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3,781개

한 글자:1개 두 글자:305개 세 글자:939개 네 글자:1,175개 다섯 글자:603개 여섯 글자 이상:758개 🕊모든 글자: 3,781개

  • 단메 경기 : (1)스모에서, 혼바쇼의 맨 아래에서 세 번째 경기. 혼바쇼의 최하위에서 세 번째 급에 해당하는 경기이다.
  • 단풍 : (1)단풍나뭇과의 낙엽 교목. 높이는 5~10미터이며, 대체로 당단풍과 비슷하나 잎과 열매가 조금 더 크다. 경기, 평북, 함북의 일부 지역에 분포한다.
  • 단풍나무 : (1)단풍나뭇과의 낙엽 교목. 높이는 5~10미터이며, 대체로 당단풍과 비슷하나 잎과 열매가 조금 더 크다. 경기, 평북, 함북의 일부 지역에 분포한다.
  • 단화 : (1)‘산다화’의 옛말.
  • : (1)산이 있는 곳. (2)아이를 낳을 달. (3)족제빗과의 하나. 족제비보다 조금 크며, 자라면서 누런 갈색에서 검은 자색으로 변한다. 다람쥐, 들쥐 또는 열매 따위를 먹는다. 털가죽은 ‘잘’이라 하는데 담비의 털보다 보드랍다. 시베리아, 만주, 몽골 등지에 분포한다. (4)족제빗과의 하나. 몸은 45~50cm, 꼬리는 20cm 정도이다. 족제비보다 약간 크고 누런 갈색이나 겨울에는 담색으로 변한다. 모피의 질이 좋다. 밤에 활동하며 작은 새, 들쥐, 개구리, 과실 따위를 먹고 사는데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달나물 : (1)매자나뭇과의 낙엽 활엽 관목. 높이는 1~1.5미터이며, 잎은 긴 타원형으로 가장자리가 날카로운 톱니 모양이고 줄기에는 가시가 있다. 봄에 노란 꽃이 총상(總狀) 화서로 피고 열매는 장과(漿果)로 9월에 붉게 익는다. 줄기와 뿌리를 고미 건위제로 쓰고 삶은 물로 눈을 치료하며 내피(內皮)는 노란색 염료로 쓴다. 우리나라 특산종으로 산기슭 양지 쪽에 난다. ⇒규범 표기는 ‘매자나무’이다.
  • 달래 : (1)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줄기는 높이가 40~60cm이며, 잎은 줄기 밑에 2~3개가 나고 선 모양이다. 5~6월에 연한 붉은 자주색 꽃이 산형(繖形) 화서로 핀다. 봄에 비늘줄기와 잎은 식용한다. 산과 들에 나는데 한국 중부 이남,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 달루 : (1)‘산달래’의 방언
  • 달뤼 : (1)‘진달래’의 방언
  • 달뿌리 : (1)‘산기슭’의 방언
  • 달팽이 : (1)‘달팽이’의 방언
  • 달피 : (1)검은담비의 털가죽.
  • : (1)꿩과의 새. 편 날개의 길이는 25cm 정도로 수컷은 머리의 관모, 등 쪽, 꽁지가 순백색이다. 얼굴의 드러난 부분은 짙은 홍색, 나머지는 주로 검은 자주색, 날갯죽지 부근은 붉은색이다. 암컷은 전체적으로 갈색이고 ‘V’ 자 모양의 얼룩무늬가 있다. 대만 특산종으로 1,000미터 이상의 높은 산의 숲속에 산다.
  • 닭 길들이기는 사람마다 어렵다 : (1)여간해서 말을 잘 듣지 않는 산 닭을 길들이기는 누구에게나 어렵다는 뜻으로, 제멋대로 버릇없이 자라난 사람을 교육하기는 몹시 어려운 일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생마 잡아 길들이기’
  • 닭 주고 죽은 닭 바꾸기도 어렵다 : (1)산 닭을 가지고도 죽은 닭 구하기가 어렵다는 뜻으로, 대수롭지 않은 것도 정작 필요하여 구하려고 하면 구하기가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원래 변변하지 못한 것을 구하여 오는 사람은 귀한 것을 가지고도 변변하지 못한 것조차 구하지 못하여 결국 귀한 것의 값어치만 천하여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 (1)‘사성’의 방언
  • 담배풀 : (1)‘개담배’의 북한어.
  • : (1)한 사람의 소유로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논.
  • : (1)산신을 모신 집. (2)조선 시대에, 서인의 한 분파. 인조 말년에 김상헌을 중심으로 하였던 청서(淸西)가 두 갈래로 나뉘어 생긴 것으로, 효종 때 송시열이 이 파의 우두머리로서 세력을 떨쳤다.
  • 당단풍나무 : (1)‘산단풍나무’의 북한어.
  • 당집 : (1)산신당을 지키는 살림집.
  • 당화 : (1)장미과의 낙엽 활엽 관목. 잎은 타원형 또는 거꾸로 된 피침 모양이다. 4월에 붉은 꽃이 하나씩 또는 모여 피고 열매는 이과(梨果)로 9월에 익는다.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산과 들에 나는데 경남, 충북 등지에 분포한다.
  • : (1)고기 잡는 그물의 하나. 대나무나 쇠로 만든 틀에 삼각형 또는 원형(圓形)의 그물을 주머니처럼 붙였다. (2)볏과의 여러해살이 식물. 높이는 1~2미터이며, 잎은 긴 타원형의 피침 모양이다. 자주색의 작은 꽃이 복총상 화서로 피고 열매는 긴 타원형의 영과(穎果)로 가을에 익는다. 줄기는 조리를 만드는 데에 쓰고 잎은 약용하며, 열매는 식용한다.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3)배질을 할 때 쓰는 긴 막대. 배를 댈 때나 띄울 때, 또는 물이 얕은 곳에서 배를 밀어 나갈 때 쓴다. ⇒규범 표기는 ‘상앗대’이다. (4)예전에, 수효를 셈하는 데에 쓰던 막대기. 대나무나 뼈 따위를 젓가락처럼 만들어 가로세로로 벌여 놓고 셈을 하였는데, 일ㆍ백ㆍ만 단위는 세로로 놓고, 십ㆍ천 및 지금의 십만에 해당하는 억 단위는 가로로 놓았다. ⇒규범 표기는 ‘산가지’이다. (5)‘산가지’의 북한어. (6)산대놀음 따위와 같은 민속놀이를 하기 위하여 큰길가나 빈터에 마련한 임시 무대. (7)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하는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광대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하고 이야기를 한다. 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까지 궁중에서 성행하였으나 후에 민간에 전파되어 탈놀음 중심의 평민극으로 이어졌다. 현대 산대놀이 계통의 것으로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오광대놀이 따위가 전하고 있다. (8)퍼져서 커다랗게 됨. (9)죽을 때가 되어 눈동자가 열리는 일. (10)마늘의 꽃줄기. 연한 것은 쪄 먹거나 장아찌로 만들어 먹는다. (11)밤 중에서 한국을 원산지로 하는 재래 품종의 하나. 숙기는 9월 중하순이며 무게는 약 15그램 정도이고 당도가 17도로 꽤 높은 편이다. 풍산성이며 내한성이 강하고 어디에서나 잘 자라는 편이다.
  • 대구 : (1)마늘종을 물에 담갔다가 말린 다음 꼬챙이에 꿰서 장물에 밀가루 탄 것을 묻혀 구운 반찬.
  • 대구멍 : (1)저인망 끝 자루 속에 들어 있는 물고기를 퍼내는 구멍.
  • 대굿 : (1)산대놀음에 하는 굿.
  • 대극 : (1)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하는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광대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하고 이야기를 한다. 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까지 궁중에서 성행하였으나 후에 민간에 전파되어 탈놀음 중심의 평민극으로 이어졌다. 현대 산대놀이 계통의 것으로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오광대놀이 따위가 전하고 있다.
  • 대극하다 : (1)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을 하다.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광대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하고 이야기를 한다. 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까지 궁중에서 성행하였으나 후에 민간에 전파되어 탈놀음 중심의 평민극으로 이어졌다. 현대 산대놀이 계통의 것으로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오광대놀이 따위가 전하고 있다.
  • 대근 : (1)넓게 벌리는 기능을 하는 근육. 동공 확대근 따위가 있다.
  • 대기 : (1)‘바구니’의 방언 (2)‘삼태기’의 방언
  • 대놀음 : (1)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하는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광대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하고 이야기를 한다. 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까지 궁중에서 성행하였으나 후에 민간에 전파되어 탈놀음 중심의 평민극으로 이어졌다. 현대 산대놀이 계통의 것으로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오광대놀이 따위가 전하고 있다.
  • 대놀음하다 : (1)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을 하다.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광대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하고 이야기를 한다. 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까지 궁중에서 성행하였으나 후에 민간에 전파되어 탈놀음 중심의 평민극으로 이어졌다. 현대 산대놀이 계통의 것으로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오광대놀이 따위가 전하고 있다.
  • 대놀이 : (1)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하는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광대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하고 이야기를 한다. 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까지 궁중에서 성행하였으나 후에 민간에 전파되어 탈놀음 중심의 평민극으로 이어졌다. 현대 산대놀이 계통의 것으로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오광대놀이 따위가 전하고 있다.
  • 대놀이하다 : (1)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을 하다.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광대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하고 이야기를 한다. 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까지 궁중에서 성행하였으나 후에 민간에 전파되어 탈놀음 중심의 평민극으로 이어졌다. 현대 산대놀이 계통의 것으로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오광대놀이 따위가 전하고 있다.
  • 대도감 : (1)산대놀음을 하는 사람의 단체.
  • 대도감극 : (1)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하는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광대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하고 이야기를 한다. 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까지 궁중에서 성행하였으나 후에 민간에 전파되어 탈놀음 중심의 평민극으로 이어졌다. 현대 산대놀이 계통의 것으로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오광대놀이 따위가 전하고 있다.
  • 대도감놀이 : (1)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하는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광대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하고 이야기를 한다. 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까지 궁중에서 성행하였으나 후에 민간에 전파되어 탈놀음 중심의 평민극으로 이어졌다. 현대 산대놀이 계통의 것으로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오광대놀이 따위가 전하고 있다.
  • 대도감놀이하다 : (1)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을 하다.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광대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하고 이야기를 한다. 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까지 궁중에서 성행하였으나 후에 민간에 전파되어 탈놀음 중심의 평민극으로 이어졌다. 현대 산대놀이 계통의 것으로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오광대놀이 따위가 전하고 있다.
  • 대무극 : (1)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하는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광대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하고 이야기를 한다. 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까지 궁중에서 성행하였으나 후에 민간에 전파되어 탈놀음 중심의 평민극으로 이어졌다. 현대 산대놀이 계통의 것으로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오광대놀이 따위가 전하고 있다.
  • 대무극하다 : (1)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을 하다.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광대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하고 이야기를 한다. 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까지 궁중에서 성행하였으나 후에 민간에 전파되어 탈놀음 중심의 평민극으로 이어졌다. 현대 산대놀이 계통의 것으로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오광대놀이 따위가 전하고 있다.
  • 대미 : (1)‘삼태기’의 방언
  • 대박 : (1)‘산꼭대기’의 방언
  • 대배기 : (1)‘산꼭대기’의 방언
  • 대뱅이 : (1)‘산꼭대기’의 방언
  • 대아지 : (1)‘산돼지’의 방언
  • 대악인 : (1)향악과 당악 이외의 악인(樂人). 즉 백희 잡기(百戲雜技)를 보이는 악인을 이른다.
  • 대잡극 : (1)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하는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광대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하고 이야기를 한다. 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까지 궁중에서 성행하였으나 후에 민간에 전파되어 탈놀음 중심의 평민극으로 이어졌다. 현대 산대놀이 계통의 것으로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오광대놀이 따위가 전하고 있다.
  • 대잡극하다 : (1)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을 하다.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광대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하고 이야기를 한다. 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까지 궁중에서 성행하였으나 후에 민간에 전파되어 탈놀음 중심의 평민극으로 이어졌다. 현대 산대놀이 계통의 것으로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오광대놀이 따위가 전하고 있다.
  • 대잡상 : (1)인물이나 짐승 모양으로 만들어 산대(山臺)를 꾸민 장식물.
  • 대잡희 : (1)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하는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광대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하고 이야기를 한다. 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까지 궁중에서 성행하였으나 후에 민간에 전파되어 탈놀음 중심의 평민극으로 이어졌다. 현대 산대놀이 계통의 것으로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오광대놀이 따위가 전하고 있다.
  • 대적 : (1)‘산대구’의 북한어.
  • 대주 : (1)길가나 빈터에 대를 쌓아 만든 임시 무대의 기둥.
  • 대지 : (1)‘산돼지’의 방언
  • 대질 : (1)산대로 물고기를 떠 올리는 일.
  • 대질하다 : (1)산대로 물고기를 떠 올리다.
  • 대채 : (1)물고기를 퍼내는 산대의 채.
  • 대추 : (1)‘멧대추’의 방언
  • 대추나무 : (1)갈매나뭇과의 낙엽 활엽 교목. 대추나무와 비슷하나 가시가 나고 열매가 둥근 점이 다르다. 높이는 3미터 정도이며, 잎은 달걀 모양이다. 6월에 황록색의 꽃이 취산(聚繖) 화서로 잎겨드랑이에서 피고, 열매는 핵과(核果)로 9월에 암적색으로 익는다. 열매는 식용하고 씨는 약용하며, 정원수로 재배한다. 산기슭의 양지와 촌락 부근에 나는데 한국, 중국, 유럽 남부, 몽골 등지에 분포한다.
  • 대탈 : (1)산대놀음에 쓰는 여러 가지 종류의 탈.
  • 대판 : (1)산대놀음을 하는 곳.
  • 대하다 : (1)퍼져서 커다랗게 되다. (2)죽을 때가 되어 눈동자가 열리다.
  • 대황 : (1)‘왕대황’의 북한어.
  • 대희 : (1)탈을 쓰고 큰길가나 빈터에 만든 무대에서 하는 복합적인 구성의 탈놀음. 바가지, 종이, 나무 따위로 만든 탈을 쓰고 소매가 긴 옷을 입은 광대들이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추며 노래하고 이야기를 한다. 고려 시대에 발생하여 조선 시대까지 궁중에서 성행하였으나 후에 민간에 전파되어 탈놀음 중심의 평민극으로 이어졌다. 현대 산대놀이 계통의 것으로 양주 별산대놀이, 송파 산대놀이, 봉산 탈춤, 강령 탈춤, 오광대놀이 따위가 전하고 있다.
  • : (1)‘사돈댁’의 방언
  • 더거지 : (1)‘산언덕’의 방언
  • 더미 : (1)물건이 많이 쌓여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어떠한 일이 많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삼태기’의 방언
  • 더부살이 : (1)‘개종용’의 북한어.
  • : (1)산에 있는 더기. (2)‘사돈댁’의 방언
  • 덩서이 : (1)‘산등성이’의 방언
  • 덩이 : (1)산으로 이루어진 땅덩이.
  • 데미 : (1)‘바구니’의 방언 (2)‘광주리’의 방언 (3)‘산더미’의 방언
  • 데베기 : (1)‘산꼭대기’의 방언
  • 데푸 전투 : (1)1905년에, 러일 전쟁 중에 중국 선양 인근 흑구대에서 러시아군과 일본군이 벌인 전투. 러시아가 뤼순 항 포위전에서의 패배를 만회하기 위하여 흑구대에서 야영하고 있던 일본군을 공격하면서 시작되었고, 러시아군이 갑자기 퇴각하면서 승패 없이 끝났다.
  • 뎅이 : (1)‘산더미’의 방언
  • : (1)‘산전’의 옛말.
  • : (1)소귀나뭇과의 상록 활엽 교목. 높이는 10~20미터이며, 잎은 어긋나고 두껍다. 암수딴그루로 4월에 누런빛을 띤 붉은색 꽃이 피고 열매는 구형의 핵과(核果)로 6~7월에 열린다. 열매는 식용하고 껍질은 물감으로 쓴다. 한국의 제주도, 일본, 대만 등지에 분포한다. (2)산에 나 있는 길. (3)묏자리를 표시한 그림. (4)밭에 심어 기르는 벼. 볍씨를 뿌려 가꾸는데 알이 굵고 잘 여문다. (5)중국 진(晉)나라의 학자ㆍ정치가(205~283). 자는 거원(巨源).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이다. (6)아이를 낳을 때 태아가 지나는 통로. 자궁목과 질이 있다. (7)집짐승이 새끼를 낳을 때 새끼가 지나는 길. ‘새끼길’로 다듬음. (8)한 분자의 염기에서 이온화할 수 있는 수산기의 수. 이 수에 따라 일산염기, 이산염기, 삼산염기 따위로 나뉜다. (9)산성의 세기를 나타내는 정도. 수소 이온 농도 지수(pH)로 나타낸다.
  • 도 검정 : (1)토양이나 물 따위의 산성도를 정성적(定性的) 또는 정량적으로 조사하는 일.
  • 도깨비 : (1)산속에 있는 도깨비.
  • 도녀 : (2)‘산을 즐기는 도시 여자’를 줄여 이르는 말로, 등산을 좋아하여 자주 산을 찾는 젊은 여자.
  • 도라지 : (1)산속에 야생하는 도라지. 맛과 향이 재배종보다 월등하다.
  • 도랑 : (1)철길이나 길의 구간 안으로 빗물, 눈 녹은 물이 흘러드는 것을 막기 위하여 산비탈면 위쪽에 파 놓은 물도랑.
  • 도록하다 : (1)조금 차거나 선선한 느낌이 있다. 제주 지역에서는 ‘산도록다’로도 적는다.
  • 도 못 놓다 : (1)수량이 지나치게 적어 셈할 수도 없다.
  • 도미 : (1)밭벼의 쌀.
  • 도상수 : (1)‘산 해리 상수’의 북한어.
  • 도세기 : (1)‘산돼지’의 방언
  • 도 손상 : (1)분만할 때 물리적ㆍ기계적 압박이나 분만 개조 따위로 인하여 산도에 생기는 손상. 손상의 유형으로는 회음 열상, 경관 열상, 자궁 열상 따위가 있다.
  • 도 스트레스 : (1)식물이 적정한 토양 산도의 범위를 벗어날 때 받는 스트레스. 특정한 무기 이온이 결핍되거나 과잉 흡수 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수소 이온 자체가 독성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 도야지 : (1)‘산돼지’의 방언
  • 도어 : (1)산갈칫과의 바닷물고기. 몸의 길이는 4.6미터 정도, 둘레는 60cm 정도인 초대형의 것도 있으며 은백색이다. 길이 1미터 정도의 붉은 줄이 아가미 근처에 다섯 개가 있고 아가미 따위의 몸통 내부는 짙은 붉은색이다. 한국, 일본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 도 장해 : (1)식물이 적정 범위의 산도를 벗어나는 환경 조건에서 일으키는 생육 장해. 피에이치(pH)는 미생물의 활동과 무기 이온의 용해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인데, 일반적으로 토양 산도가 9 이상이거나 3 이하인 경우에 장해가 발생한다.
  • 도 측정법 : (1)중화를 이용하여, 알칼리의 표준액으로 물질에 들어 있는 산(酸)의 양을 재는 방법.
  • 도치 : (1)‘산돼지’의 방언
  • 도 허물고 바다도 메울 기세 : (1)그 어떤 어려운 일도 해내려는 왕성한 기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도화 : (1)박목월이 지은 시. 실제로 존재하는 고향이 아닌 우리 한국인의 마음의 고향을 노래한 것으로, 도연명의 낙원 의식이 투영되어 있는 작품이다.
  • : (1)‘부싯돌’의 방언 (2)독이 있는 해로운 물질을 뿌림.
  • 독기재 : (1)독물을 뿌리기 위한 기구와 재료. 주로 전쟁터에서 유독성 화학 물질을 상대편에게 뿌려 대량으로 피해를 주기 위한 것으로 쓴다.
  • 독증 : (1)‘산증’의 전 용어.
  • 독하다 : (1)독이 있는 해로운 물질을 뿌리다.
  • : (1)노름판 따위에서 산가지 대신 쓰는 돈.
2 3 4 6 7 8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5개) : 사, 삭, 삮, 삯, 산, 살, 삵, 삶, 삷, 삼, 삽, 삿, 상, 샅, 샆, 새, 색, 샋, 샌, 샐, 샘, 샙, 샛, 생, 샤, 샥, 샨, 샬, 샴, 샵, 샷, 샹, 섀, 섐, 섕, 서, 석, 섟, 선, 설, 섥, 섬, 섭, 섯, 성, 섶, 세, 섹, 센, 섿, 셀, 셈, 셉, 셋, 셍, 셑, 셓, 셔, 셗, 션, 셤, 셧, 셮, 셰, 셸, 솀, 솃, 소, 속, 손, 솔, 솕, 솜, 솝, 솟, 송, 솣, 솤, 솥, 솧, 솨, 솩, 솰, 쇄, 쇅, 쇔, 쇠, 쇡, 쇤, 쇰, 쇼, 숀, 숄, 숌, 숏, 숑, 숗, 수, 숙, 숚 ...

실전 끝말 잇기

산으로 끝나는 단어 (3,728개) : 비페닐아세트산, 약정 체결 자산, 겐티아나 중조산, 시클로헵타코산, 역발산, 흑자 도산, 폴리인산, 청계산, 요오드아세트산, 아비산, 지각 출산, 무수 아류산, 일항 연산, 빼내기 연산, 두륜산, 고유 재산, 순액예산, 질산식류산, 소수성 아미노산, 평균 생산, 이성산, 소로트 생산, 사료용 인산, 지달산, 세공 확산, 기장 연산, 계렬생산, 소각 자산, 무고작산, 기본 행 연산 ...
산으로 끝나는 단어는 3,728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산으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3,781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