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132

  • 男欣女悅 획순 男欣女悅(남흔여열) : 부부 사이가 평하고 즐거움.
    男: 사내 欣: 기뻐할 女: 悅: 기쁠

  • 殺生有擇 획순 殺生有擇(살생유택) : 세속 오계의 하나. 살생하는 데에 가림이 있다는 뜻으로, 살생을 함부로 하지 말고 가려서 해야 함을 이른다.
    殺: 죽일 生: 有: 있을 擇: 가릴

  • 開門納賊 획순 開門納賊(개문납적) : 문을 열어 도둑이 들어오게 한다는 뜻으로, 제 스스로 를 불러들임을 이르는 말.
    開: 門: 納: 들일 賊: 도둑

  • 華官膴職 획순 華官膴職(화관무직) : 이름이 높고 봉록이 많은 벼슬.
    華: 빛날 官: 벼슬 膴: 職: 벼슬

  • 室家之樂 획순 室家之樂(실가지락) : 부부 사이의 목한 즐거움.
    室: 家: 之: 樂: 즐거울

  • 人海戰術(인해전술) : 우수한 기보다 다수의 병력을 투입하여 적을 압도하는 전술. 6ㆍ25 전쟁에서 중국 공산군이 썼던 전법이다.
    人: 사람 海: 바다 戰: 싸움 術:

  • 禍福無門惟人自招(화복무문유인자초) : 와 복에는 문이 따로 없음. 오직 사람이 스스로 부르는 것임.
    禍: 재난 福: 無: 없을 門: 惟: 생각할 人: 사람 自: 스스로 招: 부를

  • 梁上塗灰(양상도회) : (1)‘양상도회’의 북한어. (2)들보 위에 회(灰)를 바른다는 뜻으로, 얼굴에 분을 많이 바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上: 塗: 진흙 灰:

  • 言有召禍(언유소화) : 말은 를 부름이 있다는 뜻으로, 말은 이따금 단(禍端)을 불러올 수 있음을 이르는 말.
    言: 말씀 有: 있을 召: 부를 禍: 재난

  • 禍生于懈惰(화생우해타) : 는 게으르고 나태한 것에서 생긴다는 뜻으로, 게으름이나 나태함이 를 만들게 되듯이 성실해야 함을 경계하는 말.
    禍: 재난 生: 于: 어조사 懈: 게으를 惰: 게으를

  • 綠林豪傑(녹림호걸) : (1)‘녹림호걸’의 북한어. (2)적이나 도둑을 달리 이르는 말.
    林: 수풀 豪: 호걸 傑: 뛰어날

  • 蜀帝化杜鵑(촉제화두견) : 촉의 임금이 두견이 되었다는 뜻으로, 촉 망제(望帝) 혼백이 하여 두견새가 되었다는 전설.
    蜀: 나라 이름 帝: 임금 化: 화할 杜: 팥배나무 鵑: 소쩍새

  • 膏火自煎(고화자전) : 기름 등불이 자신을 태운다는 뜻으로, 재주 있는 사람이 그 재주로 인해 (禍)를 입는 것을 비유로 하는 말.
    膏: 기름 火: 自: 스스로 煎: 달일

  • 負薪入火(부신입화) : 섶을 짊어지고 불로 들어간다는 뜻으로, 자신의 그릇된 짓으로 인해 를 당한다는 의미.
    負: 薪: 섶나무 入: 火:

  • 華而不實(화이부실) : 꽃은 려하나 열매를 맺지 못한다는 뜻으로, 겉모습은 그럴 듯하지만 실속이 없음을 이르는 말. ≪춘추좌씨전≫에 나오는 말이다.
    華: 빛날 而: 말 이을 不: 아닌가 實: 열매

  • 化外之氓(화외지맹) : 교가 미치지 못하는 지방의 백성.
    化: 화할 外: 바깥 之: 氓: 백성

  • 風雲月露(풍운월로) : 세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인심에 조금도 유익하지 않은 조월석만을 읊은, 실속이 없고 겉만 려한 시문.
    風: 바람 雲: 구름 月: 露: 이슬

  • 宿虎衝鼻(숙호충비) : 자는 호랑이의 코를 찌른다는 뜻으로, 가만히 있는 사람을 공연히 건드려서 를 입거나 일을 불리하게 만듦을 이르는 말.
    宿: 묵을 虎: 衝: 찌를 鼻:

  • 綠林豪客(록림호객) : (1)적이나 도둑을 달리 이르는 말. (2)‘녹림호객’의 북한어.
    林: 수풀 豪: 호걸 客:

  • 覆巢破卵(복소파란) : 둥지를 뒤엎고 알을 깬다는 뜻으로, 부모의 재난에 자식도 를 당한다는 뜻이나, 근본(根本)이 망하면 지엽(枝葉)도 따라 망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覆: 뒤집힐 巢: 보금자리 破: 깨뜨릴 卵:

  • 克伐怨慾(극벌원욕) : 이기고자 하며, 제 자랑하기를 좋아하며, 원망하고 를 내며, 탐욕하는 네 가지 나쁜 행위를 아울러 이르는 말.
    克: 이길 伐: 怨: 원망할 慾: 욕심

  • 到處狼狽(도처낭패) : (1)하는 일마다 실패함. (2)가는 곳마다 변(變)을 만남.
    到: 이를 處: 머무를 狽: 짐승 이름

  • 禳禍求福(양화구복) : 재앙을 물리치고 복(福)을 구함.
    禳: 제사이름 禍: 재난 求: 구할 福:

  • 自取其禍(자취기화) : 자기에게 재앙이 되는 일을 함. 또는 그 일로 를 입게 됨.
    自: 스스로 取: 취할 其: 禍: 재난

  • 浮艶(부염) : 겉은 려(華麗)하나 실속(實-)은 없음.
    浮: 艶: 고울

  • 善游者溺(선유자익) : 헤엄을 잘 치는 사람이 빠진다는 뜻으로, 재주 많은 사람이 그 재주를 믿고 까불다가 를 입는다는 의미.
    善: 착할 游: 者:

  • 禍兮福之所倚(화혜복지소의) : 와 복은 서로 의지(依支)하고 있음.
    禍: 재난 兮: 어조사 福: 之: 所: 倚: 의지할

  • 禍從口生(화종구생) : 원래 (禍)란 입으로부터 나온다는 뜻으로, 말을 삼가야 함을 이르는 말.
    禍: 재난 從: 좇을 口: 生:

  • 百年偕老(백년해로) : 부부가 되어 한평생을 사이좋게 지내고 즐겁게 함께 늙음.
    百: 일백 年: 偕: 함께 老: 늙을

  • 遠禍召福(원화소복) : 를 물리치고 복을 불러들임.
    遠: 禍: 재난 召: 부를 福:

  • 榮耀榮華(영요영화) : 권력(權力)이나 부를 얻어서 번성(繁盛)한다는 뜻으로, (1) 사치(奢侈)를 다함 (2) 호(豪華)롭고 려(華麗)함.
    榮: 영화 耀: 빛날 榮: 영화 華: 빛날

  • 事親以孝(사친이효) : 세속 오계의 하나. 어버이를 섬기기를 효도로써 함을 이른다.
    事: 親: 친할 以: 孝: 효도

  • 百億化身(백억화신) :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석가모니의 신.
    百: 일백 億: 化: 화할 身:

  • 柳綠花紅(류록화홍) : (1)초록빛 버들잎과 붉은 꽃이라는 뜻으로, 봄의 자연 경치를 이르는 말. (2)‘유록홍’의 북한어.
    綠: 초록빛 花: 紅: 붉을

  • 怒氣騰騰(노기등등) : ‘노기등등하다’의 어근.
    怒: 성낼 氣: 기운 騰: 오를 騰: 오를

  • 百花爛漫(백화난만) : 온갖 꽃이 활짝 펴 아름답고 흐드러짐.
    百: 일백 花: 漫: 질펀할

  • 塞翁爲福(새옹위복) : 한때의 이(利)가 장래(將來)에는 도리어 해가 되기도 하고, 가 도리어 복이 되기도 함.
    塞: 변방 翁: 늙은이 爲: 福:

  • 口禍之門(구화지문) : 는 입으로부터 생기므로 말을 삼가야 함.
    口: 禍: 재난 之: 門:

  • 畵采仙靈(화채선령) : 신선(神仙)과 신령(神靈)의 그림도 려(華麗)하게 채색(彩色)되어 있음.
    畵: 그림 采: 仙: 신선 靈: 신령

  • 和光同塵(화광동진) : (1)빛을 감추고 티끌 속에 섞여 있다는 뜻으로, 자기의 뛰어난 지덕(智德)을 나타내지 않고 세속을 따름을 이르는 말.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에 나오는 말이다. (2)불보살이 중생을 깨우치기 위하여 속인들 사이에 태어나 중생과 인연을 맺어 중생을 불법으로 인도함.
    和: 고를 光: 同: 한가지 塵: 티끌

  • 舌底有斧(설저유부) : 혀 아래에 도끼가 들었다는 뜻으로, 말을 잘못하면 를 불러일으키니 말을 늘 삼가라는 말.
    舌: 底: 有: 있을 斧: 도끼

  • 五行相剋(오행상극) : 오행이 서로 배척하고 부정하는 이치. 토극수(土剋水), 수극(水剋火), 극금(火剋金), 금극목(金剋木), 목극토(木剋土)의 이치이다.
    五: 다섯 行: 相: 서로 剋: 이길

  • 火上添油(화상첨유) : 불 위에 기름을 더한다는 뜻으로, 불난데 기름을 끼얹듯 란(禍亂)을 조장(助長)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火: 上: 添: 더할 油: 기름

  • 春雉自鳴(춘치자명) : 봄철의 꿩이 스스로 운다는 뜻으로, 제 허물을 제 스스로 드러냄으로써 남이 알게 된다는 말.
    春: 雉: 自: 스스로 鳴:

  • 圖寫禽獸(도사금수) : 궁전(宮殿) 내부(內部)에는 유명(有名)한 가(畵家)들이 그린 그림 조각 등(等)으로 장식(裝飾)되어 있음.
    圖: 그림 寫: 베낄 禽: 날짐승 獸: 짐승

  • 都邑華夏(도읍화하) : 도읍(都邑)은 왕성(王城)의 지위(地位)를 말한 것이고, 하(華夏)는 당시(當時) 중국(中國)을 지칭(指稱)하던 말임.
    都: 도읍 邑: 고을 華: 빛날 夏: 여름

  • 生巫殺人(생무살인) : 선무당이 사람을 잡는다는 뜻으로, 미숙한 사람이 일을 그르침을 이르는 말.
    生: 巫: 무당 殺: 죽일 人: 사람

  • 放虎自衛(방호자위) : 범을 놓아주고 스스로를 지킨다는 뜻으로, (禍)를 자초(自招)함을 비유하는 말.
    放: 놓을 虎: 自: 스스로 衛: 지킬

  • 如鼓琴瑟(여고금슬) : 거문고와 큰 거문고를 연주하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부부가 서로 합함을 이르는 말.
    如: 같을 鼓: 琴: 거문고 瑟: 큰 거문고

  • 火旺之節(화왕지절) : 오행(五行)에서, 기(火氣)가 왕성한 절기라는 뜻으로 ‘여름’을 이르는 말.
    火: 旺: 성할 之: 節: 마디

  • 凡胎肉身(범태육신) : 사람의 몸에서 태어난 평범한 사람의 몸. 환골탈태나 신(化身)이 아닌 몸을 이른다.
    凡: 무릇 胎: 아이밸 肉: 고기 身:

  • 華甲(화갑) : 예순한 살을 이르는 말.
    華: 빛날 甲: 갑옷

  • 幸災樂禍(행재요화) : 남이 재난과 를 입는 것을 보고 기뻐함.
    幸: 다행할 災: 재앙 樂: 좋아할 禍: 재난

  • 淸心降火(청심강화) : 심경(心經)의 열을 풀어서 기(火氣)를 내림.
    淸: 맑을 心: 마음 降: 내릴 火:

  • 猿猴取月(원후취월) : 원숭이가 물에 비친 달을 잡는다는 뜻으로, 욕심에 눈이 어두워 자기의 분수를 모르고 날뛰다가 목슴까지 잃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猿: 원숭이 猴: 원숭이 取: 취할 月:

  • 養虎遺患(양호유환) : 범을 길러서 근을 남긴다는 뜻으로, 근이 될 것을 길러서 후환을 당하게 됨을 이르는 말.
    養: 기를 虎: 遺: 남길 患: 근심

  • 殃及子孫(앙급자손) : 가 자손에게 미침.
    殃: 재앙 及: 미칠 子: 아들 孫: 손자

  • 鯨鬪鰕死(경투하사) : 고래 싸움에 새우가 죽는다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강자(强者)끼리 싸우는 틈에 끼여 약자(弱者)가 아무런 상관(相關)없이 (禍)를 입는다는 말.
    鯨: 고래 鬪: 싸움 鰕: 새우 死: 죽을

  • 黑牛生白犢(흑우생백독) : 검은 소가 흰 송아지를 낳았다는 뜻으로, 길흉복이 뒤바뀌어 예측하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黑: 검을 牛: 生: 白: 犢: 송아지

  • 朝三暮四(조삼모사) : (1)간사한 꾀로 남을 속여 희롱함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저공(狙公)의 고사로, 먹이를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씩 주겠다는 말에는 원숭이들이 적다고 를 내더니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씩 주겠다는 말에는 좋아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2)‘생계’의 북한어.
    朝: 아침 三: 暮: 저물 四:

  • 華燭洞房(화촉동방) : 첫날밤에 신랑 신부가 자는 방.
    華: 빛날 燭: 촛불 洞: 房:

  • 回嗔作喜(회진작희) : 성을 내었다가 슬쩍 돌리어 기쁜 표정을 지음.
    回: 嗔: 성낼 作: 지을 喜: 기쁠

  • 畵伯(화백) : 가(畵家)의 높임말.
    畵: 그림 伯:

  • 禍與福隣(화여복린) : 와 복이 서로 이웃한다는 뜻으로, 복이 있으면 가 있고, 가 있으면 복이 있다는 의미.
    禍: 재난 與: 福: 隣: 이웃

  • 世俗五戒(세속오계) : 신라 랑(花郞)의 다섯 가지 계율. 진평왕 때에 원광(圓光)이 정한 것으로, 사군이충ㆍ사친이효ㆍ교우이신ㆍ임전무퇴ㆍ살생유택을 이른다.
    世: 인간 俗: 풍속 五: 다섯 戒: 경계할

  • 冬扇夏爐(동선하로) : 겨울의 부채와 여름의 로라는 뜻으로, 격(格)이나 철에 맞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冬: 겨울 扇: 부채 夏: 여름 爐: 화로

  • 落筆點蠅(낙필점승) : 붓을 떨어뜨리자 파리로 바꾼다는 뜻으로, 가의 훌륭한 솜씨를 이르는 말.
    筆: 點: 蠅: 파리

  • 禍生不德(화생부덕) : 란(禍亂)이 생기는 것은 다 덕이 없는 탓임.
    禍: 재난 生: 不: 아닌가 德:

  • 堤潰蟻穴(제궤의혈) : 개미구멍으로 마침내 큰 둑이 무너진다는 뜻으로, 소홀히 한 작은 일이 큰 를 불러옴을 이르는 말.
    堤: 방죽 潰: 무너질 蟻: 개미 穴: 구멍

  • 禍福倚伏(화복의복) : 나 복이 서로 인연했다 엎드린다는 뜻으로, 가운데 복이 있고 복 가운데 가 있어 와 복은 항상 돌고 도는 것이라는 의미.
    禍: 재난 福: 倚: 의지할 伏: 엎드릴

  • 敢怒不敢言(감노불감언) : 감히 성나지만 감히 말하지 못한다는 뜻으로, 가 나지만 말을 못하는 상황을 이르는 말.
    敢: 감히 怒: 성낼 不: 아니 敢: 감히 言: 말씀

  • 燕雀處屋(연작처옥) : 편안(便安)히 지내느라 장차 가 자기(自己)에게 닥칠 것을 깨닫지 못함을 비유(比喩)한 말.
    燕: 제비 雀: 참새 處: 머무를 屋:

  • 怒蠅拔劍(노승발검) : 성가시게 구는 파리를 보고 가 나서 칼을 뺀다는 뜻으로, 사소한 일에 를 내거나 또는 작은 일에 어울리지 않게 커다란 대책을 세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怒: 성낼 蠅: 파리 拔: 劍:

  • 禍福同門(화복동문) : 나 복은 모두 자신(自身)이 불러들임을 이르는 말.
    禍: 재난 福: 同: 한가지 門:

  • 兎羅稚罹(토라치리) : 토끼 그물에 꿩이 걸린다는 뜻으로, 소인(小人)은 계교(計巧)로 좌에서 벗어나고, 군자(君子)가 도리어 를 입음을 이르는 말.
    兎: 토끼 羅: 그물 稚: 어릴 罹: 걸릴

  • 五行相生(오행상생) : 오행이 서로 가까이하여 생성하여 주는 이치. 금생수(金生水), 수생목(水生木), 목생(木生火), 생토(火生土), 토생금(土生金)의 이치이다.
    五: 다섯 行: 相: 서로 生:

  • 當來道師(당래도사) : 내세(來世)에 출현(出現)하는 도사(導師). 지금으로부터 56억 7천만 세(歲)를 지나 이 세계(世界)에 출현(出現), 성도(成道)하여 중생(衆生)을 도(化導) 한다는 미륵(彌勒) 보살(菩薩).
    當: 마땅할 來: 道: 師: 스승

  • 轉禍爲福(전화위복) : 재앙과 근심, 걱정이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됨.
    轉: 구를 禍: 재난 爲: 福:

  • 畜狗噬踵(축구서종) : 기르던 개가 발꿈치를 문다는 뜻으로, 도와주고 은혜를 베푼 사람에게 도리어 를 입는다는 의미.
    畜: 쌓을 狗: 噬: 씹을 踵: 뒤꿈치

  • 以湯止沸(이탕지비) : 끊는 물로 끓는 것을 막는다는 뜻으로, 끓어 넘는 것을 막으려고 끓는 물을 부어 더 심해지듯, 란(禍亂)을 조장(助長)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以湯沃沸(이탕옥비)].
    以: 湯: 끓일 止: 그칠 沸: 끓을

  • 盈滿之咎(영만지구) : 가득 찬 재앙이라는 뜻으로, 사물이 만족할 만큼 충분할 때일수록 재앙을 만나기 쉬움을 이르는 말.
    盈: 滿: 之: 咎: 허물

  • 煙火中人(연화중인) : 불에 익힌 음식을 먹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도가에서 속세의 인간을 이르는 말.
    煙: 연기 火: 中: 가운데 人: 사람

  • 禍起於細微(화기어세미) : 는 작고 미세한 것에서 일어난다는 뜻으로, 사소한 일에서 재앙이 일어남을 이르는 말.
    禍: 재난 起: 일어날 於: 어조사 細: 가늘 微: 작을

  • 相生之理(상생지리) : 금(金)ㆍ수(水)ㆍ목(木)ㆍ(火)ㆍ토(土)의 오행(五行)이 상생하는 이치.
    相: 서로 生: 之: 理: 다스릴

  • 魚網鴻離(어망홍리) : (1)물고기 그물에 기러기가 걸린다는 뜻으로, 구하는 것이 아닌 딴것을 얻음을 이르는 말. (2)남의 일로 엉뚱하게 를 입게 되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魚: 고기 網: 그물 鴻: 큰기러기 離: 떠날

  • 天道不謟(천도부도) : 하늘이 선한 사람에게는 복을 주고, 악(惡)한 사람에게는 (禍)를 주는 것은 조금도 의심할 바 없음.
    天: 하늘 道: 不: 아닌가 謟: 의심할

  • 眇視跛履(묘시파리) : 애꾸가 환히 보려 하고 절름발이가 먼 길을 걸으려 한다는 뜻으로, 분에 넘치는 일을 하다가는 오히려 를 자초함을 이르는 말.
    眇: 애꾸눈 視: 跛: 절뚝발이 履: 밟을

  • 削株掘根(삭주굴근) : 줄기를 깎고 뿌리를 파낸다는 뜻으로, 근(禍根)을 없앤다는 의미.
    削: 깎을 株: 그루 掘: 根: 뿌리

  • 好家居(호가거) : 집안에 머무르는 것이 좋다는 뜻으로, 덕이 부족한 어린 나이로 벼슬길에 나아감은 (禍)를 부르기 때문에 집안에 있으면서 덕을 잘 닦으라는 말.
    好: 좋을 家: 居: 있을

  • 和如琴瑟(화여금슬) : 합함이 마치 거문고와 큰 거문고 같다는 뜻으로, 부부 사이가 락함을 이르는 말. [= 琴瑟].
    和: 고를 如: 같을 琴: 거문고 瑟: 큰 거문고

  • 朝三(조삼) : 간사한 꾀로 남을 속여 희롱함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저공(狙公)의 고사로, 먹이를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씩 주겠다는 말에는 원숭이들이 적다고 를 내더니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씩 주겠다는 말에는 좋아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朝: 아침 三:

  • 恩反爲仇(은반위구) : 은혜를 베푼 것이 도리어 원수가 됨.
    恩: 은혜 反: 돌이킬 爲: 仇: 원수

  • 如蛾赴火(여아부화) : 부나비가 불에 날아드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탐욕으로 말미암아 몸을 망치거나 를 차초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如: 같을 蛾: 나방 赴: 나아갈 火:

  • 怒氣衝天(노기충천) : ‘노기충천하다’의 어근.
    怒: 성낼 氣: 기운 衝: 찌를 天: 하늘

  • 塞翁得失(새옹득실) : 한때의 이익이 장차 손해가 될 수도 있고 한때의 (禍)가 장차 복을 불러올 수도 있음을 이르는 말.
    塞: 변방 翁: 늙은이 得: 얻을 失: 잃을

  • 前門拒虎後門進狼(전문거호후문진랑) : 앞문에서 호랑이를 막으니 뒷문에서 이리가 닥쳐온다는 뜻으로, (1) 어려움이 지나자, 또 다른 어려움이 닥침 (2) 재(災禍)가 빈번(頻煩)히 닥침.
    前: 門: 拒: 막을 虎: 後: 門: 進: 나아갈 狼: 이리

  • 塞翁之馬(새옹지마) : 인생의 길흉복은 변가 많아서 예측하기가 어렵다는 말. 옛날에 새옹이 기르던 말이 오랑캐 땅으로 달아나서 노인이 낙심하였는데, 그 후에 달아났던 말이 준마를 한 필 끌고 와서 그 덕분에 훌륭한 말을 얻게 되었으나 아들이 그 준마를 타다가 떨어져서 다리가 부러졌으므로 노인이 다시 낙심하였는데, 그로 인하여 아들이 전쟁에 끌려 나가지 아니하고 죽음을 면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중국 ≪회남자≫의 ‘인간훈(人間訓)’에 나오는 말이다.
    塞: 변방 翁: 늙은이 之: 馬:

  • 禍不單行(화불단행) : 재앙은 번번이 겹쳐 옴.
    禍: 재난 不: 아니 單: 行:

  • 浮華(부화) : (1)실속은 없고 겉만 려함. (2)남녀 관계가 도덕적으로 타락하여 건전하지 못함.
    浮: 華: 빛날

  • 減傷和氣(감상화기) : 평온하고 즐거운 기운이나 분위기를 상하게 함.
    減: 傷: 다칠 和: 고를 氣: 기운

2
#재앙 64 #노력 69 #처음 91 #고사 108 #가운데 104 #따위 228 #이치 67 #어려움 105 #벼슬 88 #구름 67 #관계 90 #자연 73 #유래 280 #하늘 251 #은혜 70 #조금 96 #근심 65 #천하 94 #시대 114 #재능 61 #나이 97 #때문 58 #음식 79 #바람 136 #얼굴 99 #편안 62 #훌륭 85 #이익 89 #재주 82 #생각 236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8개) : 하, 학, 한, 할, 핡, 함, 합, 핫, 항, 해, 핵, 핸, 햄, 햇, 행, 향, 허, 헉, 헌, 헐, 험, 헛, 헝, 헤, 헥, 헬, 헴, 헵, 헷, 헹, 혀, 혁, 현, 혈, 혐, 협, 형, 혜, 혬, 호, 혹, 혼, 홀, 홈, 홉, 홍, 홑, 화, 확, 환, 활, 황, 홰, 홱, 횅, 회, 획, 횟, 횡, 효, 후, 훅, 훈, 훌, 훍, 훔, 훗, 훙, 훠, 훤, 훨, 훰, 훼, 휀, 휑, 휘, 휙, 휠, 휨, 휭, 휴, 흄, 흉, 흐, 흑, 흔, 흘, 흙, 흠, 흥, 흨, 희, 힁, 히, 힐, 힘, 힝, 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