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61

  • 魚頭一味 획순 魚頭一味(어두일미) : 물고기는 머리 이 그중 맛이 있다는 말.
    魚: 고기 頭: 머리 一: 味:

  • 望雲 획순 望雲(망운) : 객지에서 고향에 계신 어버이를 생각함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적인걸(狄仁傑)이 타향에서 부모가 계신 의 구름을 바라보고 어버이를 그리워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望: 바랄 雲: 구름

  • 兩相和賣 획순 兩相和賣(양상화매) : 파는 과 사는 이 서로 잘 의논하여서 물건을 팔고 삼.
    相: 서로 和: 고를 賣:

  • 阿偏 획순 阿偏(아편) : 아첨하여 한으로 치우침.
    阿: 언덕 偏: 치우칠

  • 不偏不黨 획순 不偏不黨(불편부당) : 아주 공평하여 어느 으로도 치우침이 없음.
    不: 아니 偏: 치우칠 不: 아닌가 黨: 무리

  • 男左女右(남좌여우) : 음양설(陰陽說)에서, 왼은 양이고 오른은 음이라 하여 남자는 왼이 소중하고 여자는 오른이 소중함을 이르는 말. 맥, 손금, 자리 따위를 볼 때 여자는 오른을, 남자는 왼을 취한다.
    男: 사내 左: 女: 右: 오른쪽

  • 無偏無黨(무편무당) : ‘무편무당하다’의 어근.
    無: 없을 偏: 치우칠 無: 없을 黨: 무리

  • 胡馬依北風(호마의북풍) : 호(胡)나라의 말은 호나라 에서 불어오는 북풍이 불 때마다 고향을 그리워한다는 뜻으로, 고향을 몹시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胡: 오랑캐 馬: 依: 의지할 北: 북녘 風: 바람

  • 左脯右醯(좌포우혜) : 제사상을 차릴 때에 육포는 왼에, 식혜는 오른에 놓는 일.
    左: 脯: 右: 오른쪽 醯:

  • 文質彬彬(문질빈빈) : (1)겉모양의 아름다움과 속내가 서로 잘 어울림. (2)공자가 문학의 내용과 형식의 관련성에 대해 논의한 주장. 꾸밈과 바탕이 어느 한에 치우치지 않고 조화를 이루어야 군자라고 주장한 것으로, ≪논어≫의 <옹야(雍也)>에 나온다.
    文: 글월 質: 바탕 彬: 빛날 彬: 빛날

  • 半面美人(반면미인) : 측면에서 얼굴의 한 면만을 그린 미인의 그림.
    半: 面: 美: 아름다울 人: 사람

  • 首鼠兩端(수서양단) : 구멍에서 머리를 내밀고 나갈까 말까 망설이는 쥐라는 뜻으로, 머뭇거리며 진퇴나 거취를 정하지 못하는 상태를 이르는 말.
    首: 머리 鼠: 端: 바를

  • 前後左右(전후좌우) : 앞과 뒤, 왼과 오른. 곧, 사방(四方)을 이른다.
    前: 後: 左: 右: 오른쪽

  • 半上半下(반상반하) : 태도나 성질이 모호하여 위나 아래 어느 에도 붙지 아니함.
    半: 上: 半: 下: 아래

  • 魚頭鳳尾(어두봉미) : 물고기는 머리 이 맛이 있고 짐승 고기는 꼬리 이 맛이 있다는 말.
    魚: 고기 頭: 머리 鳳: 봉새 尾: 꼬리

  • 左思右考(좌사우고) : 이리저리 생각하고 헤아림.
    左: 思: 생각할 右: 오른쪽 考: 상고할

  • 罪疑惟輕(죄의유경) : 죄가 의심스러우면 가벼움을 도모한다는 뜻으로, 죄상이 확실하지 못하여 벌의 경중을 판단하기 얼울 때는 가벼운 을 따른다는 의미.
    罪: 허물 疑: 의심할 惟: 생각할 輕: 가벼울

  • 事大主義(사대주의) : 주체성이 없이 세력이 강한 나라나 사람을 받들어 섬기는 태도.
    事: 大: 主: 주인 義: 옳을

  • 單文孤證(단문고증) : 한 의 문서ㆍ한 개의 증거라는 뜻으로, 불충분한 증거를 이르는 말.
    單: 文: 글월 孤: 외로울 證: 증거

  • 兩便公事(량편공사) : (1)서로 상대가 되는 두 의 이야기를 듣고 공평하게 시비를 판단하는 일. (2)‘양편공사’의 북한어.
    便: 편할 公: 공변될 事:

  • 脣齒輔車(순치보거) : 입술과 이 중에서 또는 수레의 덧방나무와 바퀴 중에서 어느 한만 없어도 안 된다는 뜻으로, 서로 없어서는 안 될 깊은 관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脣: 입술 齒: 輔: 도울 車: 수레

  • 半壁江山(반벽강산) : (1)절벽에 둘러싸인 산수. (2)한 구석에 치우쳐 있는 외진 고장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半: 壁: 江: 山:

  • 有耶無耶(유야무야) : 있는 듯 없는 듯 흐지부지함.
    有: 있을 耶: 어조사 無: 없을 耶: 어조사

  • 同一轍(동일철) : 똑같은 수레바퀴의 자취라는 뜻으로, 사물의 똑같은 경과를 이르는 말. 특히 나쁜 으로 이르는 경로를 이른다.
    同: 한가지 一: 轍: 바퀴 자국

  • 左之右之(좌지우지) : 이리저리 제 마음대로 휘두르거나 다룸.
    左: 之: 右: 오른쪽 之:

  • 瞎虎(할호) : 한 눈이 먼 호랑이라는 뜻으로, 잔인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瞎: 애꾸눈 虎:

  • 片言折獄(편언절옥) : 한마디 말로 송사의 시비를 가림.
    片: 조각 言: 말씀 折: 꺾을 獄:

  • 知一不知二(지일부지이) : 하나만 알고 둘을 모른다는 뜻으로, 한은 알면서 다른 한은 모르는 것처럼 식견이 좁음을 이르는 말.
    知: 一: 不: 아닌가 知: 二:

  • 公平無私(공평무사) : 개인의 감정에 따라 어느 으로 치우지지 않고 모든 사람에게 고름.
    公: 공변될 平: 평평할 無: 없을 私: 사사

  • 膏肓之疾(고황지질) : (1)고황에 들어 고치기 어려운 병. (2)고치기 어렵게 된 버릇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膏: 기름 肓: 명치끝 之: 疾:

  • 家狗向裏吠(가구향리폐) : 집에서 기르는 개가 집 안 을 향(向)해 짖는다는 뜻으로, 은혜(恩惠)를 원수(怨讐)로 갚음을 이르는 말.
    家: 狗: 向: 향할 裏: 吠: 짖을

  • 庶幾中庸(서기중용) : 어떠한 일도 한으로 기울어지게 일하면 안 됨.
    庶: 幾: 기미 中: 가운데 庸:

  • 如失一臂(여실일비) : 한 팔을 잃은 것과 같다는 뜻으로, 가장 믿고 힘이 되는 사람을 잃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如: 같을 失: 잃을 一: 臂:

  • 從善如流(종선여류) : 선을 따르면 모든 것이 물과 같이 흐른다는 뜻으로, 정도를 지켜야 무난히 성공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從: 좇을 善: 착할 如: 같을 流: 흐를

  • 八面玲瓏(팔면영롱) : (1)‘팔면영롱’의 북한어. (2)‘팔면영롱’의 북한어. (3)어느 면으로 보나 아름답게 빛나고 환하게 맑음. (4)마음에 아무런 거리낌이나 우울함이 없음.
    八: 여덟 面: 瓏: 옥 소리

  • 結髮夫妻(결발부처) : 귀밑머리를 풀어 을 찌고 상투를 튼 부부(夫婦)라는 뜻으로, 정식(正式)으로 결혼(結婚)한 부부(夫婦)를 이르는 말.
    結: 맺을 髮: 터럭 夫: 지아비 妻: 아내

  • 首尾相應(수미상응) : (1)서로 응하여 도와줌. (2)양 끝이 서로 통함.
    首: 머리 尾: 꼬리 相: 서로 應: 응할

  • 半身不遂(반신불수) : 반신불수(半身不隨). (1) 몸의 좌우(左右) 어느 한을 마음대로 잘 쓰지 못함 (2) 또는 그런 사람.
    半: 身: 不: 아니 遂: 드디어

  • 四面楚歌(사면초가) : 아무에게도 도움을 받지 못하는, 외롭고 곤란한 지경에 빠진 형편을 이르는 말. 초나라 항우가 사면을 둘러싼 한나라 군사 에서 들려오는 초나라의 노랫소리를 듣고 초나라 군사가 이미 항복한 줄 알고 놀랐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기≫의 <항우본기(項羽本紀)>에 나오는 말이다.
    四: 面: 楚: 모형 歌: 노래

  • 出藍(출람) : 에서 뽑아낸 푸른 물감이 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나 후배가 스승이나 선배보다 나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出: 藍:

  • 首邱初心(수구초심) : 언덕에 머리를 향한 처음 마음이라는 뜻으로, 여우가 죽을 때 머리를 본디 살던 언덕 으로 두고 죽는다는 데서 근본을 잊지 않거나 고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의 의미.
    首: 머리 邱: 땅 이름 初: 처음 心: 마음

  • 匹上不足(필상부족) : 위로 짝하려니 부족하다는 뜻으로, 위로 짝하려니 모자라고 아래로 짝하려니 남아서[匹下有餘(필하유여)] 어느 에도 치우치지 않는 원만함을 유지한다는 의미.
    匹: 上: 不: 아닌가 足:

  • 左袒(좌단) : 왼 소매를 벗는다는 뜻으로, 남을 편들어 동의함을 이르는 말. 중국 전한(前漢) 때에, 여후(呂后)가 반란을 꾀할 때 공신 주발(周勃)이 군중(軍中)에서, 여후를 돕고자 하는 자는 오른 소매를 벗고 한나라 왕실을 돕고자 하는 자는 왼 소매를 벗으라고 명하자 모두 왼 소매를 벗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기≫의 <여후본기(呂后本紀)>에 나오는 말이다.
    左: 袒: 웃통 벗을

  • 魚頭肉尾(어두육미) : 물고기는 머리 이 맛이 있고 짐승 고기는 꼬리 이 맛이 있다는 말.
    魚: 고기 頭: 머리 肉: 고기 尾: 꼬리

  • 中庸之道(중용지도) : 어느 한에 치우치지 아니하고 평범함 속에서 찾는 진실한 도리.
    中: 가운데 庸: 之: 道:

  • 看雲步月(간운보월) : 구름을 바라보거나 달빛 아래 거닌다는 뜻으로, 객지에서 집을 생각함을 이르는 말.
    看: 雲: 구름 步: 걸을 月:

  • 脣亡齒寒(순망치한) : 입술이 없으면 이가 시리다는 뜻으로, 서로 이해관계가 밀접한 사이에 어느 한이 망하면 다른 한도 그 영향을 받아 온전하기 어려움을 이르는 말.
    脣: 입술 亡: 잃을 齒: 寒:

  • 左顧右眄(좌고우면) : 이을 돌아본다는 뜻으로, 앞뒤를 재고 망설임을 이르는 말.
    左: 顧: 돌아볼 右: 오른쪽 眄: 애꾸눈

  • 陟岵陟屺(척호척기) : 타향(他鄕)에 있는 자식(子息)이 고향(故鄕)의 부모(父母)를 그리워하여 자주 산에 올라가 고향(故鄕) 을 바라봄.
    陟: 오를 岵: 陟: 오를 屺: 민둥산

  • 何厚何薄(하후하박) : 누구에게는 후하고 누구에게는 박하다는 뜻으로, 차별하여 대우함을 이르는 말.
    何: 어찌 厚: 두터울 何: 어찌 薄: 엷을

  • 走馬燈(주마등) : (1)등(燈)의 하나. 등 한가운데에 가는 대오리를 세우고 대 끝에 두꺼운 종이로 만든 바퀴를 붙이고 종이로 만든 네 개의 말 형상을 달아서 촛불로 데워진 공기의 힘으로 종이 바퀴에 의하여 돌게 되어 있다. (2)무엇이 언뜻언뜻 빨리 지나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走: 달릴 馬: 燈: 등불

  • 楚歌(초가) : 아무에게도 도움을 받지 못하는, 외롭고 곤란한 지경에 빠진 형편을 이르는 말. 초나라 항우가 사면을 둘러싼 한나라 군사 에서 들려오는 초나라의 노랫소리를 듣고 초나라 군사가 이미 항복한 줄 알고 놀랐다는 데서 유래한다. ≪사기≫의 <항우본기(項羽本紀)>에 나오는 말이다.
    楚: 모형 歌: 노래

  • 左衝右突(좌충우돌) : (1)이리저리 마구 찌르고 부딪침. (2)아무에게나 또는 아무 일에나 함부로 맞닥뜨림.
    左: 衝: 찌를 右: 오른쪽 突: 갑자기

  • 靑出於藍而靑於藍(청출어람이청어람) : 푸른 색이 에서 나왔으나 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弟子)가 스승보다 나은 것을 비유(比喩)하는 말.
    靑: 푸를 出: 於: 어조사 藍: 而: 말 이을 靑: 푸를 於: 어조사 藍:

  • 兩雄不俱立(양웅불구립) : 두 영웅(英雄)은 함께 설 수 없다는 뜻으로, 두 영웅은 함께 공존할 수 없고 싸워서 어느 한 이 반드시 패하게 된다는 의미.
    雄: 수컷 不: 아니 俱: 함께 立:

  • 性猶湍水(성유단수) : 성품은 여울물 같다는 뜻으로, 세차게 흐르는 여울의 물이 동서 어느 으로도 흐를 수 있듯이, 사람의 본성은 차하게도 되고 악하게도 됨을 이르는 말.
    性: 성품 猶: 오히려 湍: 여울 水:

  • 走逐一般(주축일반) : 달아나는 것이나 뒤쫓아 가는 것이나 다 같은 것이라는 뜻으로, 다 같이 옳지 않은 일을 한 바에는 나무라는 이나 나무람을 받는 이나 마찬가지임을 이르는 말.
    走: 달릴 逐: 쫓을 一: 般:

  • 蕩蕩平平(탕탕평평) : 싸움, 시비, 논쟁 따위에서 어느 에도 치우침이 없이 공평함.
    蕩: 쓸어없앨 蕩: 쓸어없앨 平: 평평할 平: 평평할

  • 我心如秤(아심여칭) : 내 마음이 저울과 같다는 뜻으로, 어느 한에 치우침이 없이 공평한 마음과 자세를 갖고 있음을 이르는 말.
    我: 心: 마음 如: 같을 秤: 저울

  • 反面敎師(반면교사) : (1)사람이나 사물 따위의 부정적인 면에서 얻는 깨달음이나 가르침을 주는 대상을 이르는 말. (2)극히 나쁜 면만을 가르쳐 주는 선생이란 뜻으로, 중국에서 제국주의자ㆍ반동파ㆍ수정주의자를 이르는 말.
    反: 돌이킬 面: 敎: 가르칠 師: 스승

  • 靑出於藍(청출어람) : 에서 뽑아낸 푸른 물감이 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나 후배가 스승이나 선배보다 나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순자(荀子)≫의 <권학편(勸學篇)>에 나오는 말이다.
    靑: 푸를 出: 於: 어조사 藍:

#중국 253 #구름 67 #목숨 58 #백성 105 #관계 90 #노력 69 #자연 73 #지위 65 #동안 70 #군자 56 #잘못 93 #하늘 251 #예전 60 #천하 94 #마음 496 #고사 108 #자리 94 #의지 69 #문장 59 #여자 101 #이치 67 #유래 280 #형용 67 #가운데 104 #재능 61 #무리 64 #훌륭 85 #물건 136 #신하 62 #사이 200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44개) : 짜, 짝, 짠, 짤, 짬, 짱, 째, 짹, 쨈, 쨉, 쨍, 쩌, 쩍, 쩐, 쩝, 쩟, 쩡, 쩨, 쪼, 쪽, 쫄, 쫌, 쫑, 쫙, 쫠, 쫵, 쬠, 쭈, 쭉, 쭐, 쭝, 쮕, 쯔, 쯤, 쯧, 쯩, 찌, 찍, 찐, 찔, 찜, 찝, 찡, 찦