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71

  • 七步之才 획순 七步之才(칠보지재)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七: 일곱 步: 걸을 之: 才: 재주

  • 難伯難仲 획순 難伯難仲(난백난중) : 누가 맏이고 누가 둘째 인지 분간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비교되는 대상의 우열을 가리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難: 어려울 伯: 難: 어려울 仲: 버금

  • 荊山之玉 획순 荊山之玉(형산지옥) : (1)중국 산에서 나는 옥이라는 뜻으로, 보물로 전해 오는 흰 옥돌을 이르는 말. (2)어질고 착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荊: 모형나무 山: 之: 玉: 구슬

  • 同腹兄 획순 同腹兄(동복형) : 한 어머니에게서 난 .
    同: 한가지 腹: 兄:

  • 兄無衣服弟必獻之 획순 兄無衣服弟必獻之(형무의복제필헌지) : 에게 의복(衣服)이 없으면 아우는 반드시 이를 드려야 함.
    兄: 無: 없을 衣: 服: 弟: 아우 必: 반드시 獻: 바칠 之:

  • 難爲兄難爲弟(난위형난위제) : 누구를 이라 아우라 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1) 누가 더 낫다고 할 수 없을 정도(程度)로 서로 비슷함 (2) 사물(事物)의 우열(優劣)이 없다는 말로 곧 비슷하다는 말.
    難: 어려울 爲: 兄: 難: 어려울 爲: 弟: 아우

  • 嫡兄(적형) : 첩에게서 난 아들이 정실에게서 난 을 이르는 말.
    嫡: 큰마누라 兄:

  • 七步才(칠보재)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七: 일곱 步: 걸을 才: 재주

  • 兄生我前弟生我後(형생아전제생아후) : 은 나보다 먼저 태어나고 아우는 나보다 뒤에 태어났음.
    兄: 生: 我: 前: 弟: 아우 生: 我: 後:

  • 三十六計(삼십육계) : (1)물주가 맞힌 사람에게 살돈의 서른여섯 배를 주는 노름. (2)서른여섯 가지의 꾀. 많은 모계(謀計)를 이른다.
    三: 十: 計:

  • 兄飢弟飽禽獸之遂(형기제포금수지수) : 은 굼주리는 데 아우만 배부르다면 새나 짐승의 할 짓임.
    兄: 飢: 주릴 弟: 아우 飽: 배부를 禽: 날짐승 獸: 짐승 之: 遂: 드디어

  • 父兄子弟(부형자제) : 아버지나 의 가르침을 받고 자란 젊은이.
    父: 아비 兄: 子: 아들 弟: 아우

  • 途不拾遺(도불습유) : 길에 떨어진 것을 줍지 않는다는 뜻으로, (1) 나라가 잘 다스려져 백성(百姓)의 풍속(風俗)이 돈후(敦厚)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2) 벌(刑罰)이 준엄(峻嚴)하여 백성(百姓)이 법을 범(犯)하지 아니함의 뜻으로도 쓰임.
    途: 不: 아니 拾: 주울 遺: 남길

  • 弟無衣服兄必與之(제무의복형필여지) : 아우에게 의복(衣服)이 없으면 은 반드시 이를 주어야 함.
    弟: 아우 無: 없을 衣: 服: 兄: 必: 반드시 與: 之:

  • 同母兄(동모형) : 한 어머니에게서 난 .
    同: 한가지 母: 어미 兄:

  • 兄有過失和氣以諫(형유과실화기이간) : 에게 과실(過失)이 있으면 아우는 온화(溫和)한 기색(氣色)으로 간(諫)함.
    兄: 有: 있을 過: 지날 失: 잃을 和: 고를 氣: 기운 以: 諫: 간할

  • 兄弟和合賢妻之德(형제화합현처지덕) : 과 아우가 화합(和合)한 것은 어진 아내의 덕임.
    兄: 弟: 아우 和: 고를 合: 합할 賢: 어질 妻: 아내 之: 德:

  • 嶽宗恒岱(악종항대) : 오악(五嶽)은 동(東) 태산(泰山), 서(西) 화산(華山), 남(南) 산(衡山), 북(北) 항산(恒山), 중(中) 숭산(嵩山)이니, 항산(恒山)과 태산(泰山)이 조종(祖宗)임.
    嶽: 큰산 宗: 마루 恒: 항상 岱: 대산

  • 兄弟爭鬪滿堂不樂(형제쟁투만당불락) : 과 아우가 다투고 싸우면 온 집안이 즐겁지 않게 됨.
    兄: 弟: 아우 爭: 다툴 鬪: 싸움 滿: 堂: 不: 아니 樂: 즐거울

  • 兄雖責我不敢怒怨(형수책아불감노원) : 이 비록 나를 꾸짖더라도 감(敢)히 성내고 원망(怨望)하지 말아야 함.
    兄: 雖: 비록 責: 꾸짖을 我: 不: 아니 敢: 감히 怒: 성낼 怨: 원망할

  • 兄肥弟瘦(형비제수) : 은 살찌고 아우는 마르다는 뜻으로, 제의 신분이 다름을 이르거나, 은 동생 대신 동생은 대신 서로 돕는 일의 의미로 사용됨.
    兄: 肥: 살찔 弟: 아우 瘦: 파리할

  • 七步詩(칠보시) : 일곱 걸음을 걷는 사이에 지어진 시. 또는 즉석에서 읊은 시나 그러한 재능을 지닌 시인. 이 말은 중국 위나라 초대 황제인 문제 조비가 사이가 좋지 않은 그의 동생 조식에게 일곱 걸음을 걷는 사이에 시를 짓지 못하면 벌을 내리겠다고 하자, 조식이 즉석에서 오언 고시를 지어냈다는 데서 비롯된 말이다.
    七: 일곱 步: 걸을 詩:

  • 難兄難弟(난형난제) : 누구를 이라 하고 누구를 아우라 하기 어렵다는 뜻으로, 두 사물이 비슷하여 낫고 못함을 정하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難: 어려울 兄: 難: 어려울 弟: 아우

  • 兄亡弟及(형망제급) : 이 아들 없이 죽었을 때에, 동생이 대신 그 가통을 이음.
    兄: 亡: 잃을 弟: 아우 及: 미칠

  • 破天荒(파천황) : (1)이전에 아무도 하지 못한 일을 처음으로 해냄을 이르는 말. ≪북몽쇄언(北夢瑣言)≫에 나오는 말로, 중국 당나라의 주(荊州) 지방에서 과거의 합격자가 없어 천지가 아직 열리지 않은 혼돈한 상태라는 뜻으로 천황(天荒)이라고 불리었는데 유세(劉蛻)라는 사람이 처음으로 합격하여 천황을 깼다는 데서 유래한다. (2)양반이 없는 시골이나 인구수가 적은 성씨에 인재가 나서 본래의 미천한 상태를 벗어남.
    破: 깨뜨릴 天: 하늘 荒: 거칠

  • 其勢兩難(기세양난) : 이럴 수도 없고 저럴 수도 없어 그 세가 딱함.
    其: 勢: 기세 難: 어려울

  • 如兄若弟(여형약제) : 친하기가 제와 같음.
    如: 같을 兄: 若: 같을 弟: 아우

  • 形而上(형이상) : 이성적 사유 또는 직관에 의해서만 포착되는 초경험적이며 근원적인 영역.
    形: 형상 而: 말 이을 上:

  • 我身能孝兄弟亦效(아신능효형제역효) : 내 몸이 능히 효를 하면 과 아우도 또한 본받음.
    我: 身: 能: 능할 孝: 효도 兄: 弟: 아우 亦: 效: 본받을

  • 朝不謀夕(조불모석) : 세가 절박하여 아침에 저녁 일을 헤아리지 못한다는 뜻으로, 당장을 걱정할 뿐이고 앞일을 생각할 겨를이 없음을 이르는 말.
    朝: 아침 不: 아니 謀: 꾀할 夕: 저녁

  • 我打我兄猶打父母(아타아형유타부모) : 내가 나의 을 때리는 것은 부모(父母)님을 때리는 것과 같음.
    我: 打: 我: 兄: 猶: 오히려 打: 父: 아비 母: 어미

  • 兄弟和睦父母喜之(형제화목부모희지) : 과 아우가 화목(和睦)하면 부모(父母)님이 기뻐하심.
    兄: 弟: 아우 和: 고를 睦: 화목할 父: 아비 母: 어미 喜: 기쁠 之:

  • 我敬人兄人敬我兄(아경인형인경아형) : 내가 남의 을 공경(恭敬)하면 남도 나의 을 공경(恭敬)해 줌.
    我: 敬: 공경 人: 사람 兄: 人: 사람 敬: 공경 我: 兄:

  • 慈兄(자형) : 주로 편지글에서, 자애로운 이라는 뜻으로 ‘’을 높여 이르는 말.
    慈: 사랑 兄:

  • 弟有過失怡聲以訓(제유과실이성이훈) : 아우에게 과실(過失)이 있으면 은 온화(溫和)한 목소리로 훈계(訓戒)해야 함.
    弟: 아우 有: 있을 過: 지날 失: 잃을 怡: 기뻐할 聲: 소리 以: 訓: 가르칠

  • 玉昆金友(옥곤금우) : 옥 같은 과 금 같은 아우라는 뜻으로, 남의 제를 아름답게 이르는 말.
    玉: 구슬 昆: 金: 友:

  • 親父兄(친부형) : 친아버지와 친을 아울러 이르는 말.
    親: 친할 父: 아비 兄:

  • 我有歡樂兄弟亦樂(아유환락형제역락) : 나에게 기쁨과 즐거움이 있으면 과 아우도 또한 즐거워함.
    我: 有: 있을 歡: 기뻐할 樂: 즐거울 兄: 弟: 아우 亦: 樂: 즐거울

  • 朝不慮夕(조불려석) : 세가 절박하여 아침에 저녁 일을 헤아리지 못한다는 뜻으로, 당장을 걱정할 뿐이고 앞일을 생각할 겨를이 없음을 이르는 말.
    朝: 아침 不: 아니 慮: 생각할 夕: 저녁

  • 我身不孝兄弟亦則(아신불효형제역칙) : 내 몸이 효도(孝道)를 하지 않으면 과 아우도 능히 본받음.
    我: 身: 不: 아니 孝: 효도 兄: 弟: 아우 亦: 則:

  • 伯父(백부) : 둘 이상의 아버지의 가운데 맏이가 되는 을 이르는 말.
    伯: 父: 아비

  • 呼兄呼弟(호형호제) : 서로 이니 아우니 하고 부른다는 뜻으로, 매우 가까운 친구로 지냄을 이르는 말.
    呼: 부를 兄: 呼: 부를 弟: 아우

  • 同堂兄弟(동당형제) : 사촌 관계인 과 아우.
    同: 한가지 堂: 兄: 弟: 아우

  • 車螢孫雪(차형손설) : 차윤취(車胤聚螢)과 손강영설(孫康映雪)을 아울러 이르는 말.
    車: 수레 螢: 개똥벌레 孫: 손자 雪:

  • 母兄(모형) : 한 어머니에게서 난 .
    母: 어미 兄:

  • 頭足異處(두족이처) : 참(斬刑)을 당(當)하여 머리와 다리가 따로따로 됨을 이르는 말.
    頭: 머리 足: 異: 다를 處: 머무를

  • 刑期無刑(형기무형) : 벌의 목적은 벌이 없게 하는 것임.
    刑: 형벌 期: 만날 無: 없을 刑: 형벌

  • 螢雪(형설) : 차윤취(車胤聚螢)과 손강영설(孫康映雪)을 아울러 이르는 말.
    螢: 개똥벌레 雪:

  • 我有憂患兄弟亦憂(아유우환형제역우) : 나에게 근심과 걱정이 있으면 과 아우도 또한 근심함.
    我: 有: 있을 憂: 근심 患: 근심 兄: 弟: 아우 亦: 憂: 근심

  • 賢父兄(현부형) : 어진 아버지와 .
    賢: 어질 父: 아비 兄:

  • 雲散鳥沒(운산조몰) : 구름처럼 흩어지고 새처럼 사라진다는 뜻으로, 종적이 없어짐을 이르는 말.
    雲: 구름 散: 흩을 鳥: 沒: 빠질

  • 轉生之端(전생지단) : 사(死刑)에 처해야 할 죄인(罪人)에게 의심(疑心)쩍은 점(點)이 있어, 을 줄여 죽음을 면하게 할 실마리.
    轉: 구를 生: 之: 端: 바를

  • 形單影隻(형단영척) : 체가 하나이므로 그림자도 하나라는 뜻으로, 의지할 곳도 도움을 받을 곳도 없이 몹시 외롭고 고독한 처지를 이르는 말.
    形: 형상 單: 影: 그림자 隻: 외짝

  • 宜兄宜弟(의형의제) : 제간의 우애가 두터움.
    宜: 마땅할 兄: 宜: 마땅할 弟: 아우

  • 道不拾遺(도불습유) : 길에 떨어진 물건을 주워 가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벌이 준엄하여 백성이 법을 범하지 아니하거나 민심이 순후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한비자≫의 <외저설좌상편(外儲說左上篇)>에 나오는 말이다.
    道: 不: 아니 拾: 주울 遺: 남길

  • 多發刑吏(다발형리) : 조선 시대에, 조나 한성부에서 죄인을 잡으려고 리에게 여러 사령을 붙여 보내던 일.
    多: 많을 發: 刑: 형벌 吏: 벼슬아치

  • 無形學(무형학) : 사물의 본질, 존재의 근본 원리를 사유나 직관에 의하여 탐구하는 학문. 명칭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물의 제목에서 유래한다.
    無: 없을 形: 형상 學: 배울

  • 兄友弟恭(형우제공) : 은 아우를 사랑하고 동생은 을 공경한다는 뜻으로, 제간에 서로 우애 깊게 지냄을 이르는 말.
    兄: 友: 弟: 아우 恭: 공손할

  • 色卽是空(색즉시공) : 현실의 물질적 존재는 모두 인연에 따라 만들어진 것으로서 불변하는 고유의 존재성이 없음을 이르는 말. 반야심경에 나오는 말이다.
    色: 卽: 是: 옳을 空:

  • 狐假虎威(호가호위) : 남의 권세를 빌려 위세를 부림. ≪전국책≫의 <초책(楚策)>에 나오는 말로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려 호기를 부린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狐: 여우 假: 거짓 虎: 威: 위엄

  • 酌量減輕(작량감경) : 법률적으로는 특별한 사유가 없더라도 범죄의 정상에 참작할 만한 사유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법원이 그 을 줄이거나 가볍게 하는 것.
    酌: 따를 量: 헤아릴 減: 輕: 가벼울

  • 罷市(파시) : 중국에서, 도시의 상인이 일제히 가게를 닫고 매매를 중지하는 일. 중국 진(晉)나라의 양호(羊祜)가 주(荊州) 도독으로 재임하던 중 죽자, 백성들이 그를 추모하여 시장을 열지 않았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罷: 그만둘 市: 저자

  • 形而上學(형이상학) : (1)사물의 본질, 존재의 근본 원리를 사유나 직관에 의하여 탐구하는 학문. 명칭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물의 제목에서 유래한다. (2)헤겔ㆍ마르크스 철학에서, 비변증법적 사고를 이르는 말. (3)초경험적인 것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을, 이하 또는 경험적 대상의 학문인 자연 과학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4)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서.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일 철학이라고 하는 이름으로 다룬 여러 문제의 연구를 후세에 정리한 것으로, 플라톤의 이데아론을 비판하고 실재론을 설명하였다. 스콜라 철학을 통하여 중세의 유럽 사상에 큰 영향을 끼쳤다. 14장(章).
    形: 형상 而: 말 이을 上: 學: 배울

  • 四知(사지) : 두 사람만의 비밀이라도 어느 때고 반드시 남이 알게 됨을 이르는 말. 중국 후한(後漢)의 양진(楊震)이 주 자사(荊州刺史)로 부임했을 때, 왕밀(王密)이 밤중에 찾아와서 당신과 나밖에는 아무도 알 사람이 없다 하며 금(金) 열 근을 바쳤을 때, 하늘이 알고 땅이 알고 내가 알고 자네가 안다 하며 받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후한서≫의 <양진전(楊震傳)>에 나오는 말이다.
    四: 知:

  • 秋風落葉(추풍낙엽) : (1)가을바람에 떨어지는 나뭇잎. (2)어떤 세나 세력이 갑자기 기울어지거나 헤어져 흩어지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秋: 가을 風: 바람 葉:

  • 情狀參酌(정상참작) : 법률적으로는 특별한 사유가 없더라도 범죄의 정상에 참작할 만한 사유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법원이 그 을 줄이거나 가볍게 하는 것.
    情: 狀: 형상 參: 참여할 酌: 따를

  • 點鬼簿(점귀부) : (1)옛사람의 이름을 많이 따다가 지은 시문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의 문장가인 양(楊炯)이 시문 가운데에 옛사람의 이름을 많이 따 넣은 것을 세인이 논평한 데서 유래한다. (2)죽은 사람의 이름을 적은 장부.
    點: 鬼: 귀신 簿: 장부

  • 形影相同(형영상동) : 체의 움직임에 따라 그림자도 그대로 나타난다는 뜻으로, 마음먹은 바가 그대로 행동으로 나타남을 이르는 말.
    形: 형상 影: 그림자 相: 서로 同: 한가지

  • 因緣爲市(인연위시) : 인연으로 시장을 삼는다는 뜻으로, 재판할 때 관리가 사정에 의해 부정한 판결을 한다는 의미. ‘因緣’은 뇌물 같은 사적 관계, ‘爲市’는 물품 흥정하는 시장 같은 (刑)의 경중(輕重)을 좌우하는 일.
    因: 인할 緣: 가선 爲: 市: 저자

  • 漁兄漁弟(어형어제) : 고기잡이 과 고기잡이 동생이라는 뜻으로, 낚시 친구를 이르는 말의 의미.
    漁: 고기잡을 兄: 漁: 고기잡을 弟: 아우

  • 壎篪相和(훈지상화) : 이 훈이라는 악기를 불면 아우는 지라는 악기를 불어 화답한다는 뜻으로, 제간의 화목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壎: 질나발 篪: 저 이름 相: 서로 和: 고를

#사이 200 #재능 61 #어머니 72 #물건 136 #이치 67 #문장 59 #사용 312 #훌륭 85 #어버이 60 #사랑 91 #근본 66 #노력 69 #아침 72 #비유 1177 #사물 172 #시대 114 #고사 108 #형제 68 #잘못 93 #정도 153 #중국 253 #가난 90 #여자 101 #싸움 61 #따위 228 #세상 339 #예전 60 #어려움 105 #마음 496 #군자 56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8개) : 하, 학, 한, 할, 핡, 함, 합, 핫, 항, 해, 핵, 핸, 햄, 햇, 행, 향, 허, 헉, 헌, 헐, 험, 헛, 헝, 헤, 헥, 헬, 헴, 헵, 헷, 헹, 혀, 혁, 현, 혈, 혐, 협, 형, 혜, 혬, 호, 혹, 혼, 홀, 홈, 홉, 홍, 홑, 화, 확, 환, 활, 황, 홰, 홱, 횅, 회, 획, 횟, 횡, 효, 후, 훅, 훈, 훌, 훍, 훔, 훗, 훙, 훠, 훤, 훨, 훰, 훼, 휀, 휑, 휘, 휙, 휠, 휨, 휭, 휴, 흄, 흉, 흐, 흑, 흔, 흘, 흙, 흠, 흥, 흨, 희, 힁, 히, 힐, 힘, 힝, 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