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성 단어: 69개

  • 가감시리 : ‘과감스레’의 방언
  • 가강수량 : 可降水量 공기 중의 수증기가 모두 응결될 때 생기는 물의 총량. 단위 면적당 강수량으로 표시된다.
  • 가공스레 : 可恐스레 보기에 두려움을 주는 데가 있게.
  • 가관스레 : 1 可觀스레 (비웃는 뜻으로) 꼴이 꽤 볼만하게. 2 可觀스레 경치 따위가 꽤 볼만하게.
  • 가긍스레 : 可矜스레 불쌍하고 가여운 데가 있게.
  • 간고스레 : 艱苦스레 생활이나 처지 따위가 어렵고 고생스러운 데가 있게.
  • 간교스레 : 奸巧스레 보기에 간사하고 교활한 데가 있게.
  • 갈게수리 : ‘물갯지렁이’의 방언
  • 갈게스리 : ‘물갯지렁이’의 방언
  • 갈게시리 : ‘물갯지렁이’의 방언
  • 감겍시리 : ‘감격스레’의 방언
  • 감격스레 : 感激스레 마음에 깊이 느끼어 크게 감동이 되는 듯하게.
  • 갑갑시리 : ‘갑갑히’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시리’로도 적는다.
  • 강강술래 : 정월 대보름날이나 팔월 한가위에 남부 지방에서 행하는 민속놀이. 여러 사람이 함께 손을 잡고 원을 그리며 빙빙 돌면서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른다. 2009년에 유네스코 세계 무형 유산으로 지정되었다. 국가 무형 문화재 제8호.
  • 개감스레 : 음식을 욕심껏 먹어 대는 꼴이 보기에 흉하게.
  • 개고사리 : 면마과의 여러해살이풀. 뿌리줄기는 옆으로 길게 뻗으며, 적갈색의 비늘 조각이 있다. 잎은 높이가 60cm 정도이며, 잎몸은 긴 타원형에 톱니가 있고 연하다. 뿌리줄기에 적갈색의 비늘 조각이 있다. 산이나 들의 습지에서 자라는데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 갯가사람 : ‘갯사람’의 방언
  • 갯거시랑 : ‘갯지렁이’의 방언
  • 갯고사리 : 용골갯고사릿과의 극피동물. 몸의 길이는 30~50cm이며, 대체로 연한 복숭앗빛을 띤다. 식물의 나리와 비슷한 모양으로 바닷속 깊은 곳에 뿌리 같은 부분으로 다른 물건에 붙어 산다.
  • 거구세린 : 巨口細鱗 농엇과의 바닷물고기. 몸의 길이는 50~90cm이고, 등은 검푸르고 배는 희며, 어릴 때는 등과 등지느러미에 검은 갈색의 작은 점이 많다. 몸은 옆으로 납작하며 주둥이가 크고, 아래턱이 위턱보다 길며, 온몸에 잔비늘이 많다. 가을과 겨울철에 강어귀에 산란하며 어릴 때에는 민물에서 살다가 첫겨울에 바다로 나간다.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건고사리 : 乾고사리 햇볕이나 건조기에 말린 고사리.
  • 게걸스레 : 몹시 먹고 싶거나 하고 싶은 욕심에 사로잡힌 듯하게.
  • 게검스레 : 음식을 욕심껏 먹어 대는 꼴이 보기에 매우 흉하게.
  • 경거숙로 : 輕車熟路 가볍고 빠른 수레를 타고 익숙한 길을 간다는 뜻으로, 일에 숙달하여 조금도 막힘이나 머뭇거림이 없음을 이르는 말.
  • 계급심리 : 階級心理 일정한 계급에 속하는 사람들이 지니고 있는 공통 심리. 특정한 계급의 공통된 지향과 이해관계를 바탕으로 형성되고 굳어진 신념이나 태도, 관습 따위의 집단 심리이다.
  • 고공산랑 : 考功散郞 고려 시대에, 고공사에 속한 정육품 벼슬. 고공원외랑을 공민왕 18년(1369)에 고친 것이다.
  • 고공심리 : 高空心理 고공을 비행 중인 사람에게 생기는 독특한 심리 상태.
  • 고금석림 : 古今釋林 조선 정조 13년(1789)에 이의봉이 엮은 사전. 우리말을 비롯하여 중국, 베트남, 일본, 여진, 미얀마 등의 말과 1,500여 종의 문헌에서 뽑은 신라ㆍ고려의 이두에 주석을 달았다. 40권의 사본(寫本).
  • 고기시렁 : 어물전에서 고기를 늘어놓는 시렁.
  • 곤궁스레 : 困窮스레 가난하여 살림이 구차한 데가 있게.
  • 골고사리 : 꼬리고사릿과의 여러해살이풀. 땅속에 뿌리줄기가 있으며, 잎은 뭉쳐나고 피침 모양이며 뒤쪽에 홀씨주머니무리가 붙어 있다. 깊은 산의 나무 그늘에서 자라는데 한국의 울릉도ㆍ제주,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골구사리 : ‘가락고동’의 방언
  • 공격서렬 : 攻擊序列 일정한 질서로 이루어진 공격의 대열이나 대형. ⇒남한 규범 표기는 ‘공격 서열’이다.
  • 과감스레 : 果敢스레 과단성이 있고 용감한 데가 있게.
  • 관공사립 : 官公私立 관립과 공립과 사립을 아울러 이르는 말.
  • 괄괄스레 : 보기에 성질이 세고 급한 데가 있게.
  • 교과서류 : 敎科書類 교과서에 해당하는 책을 통틀어 이르는 말.
  • 구경스레 : 구경할 만하게.
  • 구구스레 : 1 區區스레 보기에 떳떳하지 못하고 구차스러운 데가 있게. 2 區區스레 보기에 잘고 변변하지 못하며 졸렬한 데가 있게.
  • 굴겁사리 : 심마니들의 은어로, ‘옷’을 이르는 말.
  • 굴겁시리 : ‘옷’의 방언
  • 궁극스레 : 窮極스레 보기에 끝장을 보겠다는 듯이 극성스러운 태도로.
  • 궁근소리 : 크고 깊은 소리.
  • 귀골스레 : 貴骨스레 귀한 느낌이 있거나 귀하게 자란 느낌이 드는 데가 있게.
  • 귀기스락 : ‘귓기스락’의 북한어.
  • 귓기스락 : 초가집 처마 귀퉁이의 끝.
  • 기걸스레 : 奇傑스레 모습이나 행동이 기이하고 호걸다운 데가 있게.
  • 기겁스레 : 氣怯스레 갑작스레 겁을 내며 놀라는 태도로.
  • 기광스레 : 氣狂스레 극성스레 마구 날뛰는 듯하게.
  • 기구스럭 : ‘처마’의 방언
  • 긴곁소리 : ‘긴앞꾸밈음’의 북한어.
  • 깃고사리 : 꼬리고사릿과의 하나. 뿌리줄기는 짧고 밑부분에 잔뿌리가 많으며, 잎은 뭉쳐나고 깃 모양으로 갈라진다. 홀씨주머니무리는 선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다. 숲속의 바위에 자라는데 제주에 분포한다.
  • 가공 선로 : 架空線路 전력(電力)을 보내거나 통신을 할 수 있도록 공중에 설치한 선로.
  • 간격 수락 : 間隔受諾▽ 두 차량 사이의 차간 시간을 이용하여 차량 흐름을 합치거나 엇갈리게 하는 일.
  • 경계 사례 : 境界事例 환자에게서 나타난 증상이 이미 확립된 어떤 병의 증상과 매우 유사하지만 전형적이지 않은 사례.
  • 경계 심리 : 警戒心理 어떠한 일이 잘못될 것을 예측하며 주의를 기울이는 일시적이고 특수한 심리 상태.
  • 경고 선량 : 警告線量 핵이 폭발하거나 방사선이 밖으로 새어 나올 때 대기, 음료수 따위의 오염을 막기 위하여 정부가 경고를 내릴 때의 방사선량.
  • 경기 소리 : 京畿소리 서울, 경기 지방을 중심으로 불리는 잡가. 흔히 유산가(遊山歌), 적벽가, 제비가, 소춘향가, 선유가, 집장가, 형장가, 평양가, 달거리, 십장가, 출인가, 방물가의 십이 잡가를 이르나 넓게는 곰보 타령, 비단 타령, 맹꽁이 타령, 병정 타령, 바위 타령 따위의 휘모리 잡가를 포함하기도 한다.
  • 고가 선로 : 高架線路 도시 교통의 혼잡을 덜고 교통 소통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땅 위에 높은 구조물을 만들어 그 위에 건너질러 설치한 철도.
  • 공간 시력 : 空間視力 한 물체의 모양을 구별하는 능력. 크기는 같은데 개수는 다른 면을 가진 다각형을 인지하는 능력을 말한다.
  • 공개 심리 : 公開審理 법정을 공개하고 진행하는 소송의 심리와 판결.
  • 공격 수뢰 : 攻擊水雷 물고기 모양으로 생긴 대(對)함선 공격용 수뢰. 함정이나 항공기에서 발사, 투하하면 자체 추진 장치에 의하여 나아가 목표에 부딪쳐 폭발한다.
  • 공공 수량 : 公共水量 공원 관리 용수, 공공 화장실 용수, 소방용수 따위의 사용 요금을 부과하지 않는 용수량.
  • 곶감 서리 : 몇 사람이 떼를 지어서 몰래 남의 곶감을 훔쳐 먹는 장난.
  • 관개 수로 : 灌漑水路 근원지의 물을 논밭으로 보내는 물길.
  • 근괴 사료 : 根塊飼料 재배 작물의 근부를 이용하는 사료. 고구마, 감자, 뚱딴지, 사료용 비트, 무, 타피오카 따위가 있다.
  • 기계 손료 : 機械損料 공사에 사용되는 기계ㆍ기구들의 감가상각비ㆍ정비비ㆍ현장 수리비 및 관리비 따위를 합친 비용. 건축 공사비의 공사 원가 계산에 사용된다.
  • 기계 수뢰 : 機械水雷 적의 함선을 파괴하기 위하여 물속이나 물 위에 설치한 폭탄. 감지 장치에 따라 음향 기뢰, 자기 기뢰, 수압 기뢰 따위가 있다.
  • 기관 수뢰 : 機關水雷 적의 함선을 파괴하기 위하여 물속이나 물 위에 설치한 폭탄. 감지 장치에 따라 음향 기뢰, 자기 기뢰, 수압 기뢰 따위가 있다.

관련 초성 단어 더보기

(총 1,403 개의 단어) 🍕
  • 가가 可呵 : 주로 편지에서, 스스로 생각하여도 우습다는 뜻으로 이르는 말.
  • 가각 苛刻 : ‘가각하다’의 어근.
  • 가간 家間 : 온 집안.
  • 가감 加減 : 더하거나 빼는 일. 또는 그렇게 하여 알맞게 맞추는 일.
  • 가강 加強 : ‘가강하다’의 어근.
  • 가개 : ‘홍역’의 방언
  • 가객 佳客 : 반갑고 귀한 손님.
  • 가갸 : ‘가갸거겨……’로 시작되는 반절본문의 첫 두 글자.
  • 가걔 : ‘가게’의 방언
(총 1,201 개의 단어) 🌾
  • 가사 佳士 : 품행이 단정한 선비.
  • 가산 加算 : 더하여 셈함.
  • 가살 : 말씨나 행동이 가량맞고 야살스러움. 또는 그런 짓.
  • 가삼 家蔘 : 심어 가꾼 인삼.
  • 가상 架上 : 시렁 또는 선반의 위.
  • 가새 : 사각형으로 짠 뼈대의 변형(變形)을 막기 위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빗댄, 쇠나 나무로 만든 막대.
  • 가색 加色 : 여러 색을 얻기 위하여 삼원색을 합성함.
  • 가생 家生 : 한 집안의 생계.
  • 가서 : 글을 읽거나 말을 할 때, 또는 말을 하다가 막힐 때 중간에 덧붙여 내는 군소리.
(총 660 개의 단어) 🦋
  • 사라 : ‘사래’의 북한어.
  • 사락 : ‘사락거리다’의 어근.
  • 사란 : 솜이불이나 솜 포단 따위에서 솜이 흐트러지지 아니하게 싸 주는 얇은 천.
  • 사람 : 생각을 하고 언어를 사용하며, 도구를 만들어 쓰고 사회를 이루어 사는 동물.
  • 사랍 : ‘사립문’의 방언
  • 사랑 : 어떤 사람이나 존재를 몹시 아끼고 귀중히 여기는 마음. 또는 그런 일.
  • 사랖 : ‘사립’의 방언
  • 사래 : 묘지기나 마름이 수고의 대가로 부쳐 먹는 논밭.
  • 사램 : ‘사람’의 방언
(총 141 개의 단어) 😀
  • : 경계에 가까운 바깥쪽 부분.
  • : 낱낱의.
  • : 음식물에 짠맛을 내는 물질. 소금, 간장, 된장 따위를 통틀어 이른다.
  • : 갓. 모자.
  • : 서쪽에서 부는 바람.
  • : ‘가루’의 방언
  • : ‘칼’의 옛말. 휴지(休止) 앞에서는 ‘ㅎ’이 탈락하여 ‘갈’로 나타난다.
  • : 감나무의 열매. 모양은 둥글거나 둥글넓적하고 빛이 붉다. 익기 전에는 떫은맛이 나지만 익으면 단맛이 나며 그대로 먹기도 하고 껍질을 벗겨 곶감을 만들기도 한다.
  • : 귤 따위의 껍질을 벗긴 열매가 속껍질로 따로따로 싸인 낱개
(총 145 개의 단어) 🦢
  • : 올이 풀리지 아니하도록 단춧구멍이나 꿰맨 솔기 따위의 가장자리를 실로 감치는 일.
  • : 종이나 헝겊 따위를 칼이나 가위로 단번에 베는 소리. 또는 그 모양.
  • : ‘삯’의 방언
  • : 일한 데 대한 품값으로 주는 돈이나 물건.
  • : 평지보다 높이 솟아 있는 땅의 부분.
  • : 사람이나 동물의 뼈를 싸서 몸을 이루는 부드러운 부분.
  • : 고양잇과의 포유류. 고양이와 비슷한데 몸의 길이는 55~90cm이며, 갈색 바탕에 검은 무늬가 있다. 꼬리는 길고 사지는 짧으며 발톱은 작고 날카롭다. 밤에 활동하고 꿩, 다람쥐, 물고기, 닭 따위를 잡아먹는다. 5월경 2~4마리의 새끼를 낳고 산림 지대의 계곡과 암석층 가까운 곳에 사는데 한국, 인도,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 사는 일. 또는 살아 있음.
  • : ‘삽’의 옛말.
(총 64 개의 단어) 🤟
  • : 서양 음악의 칠음 체계에서, 두 번째 음이름. 계이름 ‘레’와 같다.
  • : ‘낙’의 북한어.
  • : ‘알’의 뜻을 나타내는 말.
  • : ‘-라고 할’이 줄어든 말.
  • rum : ‘럼’의 북한어.
  • : ‘라’의 음역어.
  • : 낭자라는 뜻으로 ‘여자’를 이르던 말. ⇒남한 규범 표기는 ‘낭’이다.
  • : 해할 자리에 쓰여, 어떤 사실을 주어진 것으로 치고 그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놀라거나 못마땅하게 여기는 뜻이 섞여 있다.
  • lac : 랙깍지진디 따위가 내는, 끈적거리는 나무의 진 같은 분비물. 또는 그것을 가공한 것. 주로 무환자나무, 보리수, 고무나무 따위의 가지에 분비하며, 주로 셸락과 랙 물감을 만드는 데 쓴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