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하 에 관한 한자 모두 94

  • 開物成務 획순 開物成務(개물성무) : 만물의 뜻을 깨달아 모든 일을 이룸.
    開: 物: 만물 成: 이룰 務: 힘쓸

  • 無爲之治 획순 無爲之治(무위지치) : 성인의 덕이 지극히 커서 아무 일을 하지 않아도 천하가 저절로 잘 다스려짐.
    無: 없을 爲: 之: 治: 다스릴

  • 三分鼎足 획순 三分鼎足(삼분정족) : 셋으로 나뉜 것이 솥의 발 같다는 뜻으로, 솥발처럼 삼자(三者) 천하를 삼분(三分)하고 있다는 의미.
    三: 分: 나눌 鼎: 足:

  • 扁鵲不能肉白骨 획순 扁鵲不能肉白骨(편작불능육백골) : 천하(天下)의 명의(名醫) 편작도 죽은 사람을 소생시킬 수는 없다는 뜻으로, 충신(忠臣)도 망국(亡國)을 유지(維持)할 수는 없음을 이르는 말.
    扁: 넓적할 鵲: 까치 不: 아니 能: 능할 肉: 고기 白: 骨:

  • 怒氣登天 획순 怒氣登天(노기등천) : ‘노기등천하다’의 어근.
    怒: 성낼 氣: 기운 登: 오를 天: 하늘

  • 康哉之歌(강재지가) : 온 천하(天下)가 태평(太平)함을 칭송(稱頌)한 노래.
    康: 편안할 哉: 어조사 之: 歌: 노래

  • 車同軌(거동궤) : 여러 지방의 수레의 너비를 같게 하고 글은 같은 글자를 쓰게 한다는 뜻으로, 천하가 통일된 상태를 이르는 말.
    車: 수레 同: 한가지 軌:

  • 桃李滿天下(도리만천하) : 복숭아와 오얏이 천하(天下)에 가득하다는 뜻으로, 우수(優秀)한 문하생(門下生)이 많음을 비유(比喩)하는 말.
    桃: 복숭아나무 李: 오얏나무 滿: 天: 하늘 下: 아래

  • 醉中無天子(취중무천자) : 취중에는 천자도 없다는 뜻으로, 술에 취하면 두렵거나 무서운 것이 없어짐을 이르는 말.
    醉: 취할 中: 가운데 無: 없을 天: 하늘 子: 아들

  • 四海兄弟(사해형제) : 온 세상 사람이 모두 형제와 같다는 뜻으로, 친밀함을 이르는 말. ≪논어≫의 <안연편(顔淵篇)>에서 사해 안에 있는 사람을 모두 형제라고 한 데서 유래한다.
    四: 海: 바다 兄: 弟: 아우

  • 天下皆春(천하개춘) : 온 천하(天下)에 봄기운(氣運)이 가득함.
    天: 하늘 下: 아래 皆: 春:

  • 書同文(서동문) : 글은 같은 글자를 쓰게 한다는 뜻으로, 천하가 통일된 상태를 이르는 말.
    書: 同: 한가지 文: 글월

  • 右文左武(우문좌무) : 문무를 다 갖추어 천하를 다스림.
    右: 오른쪽 文: 글월 左: 武: 호반

  • 仕非爲貧(사비위빈) : 관리(官吏)는 빈한해도 녹을 먹기 위(爲)해 일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관리(官吏)된 사람은 德(덕)을 천하(天下)에 펴야 한다는 말.
    仕: 벼슬 非: 아닐 爲: 貧: 가난할

  • 天尊地卑(천존지비) : 하늘을 존중하고 땅을 천시한다는 뜻으로, 윗사람만 받들고 아랫사람은 업신여김을 이르는 말.
    天: 하늘 尊: 높을 地: 卑: 낮을

  • 揮淚斬馬謖(후루참마속) : 눈물을 뿌리면서 마속을 베다라는 뜻으로, 군율을 지키기 위해 아까운 장수 마속을 눈물을 흘리면서 베었던 제갈량의 고사에서, 천하의 법도에는 사정(私情)이 있을 수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淚: 눈물 斬: 馬: 謖: 일어날

  • 百郡秦幷(백군진병) : 진시황(秦始皇)이 천하(天下)를 봉군(封郡)하는 법(法)을 폐(廢)하고 일백군(100郡)을 둠.
    百: 일백 郡: 고을 秦: 나라 이름 幷: 어우를

  • 乾坤一擲(건곤일척) : 주사위를 던져 승패를 건다는 뜻으로, 운명을 걸고 단판걸이로 승부를 겨룸을 이르는 말.
    乾: 마를 坤: 곤괘 一: 擲: 던질

  • 鰥寡孤獨(환과고독) : (1)늙어서 아내 없는 사람, 늙어서 남편 없는 사람, 어려서 어버이 없는 사람, 늙어서 자식 없는 사람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외롭고 의지할 데 없는 처지.
    鰥: 홀아비 寡: 적을 孤: 외로울 獨: 홀로

  • 燮理陰陽(섭리음양) : 음양을 화합해 다스린다는 뜻으로, 천하의 도(道)를 조화시킨다는 의미에서 재상(宰相)이 천하를 다스림을 비유하는 말로 쓰이거나 재상의 직분(職分)을 의미하기도 함.
    燮: 화할 理: 다스릴 陰: 응달 陽:

  • 一葉知秋(일엽지추) : 하나의 나뭇잎을 보고 가을이 옴을 안다는 뜻으로, 조그마한 일을 가지고 장차 올 일을 미리 짐작함. ≪회남자(淮南子)≫ <설산훈편(說山訓篇)>에서 유래한다.
    一: 葉: 知: 秋: 가을

  • 和氏之璧(화씨지벽) : 화씨의 구슬이라는 뜻으로, 천하의 명옥(名玉)을 이르는 말. 초나라 화씨가 옥돌 원석을 여왕(厲王)에게 바쳤으나 돌로 판정되어 왼쪽 다리와 오른발을 잘려 사흘 밤낮을 운다는 소문을 문왕이 듣고 그 원석을 다듬게 하여 천하에 둘도 없는 보물이 된 데서 유래한다.
    和: 고를 氏: 之: 璧: 둥근 옥

  • 旋乾轉坤(선건전곤) : (1)천지를 뒤집는다는 뜻으로, 나라의 난을 평정함을 이르는 말. (2)나라의 나쁜 풍습을 크게 고침을 이르는 말.
    旋: 乾: 마를 轉: 구를 坤: 곤괘

  • 斗南一人(두남일인) : 북두칠성의 남쪽에서 제일가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천하에 으뜸가는 훌륭한 인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斗: 南: 남녘 一: 人: 사람

  • 車同軌書同文(거동궤서동문) : 여러 지방의 수레의 너비를 같게 하고 글은 같은 글자를 쓰게 한다는 뜻으로, 천하가 통일된 상태를 이르는 말.
    車: 수레 同: 한가지 軌: 書: 同: 한가지 文: 글월

  • 天下太平(천하태평) : 온 세상이 태평하다는 뜻으로, 세상이 잘 다스려저 평화롭다는 뜻이나, 성질이 느긋하여 세상 물정을 모르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 ‘天下泰平’으로도 표현함.
    天: 하늘 下: 아래 太: 平: 평평할

  • 結義兄弟(결의형제) : 의로써 형제의 관계를 맺음. 또는 그렇게 관계를 맺은 형제.
    結: 맺을 義: 옳을 兄: 弟: 아우

  • 天下泰平(천하태평) : (1)정치가 잘되어 온 세상이 평화로움. (2)어떤 일에 무관심한 상태로 걱정 없이 편안하게 있는 태도를 가벼운 놀림조로 이르는 말.
    天: 하늘 下: 아래 泰: 平: 평평할

  • 唯我獨尊(유아독존) : (1)우주 가운데 자기보다 더 존귀한 이는 없음. 석가모니가 태어났을 때 처음으로 한 말이라고 한다. (2)세상에서 자기 혼자 잘났다고 뽐내는 태도.
    唯: 오직 我: 獨: 홀로 尊: 높을

  • 千里同風(천리동풍) : 천 리에 걸쳐 같은 바람이 분다는 뜻으로, 세상이 통일되어 천 리나 떨어진 곳까지 풍속이 같아짐을 이르는 말.
    千: 일천 里: 마을 同: 한가지 風: 바람

  • 葉落知秋(엽락지추) : 낙엽이 떨어지는 것으로 가을을 한다는 뜻으로, 낙엽이 하나 떨어지는 것을 보면서 계절이 벌써 가을로 들어섬을 아는 것처럼 조그마한 현상으로부터 커다란 근본을 깨달아야 한다는 의미. [= 一葉落知天下秋(일엽락지천하추)].
    葉: 落: 떨어질 知: 秋: 가을

  • 百日天下(백일천하) : 1815년 3월에 엘바섬을 탈출한 나폴레옹 일세가 파리에 들어가 제정(帝政)을 부활한 후부터 워털루 전투에서 패배하여 퇴위할 때까지 약 100일간의 지배.
    百: 일백 日: 天: 하늘 下: 아래

  • 天威咫尺(천위지척) : 천자의 위엄과 권위가 지척에 있다는 뜻으로, 임금과 매우 가까운 곳 또는 제왕의 앞을 이르는 말.
    天: 하늘 威: 위엄 咫: 길이 尺:

  • 問鼎輕重(문정경중) : 솥의 무게를 묻는다는 뜻으로, 왕좌를 노리거나 상대방의 실력을 떠보는 마음을 이르는 말.
    問: 물을 鼎: 輕: 가벼울 重: 무거울

  • 愛育黎首(애육여수) : 명군(明君)이 천하(天下)를 다스림에 백성(百姓)을 사랑하고 양육(養育)함을 말함.
    愛: 사랑 育: 기를 黎: 검을 首: 머리

  • 戶封八縣(호봉팔현) : 한(漢)나라가 천하(天下)를 통일(統一)하고 여덟 고을 민호(民戶)를 주어 공신(功臣)을 봉(封)함.
    戶: 지게 封: 봉할 八: 여덟 縣: 고을

  • 天下無敵(천하무적) : 세상에 겨룰 만한 적수가 없음.
    天: 하늘 下: 아래 無: 없을 敵: 원수

  • 治國平天下(치국평천하) : 나라를 잘 다스리고 온 세상을 평안하게 함.
    治: 다스릴 國: 나라 平: 평평할 天: 하늘 下: 아래

  • 普天之下(보천지하) : 온 하늘의 아래라는 뜻으로, 온 세상이나 넓은 세상을 이르는 말.
    普: 두루 天: 하늘 之: 下: 아래

  • 萬夫之望(만부지망) : 천하의 많은 사람이 우러러 사모함. 또는 그런 사람.
    萬: 일만 夫: 지아비 之: 望: 바랄

  • 尺地莫非其有(척지막비기유) : 한 자의 땅도 그의 소유(所有) 아닌 것이 없다는 뜻으로, 임금이 천하(天下)의 모든 땅을 다 갖고 있음을 이르는 말.
    尺: 地: 莫: 없을 非: 아닐 其: 有: 있을

  • 名聞天下(명문천하) : 이름이 세상에 널리 퍼짐.
    名: 이름 聞: 들을 天: 하늘 下: 아래

  • 四方之志(사방지지) : 천하 사방을 돌아다니며 다스리려는 큰 뜻.
    四: 方: 之: 志:

  • 千里不留行(천리불류행) : 천 리나 되는 먼 길을 가도 가로막는 사람이 없다는 뜻으로, 천하(天下)에 적이 없음을 이르는 말.
    千: 일천 里: 마을 不: 아니 留: 머무를 行:

  • 周遊天下(주유천하) : 천하를 두루 돌아다니며 구경함.
    周: 두루 遊: 天: 하늘 下: 아래

  • 自賤拜他(자천배타) : 자기 것은 천하게 여기고 남의 것만 받듦.
    自: 스스로 賤: 천할 拜: 他: 다를

  • 女尊男卑(녀존남비) : (1)사회적 지위나 권리에 있어 여자를 남자보다 우대하고 존중하는 일. (2)‘여존남비’의 북한어.
    女: 尊: 높을 男: 사내 卑: 낮을

  • 太平無象(태평무상) : 천하(天下)가 태평(太平)할 때는 이를 지적(指摘)하여 말할 만한 형상(形狀)이 없음.
    太: 平: 평평할 無: 없을 象: 코끼리

  • 四海波靜(사해파정) : 천하(天下)의 풍파(風波)가 진정(鎭靜)되어 태평(太平)함을 이르는 말.
    四: 海: 바다 波: 물결 靜: 고요할

  • 臥治天下(와치천하) : 누워서 천하를 다스린다는 뜻으로, 별다른 어려움 없이 순탄하게 천하를 다스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臥: 누울 治: 다스릴 天: 하늘 下: 아래

  • 萬里同風(만리동풍) : 만 리에 걸쳐 같은 바람이 분다는 뜻으로, 천하가 통일되어 만 리나 떨어진 먼 곳까지 풍속이 같아짐을 이르는 말.
    萬: 일만 里: 마을 同: 한가지 風: 바람

  • 經天緯地之才(경천위지지재) : 온 천하를 조직적으로 잘 계획하여 다스리는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사람.
    經: 지날 天: 하늘 緯: 地: 之: 才: 재주

  • 負薪之資(부신지자) : (1)비천한 태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자기의 타고난 자질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負: 薪: 섶나무 之: 資: 재물

  • 放牛歸馬(방우귀마) : 전쟁에 사용했던 마소를 산야에 놓아준다는 뜻으로, 전쟁이 끝나고 천하가 태평함을 비유하는 말.
    放: 놓을 牛: 歸: 돌아갈 馬:

  • 車轍馬跡(거철마적) : 수레바퀴 자국과 말 발자국이라는 뜻으로, 수레나 말을 타고 천하를 두루 돌아다니며 노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車: 수레 轍: 바퀴 자국 馬: 跡: 자취

  • 馬上得之(마상득지) : 말을 타고 싸우며 동분서주하여 천하를 얻음을 이르는 말.
    馬: 上: 得: 얻을 之:

  • 四海同胞(사해동포) : 온 세상 사람이 모두 동포라는 뜻으로, 친밀함을 이르는 말.
    四: 海: 바다 同: 한가지 胞: 태보

  • 君子三樂(군자삼락) : 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君: 임금 子: 아들 三: 樂: 즐거울

  • 海內冠冕(해내관면) : 천하제일을 이르는 말.
    海: 바다 內: 冠: 冕: 면류관

  • 經天緯地(경천위지) : 온 천하를 조직적으로 잘 계획하여 다스림.
    經: 지날 天: 하늘 緯: 地:

  • 四海靜謐(사해정밀) : 천하(天下)의 풍파(風波)가 진정(鎭靜)되어 태평(太平)함을 이르는 말.
    四: 海: 바다 靜: 고요할 謐: 고요할

  • 鳳鳴朝陽(봉명조양) : (1)봉황새가 산의 동쪽에서 운다는 뜻으로, 천하가 태평할 길조(吉兆)를 이르는 말. (2)뛰어난 행위를 칭찬하여 이르는 말.
    鳳: 봉새 鳴: 朝: 아침 陽:

  • 含哺鼓腹(함포고복) : 잔뜩 먹고 배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먹을 것이 풍족하여 즐겁게 지냄을 이르는 말.
    含: 머금을 哺: 먹일 鼓: 腹:

  • 逆取順守(역취순수) : 도리에 어긋난 행위로 천하를 빼앗아 바른 도리로 지킴.
    逆: 거스를 取: 취할 順: 순할 守: 지킬

  • 富有天下(부유천하) : 온 천하의 재부를 혼자 차지했다는 뜻으로, 천자의 부력(富力)을 이르는 말.
    富: 가멸 有: 있을 天: 하늘 下: 아래

  • 桃園結義(도원결의) : 의형제를 맺음을 이르는 말. ≪삼국지연의≫에 나오는 말로 유비, 관우, 장비가 도원에서 의형제를 맺은 데에서 유래한다.
    桃: 복숭아나무 園: 동산 結: 맺을 義: 옳을

  • 堯舜時代(요순시대) : 요임금과 순임금이 덕으로 천하를 다스리던 태평한 시대. 치세(治世)의 모범으로 삼는다.
    堯: 요임금 舜: 순임금 時: 代: 대신

  • 攬轡澄淸(남비징청) : 말의 고삐를 잡아 천하를 맑게 한다는 뜻으로, 관리가 되어 어지러운 정치를 새롭게 바로잡아 보겠다는 큰 뜻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轡: 고삐 澄: 맑을 淸: 맑을

  • 男尊女卑(남존여비) : (1)‘남존여비’의 북한어. (2)남자는 지위가 높고 귀하며, 여자는 지위가 낮고 천하다고 여기는 일.
    男: 사내 尊: 높을 女: 卑: 낮을

  • 豬突豨勇(저돌희용) : (1)앞뒤를 가리지 아니하고 함부로 날뜀. (2)중국 한(漢)나라 때에, 흉노(匈奴)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죄수나 가노(家奴) 등을 모아 조직한 군대.
    豬: 돼지 突: 갑자기 豨: 멧돼지 勇: 날랠

  • 同文同軌(동문동궤) : 천하가 통일된 상태를 이르는 말.
    同: 한가지 文: 글월 同: 한가지 軌:

  • 貴鵠賤鷄(귀곡천계) : 고니를 귀하게 여기고 닭을 천하게 여긴다는 뜻으로, 드문 것은 귀하게, 흔한 것은 천하게 여김을 이르는 말.
    貴: 귀할 鵠: 고니 賤: 천할 鷄:

  • 賞一人而天下譽之(상일인이천하예지) : 한 사람에게 상을 주면 천하(天下)가 기린다는 뜻으로, 군주(君主)가 정치(政治)를 베풀어 선인을 한 사람 표창(表彰)하면 천하(天下)의 백성(百姓)은 그 정사(政事)의 공평(公平)함을 칭송(稱頌)한다는 말.
    賞: 상줄 一: 人: 사람 而: 말 이을 天: 하늘 下: 아래 譽: 기릴 之:

  • 風調雨順(풍조우순) : 바람이 고르게 불고 비가 때맞추어 알맞게 내린다는 뜻으로, 농사에 알맞게 기후가 순조로움을 이르는 말.
    風: 바람 調: 고를 雨: 順: 순할

  • 鳥盡弓藏(조진궁장) : 새를 모조리 잡은 후에는 활이 무기고에 들어가게 된다는 뜻으로, 천하를 평정한 뒤에 공신들이 버림받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鳥: 盡: 다할 弓: 藏: 감출

  • 朝聞道夕死可矣(조문도석사가의) : 아침에 천하(天下)가 올바른 정도(正道)로 행(行)해지고 있다는 말을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는 뜻으로, 사람이 참된 이치(理致)를 깨달으면 당장 죽어도 한(恨)이 없다는 뜻으로 쓰이며, 짧은 인생(人生)을 값있게 살아야 한다는 의미(意味).
    朝: 아침 聞: 들을 道: 夕: 저녁 死: 죽을 可: 옳을 矣: 어조사

  • 四表(사표) : 나라 사방의 바깥이라는 뜻으로, ‘천하’를 이르는 말.
    四: 表:

  • 天香國色(천향국색) : (1)천하에서 제일가는 향기와 빛깔이라는 뜻으로, ‘모란꽃’을 달리 이르는 말. (2)가장 아름다운 여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天: 하늘 香: 향기 國: 나라 色:

  • 拔一(毛利天) : 下不爲也발일모리천하불위야 - 털 하나 뽑는 것 같은 작은 일로써 천하(天下)를 이롭게 할 수 있는 것도 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다만 자기(自己) 이익(利益)에 사로잡혀 타인(他人)의 일은 조금도 생각하지 않음.

  • 胡越一家(호월일가) : (1)중국 북쪽의 호(胡)와 남쪽의 월(越)이 한집안이라는 뜻으로, 온 천하가 한집안 같음을 이르는 말. (2)멀리 떨어져 있던 사람들이 한곳에 모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胡: 오랑캐 越: 넘을 一: 家:

  • 自賤他拜(자천타배) : 자신은 천하게 여기고 다른 것은 숭배한다는 뜻으로, 자기 것은 업신여기고 남의 것은 높이 받듦을 이르는 말.
    自: 스스로 賤: 천할 他: 다를 拜:

  • 擊壤歌(격양가) : 풍년이 들어 농부가 태평한 세월을 즐기는 노래. 중국의 요임금 때에, 태평한 생활을 즐거워하여 불렀다고 한다.
    擊: 壤: 歌: 노래

  • 四海爲家(사해위가) : 온 세상이 집이 된다는 뜻으로, 천하를 제 집안으로 만든다는 의미로는 제업(帝業)의 광대함을 이르고, 온나라 어느 곳에도 집이 있다는 의미로는 떠돌아다니며 일정한 주거가 없다는 의미로 사용됨.
    四: 海: 바다 爲: 家:

  • 震天動地(진천동지) : (1)소리 따위가 하늘과 땅을 뒤흔듦. (2)위력이나 기세를 천하에 떨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震: 벼락 天: 하늘 動: 움직일 地:

  • 家鷄野雉(가계야치) : 집에 있는 닭과 들에 있는 꿩이라는 뜻으로, 가까이 있는 흔한 것은 천하게 여기고, 멀리 있는 드문 것을 귀하게 여김을 이르는 말.
    家: 鷄: 野: 雉:

  • 縮地補天(축지보천) : 땅을 줄이고 하늘을 깁는다는 뜻으로, 임금이 천하의 행정 기구를 크게 개혁함을 이르는 말.
    縮: 오그라들 地: 補: 기울 天: 하늘

  • 鑿飮耕食(착음경식) : 우물을 파서 마시며 밭을 갈아먹는다는 뜻으로, 천하가 태평하고 생활이 안락함을 이르는 말. 요나라 때에 어떤 노인이 부른 배와 땅을 두들기며 읊은 노래에서 유래한다.
    鑿: 뚫을 飮: 마실 耕: 食:

  • 三樂(삼악) : (1)≪논어≫에 나오는, 사람이 좋아하는 세 가지. 예악(禮樂)을 절도 있게 좋아하고 남의 선을 말하기 좋아하고 어진 벗이 많음을 좋아하는 익자삼요와, 교만하게 즐김을 좋아하고 편안히 놀기를 좋아하며 주색을 좋아하는 손자삼요가 있다. (2)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3)인생의 세 가지 즐거움. 사람으로 태어난 것, 사내로 태어난 것, 장수하는 것을 이른다. (4)삼락(三樂) 가운데 셋째 가는 즐거움.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5)국악에서, 아악(雅樂)ㆍ당악(唐樂)ㆍ향악(鄕樂)의 세 갈래 음악을 통틀어 이르는 말.
    三: 樂: 즐거울

  • 三日天下(삼일천하) : (1)개화당이 갑신정변으로 3일 동안 정권을 잡은 일. (2)정권을 잡았다가 짧은 기간 내에 밀려나게 됨을 이르는 말. (3)어떤 지위에 발탁ㆍ기용되었다가 며칠 못 가서 떨어지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三: 日: 天: 하늘 下: 아래

  • 五風十雨(오풍십우) : 닷새에 한 번씩 바람이 불고 열흘 만에 한 번씩 비가 온다는 뜻으로, 날씨가 순조롭고 풍년이 들어 천하가 태평한 모양을 이르는 말.
    五: 다섯 風: 바람 十: 雨:

  • 無爲而治(무위이치) : 아무것도 하지 않고 능히 다스린다는 뜻으로, 군주의 덕이 지극히 커서 천하가 저절로 잘 다스려짐을 이르는 말.
    無: 없을 爲: 而: 말 이을 治: 다스릴

  • 轍環天下(철환천하) : 수레를 타고 천하를 돌아다닌다는 뜻으로, 교화(敎化)를 위하여 세상을 돌아다님을 이르는 말. 공자가 교화를 위하여 중국 천하를 돌아다닌 데서 유래한다.
    轍: 바퀴 자국 環: 고리 天: 하늘 下: 아래

  • 猪突豨勇(저돌희용) : 멧돼지 저 / 부딪칠 돌 / 멧돼지 희 / 용감할 용.
    猪: 멧돼지 突: 갑자기 豨: 멧돼지 勇: 날랠

  • 四分五裂(사분오열) : (1)여러 갈래로 갈기갈기 찢어짐. (2)질서 없이 어지럽게 흩어지거나 헤어짐. (3)천하가 심히 어지러워짐.
    四: 分: 나눌 五: 다섯

#동안 70 #사물 172 #서로 71 #자리 94 #비유 1177 #생활 82 #신하 62 #행동 137 #때문 58 #여자 101 #세상 339 #실패 56 #마음 496 #표현 88 #하늘 251 #재앙 64 #예전 60 #문장 59 #집안 93 #조금 96 #군자 56 #은혜 70 #얼굴 99 #부모 136 #재주 82 #자식 104 #의미 1817 #부부 76 #목숨 58 #벼슬 88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385개) : 차하, 차학, 차한, 차함, 차합, 차향, 차형, 차호, 차환, 차회, 차효, 차후, 착하, 착한, 착함, 착항, 착핵, 착행, 착현, 착혈, 착호, 착화, 착히, 찬하, 찬학, 찬합, 찬호, 찬획, 찬흑, 찬흙, 찰한, 찰험, 찰혜, 찰흔, 찰흙, 참하, 참학, 참한, 참함, 참해, 참험, 참형, 참호, 참혹, 참화, 참황, 참회, 참획, 참후, 참훼, 참흉, 참흙, 창하, 창학, 창한, 창합, 창해, 창현, 창형, 창호, 창혼, 창화, 창황, 창회, 창휘, 창흑, 창흔, 창희, 창힐, 채하, 채혈, 채협, 채홍, 채화, 채활, 채희, 책항, 책혈, 책형, 책화, 책훈, 처헹, 처형, 척하, 척한, 척행, 척형, 척호, 척홍, 척화, 척확, 척후, 천하, 천학, 천한, 천해, 천행, 천향, 천허, 천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