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내 에 관한 한자 모두 81

  • 丈人 획순 丈人(장인) : (1)아내의 아버지. (2)아내의 아버지를 이르는 말. (3)늙은이를 이르는 말. (4)죽은 할아버지를 이르는 말. (5)덕이 많고 학식이 많은 사람. (6)아버지의 벗.
    丈: 어른 人: 사람

  • 徙家忘妻 획순 徙家忘妻(사가망처) : 이사를 갈 때 아내를 잊고 두고 간다는 뜻으로, 무엇을 잘 잊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徙: 옮길 家: 忘: 잊을 妻: 아내

  • 梅妻鶴子 획순 梅妻鶴子(매처학자) : 유유자적한 풍류 생활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임포(林逋)가 서호(西湖)에 은거하면서, 처자도 없이 오직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며 생활을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
    梅: 매화나무 妻: 아내 鶴: 子: 아들

  • 岳翁 획순 岳翁(악옹) : 아내의 아버지.
    岳: 큰산 翁: 늙은이

  • 三從叔母 획순 三從叔母(삼종숙모) : 삼종숙의 아내.
    三: 從: 좇을 叔: 아재비 母: 어미

  • 三堂叔母(삼당숙모) : 삼당숙의 아내.
    三: 堂: 叔: 아재비 母: 어미

  • 仰望終身(앙망종신) : 일생을 존경하고 사모하여 내 몸을 의탁함. 예전에, 아내가 남편에 대하여 가져야 할 태도로써 이르던 말이다.
    仰: 우러를 望: 바랄 終: 끝날 身:

  • 丈祖(장조) : 아내의 할아버지.
    丈: 어른 祖: 할아비

  • 岳丈(악장) : '장인(丈人)'의 높임말. 아내의 아버지.
    岳: 큰산 丈: 어른

  • 岳母(악모) : 아내의 친어머니.
    岳: 큰산 母: 어미

  • 妻城子獄(처성자옥) : 아내는 성(城)이고 자식은 감옥이라는 뜻으로, 처자가 있는 사람은 거기에 얽매여 자유롭게 활동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
    妻: 아내 城: 子: 아들 獄:

  • 叩盆之痛(고분지통) : 고분지통(鼓盆之痛). 아내가 죽은 설움을 한문투(漢文-)로 이르는 말.
    叩: 두드릴 盆: 동이 之: 痛: 아플

  • 糟糠(조강) : (1)지게미와 쌀겨라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 먹는 변변치 못한 음식을 이르는 말. (2)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말. (3)교만한 승려나 거친 교법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糟: 지게미 糠:

  • 三不去(삼불거) : 유교에서, 칠거지악을 범한 아내일지라도 버리지 못하는 세 가지 경우. 부모의 삼년상을 같이 치렀거나, 장가들 때 가난했다가 나중에 부자가 되었거나, 아내가 돌아가도 의지할 데가 없는 경우이다.
    三: 不: 아니 去:

  • 兄弟和合賢妻之德(형제화합현처지덕) : 형과 아우가 화합(和合)한 것은 어진 아내의 덕임.
    兄: 弟: 아우 和: 고를 合: 합할 賢: 어질 妻: 아내 之: 德:

  • 家有賢妻丈夫不遭橫事(가유현처장부부조횡사) : 가정(家庭)에 어진 아내가 있으면, 남편(男便)은 부정(不正)한 일을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家: 有: 있을 賢: 어질 妻: 아내 丈: 어른 夫: 지아비 不: 아닌가 遭: 만날 橫: 가로 事:

  • 鰥寡孤獨(환과고독) : (1)늙어서 아내 없는 사람, 늙어서 남편 없는 사람, 어려서 어버이 없는 사람, 늙어서 자식 없는 사람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외롭고 의지할 데 없는 처지.
    鰥: 홀아비 寡: 적을 孤: 외로울 獨: 홀로

  • 三綱五倫(삼강오륜) : 유교의 도덕에서 기본이 되는 세 가지의 강령과 지켜야 할 다섯 가지의 도리. 군위신강, 부위자강, 부위부강과 부자유친, 군신유의,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을 통틀어 이른다.
    三: 綱: 벼리 五: 다섯 倫: 인륜

  • 內助之賢(내조지현) : 아내가 집안 일을 잘 다스려 남편(男便)을 돕는 일을 말함.
    內: 助: 도울 之: 賢: 어질

  • 炊臼之夢(취구지몽) : 절구에 밥을 짓는 꿈이라는 뜻으로, 솥이 없어 절구에 밥을 짓는 것인데, 釜(부)와 婦(부)의 음이 상통한 것에서 풀이한 것으로, 아내를 잃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임.
    炊: 불땔 臼: 절구 之: 夢:

  • 柏舟之操(백주지조) : 백주지조(栢舟之操). 잣나무로 만든 배의 지조(志操)라는 뜻으로, 남편(男便)을 잃은 아내가 끝까지 정절(貞節)을 지킴.
    柏: 측백나무 舟: 之: 操: 잡을

  • 妻梅子鶴(처매자학) : 매화(梅花)를 아내로 삼고, 학을 아들로 삼음.
    妻: 아내 梅: 매화나무 子: 아들 鶴:

  • 判官使令(판관사령) : 감영이나 유수영의 판관에 딸린 사령이라는 뜻으로, 아내가 하라는 대로 잘 따르는 남자를 놀림조로 이르는 말.
    判: 뻐갤 官: 벼슬 使: 부릴 令: 하여금

  • 夫貴妻榮(부귀처영) : 남편이 귀하면 아내가 영화롭다는 뜻으로, 남편의 신분 고하(高下)에 따라 아내의 영화가 변한다는 의미이나, 현대에 와서는 배우자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역설적 의미로 활용함이 좋을 듯 함.
    夫: 지아비 貴: 귀할 妻: 아내 榮: 영화

  • 百年言約(백년언약) : 젊은 남녀가 부부가 되어 평생을 같이 지낼 것을 굳게 다짐하는 아름다운 언약.
    百: 일백 年: 言: 말씀 約: 묶을

  • 良妻賢母(양처현모) : 착한 아내이면서 어진 어머니.
    妻: 아내 賢: 어질 母: 어미

  • 夫爲婦綱(부위부강) : 삼강(三綱)의 하나. 아내는 남편을 섬기는 것이 근본임을 이른다.
    夫: 지아비 爲: 婦: 며느리 綱: 벼리

  • 獨宿空房(독숙공방) : 아내가 남편 없이 혼자 지내는 것.
    獨: 홀로 宿: 묵을 空: 房:

  • 婦公(부공) : 장인이 사위를 상대하여 자기를 문어적으로 가리키는 일인칭 대명사.
    婦: 며느리 公: 공변될

  • 府夫人(부부인) : 조선 시대에, 왕비의 친정어머니나 대군(大君)의 아내에게 주던 작호(爵號). 국대부인을 고친 것으로 품계는 정일품이다.
    府: 곳집 夫: 지아비 人: 사람

  • 閤夫人(합부인) : 남의 아내를 높여 이르는 말.
    閤: 쪽문 夫: 지아비 人: 사람

  • 夫婦有別長幼有序(부부유별장유유서) : 남편(男便)과 아내 사이에는 분별(分別)이 있어야 하고, 어른과 어린이 사이에는 차례(次例)가 있어야 함.
    夫: 지아비 婦: 며느리 有: 있을 別: 나눌 長: 幼: 어릴 有: 있을 序: 차례

  • 諸母(제모) : 아버지와 같은 항렬이 되는 당내친의 아내. 제부(諸父)의 아내를 이른다.
    諸: 모든 母: 어미

  • 家負疎族聚(가부소족취) : 집이 가난하게 되면 어진 아내를 생각한다는 뜻으로, 넉넉히 지낼 때는 몰랐으나 궁박(窮迫)한 형편(形便)에 놓이고 보니 어진 관리자(管理者)를 생각하게 된다는 말.
    家: 負: 疎: 트일 族: 겨레 聚: 모일

  • 下育妻子(하육처자) : 아래로 아내와 자식을 기름.
    下: 아래 育: 기를 妻: 아내 子: 아들

  • 桑中之喜(상중지희) : 남녀 간의 불의(不義)의 쾌락이나 풍속의 퇴폐를 풍자하여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공실(公室)이 음탕하여 뽕나무밭에서 정을 통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桑: 뽕나무 中: 가운데 之: 喜: 기쁠

  • 四窮之首(사궁지수) : 사궁의 첫째. 늙은 홀아비를 이른다.
    四: 窮: 다할 之: 首: 머리

  • 丈母(장모) : (1)아내의 어머니. (2)아내의 어머니를 이르는 말.
    丈: 어른 母: 어미

  • 夫婦有別(부부유별) : 오륜(五倫)의 하나. 남편과 아내 사이의 도리는 서로 침범하지 않음에 있음을 이른다.
    夫: 지아비 婦: 며느리 有: 있을 別: 나눌

  • 女必從夫(녀필종부) : (1)아내는 반드시 남편을 따라야 한다는 말. (2)‘여필종부’의 북한어.
    女: 必: 반드시 從: 좇을 夫: 지아비

  • 夫婦之情(부부지정) : 남편과 아내 사이의 애정(愛情).
    夫: 지아비 婦: 며느리 之: 情:

  • 岳父(악부) : 아내의 친아버지.
    岳: 큰산 父: 아비

  • 死則同穴(사즉동혈) : 부부가 죽은 뒤에 한무덤에 묻힌다는 뜻으로, 부부의 사이가 매우 좋음을 나타내는 말. ≪시경≫에서 유래한다.
    死: 죽을 則: 同: 한가지 穴: 구멍

  • 丈祖父(장조부) : 아내의 할아버지.
    丈: 어른 祖: 할아비 父: 아비

  • 干將莫耶(간장막야) : (1)중국 춘추 시대의 두 자루의 명검. 간장은 오나라의 장인(匠人)이고 막야는 그의 아내인데 이들이 협력해서 오나라 왕 합려(闔閭)를 위하여 음양(陰陽)의 두 칼을 만들었다고 한다. (2)‘명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干: 방패 將: 장수 莫: 없을 耶: 어조사

  • 鼓盆之痛(고분지통) : 물동이를 두드리는 슬픔이라는 뜻으로, 아내가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
    鼓: 盆: 동이 之: 痛: 아플

  • 無告之民(무고지민) : (1)의지할 데 없는 늙은이나 어린이. (2)어디다 호소할 데가 없는 어려운 백성.
    無: 없을 告: 알릴 之: 民: 백성

  • 賢閤(현합) : 남의 아내를 높여 이르는 말.
    賢: 어질 閤: 쪽문

  • 家貧思良妻(가빈사양처) : 집이 가난해지면 좋은 아내를 생각하게 된다는 뜻으로, 궁핍(窮乏)한 지경(地境)이 되면 훌륭한 관리자(管理者)가 생각난다는 의미(意味).
    家: 貧: 가난할 思: 생각할 妻: 아내

  • 七出(칠출) : 예전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따위이다.
    七: 일곱 出:

  • 內助之功(내조지공) : 안에서 돕는 공이란 뜻으로, 아내가 집안 일을 잘 다스려 남편(男便)을 돕는 일을 말함.
    內: 助: 도울 之: 功:

  • 獨守空房(독수공방) : (1)혼자서 지내는 것. (2)아내가 남편 없이 혼자 지내는 것.
    獨: 홀로 守: 지킬 空: 房:

  • 妻祖父(처조부) : 아내의 할아버지.
    妻: 아내 祖: 할아비 父: 아비

  • 叩盆之嘆(고분지탄) : 아내가 죽은 한탄(恨歎)을 한문투(漢文-)로 이르는 말.
    叩: 두드릴 盆: 동이 之: 嘆: 탄식할

  • 父母妻子(부모처자) : 어버이와 아내와 자식을 아울러 이르는 말.
    父: 아비 母: 어미 妻: 아내 子: 아들

  • 夫爲婦綱是謂三綱(부위부강시위삼강) : 남편(男便)은 아내의 벼리가 되니, 이것을 삼강(三綱)이라 함.
    夫: 지아비 爲: 婦: 며느리 綱: 벼리 是: 옳을 謂: 이를 三: 綱: 벼리

  • 房外犯色(방외범색) : 자기 아내 이외의 여자와 육체관계를 맺음.
    房: 外: 바깥 犯: 범할 色:

  • 望夫石(망부석) : 아내가 멀리 떠난 남편을 기다리다 죽어서 된 돌. 주로 무엇인가를 애타게 기다리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른다.
    望: 바랄 夫: 지아비 石:

  • 夫和婦順家和之本(부화부순가화지본) : 남편(男便)은 온화(溫和)하고 아내는 양순한 것이 가정(家庭) 화목(和睦)의 근본(根本)임.
    夫: 지아비 和: 고를 婦: 며느리 順: 순할 家: 和: 고를 之: 本:

  • 家貧思賢妻國難思良相(가빈사현처국난사양상) : 집이 가난하면 어진 아내를 생각하고, 나라가 어지러우면 어진 재상(宰相)을 생각함.
    家: 貧: 가난할 思: 생각할 賢: 어질 妻: 아내 國: 나라 難: 어려울 思: 생각할 相: 서로

  • 伯母(백모) : 아버지 맏형의 아내를 이르는 말.
    伯: 母: 어미

  • 栢舟之操(백주지조) : 백주지조(柏舟之操). 공백(共伯)의 아내가 공강(共姜)이 백주(栢舟)라는 시를 지어 맹세(盟誓)하고 절개(節槪)를 지킨 고사에서 유래(由來)한 말로, 남편(男便)이 일찍 죽은 아내가 절개(節槪)를 지키는 것을 의미(意味).
    栢: 측백나무 舟: 之: 操: 잡을

  • 婦弟(부제) : 주로 편지글에서, 아내의 동생이라는 뜻으로, 처남이 매부에게 자기를 가리키는 일인칭 대명사.
    婦: 며느리 弟: 아우

  • 內相(내상) : (1)아내가 집안을 잘 다스림. 또는 그런 아내. (2)고려 시대에, 지신사(知申事)와 승선(承宣)을 아울러 이르던 말. (3)조선 시대에, 내무 대신이나 내부대신을 이르던 말. (4)일부 나라에서, 내무성(內務省)의 우두머리를 이르는 말.
    內: 相: 서로

  • 擧案齊眉(거안제미) : 밥상을 눈썹과 가지런하도록 공손히 들어 남편 앞에 가지고 간다는 뜻으로, 남편을 깍듯이 공경함을 이르는 말.
    擧: 案: 책상 齊: 가지런할 眉: 눈썹

  • 七去之惡(칠거지악) : (1)예전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따위이다. (2)독일 출생의 미국 작곡가 바일의 작품. 샹젤리제의 파리 극장에서 1933년 6월 7일에 초연되었다.
    七: 일곱 去: 之: 惡: 악할

  • 徙宅忘妻(사택망처) : 집을 이사하며 아내를 잊어버린다는 뜻으로, 심한 건망증이 있는 사람을 의미하거나, 의리(義理)를 분별하지 못하는 어리석은 사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徙: 옮길 宅: 忘: 잊을 妻: 아내

  • 河東獅吼(하동사후) : 황하(黃河)의 동쪽 언덕에서 사자(獅子)가 으르렁거린다는 뜻으로, 아내가 사나워서 남편에게 큰 소리로 욕설을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河東獅子吼(하동사자후)].
    河: 강 이름 東: 동녘 獅: 사자 吼:

  • 獅子吼(사자후) : (1)부처의 위엄 있는 설법을, 사자의 울부짖음에 모든 짐승이 두려워하여 굴복하는 것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2)사자의 우렁찬 울부짖음이란 뜻으로, 크게 부르짖어 열변을 토하는 연설을 이르는 말. (3)질투심이 강한 아내가 남편에게 암팡스럽게 떠드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獅: 사자 子: 아들 吼:

  • 賢母良妻(현모양처) : 어진 어머니이면서 착한 아내.
    賢: 어질 母: 어미 妻: 아내

  • 嚴妻侍下(엄처시하) : 엄한 아내를 모시는 그 아래라는 뜻으로, 아내에게 쥐여사는 남편의 처지를 놀림조로 이르는 말.
    嚴: 엄할 妻: 아내 侍: 모실 下: 아래

  • 百年佳期(백년가기) : 젊은 남녀가 부부가 되어 평생을 같이 지낼 것을 굳게 다짐하는 아름다운 언약.
    百: 일백 年: 佳: 아름다울 期: 만날

  • 七去(칠거) : 예전에, 아내를 내쫓을 수 있는 이유가 되었던 일곱 가지 허물. 시부모에게 불손함, 자식이 없음, 행실이 음탕함, 투기함, 몹쓸 병을 지님, 말이 지나치게 많음, 도둑질을 함 따위이다.
    七: 일곱 去:

  • 鷄鳴之助(계명지조) : 어질고 현명한 왕비의 내조를 이르는 말. 예전에 어진 왕비는 새벽이면 반드시 왕께 나아가 닭이 울었으니 일어나라고 권하여 왕이 아침 일찍부터 일어나 정사를 보도록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鷄: 鳴: 之: 助: 도울

  • 家貧則思良妻(가빈즉사양처) : 집안이 가난해지면 어진 아내를 생각하게 된다는 뜻으로, 집안이 궁해지거나 어려워지면 어진 아내의 내조의 필요성(必要性)을 새삼 생각하게 된다는 말.
    家: 貧: 가난할 則: 思: 생각할 妻: 아내

  • 鼓盆(고분) : 물동이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아내의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장자(莊子)의 아내가 죽어서 혜자(惠子)가 조문하러 갔더니 장자가 다리를 뻗고 앉아 동이를 두드리며 노래하고 있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鼓: 盆: 동이

  • 上奉下率(상봉하솔) : 위로는 부모님을 모시고 아래로는 처자식을 거느림.
    上: 奉: 받들 下: 아래 率: 거느릴

  • 家鷄野雉(가계야치) : 집에 있는 닭과 들에 있는 꿩이라는 뜻으로, 가까이 있는 흔한 것은 천하게 여기고, 멀리 있는 드문 것을 귀하게 여김을 이르는 말.
    家: 鷄: 野: 雉:

  • 糟糠之妻(조강지처) :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을 때의 아내라는 뜻으로, 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말. ≪후한서≫의 <송홍전(宋弘傳)>에 나오는 말이다.
    糟: 지게미 糠: 之: 妻: 아내

  • 夫唱婦隨(부창부수) : 남편이 주장하고 아내가 이에 잘 따름. 또는 부부 사이의 그런 도리.
    夫: 지아비 唱: 부를 婦: 며느리 隨: 따를

  • 荊妻(형처) : 남에게 자기의 아내를 낮추어 이르는 말. 중국 후한 때에 양홍(梁鴻)의 아내 맹광(孟光)이 가시나무 비녀를 꽂고 무명으로 만든 치마를 입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荊: 모형나무 妻: 아내

#임금 189 #어머니 72 #가운데 104 #문장 59 #죽음 73 #나무 166 #하늘 251 #음식 79 #훌륭 85 #비유 1177 #세월 71 #바람 136 #경계 56 #사물 172 #얼굴 99 #상대 56 #경우 64 #관계 90 #재능 61 #중국 253 #서로 71 #의미 1817 #신하 62 #사용 312 #사람 1461 #인간 65 #생각 236 #지위 65 #어려움 105 #행동 137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517개) : 아나, 아낙, 아내, 아냐, 아냥, 아네, 아녀, 아노, 아논, 아놈, 아농, 아놔, 아뇨, 아누, 아뉵, 아늑, 아늘, 아늠, 아니, 악녀, 악년, 악념, 안나, 안낙, 안난, 안날, 안남, 안낭, 안내, 안녁, 안념, 안녕, 안녘, 안노, 안눈, 안뉵, 알내, 알눈, 알니, 앏니, 암낙, 암내, 암냥, 암넘, 암놈, 암눔, 암늠, 암니, 압뇌, 압닐, 앙내, 앙녕, 앙뉘, 앙니, 앞날, 앞내, 앞널, 앞녘, 앞뇌, 앞눈, 앞니, 애나, 애납, 애낫, 애내, 애넘, 애년, 애념, 애노, 애놈, 애늠, 애니, 액난, 액날, 액내, 액년, 야납, 야냥, 야녀, 야뇨, 야니, 약날, 약낭, 약내, 약녀, 약년, 약념, 약노, 약농, 얌냠, 양난, 양날, 양남, 양납, 양낫, 양낭, 양냥, 양넘, 양넴, 양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