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80

  • 貧者一燈 획순 貧者一燈(빈자일등) : 가난한 사람이 바치는 하나의 등(燈)이라는 뜻으로, 물질의 많고 적음보다 정성이 중요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이 부처에게 바친 백 개의 등은 밤 사이에 다 꺼졌으나 가난한 노파 난타(難陀)가 정성으로 바친 하나의 등은 꺼지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貧: 가난할 者: 一: 燈: 등불

  • 雨露之澤 획순 雨露之澤(우로지택) : 이슬과 비의 덕택이라는 뜻으로, 의 넓고 큰 은혜를 이르는 말.
    雨: 露: 이슬 之: 澤:

  • 嘗膽 획순 嘗膽(상담) :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부차(夫差)에게 패한 월나라의 구천이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한 데서 유래한다.
    嘗: 맛볼 膽: 쓸개

  • 丹筆定罪 획순 丹筆定罪(단필정죄) : 법규 적용에서 서면에 이 주필(朱筆)로써 그 죄형을 정하여 기록하던 일.
    丹: 붉을 筆: 定: 정할 罪: 허물

  • 助桀爲虐 획순 助桀爲虐(조걸위학) : 폭군 걸(桀)을 도와 백성을 못살게 군다는 뜻으로, 못된 사람을 부추기어 악한 짓을 더 하게 함을 이르는 말.
    助: 도울 桀: 횃대 爲: 虐: 모질

  • 厚往薄來(후왕박래) : 갈 때는 후하게 하고, 올 때는 박하게 한다는 뜻으로, 과거 이 제후에게 돌아갈 때는 후하게 선물을 내리고, 조회를 올 때는 공물을 적게 바치게 함으로써 제후나 신하를 회유(懷柔)하는 방법을 이르는 말.
    厚: 두터울 往: 薄: 엷을 來:

  • 伏龍鳳雛(복룡봉추) : 엎드린 용과 봉황의 새끼라는 뜻으로, 아직 드러나지 않은 우수한 인재를 이르는 말. ≪촉지≫의 <제갈량전(諸葛亮傳)> 주(注)에 나오는 말이다.
    伏: 엎드릴 龍: 鳳: 봉새 雛: 병아리

  • 莫非王土(막비왕토) : 의 땅이 아닌 곳이 없음.
    莫: 없을 非: 아닐 王: 임금 土:

  • 春秋鼎盛(춘추정성) : 젊고 혈기가 성할 때.
    春: 秋: 가을 鼎: 盛: 담을

  • 韓弊煩刑(한폐번형) : 한비(韓非)는 진(晉王)을 달래 형벌(刑罰)을 펴다가 그 형벌(刑罰)에 죽음.
    韓: 나라 이름 弊: 해어질 煩: 번거로울 刑: 형벌

  • 苛政猛於虎(가정맹어호) :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다는 뜻으로, 몹시 모질고 독한 정치의 폐가 큼을 이르는 말. ≪예기≫의 〈단궁편(檀弓篇)〉에 나오는 말이다.
    苛: 매울 政: 정사 猛: 사나울 於: 어조사 虎:

  • 望五(망오) : (1)쉰을 바라본다는 뜻으로, 나이 마흔하나를 이르는 말. (2)궁중에서, 임금과 후, 대비의 나이가 쉰이 되기 이삼 년 전에 베풀던 경축연.
    望: 바랄 五: 다섯

  • 與民同樂(여민동락) : 임금이 백성과 함께 즐김.
    與: 民: 백성 同: 한가지 樂: 즐거울

  • 炮烙之刑(포락지형) : (1)뜨겁게 달군 쇠로 살을 지지는 형벌. (2)중국 은나라 주(紂王) 때, 기름칠한 구리 기둥을 숯불 위에 걸쳐 놓고 죄인을 그 위로 건너가게 하던 형벌.
    炮: 구울 烙: 지질 之: 刑: 형벌

  • 大王大妃(대왕대비) : 살아 있는, 전전 임금의 비(妃). 주로 의 할머니를 이르는 말이다.
    大: 王: 임금 大: 妃: 왕비

  • 巫山之雨(무산지우) :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巫: 무당 山: 之: 雨:

  • 姑公(고공) : (1)결혼한 여자의 시부모를 예스럽게 이르는 말. (2)대고모부를 예스럽게 이르는 말.
    姑: 시어미 公: 공변될

  • 伐齊爲名(벌제위명) : 겉으로는 어떤 일을 하는 체하고 속으로는 딴짓을 함을 이르는 말. 중국의 전국 시대에 연나라 장수 악의(樂毅)가 제나라를 칠 때에 제나라의 장수 전단(田單)이 악의가 제나라를 정복한 뒤에 제나라의 이 되려고 한다는 헛소문을 퍼뜨리자, 연이 의심하여 악의를 불러들이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伐: 齊: 가지런할 爲: 名: 이름

  • 達八十(달팔십) : 부귀와 관록이 따르는 영달의 삶을 이르는 말. 강태공이 여든 살에 주(周)나라 무을 만나 정승이 된 후 80년을 호화롭게 살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達: 통할 八: 여덟 十:

  • 雲雨之情(운우지정) : 구름 또는 비와 나누는 정이라는 뜻으로,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회(懷王)이 꿈속에서 어떤 부인과 잠자리를 같이했는데, 그 부인이 떠나면서 자기는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되어 양대(陽臺) 아래에 있겠다고 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雲: 구름 雨: 之: 情:

  • 爛柯(난가) : (1)‘난가’의 북한어. (2)도낏자루가 썩는다는 뜻으로, 바둑 따위의 놀이에 정신이 팔려 세월 가는 줄 모름. 중국 진(晉)나라 때 질(王質)이라는 나무꾼이 두 동자가 바둑 두는 것을 구경하는 동안에 도낏자루가 썩어 버리고, 마을에 돌아오니 아는 사람이 다 죽었더라는 <술이기(述異記)>에 나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柯: 가지

  • 攀龍附鳳(반룡부봉) : 훌륭한 임금을 좇아서 공명을 세움. 용과 봉은 임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攀: 더위잡을 龍: 附: 붙을 鳳: 봉새

  • 和氏之璧(화씨지벽) : 화씨의 구슬이라는 뜻으로, 천하의 명옥(名玉)을 이르는 말. 초나라 화씨가 옥돌 원석을 여(厲王)에게 바쳤으나 돌로 판정되어 왼쪽 다리와 오른발을 잘려 사흘 밤낮을 운다는 소문을 문이 듣고 그 원석을 다듬게 하여 천하에 둘도 없는 보물이 된 데서 유래한다.
    和: 고를 氏: 之: 璧: 둥근 옥

  • 改玉改行(개옥개행) : 옥을 고치면 걸음걸이도 고친다는 뜻으로, 신분이 변해 몸에 차고 다니는 옥을 바꾸었으면 걸음걸이도 바꾸어야 하듯이 지위가 달라지면 예절도 따라서 달라져야 한다는 의미로 쓰이거나, 법을 변경하면 그에 맞게 시행도 고쳐야 한다는 의미로 사용됨.《순자(荀子) 패편(王覇篇)》.
    改: 고칠 玉: 구슬 改: 고칠 行:

  • 三年不蜚(삼년불비) : 삼 년 동안이나 날지 않는다는 뜻으로, 훗날 웅비할 기회를 기다림을 이르는 말. 중국 초(楚)나라 장(莊王)이 삼 년 동안 정사를 돌보지 않고 지내는 것을 보고 오거(伍擧)가 간하자, 장이 이렇게 답했다고 한다.
    三: 年: 不: 아니 蜚: 바퀴

  • 木子得國(목자득국) : 고려 중기의 동요. ‘목자’는 ‘이’의 파자(破字)로서 이씨가 장차 이 될 것임을 예언한 노래이다. ≪고려사≫에 전하며 작자와 가사는 알 수 없다.
    木: 나무 子: 아들 得: 얻을 國: 나라

  • 問鼎輕重(문정경중) : 솥의 무게를 묻는다는 뜻으로, 좌를 노리거나 상대방의 실력을 떠보는 마음을 이르는 말.
    問: 물을 鼎: 輕: 가벼울 重: 무거울

  • 府夫人(부부인) : 조선 시대에, 비의 친정어머니나 대군(大君)의 아내에게 주던 작호(爵號). 국대부인을 고친 것으로 품계는 정일품이다.
    府: 곳집 夫: 지아비 人: 사람

  • 盛衰興廢(성쇠흥폐) : 성하고 쇠하며, 흥하고 폐한다는 뜻으로, 융성과 쇠퇴, 흥(興旺)과 퇴폐하는 일을 의미함.
    盛: 담을 衰: 쇠할 興: 廢: 폐할

  • 巫山雲(무산운) :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巫: 무당 山: 雲: 구름

  • 酒池肉林(주지육림) : 술로 연못을 이루고 고기로 숲을 이룬다는 뜻으로, 호사스러운 술잔치를 이르는 말. 중국 은나라 주이 못을 파 술을 채우고 숲의 나뭇가지에 고기를 걸어 잔치를 즐겼던 일에서 유래한다.
    酒: 池: 肉: 고기 林: 수풀

  • 天之曆數(천지역수) : 천명을 받아 제위(帝位)를 잇는 순서.
    天: 하늘 之: 數:

  • 天縱之聖(천종지성) : (1)공자의 덕화(德化)를 이르는 말. (2)제의 성덕을 칭송하여 이르는 말.
    天: 하늘 縱: 늘어질 之: 聖: 성스러울

  • 桑林之說(상림지설) : 중국 은나라의 탕이 하늘에 기우제를 지내고 비를 내리게 했다는 이야기.
    桑: 뽕나무 林: 수풀 之: 說: 말씀

  • 桀犬吠堯(걸견폐요) : 걸의 개가 요임금을 향하여 짖는다는 뜻으로, 각자 자기의 주인에게 충성을 다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악인의 앞잡이가 선량한 사람을 공격함을 비유하기도 한다. ≪사기(史記)≫의 <회음후전(淮陰侯傳)>에 나오는 말이다.
    桀: 횃대 犬: 吠: 짖을 堯: 요임금

  • 大安(대안) : (1)신라 진평 때의 승려(571~644). 원효의 스승이었다고 한다. (2)‘대안하다’의 어근. (3)중국 금나라 위소 때의 연호(1209~1211). (4)중국 서하 혜종 때의 연호(1076~1085).
    大: 安: 편안할

  • 湯武放伐(탕무방벌) : 탕과 무이 쫓아내어 죽인다는 뜻으로, 중국 고대 은(殷)나라의 탕(湯王)이 하(夏)나라의 걸(桀王)을 내치고, 주(周)나라의 무(武王)이 은나라 주(紂王)을 친 폭군을 정벌한 역성혁명(易姓革命)을 일컫는 말.
    湯: 끓일 武: 호반 放: 놓을 伐:

  • 干將莫耶(간장막야) : (1)중국 춘추 시대의 두 자루의 명검. 간장은 오나라의 장인(匠人)이고 막야는 그의 아내인데 이들이 협력해서 오나라 합려(闔閭)를 위하여 음양(陰陽)의 두 칼을 만들었다고 한다. (2)‘명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干: 방패 將: 장수 莫: 없을 耶: 어조사

  • 興亡盛衰(흥망성쇠) : 흥하고 망함과 성하고 쇠함.
    興: 亡: 잃을 盛: 담을 衰: 쇠할

  • 南面稱孤(남면칭고) : 임금이 됨을 이르는 말, 고(孤)는 이 자신(自身)을 겸손(謙遜)하게 일컫는 말.
    南: 남녘 面: 稱: 일컬을 孤: 외로울

  • 莫非王臣(막비왕신) : 의 신하가 아닌 사람이 없음.
    莫: 없을 非: 아닐 王: 임금 臣: 신하

  • 歸馬放牛(귀마방우) : 전쟁에 썼던 말과 소를 놓아준다는 뜻으로, 더 이상 전쟁을 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歸: 돌아갈 馬: 放: 놓을 牛:

  • 花中王(화중왕) : 여러 가지 꽃 가운데 이라는 뜻으로, ‘모란꽃’을 달리 이르는 말.
    花: 中: 가운데 王: 임금

  • 右往左往(우왕좌왕) : (1)이리저리 왔다 갔다 하며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을 종잡지 못함. (2)이리저리 왔다 갔다 하며 일이나 나아가는 방향을 종잡지 못하는 모양.
    右: 오른쪽 往: 左: 往:

  • 言往言來(언왕언래) : 서로 변론을 주고받으며 옥신각신함. 또는 말이 오고 감.
    言: 말씀 往: 言: 말씀 來:

  • 愈往愈甚(유왕유심) : 갈수록 더욱 심함.
    愈: 나을 往: 愈: 나을 甚: 심할

  • 王道政治(왕도정치) : 의 도리를 다하는 정치라는 뜻으로, 인덕(人德)에 바탕을 둔 정치를 행하는 것을 의미함. 유가(儒家)의 맹자(孟子)에 의해 가치를 확립함. <孟子>.
    王: 임금 道: 政: 정사 治: 다스릴

  • 殷鑑不遠(은감불원) : 거울삼아 경계하여야 할 전례(前例)는 가까이 있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실패를 자신의 거울로 삼으라는 말. ≪시경≫의 <탕편(蕩篇)>에 나오는 말이다.
    殷: 성할 鑑: 거울 不: 아니 遠:

  • 死之五等(사지오등) : 신분에 따른 죽음의 다섯 가지 등급. 천자(天子)는 붕(崩), 제후(諸侯)는 훙(薨), 대부(大夫)는 졸(卒), 선비는 불록(不祿), 서인(庶人)은 사(死)라 한다.
    死: 죽을 之: 五: 다섯 等: 등급

  • 磻溪伊尹(반계이윤) : 주문(周文王)은 반계(磻溪)에서 강태공(姜太公)을 맞고, 은(殷王)은 신야(莘野)에서 이윤(利潤)을 맞이함.
    磻: 강 이름 溪: 시내 伊: 尹: 다스릴

  • 耽讀翫市(탐독완시) : 한(漢)나라의 총은 독서(讀書)를 즐겨 서점에 가서 탐독(耽讀)하였음.
    耽: 즐길 讀: 읽을 翫: 노리개 市: 저자

  • 綠林(록림) : (1)푸른 숲. (2)화적이나 도둑의 소굴을 이르는 말. 중국 후한 말 광(王匡), 봉(王鳳) 등 망명자가 녹림산에 숨어 있다가 도둑이 되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3)‘녹림’의 북한어.
    林: 수풀

  • 王侯將相(왕후장상) : 제ㆍ제후ㆍ장수ㆍ재상을 아울러 이르는 말.
    王: 임금 侯: 제후 將: 장수 相: 서로

  • 大姑母夫(대고모부) : 아버지의 고모부를 이르는 말.
    大: 姑: 시어미 母: 어미 夫: 지아비

  • 五十步百步(오십보백보) : 조금 낫고 못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본질적으로는 차이가 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 양(梁)나라 혜(惠王)이 정사(政事)에 관하여 맹자에게 물었을 때, 전쟁에 패하여 어떤 자는 백 보를, 또 어떤 자는 오십 보를 도망했다면, 백 보를 물러간 사람이나 오십 보를 물러간 사람이나 도망한 것에는 양자의 차이가 없다고 대답한 데서 유래한다.
    五: 다섯 十: 步: 걸을 百: 일백 步: 걸을

  • 寡德之人(과덕지인) : 덕이 적은 사람이란 뜻으로, 과거에 이 자신을 겸손하게 표현해서 부르던 과인(寡人)의 본 의미. 혹은 다른 나라에 대하여 자신의 국을 지칭할 경우에도 사용.
    寡: 적을 德: 之: 人: 사람

  • 豬突豨勇(저돌희용) : (1)앞뒤를 가리지 아니하고 함부로 날뜀. (2)중국 한(漢)나라 때에, 흉노(匈奴)의 침입을 막기 위하여 죄수나 가노(家奴) 등을 모아 조직한 군대.
    豬: 돼지 突: 갑자기 豨: 멧돼지 勇: 날랠

  • 巫山雨(무산우) :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巫: 무당 山: 雨:

  • 會稽之恥(회계지치) : 회계산에서의 수치라는 뜻으로, 전쟁에 패한 치욕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월(越王) 구천(句踐)이 오(吳王) 부차(夫差)에게 후이지산(會稽山)에서 패전하고 생포되어 굴욕적인 강화를 맺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會: 모일 稽: 생각할 之: 恥: 부끄러워할

  • 巫山夢(무산몽) :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巫: 무당 山: 夢:

  • 朝雲暮雨(조운모우) : 아침의 구름과 저녁의 비라는 뜻으로,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회(懷王)이 꿈속에서 어떤 부인과 잠자리를 같이했는데, 그 부인이 떠나면서 자기는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되어 양대(陽臺) 아래에 있겠다고 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朝: 아침 雲: 구름 暮: 저물 雨:

  • 垂簾聽政(수렴청정) : 임금이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을 때, 대비나 대대비가 이를 도와 정사를 돌보던 일. 대비가 신하를 접견할 때 그 앞에 발을 늘인 데서 유래한다.
    垂: 드리울 簾: 聽: 들을 政: 정사

  • 巫山之夢(무산지몽) : 무산(巫山)의 꿈이라는 뜻으로,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巫: 무당 山: 之: 夢:

  • 夏月飛霜(하월비상) : 여름철에 서리가 날린다는 뜻으로, 본래 중국 하(夏)나라 걸(桀王)의 포악무도(暴惡無道)로 인해 여름철에도 서리가 내리는 변고(變故) 있었음을 이르는 말.
    夏: 여름 月: 飛: 霜: 서리

  • 四知(사지) : 두 사람만의 비밀이라도 어느 때고 반드시 남이 알게 됨을 이르는 말. 중국 후한(後漢)의 양진(楊震)이 형주 자사(荊州刺史)로 부임했을 때, 밀(王密)이 밤중에 찾아와서 당신과 나밖에는 아무도 알 사람이 없다 하며 금(金) 열 근을 바쳤을 때, 하늘이 알고 땅이 알고 내가 알고 자네가 안다 하며 받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후한서≫의 <양진전(楊震傳)>에 나오는 말이다.
    四: 知:

  • 采薇之歌(채미지가) : 주(周)나라의 무(武王)이 은(殷)나라를 누르고 임금이 되었을 때에 은(殷)나라의 백이(伯夷)와 숙제(叔齊) 형제(兄弟)는 주(周)나라 곡식(穀食)을 먹는 것을 부끄럽게 여겨 수양산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먹으며 지냈는 데, 그들이 죽을 적에 읊었다는 노래.
    采: 薇: 고비 之: 歌: 노래

  • 鷄鳴之助(계명지조) : 어질고 현명한 비의 내조를 이르는 말. 예전에 어진 비는 새벽이면 반드시 께 나아가 닭이 울었으니 일어나라고 권하여 이 아침 일찍부터 일어나 정사를 보도록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鷄: 鳴: 之: 助: 도울

  • 臥薪嘗膽(와신상담) : 불편한 섶에 몸을 눕히고 쓸개를 맛본다는 뜻으로, 원수를 갚거나 마음먹은 일을 이루기 위하여 온갖 어려움과 괴로움을 참고 견딤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기≫의 <월세가(越世家)>와 ≪십팔사략≫ 등에 나오는 이야기로, 중국 춘추 시대 오나라의 부차(夫差)가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하여 장작더미 위에서 잠을 자며 월나라의 구천(句踐)에게 복수할 것을 맹세하였고, 그에게 패배한 월나라의 구천이 쓸개를 핥으면서 복수를 다짐한 데서 유래한다.
    臥: 누울 薪: 섶나무 嘗: 맛볼 膽: 쓸개

  • 矯枉過直(교왕과직) : 굽은 것을 바로잡으려다가 정도에 지나치게 곧게 한다는 뜻으로, 잘못된 것을 바로잡으려다가 너무 지나쳐서 오히려 나쁘게 됨을 이르는 말.
    矯: 바로잡을 枉: 굽을 過: 지날 直: 곧을

  • 巫山之雲(무산지운) :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巫: 무당 山: 之: 雲: 구름

  • 不遠千里(불원천리) : 천 리 길도 멀다고 여기지 않음.
    不: 아니 遠: 千: 일천 里: 마을

  • 鷄鳴狗盜(계명구도) : 비굴하게 남을 속이는 하찮은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사람을 이르는 말. 중국 제나라의 맹상군이 진(秦)나라 소(昭王)에게 죽게 되었을 때, 식객(食客) 가운데 개를 가장하여 남의 물건을 잘 훔치는 사람과 닭의 울음소리를 잘 흉내 내는 사람의 도움으로 위기에서 빠져나왔다는 데서 유래한다.
    鷄: 鳴: 狗: 盜: 도둑

  • 阿修羅場(아수라장) : (1)싸움이나 그 밖의 다른 일로 큰 혼란에 빠진 곳. 또는 그런 상태. (2)아수라이 제석천과 싸운 마당.
    阿: 언덕 修: 닦을 羅: 그물 場: 마당

  • 回鯉(회리) : 물음이나 편지 따위에 대답함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월나라의 인 구천(句踐)의 가신(家臣) 범여(范蠡)가 잉어의 배를 따고 그 속에 편지를 넣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回: 鯉: 잉어

  • 乞骸骨(걸해골) : 심신은 임금께 바친 것이지만 해골만은 돌려달라는 뜻으로, 늙은 재상이 벼슬을 내놓고 은퇴하기를 임금에게 주청하던 일. ≪사기(史記)≫의 <평진후전(平津侯傳)>에서 유래한다.
    乞: 骸: 해골 骨:

  • 角弓刺(각궁자) : ≪시경≫ <소아(小雅)>의 각궁(角弓)편에 실린 풍자시. 주나라 유이 간신을 가까이하고 종족(宗族)을 멀리하는 것을 풍자하였다.
    角: 弓: 刺: 찌를

  • 忠言逆耳(충언역이) : 충직한 말은 귀에 거슬림. ≪사기≫의 <회남전(淮南王傳)>에 나오는 말이다.
    忠: 충성 言: 말씀 逆: 거스를 耳:

  • 猪突豨勇(저돌희용) : 멧돼지 저 / 부딪칠 돌 / 멧돼지 희 / 용감할 용.
    猪: 멧돼지 突: 갑자기 豨: 멧돼지 勇: 날랠

  • 風聲鶴唳(풍성학려) : 겁을 먹은 사람이 하찮은 일에도 놀람을 이르는 말. 중국 전진 때 진 부견(苻堅)이 비수(淝水)에서 크게 패하고 바람 소리와 학의 울음소리를 듣고도 적군이 쫓아오는 것이 아닌가 하고 놀랐다는 데서 유래한다.
    風: 바람 聲: 소리 鶴: 唳:

  • 白魚入舟(백어입주) : 적이 항복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주나라 무이 은나라의 주을 치려고 강을 건널 때, 백어가 배에 뛰어들어 은나라가 항복할 조짐을 보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백(白)은 은나라를 상징하는 빛깔이었다.
    白: 魚: 고기 入: 舟:

#태도 72 #생활 82 #구름 67 #얼굴 99 #근본 66 #생각 236 #자신 208 #세상 339 #방법 59 #사람 1461 #정도 153 #나무 166 #의미 1817 #사랑 91 #임금 189 #소리 96 #목숨 58 #어려움 105 #바람 136 #자리 94 #고사 108 #여자 101 #처음 91 #자연 73 #벼슬 88 #동안 70 #재앙 64 #관계 90 #이익 89 #가난 90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61개) : 아, 악, 앆, 안, 않, 알, 앎, 앒, 앓, 암, 압, 앗, 았, 앙, 앛, 앜, 앝, 앞, 애, 액, 앤, 앰, 앱, 앳, 앵, 야, 약, 얀, 얄, 얍, 얏, 양, 얖, 얘, 얫, 어, 억, 언, 얼, 엄, 업, 엇, 었, 엉, 에, 엑, 엔, 엘, 엠, 엣, 엥, 여, 역, 연, 엳, 열, 엻, 염, 엽, 엿, 였, 영, 옆, 예, 옐, 옘, 옙, 옛, 옝, 오, 옥, 옦, 온, 옫, 올, 옭, 옰, 옳, 옴, 옵, 옷, 옹, 옻, 와, 왁, 완, 왇, 왈, 왑, 왓, 왕, 왜, 왝, 왠, 왬, 왯, 왱, 외, 왹, 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