체의 무리.
  • 반이핵 : 半離核 복숭아에서 핵과 과육이 분리되기 어려운 품종과 분리되기 쉬운 품종의 중간에 위치하는 품종.
  • 반입항 : 搬入港 운반하여 들여오는 항구.
  • 발연히 : 勃然/艴然히 왈칵 성을 내는 태도나 일어나는 모양이 세차고 갑작스럽게.
  • 발음학 : 發音學 말소리를 자연 과학적인 관점에서 그것이 어떤 발음 기관의 어떠한 작용에 의하여 생성되며, 또한 만들어진 말소리가 어떻게 전달되고 청취되는가 등을 관찰하는 학문.
  • 방아학 : ‘방아확’의 방언
  • 방아혹 : ‘방아확’의 방언
  • 방아확 : 방앗공이로 찧을 수 있게 돌절구 모양으로 우묵하게 판 돌. 방앗공이가 떨어지는 곳에 묻어 그 속에 곡식을 넣고 찧거나 빻는다.
  • 방애학 : ‘방아확’의 방언
  • 방애확 : ‘방아확’의 방언
  • 방어회 : 魴魚膾 방어로 만든 회.
  • 방어흔 : 防禦痕 피해자가 상대편의 공격을 막으려 한 흔적.
  • 방언학 : 方言學 방언에 관하여 총체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언어학의 한 분야이다.
  • 방언형 : 方言形 한 언어에서, 사용 지역 또는 사회 계층에 따라 분화된 말의 유형이나 형태.
  • 방에혹 : ‘방아확’의 방언
  • 방역학 : 防疫學 전염병의 유행 과정을 관찰하여 그것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대책을 연구하는 학문.
  • 방연히 : 尨然히 두툼하고 크게.
  • 방열형 : 傍熱型 음극(陰極)이 곁에 있는 가열기에 의하여 열을 받아서 열전자를 내보내게 되어 있는 진공관.
  • 방외학 : 方外學 유교에서, 유교 밖의 학문이라고 하여 불교나 도교를 이르는 말.
  • 방외화 : 方外畫 일반적 화법(畫法)에서 벗어난 화법으로 그린 그림.
  • 방우형 : 防雨型 기계가 침수 피해를 입지 않도록 설계하는 형태.
  • 방임형 : 1 放任形 뒤에 오는 말의 내용을 제약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접속법의 한 활용형. ‘-어도’, ‘-더라도’ 따위이다. 2 放任型 돌보거나 간섭하지 않고 제멋대로 내버려 두는 유형.
  • 방잇혹 : ‘방아확’의 방언
  • 배우희 : 排優戲 시사적인 사건을 우스갯소리와 우스갯짓으로 표현하여 연출한 풍자적인 연극.
  • 배위형 : 配位形 금속 원소에 원자나 원자단들이 배위 결합으로 이루어진 모습.
  • 백아화 : 白亞化 도막(塗膜)이 노화하여 표면이 분말상으로 벗겨지는 현상.
  • 백악화 : 白堊化 도막(塗膜)이 노화하여 표면이 분말상으로 벗겨지는 현상.
  • 백액호 : 白額虎 이마와 눈썹의 털이 허옇게 센 늙은 호랑이.
  • 백양회 : 白陽會 1957년 12월에 한국의 화가인 김기창, 김영기, 박래현 등이 만든 미술 단체. 해방 이후 최초의 본격적인 동양화 모임으로, 1960년대에서 1970년대에 걸쳐 한국 화단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백열화 : 白熱化 상황이 매우 열띤 상태로 되어 감.
  • 백옥함 : 白玉函 흰 옥으로 만든 함.
  • 백옥호 : 白玉壺 흰 옥으로 만든 작은 병.
  • 백옥홀 : 白玉笏 흰 옥으로 만든 홀.
  • 백우회 : 白牛會 1937년 동경의 조선 유학생들에 의해 만들어진 미술 단체. 백우(白牛)라는 명칭이 민족 의식을 일깨운다는 이유로 이듬해 ‘재동경 미술가 협회’로 이름을 바꾸었다.
  • 백운향 : 1 白雲香 배꽃을 넣어 빚은 술. 2 白雲香 배꽃이 핀 뒤에 담근 술. 3 白雲鄕 천제(天帝)가 사는 곳. ... (총 4개의 의미)
  • 백운혜 : 白雲鞋 상중에 신는, 흰색의 여성용 마른신.
  • 백인화 : 白人禍 백색 인종이 권력이나 세력을 휘둘러 유색 인종에게 화를 입히는 일.
  • 백일하 : 白日下 온 세상 사람들이 다 알도록 뚜렷하게.
  • 백일해 : 百日咳 경련성의 기침을 일으키는 어린이의 급성 전염병. 3~6세의 어린이들이 잘 걸리며 특히 겨울부터 봄에 걸쳐 유행하는 전염성이 강한 병으로, 병에 걸리면 경과가 백 일 가까이 걸린다. 오래되면 끈끈하고 반투명한 가래가 나오며 기관지염ㆍ폐렴 따위를 일으키기 쉬우나, 한번 걸리면 일생 면역이 된다.
  • 백일홍 : 1 百日紅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높이는 60~90cm이며, 잎은 마주나고 털이 있어 거칠다. 6~10월에 여러 가지 빛깔의 두상화가 오랫동안 핀다. 관상용으로 재배하며 멕시코가 원산지이다. 2 百日紅 부처꽃과의 낙엽 소교목.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으로 윤이 난다. 7~9월에 붉은색ㆍ흰색 따위의 꽃이 가지 끝에 원추(圓錐) 화서로 피고, 열매는 타원형으로 10월에 익는다. 중국이 원산지이다.
  • 백일화 : 百日花 국화과의 한해살이풀. 높이는 60~90cm이며, 잎은 마주나고 털이 있어 거칠다. 6~10월에 여러 가지 빛깔의 두상화가 오랫동안 핀다. 관상용으로 재배하며 멕시코가 원산지이다.
  • 뱅잇혹 : ‘방아확’의 방언
  • 번역학 : 飜譯學 번역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연구하는 학문.
  • 번연히 : 1 ‘번히’의 본말. 2 幡然/翻然히 깨달음이 갑작스럽게.
  • 번영회 : 繁榮會 공동의 번영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모임.
  • 범연히 : 泛然히 차근차근한 맛이 없이 데면데면하게.
  • 범용화 : 汎用化 여러 분야나 용도로 널리 쓰이게 됨. 또는 그렇게 함.
  • 범유행 : 汎流行 광범위하게 퍼져 발생하는 유행성 질환.
  • 법의학 : 法醫學 의학을 기초로 하여 법률적으로 중요한 사실 관계를 연구하고 해석하며 감정하는 학문. 응용 의학의 한 분야이다. 살인에 대한 사인 규명, 범행의 시각 판정, 혈액형에 의한 친자 감정과 같이 재판상의 사실 인정을 위한 증거를 의학적 견지에서 채집하는 것을 임무로 한다.
  • 법인화 : 法人化 단체나 재산이 법률상의 권리와 의무의 주체로 되는 일.
  • 베염흘 : ‘사퇴’의 방언
  • 벽인향 : 辟人香 음력 정월 보름날에 여자들이 다리밟기를 할 때, 맨 앞에 선 여자가 사람들이 길을 비키도록 불을 피워 들던 향.
  • 변음화 : 邊音化 선행 음절의 종성이 후행 음절 초성의 조음 위치를 닮아가는 음운 현상. 상황에 따라 적용이 되기도 하고 적용되지 않기도 한다. 양순음화와 연구개음화로 나눌 수 있다.
  • 변이형 : 變異形 한 형태소가 주위 환경에 따라 음상(音相)을 달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달라진 한 형태소의 여러 모양을 이르는 말. 각각 자음과 모음으로 끝나는 말 뒤에 나타나는 주격 조사 ‘가’와 ‘이’, 목적격 조사 ‘을’과 ‘를’ 따위가 있다.
  • 병어회 : 병어膾 병어의 살을 얇게 저며 만든 회.
  • 병우후 : 兵虞候 각 도의 병마절도사를 보좌하던 벼슬아치.
  • 병원학 : 病原學 식물의 병을 일으키는 원인을 밝히고, 그 본체와 성상을 구명하고 연구하는 학문.
  • 병원행 : 病院行 질병이나 부상 따위를 치료하기 위하여 병원으로 향함. 또는 병원으로 가는 일.
  • 병원형 : 病原型 주어진 판별 품종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병을 일으키는 병원균 집단.
  • 병원화 : 病院化 농촌의 이(里) 단위 진료소들을 전문과와 치료 설비를 갖춘 병원으로 되게 함.
  • 병원회 : 兵員會 고대 로마의 민회. 군대의 최소 단위인 백인대(百人隊)에 토대를 둔 것으로, 군사 문제와 공공 문제를 의논하였다.
  • 병인학 : 病因學 질병의 발병 원인과 그 작용 방식을 연구하는 학문.
  • 보안화 : 保安化 안전을 유지하게 됨. 또는 그렇게 되게 함.
  • 보안회 : 保安會 대한 제국 광무 8년(1904)에 원세성(元世性)을 중심으로 하여 결성한 배일 단체. 활발한 운동을 전개하였으나 친일 단체인 유신회의 방해로 없어졌다.
  • 보어홀 : bore hole 굴삭용 케이싱을 삽입한 후 강관을 넣은, 깊이 30미터 이상의 관 우물.
  • 보육학 : 保育學 보육의 본질, 목적, 내용, 방법, 제도, 행정 따위에 관한 이론을 연구하는 학문.
  • 보윰히 : 빛이 조금 보얗게.
  • 보이해 : ‘자주’의 방언
  • 복어회 : 복어膾 복어의 살로 만든 회(膾).
  • 복역혼 : 服役婚 색시의 부모를 위하여 일을 해 주고 대가로 그 색시와 결혼하는 일.
  • 복우화 : 伏牛花 꼭두서닛과의 상록 활엽 관목. 높이는 1미터 정도이며, 잎은 마주나고 넓은 달걀 모양이다. 6월에 흰 꽃이 가지 끝의 잎겨드랑이에 피고 열매는 핵과(核果)로 9월에 붉게 익는다. 관상용이고 산지(山地)의 나무 그늘에서 자라는데 한국의 제주도ㆍ홍도, 일본 남부, 중국 남부 등지에 분포한다.
  • 복융합 : 複融合 두 가지 이상의 대상을 하나로 합쳐서 서로 구별이 없게 하나로 만드는 일.
  • 복음화 : 福音化 구세주의 은혜나 구원을 받도록 사람들에게 구세주의 말씀을 전하는 일.
  • 복음회 : 福音會 교회에서 복음을 연구하거나 전도하기 위하여 모이는 모임.
  • 본연히 : 本然히 어떤 특성이나 성질 따위가 본디부터 그러하게.
  • 본위화 : 本位貨 한 나라의 화폐 제도의 기초를 이루는 화폐. 화폐를 만드는 소재인 금속의 가치를 기준으로 하여 다른 재화들의 가치를 재는 척도가 된다.
  • 봉안함 : 奉安函 죽은 사람의 유골을 담아 모셔 두는 함.
  • 부양화 : 富養化 인이나 질소 등이 함유된 더러운 물이 호수나 강, 연안 등에 흘러들어, 이것을 양분 삼아 플랑크톤이 비정상적으로 번식하여 수질이 오염되는 일.
  • 부어회 : 鮒魚膾 붕어의 살로 만든 회.
  • 부어히 : ‘부엉이’의 방언
  • 부업형 : 副業型 본업 외에 여가를 이용하여 갖는 직업 유형.
  • 부에히 : ‘부엉이’의 방언
  • 부여현 : 扶輿峴 경상북도 봉화군에 있는 고개. 높이는 228미터.
  • 부여후 : 扶餘侯 고려의 왕족(?~1112). 이름은 왕수(王㸂). 문종과 인경 현비(仁敬賢妃)의 소생이다.
  • 부용향 : 芙蓉香 전통 혼례식에서 잡귀를 쫓기 위하여 피웠던, 초 모양으로 된 향. 굵기는 손가락만 하고 길이는 대여섯 치쯤 되는데, 향꽂이에 꽂아서 족두리하님이 신부 앞에 가면서 피운다.
2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848 개의 단어) 🍩
  • 바아 : ‘밧줄’의 방언
  • 바안 barn : 핵반응이나 고에너지 충돌에서 단면적의 단위. 1반은 10-28㎡이다. 기호는 b. ⇒규범 표기는 ‘반’이다.
  • 바알 Ba‘al : 고대 동방 여러 나라의 최고의 신으로 토지의 비옥함과 생물의 번식을 주재하는 신. 이스라엘에 들어와 널리 퍼졌으나 엘리야 선지자가 도덕이 부패함을 책망하고 바알 선지자 450명을 죽였다고 전해진다.
  • 바앙 : ‘방아’의 방언
  • 바애 : ‘팽이’의 방언
  • 바얀 bayan : 러시아 민족 악기의 하나. 모양은 아코디언과 거의 같으나 건반이 단추식으로 되어 있다. 고대 러시아의 전설적인 가수 ‘보얀’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며, 1890년대부터 널리 전파되었다.
  • 바양 Vailland, Roger : 로제 바양, 프랑스의 소설가(1907~1965). 작품에 <기묘한 놀이>, <규칙> 따위가 있다.
  • 바얘 : ‘팽이’의 방언
  • 바에 : ‘바이’의 방언
(총 938 개의 단어) 🍉
  • 아하 : 미처 생각하지 못한 것을 깨달았을 때 가볍게 내는 소리.
  • 아한 阿干 : 신라 때에 ‘신하’를 이르던 말.
  • 아항 牙行 : ‘아행’의 북한어.
  • 아해 : 나이가 어린 사람. ⇒규범 표기는 ‘아이’이다.
  • 아행 牙行 : 중국에서, 상거래를 중개하는 사람.
  • 아헌 亞獻 : 제사를 지내는 절차의 하나. 초헌한 다음에 하는 것으로, 둘째 술잔을 신위 앞에 올린다.
  • 아헤 : ‘아이’의 방언
  • 아헨 Aachen : 독일 서부, 네덜란드와 벨기에 국경에 가까운 공업 도시. 카를 대제 시대의 수도였으며, 직물ㆍ기계ㆍ유리 따위의 공업이 발달하였다.
  • 아형 阿兄 : 주로 글에서, ‘형’을 친근하게 부르는 말.
(총 112 개의 단어) 🦕
  • : 삼이나 칡 따위로 세 가닥을 지어 굵다랗게 드린 줄.
  • : 물이 새지 아니하도록 하려고, 배에 댄 널빤지에 난 틈을 메우는 물건.
  • : 어떤 선이나 금을 넘어선 쪽.
  • : 얇게 펴서 다듬어 만든 조각.
  • : 사람이나 동물의 다리 맨 끝부분.
  • : 해가 져서 어두워진 때부터 다음 날 해가 떠서 밝아지기 전까지의 동안.
  • : 쌀, 보리 따위의 곡식을 씻어서 솥 따위의 용기에 넣고 물을 알맞게 부어, 낟알이 풀어지지 않고 물기가 잦아들게 끓여 익힌 음식.
  • baht : 타이의 화폐 단위. 1밧은 1사땅의 100배이다. 기호는 B.
  • : 윷판의 한가운데에 있는 밭.
(총 161 개의 단어) ⭐
  • : 한글 자모 ‘ㅏ’의 이름.
  • : 있는 힘을 다하여 모질게 마구 쓰는 기운.
  • : ‘아우’의 방언
  • : 어떤 물체나 공간의 둘러싸인 가에서 가운데로 향한 쪽. 또는 그런 곳이나 부분.
  • : ‘안’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안’으로 나타난다.
  • : 조류, 파충류, 어류, 곤충 따위의 암컷이 낳는, 둥근 모양의 물질.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새끼나 애벌레로 부화한다.
  • : 아는 일.
  • : ‘앞’의 옛말.
  • : ‘알’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알’로 나타난다.
(총 98 개의 단어) 🐳
  • : 정도가 매우 심하거나 큼을 강조하여 이르는 말. ‘아주’, ‘몹시’의 뜻을 나타낸다.
  • : 급히 토하거나 뱉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그 수량이 하나임을 나타내는 말.
  • : ‘하늘’의 방언
  • : ‘흙’의 방언
  • : ‘달팽이’의 방언
  • : 여럿이 한데 모임. 또는 여럿을 한데 모음.
  • : ‘짝을 갖춘’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
  • : 몹시 놀라서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며 입을 짝 벌리는 모양.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