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용 에 관한 한자 모두 67

  • 人鬼相半 획순 人鬼相半(인귀상반)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人: 사람 鬼: 귀신 相: 서로 半:

  • 不夜城 획순 不夜城(불야성) : 등불 따위가 휘황하게 켜 있어 밤에도 대낮같이 밝은 곳을 이르는 말. 밤에도 해가 떠 있어 밝았다고 하는 중국 동래군(東萊郡) 불야현(不夜縣)에 있었다는 성(城)에서 유래한다. ≪한서지리지(漢書地理志)≫에 나오는 말이다.
    不: 아니 夜: 城:

  • 瓊枝玉葉 획순 瓊枝玉葉(경지옥엽) : (1)옥으로 된 가지와 잎이라는 뜻으로, 임금의 가족을 높여 이르는 말. (2)귀한 자손을 이르는 말.
    瓊: 枝: 가지 玉: 구슬 葉:

  • 夜以繼晝 획순 夜以繼晝(야이계주) : 어떤 일에 몰두하여 조금도 쉴 사이 없이 밤낮을 가리지 아니함.
    夜: 以: 繼: 이을 晝:

  • 銀鱗玉尺 획순 銀鱗玉尺(은린옥척) : (1)모양이 좋고 큰 물고기. (2)‘물고기’를 아름답게 이르는 말.
    銀: 鱗: 비늘 玉: 구슬 尺:

  • 三尺秋水(삼척추수) : 날이 시퍼렇게 선 긴 칼.
    三: 尺: 秋: 가을 水:

  • 面折廷爭(면절정쟁) : (1)임금의 면전에서 허물을 기탄없이 직간하고 쟁론함. (2)때와 곳을 가리지 않고 다툼.
    面: 折: 꺾을 廷: 조정 爭: 다툴

  • 朱脣皓齒(주순호치) : 붉은 입술과 하얀 치아라는 뜻으로, 아름다운 여자를 이르는 말.
    朱: 붉을 脣: 입술 皓: 齒:

  • 兎走烏飛(토주오비) : 토끼가 달리고 까마귀가 난다는 뜻으로, 달의 상징인 토끼와 해의 상징인 까마귀가 달리고 나는 듯이 세월이 빠르게 지나감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
    兎: 토끼 走: 달릴 烏: 까마귀 飛:

  • 落紙雲煙(낙지운연) : 종이에 떨어뜨리면 구름이나 연기 같다는 뜻으로, 글씨를 쓰는 데 초서(草書)의 필세(筆勢)가 아름답고 교묘하며 웅혼(雄渾)한 모양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
    紙: 종이 雲: 구름 煙: 연기

  • 鶴髮童顔(학발동안) : 머리털은 하얗게 세었으나 얼굴은 아이와 같다는 뜻으로, 전설 따위에 나오는 신선의 얼굴을 이르는 말.
    鶴: 髮: 터럭 童: 아이 顔: 얼굴

  • 刻露淸秀(각로청수) : 나뭇잎이 지고 산 모습이 드러나 맑고 빼어나다는 뜻으로, 가을의 경치가 맑고 수려해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刻: 새길 露: 이슬 淸: 맑을 秀: 빼어날

  • 咳唾成珠(해타성주) : 기침과 침이 다 구슬이 된다는 뜻으로, 권세가(權勢家)를 형용하거나 일언일구(一言一句)가 다 귀중하다는 의미로 사용됨. 혹은 시문(詩文)의 재주가 뛰어남을 형용하기도 함. 〔= 月章星句(월장성구)〕.
    咳: 기침 唾: 成: 이룰 珠: 구슬

  • 氷肌玉骨(빙기옥골) : (1)살결이 맑고 깨끗한 미인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매화의 곱고 깨끗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氷: 얼음 肌: 玉: 구슬 骨:

  • 輕塵棲弱草(경진서약초) : 미진(微塵)이 연약(軟弱)한 풀잎에서 쉰다는 뜻으로, 덧없음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輕: 가벼울 塵: 티끌 棲: 弱: 약할 草:

  • 月白風淸(월백풍청) : 달은 빛나고 바람은 맑다는 뜻으로, 달 밝은 가을밤을 이르는 말.
    月: 白: 風: 바람 淸: 맑을

  • 海棠睡未足(해당수미족) : 해당화가 아직 잠이 부족하다는 뜻으로, 갓 깨어난 미인이 아직 잠에 취한 듯 하늘하늘 가냘프게 보이는 모양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
    海: 바다 棠: 아가위나무 睡: 未: 아닐 足:

  • 三尺童子(삼척동자) : (1)키가 석 자 정도밖에 되지 않는 어린아이. 철없는 어린아이를 이른다. (2)무식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三: 尺: 童: 아이 子: 아들

  • 內潤外朗(내윤외랑) : 옥(玉)의 광택(光澤)이 안에 함축(含蓄)된 것(內潤)과 밖으로 나타난 것(外朗)이라는 뜻으로, 인물(人物)의 재덕(才德)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內: 潤: 젖을 外: 바깥 朗: 밝을

  • 蜂房水渦(봉방수와) : 벌의 집과 물의 소용돌이라는 뜻으로, 건물(建物)이 꽉 들어차 있는 모양(模樣)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蜂: 房: 水: 渦: 소용돌이

  • 電光石火(전광석화) : 번갯불이나 부싯돌의 불이 번쩍거리는 것과 같이 매우 짧은 시간이나 매우 재빠른 움직임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電: 번개 光: 石: 火:

  • 運斤成風(운근성풍) : 도끼를 움직여 바람을 일으킨다는 뜻으로, 아주 교묘한 장인(匠人)의 최고 경지의 솜씨를 형용하는 말.
    運: 斤: 도끼 成: 이룰 風: 바람

  • 明眸皓齒(명모호치) : 맑은 눈동자와 흰 이라는 뜻으로, 미인(美人)의 모습을 이르는 말.
    明: 밝을 眸: 눈동자 皓: 齒:

  • 孤城落日(고성낙일) : 외딴 성과 서산에 지는 해라는 뜻으로, 세력이 다하고 남의 도움이 없는 매우 외로운 처지를 이르는 말.
    孤: 외로울 城: 日:

  • 明窓淨机(명창정궤) : 햇빛이 잘 비치는 창밑에 놓여 있는 깨끗한 책상(冊床)이라는 뜻으로, 말끔히 정돈(整頓)된 서재의 모습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明: 밝을 窓: 淨: 깨끗할 机: 책상

  • 無窮無盡(무궁무진) : 끝이 없고 다함이 없음.
    無: 없을 窮: 다할 無: 없을 盡: 다할

  • 滿身瘡痍(만신창이) : 온몸이 상처라는 뜻으로, 전신(全身)이 상처투성이라는 의미.
    滿: 身: 瘡: 부스럼 痍: 상처

  • 正大高明(정대고명) : 정대하고도 높고 밝다는 뜻으로, 대현(大賢)의 학덕(學德)을 형용(形容)하는 말.
    正: 바를 大: 高: 높을 明: 밝을

  • 千金一笑(천금일소) : 한 번의 웃음이 천금의 값이 나간다는 뜻으로, 미인(美人)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千: 일천 金: 一: 笑: 웃을

  • 一顧傾城(일고경성) : 한 번 돌아보면 성이 기운다는 뜻으로, 뛰어난 미인을 이르는 말.
    一: 顧: 돌아볼 傾: 기울 城:

  • 鳳麟芝蘭(봉린지란) : 봉황과 기린과 지초와 난초라는 뜻으로, 봉황과 기린처럼 재능이 빼어난 남자와 지초와 난초처럼 아름다운 여자를 비유해 젊은 남녀의 빼어나고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말.
    鳳: 봉새 麟: 기린 芝: 지초 蘭: 난초

  • 石破天驚(석파천경) : 돌을 깨뜨려 하늘도 놀란다는 뜻으로, 아주 의표(意表)를 찔러 형용할 수 없다는 것에서, '착상이 기발하다'는 의미로 사용됨.
    石: 破: 깨뜨릴 天: 하늘 驚: 놀랄

  • 火樹銀花(화수은화) : 불타는 나무와 은색의 꽃 같다는 뜻으로, 붉고 밝게 타오르는 밝은 등불이나 촛불처럼 등불이 번쩍번쩍 빛남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
    火: 樹: 나무 銀: 花:

  • 荊棘銅駝(형극동타) : 구리 낙타(駱駝)가 가시덤불 속에 묻혀 있다는 뜻으로, 궁전(宮殿)이나 후원(後園)이 황폐(荒廢)함을 형용(形容)하는 말.
    荊: 모형나무 棘: 가시나무 銅: 구리 駝: 낙타

  • 落湯螃蟹(낙탕방해) : 끓는 물에 떨어진 방게가 허둥지둥한다는 뜻으로, 몹시 당황(唐慌)함을 형용(形容)하는 말.
    湯: 끓일 螃: 방게 蟹:

  • 雪膚花容(설부화용) : 눈처럼 흰 살갗과 꽃처럼 고운 얼굴이라는 뜻으로, 미인의 용모를 이르는 말.
    雪: 膚: 살갗 花: 容: 얼굴

  • 阿鼻叫喚(아비규환) : (1)아비지옥과 규환지옥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여러 사람이 비참한 지경에 빠져 울부짖는 참상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阿: 언덕 鼻: 叫: 부르짖을 喚: 부를

  • 飛沙走石(비사주석) : 모래가 날리고 돌멩이가 구른다는 뜻으로, 바람이 세차게 붊을 이르는 말.
    飛: 沙: 모래 走: 달릴 石:

  • 隻輪不返(척륜불반) : 병거(兵車)가 한 대도 돌아오지 않는다는 뜻으로, 참패(慘敗)를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隻: 외짝 輪: 바퀴 不: 아니 返: 돌아올

  • 蕙心紈質(혜심환질) : 혜초 같은 마음과 흰비단 같은 자질이라는 뜻으로, 미인의 마음과 몸이 아울러 아름다움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
    蕙: 향풀 이름 心: 마음 紈: 흰깁 質: 바탕

  • 輕裘肥馬(경구비마) : 가벼운 가죽옷과 살진 말이라는 뜻으로, 부귀한 사람들의 나들이 차림새를 이르는 말.
    輕: 가벼울 裘: 갖옷 肥: 살찔 馬:

  • 上雨傍風(상우방풍) : 상우방풍(上雨旁風). 위에서는 비가 새고, 옆에서는 바람이 들어온다는 뜻으로, 다 낡은 집을 형용(形容)하는 말.
    上: 雨: 傍: 風: 바람

  • 老病有孤舟(노병유고주) : 늙고 병든 몸을 의탁(依託)할 것은 오직 작은 배 한 척 뿐이라는 뜻으로, 노후(老後)의 고적(孤寂)함을 형용(形容)하는 말.
    病: 有: 있을 孤: 외로울 舟:

  • 呱呱之聲(고고지성) : 고고(呱呱)의 소리.
    呱: 呱: 之: 聲: 소리

  • 母猿斷腸(모원단장) : 어미원숭이의 창자가 끊어졌다는 뜻으로, 창자가 끊어지는 것 같은 슬픔, 애통(哀痛)함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母: 어미 猿: 원숭이 斷: 끊을 腸: 창자

  • 怒髮上衝冠(노발상충관) : 성내어 머리털이 머리에 쓴 갓을 추켜 올린다는 뜻으로, 몹시 성난 모습을 형용(形容)하여 이르는 말.
    怒: 성낼 髮: 터럭 上: 衝: 찌를 冠:

  • 仙姿玉質(선자옥질) : 신선의 자태에 옥의 바탕이라는 뜻으로, 몸과 마음이 매우 아름다운 사람을 이르는 말.
    仙: 신선 姿: 맵시 玉: 구슬 質: 바탕

  • 八字春山(팔자춘산) : 여덟 팔 자 모양의 봄 산이라는 뜻으로, 미인의 눈썹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八: 여덟 字: 글자 春: 山:

  • 紅粉靑蛾(홍분청아) : 홍분은 연지와 분은, 청아는 청색(靑色)으로 아미(蛾眉)를 그리는 일, 곧 미인(美人)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紅: 붉을 粉: 가루 靑: 푸를 蛾: 나방

  • 囚首喪面(수수상면) : 죄수의 머리에 상주의 얼굴이라는 뜻으로, 죄수처럼 머리를 빗지 않고 상주(喪主)처럼 얼굴을 씻지 않듯이 용모를 꾸미지 않음을 형용한 말.[본래 송(宋)나라의 왕안석(王安石)을 기롱(欺弄)한 말에서 연유함].
    囚: 가둘 首: 머리 喪: 복입을 面:

  • 炊骨易子(취골역자) : 뼈로 밥을 짓고 자식과 바꾼다는 뜻으로, 전시에 성 안에 갇혀 식량이 다 떨어져 시체로 밥을 짓고 차마 자식을 먹을 수 없어 자식을 바꾼다는 참혹한 상황을 형용한 말.
    炊: 불땔 骨: 易: 바꿀 子: 아들

  • 煙塵千里(연진천리) : 연기와 먼지가 천리에 이른다는 뜻으로, 군마(軍馬)의 발굽에서 일어나는 흙먼지가 천리까지 끊이지 않는 것처럼 온 세상이 전란으로 어지러움을 비유한 말.
    煙: 연기 塵: 티끌 千: 일천 里: 마을

  • 靑天霹靂(청천벽력) : 맑게 갠 하늘에서 치는 날벼락이라는 뜻으로, 뜻밖에 일어난 큰 재앙, 사고나 사건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靑: 푸를 天: 하늘 霹: 벼락 靂: 벼락

  • 魚頭鬼面(어두귀면) : 물고기 머리에 귀신 낯짝이라는 뜻으로, 몹시 흉한 얼굴을 이르는 말.
    魚: 고기 頭: 머리 鬼: 귀신 面:

  • 月露風雲(월로풍운) : 달, 이슬, 바람, 구름이라는 뜻으로, 시문을 짓는 것이 月露風雲을 형용하는 것에 지나지 않아 무용무익(無用無益)한 문사(文辭)를 이르는 말로 사용됨.
    月: 露: 이슬 風: 바람 雲: 구름

  • 無分別智(무분별지) : 올바르게 진여(眞如)를 체득하는 지혜. 진여의 모양은 형용할 수도, 분별할 수도 없으므로 모든 생각과 분별을 초월한 참 지혜로서만 비로소 알 수 있다 하여 이렇게 이른다.
    無: 없을 分: 나눌 別: 나눌 智: 슬기

  • 疾風迅雷(질풍신뢰) : 심한 바람과 번개라는 뜻으로, 빠르고 심하게 변하는 상태를 이르는 말.
    疾: 風: 바람 迅: 빠를 雷: 우레

  • 游雲驚龍(유운경룡) : 헤엄치듯 날아가는 구름과 놀란 용이라는 뜻으로, 뛰어나게 잘 쓴 글씨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游: 雲: 구름 驚: 놀랄 龍:

  • 虛靈不昧(허령불매) : 잡된 생각이 없이 마음이 신령하여 어둡지 아니함. 유교에서 말하는 심상(心狀)과 명덕(明德)의 본질이다.
    虛: 靈: 신령 不: 아니 昧: 어두울

  • 蜂起(봉기) : 벌 떼처럼 떼 지어 세차게 일어남.
    蜂: 起: 일어날

  • 魚潰鳥散(어궤조산) : 물고기의 창자가 썩고 새 떼가 흩어진다는 뜻으로, 나라가 내부에서 부패하여 백성이 살길을 찾아 뿔뿔이 흩어짐을 이르는 말.
    魚: 고기 潰: 무너질 鳥: 散: 흩을

  • 沈魚落雁(침어낙안) : 미인을 보고 물 위에서 놀던 물고기가 부끄러워서 물속 깊이 숨고 하늘 높이 날던 기러기가 부끄러워서 땅으로 떨어졌다는 뜻으로, 아름다운 여인의 용모를 이르는 말. ≪장자≫ <제물론(齊物論)>에 나오는 말이다.
    沈: 잠길 魚: 고기 雁: 기러기

  • 斗折蛇行(두절사행) : 북두칠성(北斗七星)처럼 꺾여 구부러진 모양(模樣)과 뱀이 기어가듯 꼬불꼬불한 도로(道路)나 水流(수류) 등(等)의 모양(模樣)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斗: 折: 꺾을 蛇: 行:

  • 萬壑千峰(만학천봉) : 수많은 골짜기와 수많은 봉우리라는 뜻으로, 깊은 산 속이나 중첩된 산의 모양을 형용하는 말로 사용됨.
    萬: 일만 壑: 千: 일천 峰: 봉우리

  • 長蛇陣(장사진) : (1)많은 사람이 줄을 지어 길게 늘어선 모양을 이르는 말. (2)예전의 병법에서, 한 줄로 길게 벌인 군진(軍陣)의 하나.
    長: 蛇: 陣: 진칠

  • 揚沙走石(양사주석) : 모래가 날리고 돌멩이가 구른다는 뜻으로, 바람이 세차게 붊을 이르는 말.
    揚: 오를 沙: 모래 走: 달릴 石:

  • 千紫萬紅(천자만홍) : 울긋불긋한 여러 가지 꽃의 빛깔. 또는 그런 빛깔의 꽃.
    千: 일천 紫: 자주빛 萬: 일만 紅: 붉을

#재앙 64 #생활 82 #따위 228 #이치 67 #목숨 58 #편안 62 #근심 65 #자식 104 #태도 72 #신하 62 #노력 69 #싸움 61 #근본 66 #처음 91 #사물 172 #방법 59 #중국 253 #문장 59 #부모 136 #비유 1177 #바람 136 #경우 64 #아래 86 #시대 114 #세상 339 #하늘 251 #사이 200 #벼슬 88 #얼굴 99 #머리 141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62개) : 하아, 하악, 하안, 하애, 하야, 하약, 하얌, 하양, 하어, 하여, 하역, 하연, 하열, 하염, 하엽, 하영, 하예, 하오, 하옥, 하옴, 하옷, 하와, 하완, 하용, 하우, 하운, 하움, 하원, 하위, 하유, 하육, 하윤, 하음, 하의, 하이, 하익, 하인, 하일, 하임, 학안, 학업, 학연, 학열, 학예, 학용, 학우, 학원, 학위, 학유, 학익, 학인, 한아, 한악, 한안, 한야, 한약, 한양, 한어, 한언, 한얼, 한역, 한연, 한열, 한염, 한영, 한옆, 한옥, 한온, 한와, 한외, 한용, 한우, 한욱, 한운, 한울, 한웅, 한원, 한월, 한위, 한유, 한육, 한은, 한음, 한의, 한인, 한일, 한임, 한입, 핟옷, 할애, 할양, 할여, 할은, 할이, 할인, 함안, 함양, 함어, 함여, 함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