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에 관한 한자 모두 45

  • 無爲之治 획순 無爲之治(무위지치) : 성인의 덕이 지극히 커서 아무 일을 하지 않아도 천하가 저절로 잘 다스려짐.
    無: 없을 爲: 之: 治: 다스릴

  • 若烹小鮮 획순 若烹小鮮(약팽소선) : 치대국약팽소선(治大國若烹小鮮)의 준말. 큰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작은 생선을 삶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무엇이든 가만히 두면서 지켜보는 것이 가장 좋은 정치란 뜻.
    若: 같을 烹: 삶을 小: 작을 鮮: 고울

  • 苛政猛於虎 획순 苛政猛於虎(가정맹어호) :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다는 뜻으로, 몹시 모질고 독한 정치의 폐가 큼을 이르는 말. ≪예기≫의 〈단궁편(檀弓篇)〉에 나오는 말이다.
    苛: 매울 政: 정사 猛: 사나울 於: 어조사 虎:

  • 與民同樂 획순 與民同樂(여민동락) : 임금이 백성과 함께 즐김.
    與: 民: 백성 同: 한가지 樂: 즐거울

  • 利國便民 획순 利國便民(리국편민) : (1)나라를 이롭게 하고 백성을 편안하게 함. (2)‘이국편민’의 북한어.
    國: 나라 便: 편할 民: 백성

  • 庶政刷新(서정쇄신) : 여러 방면에서 정치 폐단을 고쳐 새롭게 함.
    庶: 政: 정사 刷: 인쇄할 新:

  • 海不揚波(해불양파) : 바다에 파도가 일지 않는다는 뜻으로, 임금의 선정(善政)으로 백성이 편안함을 이르는 말.
    海: 바다 不: 아니 揚: 오를 波: 물결

  • 蒲鞭之罰(포편지벌) : 부들 채찍의 형벌이라는 뜻으로, 겉으로는 형벌을 내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제제가 거의 없는 솜방망이 처벌을 이르는 말. 곧 지나치게 관후(寬厚)한 정치를 이름.
    蒲: 부들 鞭: 채찍 之: 罰:

  • 塗炭之苦(도탄지고) : 진구렁에 빠지고 숯불에 타는 괴로움을 이르는 말. ≪서경≫의 <중훼지고편(仲虺之誥篇)>에 나오는 말이다.
    塗: 진흙 炭: 之: 苦:

  • 天下泰平(천하태평) : (1)정치가 잘되어 온 세상이 평화로움. (2)어떤 일에 무관심한 상태로 걱정 없이 편안하게 있는 태도를 가벼운 놀림조로 이르는 말.
    天: 하늘 下: 아래 泰: 平: 평평할

  • 政如蒲蘆(정여포로) : 부들과 갈대가 빨리 자라듯이, 정치(政治)의 효력(效力)이 빨리 나타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政: 정사 如: 같을 蒲: 부들 蘆: 갈대

  • 政如魯衛(정여노위) : 두 나라의 정치가 서로 비슷함을 이르는 말. 중국 노나라의 시조 주공(周公)과 위나라의 시조 강숙(康叔)이 형제인 데에서 온 말이다.
    政: 정사 如: 같을 衛: 지킬

  • 結繩之政(결승지정) : 고대 중국의 정치를 이르는 말. 문자가 없던 때이므로 새끼로 매듭을 지어 일의 대소(大小)를 표시한 데서 유래한다.
    結: 맺을 繩: 노끈 之: 政: 정사

  • 黃金時代(황금시대) : (1)사회의 진보가 최고조에 이르러 행복과 평화가 가득 찬 시대. 그리스 사람이 인류의 역사를 금, 은, 청동, 철의 네 시대로 나눈 가운데서 첫째의 시대를 이르는 말이다. (2)일생에서 가장 번영한 시기. (3)러시아의 작곡가 쇼스타코비치의 작품. 발레 대본 공모에 당선된 이바노브스키(Ivanovsky, A.)의 <황금시대>의 3막 6장의 발레 음악이다. 초연은 1930년 키로프 극장에서 이루어졌다. (4)16세기 초부터 17세기 말까지 이어진 에스파냐 문학의 전성기. 에스파냐의 국토 회복과 정치적 통일이 이룩되고 신대륙의 발견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한 것이 그 배경이 되었다. 에스파냐 문학사에서 가장 찬란한 시기로 손꼽힌다.
    黃: 누를 金: 時: 代: 대신

  • 率獸食人(솔수식인) : 짐승을 거느리고 와서 사람을 잡아먹게 한다는 뜻으로, 위정자가 폭정으로 백성을 고통스럽게 함을 이르는 말.
    率: 거느릴 獸: 짐승 食: 人: 사람

  • 浦鞭之罰(포편지벌) : 부들 채찍의 벌(罰)이라는 뜻으로, 형식(形式)만 있고 실지(實地)는 없어 욕만 보이자는 벌(罰), 곧 너그러운 정치(政治)를 이르는 말.
    浦: 鞭: 채찍 之: 罰:

  • 灰色分子(회색분자) : 소속, 정치적 노선, 사상적 경향 따위가 뚜렷하지 아니한 사람.
    灰: 色: 分: 나눌 子: 아들

  • 多士濟濟(다사제제) : 여러 선비가 모두 뛰어남을 이르는 말.
    多: 많을 士: 선비 濟: 건널 濟: 건널

  • 弊絶風淸(폐절풍청) : 폐단이 없어지고 풍습이 맑아진다는 뜻으로, 나라가 잘 다스려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弊: 해어질 絶: 끊을 風: 바람 淸: 맑을

  • 王道政治(왕도정치) : 왕의 도리를 다하는 정치라는 뜻으로, 인덕(人德)에 바탕을 둔 정치를 행하는 것을 의미함. 유가(儒家)의 맹자(孟子)에 의해 가치를 확립함. <孟子>.
    王: 임금 道: 政: 정사 治: 다스릴

  • 治本於農(치본어농) : 다스리는 것은 농사(農事)를 근본(根本)으로 하니, 중농(重農) 정치(政治)를 이름.
    治: 다스릴 本: 於: 어조사 農: 농사

  • 不忍之心(불인지심) : 차마 하지 못하는 마음.
    不: 아니 忍: 참을 之: 心: 마음

  • 郅隆之治(질륭지치) : 잘 다스린 정치. 또는 잘 다스려진 세상.
    郅: 고을 이름 隆: 之: 治: 다스릴

  • 治大國若烹小鮮(치대국약팽소선) : 약팽소선(若烹小鮮). 큰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작은 생선을 삶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무엇이든 가만히 두면서 지켜보는 것이 가장 좋은 정치란 뜻.
    治: 다스릴 大: 國: 나라 若: 같을 烹: 삶을 小: 작을 鮮: 고울

  • 蒲鞭之政(포편지정) : 관대(寬大)한 정치(政治).
    蒲: 부들 鞭: 채찍 之: 政: 정사

  • 政出多門(정출다문) : 정사(政事)가 나오는 문이 많다는 뜻으로, 문외한으로서 정치에 대하여 아는 체하는 사람이 많음을 이르는 말.
    政: 정사 出: 多: 많을 門:

  • 堯舜時代(요순시대) : 요임금과 순임금이 덕으로 천하를 다스리던 태평한 시대. 치세(治世)의 모범으로 삼는다.
    堯: 요임금 舜: 순임금 時: 代: 대신

  • 攬轡澄淸(남비징청) : 말의 고삐를 잡아 천하를 맑게 한다는 뜻으로, 관리가 되어 어지러운 정치를 새롭게 바로잡아 보겠다는 큰 뜻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轡: 고삐 澄: 맑을 淸: 맑을

  • 華胥之夢(화서지몽) : 낮잠 또는 좋은 꿈을 이르는 말. ≪열자≫의 <황제편(黃帝篇)>에 나오는 말로, 고대 중국의 황제가 낮잠을 자다 꿈을 꾸었는데 화서라는 나라에 가서 그 나라의 어진 정치를 보고 깨어나 깊이 깨달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華: 빛날 胥: 서로 之: 夢:

  • 堯鼓舜木(요고순목) : 요임금의 북과 순임금의 나무라는 뜻으로, 요임금이 성문에 북을 매달아 간할 사람은 북을 처서 알리게 하고, 순임금은 잠목(箴木)을 세워놓고 경계할 말을 쓰게 한 고사에서 성군(聖君)의 바른 정치의 전형으로 표현됨.
    堯: 요임금 鼓: 舜: 순임금 木: 나무

  • 賞一人而天下譽之(상일인이천하예지) : 한 사람에게 상을 주면 천하(天下)가 기린다는 뜻으로, 군주(君主)가 정치(政治)를 베풀어 선인을 한 사람 표창(表彰)하면 천하(天下)의 백성(百姓)은 그 정사(政事)의 공평(公平)함을 칭송(稱頌)한다는 말.
    賞: 상줄 一: 人: 사람 而: 말 이을 天: 하늘 下: 아래 譽: 기릴 之:

  • 西勢東漸(서세동점) : 서양 세력이 동양의 세력 범위에 점차 침투하여 정치ㆍ경제ㆍ문화 따위의 여러 부문을 지배함. 또는 그러한 시대적 흐름이나 경향.
    西: 서녘 勢: 기세 東: 동녘 漸: 점점

  • 弘益人間(홍익인간) : 널리 인간을 이롭게 함. 단군의 건국 이념으로서 우리나라 정치, 교육, 문화의 최고 이념이다. ≪삼국유사≫ 고조선 건국 신화에 나온다.
    弘: 益: 더할 人: 사람 間:

  • 坑儒焚書(갱유분서) : 중국 진(秦)나라의 시황제가 학자들의 정치적 비판을 막기 위하여 민간의 책 가운데 의약(醫藥), 복서(卜筮), 농업에 관한 것만을 제외하고 모든 서적을 불태우고 수많은 유생을 구덩이에 묻어 죽인 일.
    坑: 구덩이 儒: 선비 焚: 불사를 書:

  • 出將入相(출장입상) : 나가서는 장수가 되고 들어와서는 재상이 된다는 뜻으로, 문무를 다 갖추어 장상(將相)의 벼슬을 모두 지냄을 이르는 말.
    出: 將: 장수 入: 相: 서로

  • 百家爭鳴(백가쟁명) : (1)많은 학자나 문화인 등이 자기의 학설이나 주장을 자유롭게 발표하여, 논쟁하고 토론하는 일. (2)1956년에 중국 공산당이 정치 투쟁을 위하여 내세운 슬로건. 마르크스주의는 다른 사상과 경쟁하면서 지도적 위치를 차지하여야 하며, 처음부터 절대적 유일사상은 없다고 주장하였다. 문화 혁명 기간 중에는 이 운동이 사라졌다가, 1976년에 문화 혁명 세력을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 문예ㆍ학술 분야에서 장려되기도 했다.
    百: 일백 家: 爭: 다툴 鳴:

  • 擊壤歌(격양가) : 풍년이 들어 농부가 태평한 세월을 즐기는 노래. 중국의 요임금 때에, 태평한 생활을 즐거워하여 불렀다고 한다.
    擊: 壤: 歌: 노래

  • 易姓革命(역성혁명) : (1)왕조가 바뀌는 일. (2)중국에 있었던 유교 정치사상의 기본 관념의 하나. 제왕이 부덕하여 민심을 잃으면, 덕이 있는 다른 사람이 천명을 받아 왕조를 바꾸고 새로운 왕조를 세워도 좋다고 하는 사상이다.
    易: 바꿀 姓: 革: 가죽 命: 목숨

  • 廓揮乾斷(확휘건단) : 과단성 있게 다스림.
    廓: 揮: 휘두를 乾: 마를 斷: 끊을

  • 洪範九疇(홍범구주) : ≪서경≫의 홍범에 기록되어 있는, 우(禹)가 정한 정치 도덕의 아홉 원칙. 오행, 오사, 팔정(八政), 오기, 황극, 삼덕, 계의, 서징(庶徵) 및 오복과 육극이다.
    洪: 넓을 範: 九: 아홉 疇: 두둑

  • 百里之命(백리지명) : 백 리는 중국 주(周)나라 때 제후가 다스렸던 나라의 면적을, 명은 백성의 운명을 뜻하는 것으로, 한 나라의 정치를 이르는 말.
    百: 일백 里: 마을 之: 命: 목숨

  • 誹謗之木(비방지목) : 고대 중국에서 요임금이 자신의 정치에 대해 잘못된 점이나 불만을 가지게 된 점을 써 붙이도록 궁궐 다리에 세웠던 기둥을 이르는 말.
    誹: 헐뜯을 謗: 헐뜯을 之: 木: 나무

  • 和羹鹽梅(화갱염매) : 소금과 식초로 양념한 국이라는 뜻으로, 소금과 식초를 가감하여 국맛을 고르게 맞춘 것처럼 나라의 정치를 맡아 보는 재상(宰相)을 이르는 말. [= 和羹].
    和: 고를 羹: 鹽: 소금 梅: 매화나무

  • 焚書坑儒(분서갱유) : 중국 진(秦)나라의 시황제가 학자들의 정치적 비판을 막기 위하여 민간의 책 가운데 의약(醫藥), 복서(卜筮), 농업에 관한 것만을 제외하고 모든 서적을 불태우고 수많은 유생을 구덩이에 묻어 죽인 일.
    焚: 불사를 書: 坑: 구덩이 儒: 선비

  • 鼻下政事(비하정사) : 코밑에 닥친 일만 그때그때 처리하는 정사라는 뜻으로, 겨우 먹고 살아가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鼻: 下: 아래 政: 정사

#사물 172 #자식 104 #예전 60 #지위 65 #나라 392 #어려움 105 #잘못 93 #바람 136 #아래 86 #죽음 73 #아내 81 #실패 56 #가운데 104 #형제 68 #생각 236 #상황 119 #경계 56 #의미 1817 #임금 189 #하늘 251 #관계 90 #고사 108 #머리 141 #집안 93 #어버이 60 #구름 67 #인간 65 #나무 166 #표현 88 #싸움 61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588개) : 자차, 자착, 자찬, 자창, 자채, 자책, 자챔, 자처, 자천, 자철, 자청, 자체, 자초, 자촉, 자총, 자최, 자추, 자축, 자춤, 자충, 자췌, 자취, 자치, 자친, 자침, 자칫, 자칭, 작참, 작창, 작처, 작척, 작철, 작첩, 작청, 작추, 작축, 작춘, 작취, 작칭, 잔차, 잔채, 잔처, 잔척, 잔천, 잔철, 잔체, 잔초, 잔촉, 잔추, 잔춘, 잔치, 잘착, 잘참, 잘처, 잠차, 잠착, 잠찬, 잠찰, 잠채, 잠청, 잠체, 잠축, 잠충, 잠치, 잠칭, 잡착, 잡찬, 잡찰, 잡채, 잡책, 잡처, 잡척, 잡철, 잡체, 잡초, 잡총, 잡축, 잡춤, 잡칙, 장차, 장착, 장찬, 장찰, 장참, 장창, 장채, 장책, 장처, 장척, 장천, 장철, 장첩, 장청, 장체, 장초, 장촉, 장총, 장축, 장춘, 장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