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익 에 관한 한자 모두 89

  • 借風使船 획순 借風使船(차풍사선) : 바람을 빌려 배를 부린다는 뜻으로, 돈을 빌려 임시변통한다는 의미를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
    借: 風: 바람 使: 부릴 船:

  • 私利私腹 획순 私利私腹(사리사복) : 사사로운 이익과 욕심.
    私: 사사 利: 날카로울 私: 사사 腹:

  • 短池孤草長通市求利來 획순 短池孤草長通市求利來(단지고초장통시구리래) : 짧은 연못엔 외로운 풀만 길어나고, 시장(市場)을 통(通)하니 이익(利益)을 구(求)하여 옴.
    短: 짧을 池: 孤: 외로울 草: 長: 通: 통할 市: 저자 求: 구할 利: 날카로울 來:

  • 不費之惠 획순 不費之惠(불비지혜) : 자기에게는 해가 될 것이 없어도 남에게는 이익이 될 만하게 베풀어 주는 은혜.
    不: 아니 費: 之: 惠: 은혜

  • 尺寸之利 획순 尺寸之利(척촌지리) : 얼마 되지 않는 약간의 이익.
    尺: 寸: 마디 之: 利: 날카로울

  • 濟度利生(제도이생) : 중생을 제도하여 이익을 줌.
    濟: 건널 度: 법도 生:

  • 蚌鷸之勢(방휼지세) : 도요새가 조개를 쪼아 먹으려고 부리를 넣는 순간 조개가 껍데기를 닫고 놓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대립하는 두 세력이 잔뜩 버티고 맞서 겨루면서 조금도 양보하지 아니하는 형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蚌: 방합 鷸: 도요새 之: 勢: 기세

  • 得斧失斧(득부실부) : 얻은 도끼나 잃은 도끼나 마찬가지라는 뜻으로, 얻고 잃은 것이 같아서 이익도 손해도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得: 얻을 斧: 도끼 失: 잃을 斧: 도끼

  • 蟹網具失(해망구실) : 게도 그물도 다 잃었다는 뜻으로, 이익(利益)을 보려다 도리어 밑천까지 잃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蟹: 網: 그물 具: 갖출 失: 잃을

  • 先公後私(선공후사) : 공적인 일을 먼저 하고 사사로운 일은 뒤로 미룸.
    先: 먼저 公: 공변될 後: 私: 사사

  • 見利忘義(견리망의) : 눈앞의 이익을 보면 의리를 잊음.
    見: 利: 날카로울 忘: 잊을 義: 옳을

  • 背任受賂(배임수뢰) : 본분의 임무(任務)를 어기고 부정(不正)한 청탁(請託)을 받으며 뇌물(賂物)을 받아 재산(財産) 상(上)의 이익(利益)을 취득(取得)하는 죄(罪).
    背: 任: 맡길 受: 받을 賂: 뇌물줄

  • 斷機之戒(단기지계) : 학문을 중도에서 그만두면 짜던 베의 날을 끊는 것처럼 아무 쓸모 없음을 경계한 말. ≪후한서≫의 <열녀전(列女傳)>에 나오는 것으로, 맹자가 수학(修學) 도중에 집에 돌아오자, 그의 어머니가 짜던 베를 끊어 그를 훈계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斷: 끊을 機: 베틀 之: 戒: 경계할

  • 患得患失(환득환실) : 물건이나 지위 따위를 얻기 전에는 그것을 얻으려고 걱정하고, 얻은 후에는 그것을 잃지 아니하려고 근심함.
    患: 근심 得: 얻을 患: 근심 失: 잃을

  • 一樹百穫(일수백확) : 나무 한 그루를 심어서 백 가지의 이익을 본다는 뜻으로, 유능한 인재 하나를 길러 여러 가지 효과를 얻음을 이르는 말.
    一: 樹: 나무 百: 일백 穫: 거둘

  • 隴斷(농단) : 농단(壟斷). (1) 깎아 세운 듯이 높이 솟은 언덕 (2) (옛날 어떤 사람이 높은 곳에 올라가 시장(市場)을 살펴보고 자기(自己) 물건(物件)을 팔기에 적당(適當)한 곳으로 가서, 시리(市利)를 독점(獨占)했다는 옛일에서)이익(利益)을 독점(獨占)함.
    斷: 끊을

  • 長立待命(장립대명) : 오래 서서 명령을 기다린다는 뜻으로, 권문세가(權門勢家)에 드나들며 이익을 얻고자하는 사람을 조롱하여 이르는 말.
    長: 立: 待: 기다릴 命: 목숨

  • 言之無益(언지무익) : 말해 보아야 소용이 없음.
    言: 말씀 之: 無: 없을 益: 더할

  • 氾愛兼利(범애겸리) : 두루 사랑하고 이익을 겸한다는 뜻으로, 모든 사람을 골고루 사랑하고 이익을 같이 하는 일을 의미. 묵자(墨子)가 제창한 사상임. [汎愛(범애), 博愛(박애)로도 표현함].
    氾: 넘칠 愛: 사랑 兼: 겸할 利: 날카로울

  • 蝙蝠之役(편복지역) : 자기 이익만을 위하여 이리 붙고 저리 붙고 하는 줏대 없는 행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蝙: 박쥐 蝠: 박쥐 之: 役: 부릴

  • 薄利多賣(박리다매) : 이익을 적게 보고 많이 파는 것.
    薄: 엷을 利: 날카로울 多: 많을 賣:

  • 福德圓滿(복덕원만) : 복과 덕, 즉 행복(幸福)과 이익(利益)이 넘쳐흐를 정도(程度)로 가득함.
    福: 德: 圓: 둥글 滿:

  • 仁言利博(인언이박) : 어진 말은 이로움이 넓다는 뜻으로, 인덕(仁德)이 있는 사람의 말은 널리 대중에게까지 이익을 미친다는 의미.
    仁: 어질 言: 말씀 博: 넓을

  • 螳螂在後(당랑재후) : 눈앞의 이익에만 정신이 팔려 뒤에 닥친 위험을 깨닫지 못함을 이르는 말.
    螳: 버마재비 螂: 버마재비 在: 있을 後:

  • 肥己之慾(비기지욕) : 자기 몸만 이롭게 하려는 욕심.
    肥: 살찔 己: 之: 慾: 욕심

  • 爭魚者濡(쟁어자유) : 고기를 잡으려는 사람은 물에 젖는다는 뜻으로, 이익(利益)을 얻으려고 다투는 사람은 언제나 고생(苦生)을 면치 못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爭: 다툴 魚: 고기 者: 濡: 젖을

  • 壟斷(롱단) : ‘농단’의 북한어.
    斷: 끊을

  • 臂不外曲(비불외곡) : 팔은 안으로 굽지 밖으로 굽지 않음을 이르는 말.
    臂: 不: 아니 外: 바깥 曲: 굽을

  • 寄與補裨(기여보비) : 이익을 주고 모자라는 것을 보탬.
    寄: 부칠 與: 補: 기울 裨: 도울

  • 一擧兩得(일거양득) : 한 가지 일을 하여 두 가지 이익을 얻음.
    一: 擧: 得: 얻을

  • 勢利之交(세리지교) : 권세와 이익을 얻을 목적으로 맺는 교제.
    勢: 기세 利: 날카로울 之: 交: 사귈

  • 大利所關(대리소관) : 큰 이익(利益)이 되는 바.
    大: 利: 날카로울 所: 關: 빗장

  • 以夷制夷(이이제이) : 오랑캐로 오랑캐를 무찌른다는 뜻으로, 한 세력을 이용하여 다른 세력을 제어함을 이르는 말.
    以: 夷: 오랑캐 制: 마를 夷: 오랑캐

  • 合本取利(합본취리) : 자본을 한데 모아서 이익을 도모함.
    合: 합할 本: 取: 취할 利: 날카로울

  • 漁人之功(어인지공) : 두 사람이 이해관계로 서로 싸우는 사이에 엉뚱한 사람이 애쓰지 않고 가로챈 이익을 이르는 말.
    漁: 고기잡을 人: 사람 之: 功:

  • 錐刀之末(추도지말) : 뾰족한 송곳의 끝이라는 뜻으로, 아주 작은 일을 이르는 말.
    錐: 송곳 刀: 之: 末:

  • 布衣之交(포의지교) : 베옷을 입고 다닐 때의 사귐이라는 뜻으로, 벼슬을 하기 전 선비 시절에 사귐. 또는 그렇게 사귄 벗을 이르는 말.
    布: 衣: 之: 交: 사귈

  • 犧牲羊(희생양) : (1)희생이 되어 제물로 바쳐지는 양. (2)다른 사람의 이익이나 어떤 목적을 위하여 목숨, 재산, 명예, 이익 따위를 빼앗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犧: 희생 牲: 희생 羊:

  • 百害無益(백해무익) : 해롭기만 하고 하나도 이로운 바가 없음.
    百: 일백 害: 해칠 無: 없을 益: 더할

  • 漁人得利(어인득리) : 고기 잡는 사람이 이익(利益)을 얻음을 뜻하는 말로, 쌍방이 다투는 틈을 타서, 제 3자가 애쓰지 않고 이득(利得)을 보는 경우(境遇)를 가리키는 말.
    漁: 고기잡을 人: 사람 得: 얻을 利: 날카로울

  • 貪名愛利(탐명애리) : 명예를 탐내고 이익에 집착하는 일.
    貪: 탐할 名: 이름 愛: 사랑 利: 날카로울

  • 漁人之利(어인지리) : 고기 잡는 사람의 이익(利益)이란 뜻으로, 쌍방이 다투는 틈을 타서, 제 3자가 애쓰지 않고 이득(利得)을 보는 경우(境遇)를 가리키는 말.
    漁: 고기잡을 人: 사람 之: 利: 날카로울

  • 淸談(청담) : (1)명예와 이익을 떠난, 맑고 고상한 이야기. (2)남의 이야기를 높여 이르는 말.
    淸: 맑을 談: 말씀

  • 蚤腸出食(조장출식) : 벼룩의 간을 내어 먹는다는 뜻으로, 극히 적은 이익을 당치않게 갉아먹는다는 의미.
    蚤: 벼룩 腸: 창자 出: 食:

  • 黃雀伺蟬(황작사선) : 참새가 매미를 엿본다는 뜻으로, 자신에게 장차 다가올 위태로운 재난을 인지하지 못하고 눈앞의 이익에만 몰두함을 이르는 말.[= 螳螂窺蟬(당랑규선)].
    黃: 누를 雀: 참새 伺: 엿볼 蟬: 매미

  • 蠅頭微利(승두미리) : 파리 대가리만한 작은 이익이라는 뜻으로, 대수롭지 않은 이익을 이르는 말.
    蠅: 파리 頭: 머리 微: 작을 利: 날카로울

  • 見利思義(견리사의) : 눈앞의 이익을 보면 의리를 먼저 생각함.
    見: 利: 날카로울 思: 생각할 義: 옳을

  • 揠苗(알묘) : 곡식의 싹을 뽑아 올린다는 뜻으로, 성공을 서두르다가 도리어 해를 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揠: 뽑을 苗:

  • 貪小失大(탐소실대) : 작은 이익(利益)을 탐하여 큰 이익(利益)을 잃어버림.
    貪: 탐할 小: 작을 失: 잃을 大:

  • 善巧攝化(선교섭화) : 부처나 보살이 여러 가지 훌륭한 방법으로 중생을 교화하는 일.
    善: 착할 巧: 공교할 攝: 당길 化: 화할

  • 得失相半(득실상반) : 이익과 손해가 서로 엇비슷함.
    得: 얻을 失: 잃을 相: 서로 半:

  • 豐年化子(풍년화자) : 풍년거지라는 뜻으로, ‘化子’는 중국 백화로 ‘거지’의 뜻이기 때문에. 여러 사람이 모두 이익을 볼 때 혼자 빠져 이익을 못 봄을 이르는 우리나라 속담.
    豐: 풍년 年: 化: 화할 子: 아들

  • 毫末之利(호말지리) : 아주 적은 이익.
    毫: 가는 털 末: 之: 利: 날카로울

  • 匪躬之節(비궁지절) : 자기 개인의 이해(利害)를 돌아보지 아니하고 오로지 나라에 충성을 다하는 지조.
    匪: 비적 躬: 之: 節: 마디

  • 先難而後獲(선난이후획) : 어려운 공적(公的)인 일을 먼저하고, 자신(自身)에게 이익(利益)이 되는 사적(私的)인 일은 나중에 함을 이르는 말.
    先: 먼저 難: 어려울 而: 말 이을 後: 獲: 얻을

  • 蟹網俱失(해망구실) : 게와 그물을 모두 잃었다는 뜻으로, 이익을 보려다가 도리어 밑천까지 잃음을 이르는 말.
    蟹: 網: 그물 俱: 함께 失: 잃을

  • 走獐落兎(주장낙토) : 노루를 쫓다가 토끼를 잡는다는 뜻으로, 뜻밖의 이익이나 재물을 얻음을 이르는 말.
    走: 달릴 獐: 노루 兎: 토끼

  • 憑公營私(빙공영사) : 공적인 것을 빙자하여 사적인 이득을 꾀함.
    憑: 기댈 公: 공변될 營: 경영할 私: 사사

  • 借公濟私(차공제사) : 공적인 명의를 빌려서 사사로운 일을 처리한다는 뜻으로, 직권을 남용하거나 공사(公事)를 빙자하여 개인의 이익이나 편의를 도모함을 이르는 말.
    借: 公: 공변될 濟: 건널 私: 사사

  • 貪小利失大利(탐소리실대리) : 작은 이익(利益)을 탐내다가 오히려 큰 이익(利益)을 잃음.
    貪: 탐할 小: 작을 利: 날카로울 失: 잃을 大: 利: 날카로울

  • 漁父之利(어부지리) : 어부의 이익이라는 뜻으로, 둘이 서로 싸움하는 사이에 뜻하지 않은 제삼자가 이익을 차지한다는 의미.
    漁: 고기잡을 父: 아비 之: 利: 날카로울

  • 有害無益(유해무익) : 해롭기만 하고 이로움이 없음.
    有: 있을 害: 해칠 無: 없을 益: 더할

  • 我田引水(아전인수) : 자기 논에 물 대기라는 뜻으로, 자기에게만 이롭게 되도록 생각하거나 행동함을 이르는 말.
    我: 田: 引: 당길 水:

  • 徒勞無益(도로무익) : 헛되이 애만 쓰고 아무런 이로움이 없음.
    徒: 무리 勞: 일할 無: 없을 益: 더할

  • 犬兎之爭(견토지쟁) : 개와 토끼의 다툼이라는 뜻으로, 두 대상이 서로 싸우고 있는 사이에 제삼자가 이득을 보는 상황. ◈ 한자로(韓子廬)라는 빠른 개와 동곽준(東郭逡)이라는 교활한 토끼의 싸움으로 농부가 두 마리를 모두 잡아갔다는 고사.《戰國策》.
    犬: 兎: 토끼 之: 爭: 다툴

  • 塞翁得失(새옹득실) : 한때의 이익이 장차 손해가 될 수도 있고 한때의 화(禍)가 장차 복을 불러올 수도 있음을 이르는 말.
    塞: 변방 翁: 늙은이 得: 얻을 失: 잃을

  • 兩得(양득) : (1)‘양득’의 북한어. (2)장기에서, 자기 말 하나를 죽이고 상대의 말 둘을 잡음. 또는 그런 수. (3)한 가지 일을 하여 두 가지 이익을 얻음.
    得: 얻을

  • 壟斷之術(롱단지술) : (1)이익을 혼자 차지하는 재주. (2)‘농단지술’의 북한어.
    斷: 끊을 之: 術:

  • 漁翁之利(어옹지리) : 고기 잡는 어르신의 이익(利益)이란 뜻으로, 쌍방이 다투는 틈을 타서, 제 3자가 애쓰지 않고 이득(利得)을 보는 경우(境遇)를 가리키는 말.
    漁: 고기잡을 翁: 늙은이 之: 利: 날카로울

  • 私腹(사복) : 개인의 사사로운 이익이나 욕심.
    私: 사사 腹:

  • 豊年花子(풍년화자) : 풍년(豊年) 거지라는 속담(俗談)의 한역으로, 여러 사람이 다 이익(利益)을 볼 때에 혼자 빠져 이익(利益)을 못 봄을 이르는 말.
    豊: 풍년 年: 花: 子: 아들

  • 經世致用(경세치용) : 학문은 세상을 다스리는 데에 실질적인 이익을 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는 유교의 한 주장.
    經: 지날 世: 인간 致: 이룰 用:

  • 擧一反三(거일반삼) : 하나를 들어 셋을 돌이켜 안다는 뜻으로, 한 가지 일을 하여 여러 가지 이익을 얻음을 이르는 말.
    擧: 一: 反: 돌이킬 三:

  • 雲心月性(운심월성) : 구름 같은 마음과 달 같은 성품이라는 뜻으로, 맑고 깨끗하여 욕심이 없음을 이르는 말.
    雲: 구름 心: 마음 月: 性: 성품

  • 拔一(毛利天) : 下不爲也발일모리천하불위야 - 털 하나 뽑는 것 같은 작은 일로써 천하(天下)를 이롭게 할 수 있는 것도 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다만 자기(自己) 이익(利益)에 사로잡혀 타인(他人)의 일은 조금도 생각하지 않음.

  • 慢招損謙受益(만초손겸수익) : 언제나 거만(倨慢)하면 손해(損害)를 보며, 겸손(謙遜)하면 이익(利益)을 본다는 뜻.
    慢: 게으를 招: 부를 損: 謙: 겸손할 受: 받을 益: 더할

  • 益者三樂(익자삼요) : 사람이 좋아하여 유익한 세 가지. ≪논어≫에 있는 말로, 예악(禮樂)을 적당히 좋아하는 것, 사람의 착함을 좋아하는 것, 착한 벗이 많음을 좋아하는 것을 이른다.
    益: 더할 者: 三: 樂: 좋아할

  • 市道之交(시도지교) : 시장과 길거리에서 이루어지는 교제라는 뜻으로, 단지 이익만을 위한 교제를 이르는 말.
    市: 저자 道: 之: 交: 사귈

  • 泥田鬪狗(이전투구) : (1)‘이전투구’의 북한어. (2)진흙탕에서 싸우는 개라는 뜻으로, 강인한 성격의 함경도 사람을 이르는 말. (3)자기의 이익을 위하여 비열하게 다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田: 鬪: 싸움 狗:

  • 私利私慾(사리사욕) : 사사로운 이익과 욕심.
    私: 사사 利: 날카로울 私: 사사 慾: 욕심

  • 螳螂窺蟬(당랑규선) : 눈앞의 이익에만 정신이 팔려 뒤에 닥친 위험을 깨닫지 못함을 이르는 말. 사마귀가 매미를 덮치려고 엿보는 데에만 정신이 팔려 참새가 자신을 엿보고 있음을 몰랐다는 데서 유래한다.
    螳: 버마재비 螂: 버마재비 窺: 엿볼 蟬: 매미

  • 斷機之敎(단기지교) : 짜던 베의 날을 칼로 끊어 버린다는 뜻으로, 학문을 중도에서 그만두면 아무 쓸모가 없음을 이르는 말.
    斷: 끊을 機: 베틀 之: 敎: 가르칠

  • 開卷有益(개권유익) : 책을 펼쳐 놓는 것만으로도 이익이 있다는 뜻으로, 책을 읽는 것을 권장하는 말.
    開: 卷: 有: 있을 益: 더할

  • 漁夫之利(어부지리) : 두 사람이 이해관계로 서로 싸우는 사이에 엉뚱한 사람이 애쓰지 않고 가로챈 이익을 이르는 말. 도요새가 무명조개의 속살을 먹으려고 부리를 조가비 안에 넣는 순간 무명조개가 껍데기를 꼭 다물고 부리를 안 놔주자, 서로 다투는 틈을 타서 어부가 둘 다 잡아 이익을 얻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漁: 고기잡을 夫: 지아비 之: 利: 날카로울

  • 江左七賢(강좌칠현) : 고려 후기에 명예와 이익을 떠나 사귀던 일곱 선비. 이인로, 오세재, 임춘, 조통, 황보항(皇甫抗), 함순(咸淳), 이담지를 중국 진나라 때의 죽림칠현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江: 左: 七: 일곱 賢: 어질

  • 塞翁禍福(새옹화복) : 한때의 이익이 장차 손해가 될 수도 있고 한때의 화(禍)가 장차 복을 불러올 수도 있음을 이르는 말.
    塞: 변방 翁: 늙은이 禍: 재난 福:

  • 奇貨可居(기화가거) : 진기한 물건은 잘 간직하여 나중에 이익을 남기고 판다는 뜻으로, 좋은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함을 이르는 말.
    奇: 기이할 貨: 재화 可: 옳을 居: 있을

  • 朝名市利(조명시리) : 명예는 조정에서 다투고 이익은 시장에서 다투라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 알맞은 곳에서 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朝: 아침 名: 이름 市: 저자 利: 날카로울

  • 大姦似忠(대간사충) : 자신의 이익을 위해 나쁜 마음을 먹은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잘 보이려는 수단을 약삭빠르게 부려서 마치 충성하는 사람과 같아 보임.
    大: 姦: 간사할 似: 같을 忠: 충성

#부부 76 #사람 1461 #소리 96 #무리 64 #어머니 72 #백성 105 #지위 65 #여자 101 #잘못 93 #집안 93 #나무 166 🦖 #이익에 관한 89개의 한자어 #관계 90 #나라 392 #가운데 104 #중국 253 #자신 208 #바람 136 #재능 61 #아래 86 #따위 228 #경우 64 #재주 82 #표현 88 #자연 73 #형제 68 #정도 153 #인간 65 #상태 110 #상대 56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774개) : 아아, 아악, 아안, 아알, 아압, 아애, 아야, 아약, 아얌, 아양, 아어, 아언, 아에, 아여, 아역, 아연, 아열, 아염, 아영, 아예, 아오, 아옥, 아옵, 아옹, 아왕, 아요, 아용, 아우, 아욱, 아운, 아울, 아웁, 아웃, 아웅, 아원, 아위, 아유, 아윤, 아으, 아은, 아음, 아읍, 아의, 아이, 아인, 아일, 악악, 악야, 악약, 악양, 악어, 악언, 악업, 악역, 악연, 악열, 악예, 악옹, 악완, 악욕, 악용, 악우, 악운, 악원, 악월, 악유, 악육, 악은, 악음, 악의, 악인, 악일, 안악, 안안, 안압, 안약, 안양, 안어, 안업, 안에, 안여, 안연, 안염, 안영, 안옥, 안온, 안옷, 안와, 안왕, 안욕, 안원, 안위, 안유, 안율, 안음, 안이, 안인, 안일, 앉아, 알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