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92

  • 琥珀光 획순 琥珀光(호박광) : 맑고 아름다운 의 누런빛을 이르는 말.
    琥: 호박 珀: 호박 光:

  • 一飯之德 획순 一飯之德(일반지덕) : 밥 한 끼를 베푸는 덕이라는 뜻으로, 아주 작은 은덕을 이르는 말.
    一: 飯: 之: 德:

  • 徑先處斷 획순 徑先處斷(경선처단) : 범인의 진을 기다리지 않고 처단하는 일.
    徑: 지름길 先: 먼저 處: 머무를 斷: 끊을

  • 糟糠不飽 획순 糟糠不飽(조강불포) : 가난하여 찌끼와 쌀겨조차 배부르게 먹을 수 없음.
    糟: 지게미 糠: 不: 아니 飽: 배부를

  • 長夜之飮 획순 長夜之飮(장야지음) : 밤새도록 을 마심. 또는 그 .
    長: 夜: 之: 飮: 마실

  • 權謀術數(권모술수) : 목적 달성을 위하여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아니하는 온갖 모략이나 책.
    權: 저울추 謀: 꾀할 術: 數:

  • 北窓三友(북창삼우) : 거문고, , 시(詩)를 아울러 이르는 말.
    北: 북녘 窓: 三: 友:

  • 肥肉大酒(비육대주) : 살찐 고기와 맛좋은 이라는 뜻으로, 호화스러운 요리의 의미.
    肥: 살찔 肉: 고기 大: 酒:

  • 過麥田大醉(과맥전대취) : 보리밭을 지나가도 크게 취한다는 뜻으로, 밀밭을 지나다 밀 냄새만 맡아도 취하는 것처럼, 을 못 마시는 사람을 놀리는 말로 사용함.
    過: 지날 麥: 보리 田: 大: 醉: 취할

  • 酒囊飯袋(주낭반대) : 을 담는 부대와 밥을 담는 주머니라는 뜻으로, 과 음식을 축내며 일은 아니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酒: 囊: 주머니 飯: 袋: 자루

  • 醉中無天子(취중무천자) : 취중에는 천자도 없다는 뜻으로, 에 취하면 두렵거나 무서운 것이 없어짐을 이르는 말.
    醉: 취할 中: 가운데 無: 없을 天: 하늘 子: 아들

  • 半醉半醒(반취반성) : 반쯤 취하고 반쯤 깨어 있음. 이 덜 깬 상태를 이른다.
    半: 醉: 취할 半: 醒:

  • 殘杯冷肴(잔배냉효) : 마시다 남은 과 다 식은 구운 고기라는 뜻으로, 보잘것없는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殘: 해칠 杯: 肴: 안주

  • 醉生夢死(취생몽사) : 에 취하여 자는 동안에 꾸는 꿈 속에 살고 죽는다는 뜻으로, 한평생을 아무 하는 일 없이 흐리멍덩하게 살아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醉: 취할 生: 夢: 死: 죽을

  • 酒色雜技(주색잡기) : 과 여자와 노름을 아울러 이르는 말.
    酒: 色: 雜: 섞일 技: 재주

  • 薄酒山菜(박주산채) : (1)맛이 변변하지 못한 과 산나물. (2)자기가 내는 과 안주를 겸손하게 이르는 말.
    薄: 엷을 酒: 山: 菜: 나물

  • 羽化登仙(우화등선) : 사람의 몸에 날개가 돋아 하늘로 올라가 신선이 됨. ≪진서(晉書)≫의 <허매전(許邁傳)>에 나오는 말이다.
    羽: 化: 화할 登: 오를 仙: 신선

  • 破除萬事(파제만사) : 한 가지 일에만 전력하기 위하여 다른 일은 다 제쳐 놓음.
    破: 깨뜨릴 除: 萬: 일만 事:

  • 後來三杯(후래삼배) : 자리에 뒤늦게 온 사람에게 권하는 석 잔의 .
    後: 來: 三: 杯:

  • 放蕩無賴(방탕무뢰) : 과 여자(女子)에 빠져 일은 하지 아니하고 불량(不良)한 짓만 함.
    放: 놓을 蕩: 쓸어없앨 無: 없을 賴: 힘입을

  • 爛柯(난가) : (1)‘난가’의 북한어. (2)도낏자루가 썩는다는 뜻으로, 바둑 따위의 놀이에 정신이 팔려 세월 가는 줄 모름. 중국 진(晉)나라 때 왕질(王質)이라는 나무꾼이 두 동자가 바둑 두는 것을 구경하는 동안에 도낏자루가 썩어 버리고, 마을에 돌아오니 아는 사람이 다 죽었더라는 <이기(述異記)>에 나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柯: 가지

  • 酒果脯醯(주과포혜) : ㆍ과일ㆍ육포ㆍ식혜라는 뜻으로, 간략한 제물(祭物)을 이르는 말.
    酒: 果: 실과 脯: 醯:

  • 殘杯冷炙(잔배냉적) : 마시다 남은 과 다 식은 구운 고기라는 뜻으로, 보잘것없는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殘: 해칠 杯: 炙: 고기구울

  • 濫觴(남상) : (1)‘남상’의 북한어. (2)양쯔강(揚子江) 같은 큰 하천의 근원도 잔을 띄울 만큼 가늘게 흐르는 시냇물이라는 뜻으로, 사물의 처음이나 기원을 이르는 말.
    觴:

  • 醉死(취사) : (1)에 취하여 죽음. (2)에 취하여 자는 동안에 꾸는 꿈 속에 살고 죽는다는 뜻으로, 한평생을 아무 하는 일 없이 흐리멍덩하게 살아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醉: 취할 死: 죽을

  • 昨醉未醒(작취미성) : 어제 마신 이 아직 깨지 아니함.
    昨: 어제 醉: 취할 未: 아닐 醒:

  • 醉飽淫臥(취포음와) : 취하도록 배불리 먹고 음탕하게 누워잔다는 뜻으로, 과 음식을 배불리 먹고 음탕하게 잠을 자듯 문란한 생활을 이르는 말.
    醉: 취할 飽: 배부를 淫: 음란할 臥: 누울

  • 媒蘖(매얼) : 매(媒)는 밑이요, 얼(蘖)은 누룩이니 밑과 누룩이 어울려서 이 된다는 뜻으로, 모든 사물(事物)이 어울려서 이루어짐의 비유(比喩).
    媒: 중매 蘖: 그루터기

  • 淺酌低唱(천작저창) : 알맞게 을 마시고 작은 소리로 노래를 부름. 스스로 만족하여 흥겹게 여가를 즐기는 모습을 이른다.
    淺: 얕을 酌: 따를 低: 낮을 唱: 부를

  • 暴飮暴食(폭음폭식) : 음식(飮食)과 등(等)을 한꺼번에 많이 먹음.
    暴: 사나울 飮: 마실 暴: 사나울 食:

  • 腐腸之藥(부장지약) : 창자를 썩게 하는 약이라는 뜻으로, 좋은 음식과 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腐: 썩을 腸: 창자 之: 藥:

  • 玉井秋香(옥정추향) : 옥 우물의 가을 향기라는 뜻으로, 좋은 물과 수확한 햇곡식으로 빚은 을 이르는 말.
    玉: 구슬 井: 우물 秋: 가을 香: 향기

  • 南柯之夢(남가지몽) :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의 부마가 되어 남가군(南柯郡)을 다스리며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南: 남녘 柯: 가지 之: 夢:

  • 杯酒解怨(배주해원) : 을 잔에 따르며 원망을 푼다는 뜻으로, 서로 잔을 나누는 사이에 묵은 원한을 잊어버린다는 의미.
    杯: 酒: 解: 怨: 원망할

  • 百藥之長(백약지장) : ‘’을 달리 이르는 말. 온갖 뛰어난 약 가운데서 가장 으뜸이라는 뜻으로 ≪한서(漢書)≫ <식화지(食貨志)> 하편에서 나온 말이다.
    百: 일백 藥: 之: 長:

  • 流連荒亡(류련황망) : (1)이곳저곳을 놀러 다니며 주색에 빠짐. (2)‘유련황망’의 북한어.
    連: 이을 荒: 거칠 亡: 잃을

  • 杯盤狼藉(배반낭자) : 잔과 접시가 이리의 깔개처럼 어지럽다는 뜻으로, 마신 뒷자리의 어지러운 상황이나, 너무 지나치면 쇠한다는 의미.
    杯: 盤: 소반 藉: 깔개

  • 伐性之狂藥(벌성지광약) : 인성(人性)을 해치는 미치게 하는 약이라는 뜻으로, ‘’을 이르는 말.
    伐: 性: 성품 之: 狂: 미칠 藥:

  • 壺中之天(호중지천) : 항아리 속의 천지(天地)라는 뜻으로, (1) 별세계(別世界) 또는 선경(仙境)을 이르는 말 (2) 지극(至極)히 협소함을 이르는 말.
    壺: 中: 가운데 之: 天: 하늘

  • 南酒北餠(남주북병) : 예전에, 서울의 남촌은 맛이 좋고 북촌은 떡 맛이 좋다 하여 이르던 말.
    南: 남녘 酒: 北: 북녘 餠:

  • 山鳥下廳舍詹花落酒中(산조하청사첨화락주중) : 산새는 청사(뜰)에 내려앉고, 처마의 꽃은 가운데에 떨어짐.
    山: 鳥: 下: 아래 廳: 관청 舍: 詹: 이를 花: 落: 떨어질 酒: 中: 가운데

  • 酒池肉林(주지육림) : 로 연못을 이루고 고기로 숲을 이룬다는 뜻으로, 호사스러운 잔치를 이르는 말. 중국 은나라 주왕이 못을 파 을 채우고 숲의 나뭇가지에 고기를 걸어 잔치를 즐겼던 일에서 유래한다.
    酒: 池: 肉: 고기 林: 수풀

  • 借書一瓻(차서일치) : 책을 빌리면 한 병(甁). 옛날에 책을 빌릴 때와 돌려보낼 때의 사례(謝禮)로 한 병(甁)을 보낸 것을 이르는 말.
    借: 書: 一: 瓻: 술 단지

  • 截髮易酒(절발역주) : 머리를 잘라 과 바꾼다는 뜻으로, 자식(子息)에 대(對)한 모정(母情)의 지극(至極)함을 이르는 말.
    截: 끊을 髮: 터럭 易: 바꿀 酒:

  • 麥曲之英(맥곡지영) : ‘’을 달리 이르는 말. 맥곡(麥曲)은 누룩을 이른다.
    麥: 보리 曲: 굽을 之: 英: 꽃부리

  • 卜晝卜夜(복주복야) : (1) 낮 또는 밤의 길흉(吉凶)을 점침 (2) 마시고 노는 것이 절도(節度)가 없이 주야(晝夜)로 계속(繼續)됨을 일컫는 말.
    卜: 晝: 卜: 夜:

  • 長醉不醒(장취불성) : 늘 에 취하여 깨어나지 아니함.
    長: 醉: 취할 不: 아니 醒:

  • 壺裏乾坤(호리건곤) : 호리병 속의 천지라는 뜻으로, 늘 에 취하여 있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壺: 裏: 乾: 마를 坤: 곤괘

  • 漏巵(누치) : 이 새는 잔이라는 뜻으로, 을 잘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巵:

  • 絃歌酒讌(현가주연) : 거문고를 타며 과 노래로 잔치함.
    絃: 악기줄 歌: 노래 酒: 讌: 잔치

  • 天之美祿(천지미록) : 하늘에서 내려 준 좋은 녹(祿)이라는 뜻으로, ‘’을 아름답게 이르는 말.
    天: 하늘 之: 美: 아름다울 祿:

  • 暴虎馮河(포호빙하) : 맨손으로 범을 때려잡고 걸어서 황허강(黃河江)을 건넌다는 뜻으로, 용기는 있으나 무모함을 이르는 말. ≪논어≫의 <이편(述而篇)>에 나온 말이다.
    暴: 사나울 虎: 馮: 업신여길 河: 강 이름

  • 此忘憂物(차망우물) : 이것은 근심을 잊게 하는 물건이라는 뜻으로, 근심을 떨쳐버릴 수 있는 ‘’을 이르는 말.
    此: 忘: 잊을 憂: 근심 物: 만물

  • 忘世間之甲子(망세간지갑자) : (1) 이 잔뜩 취(醉)하여 세상일(世上-)을 모름 (2) 일에 골몰(汨沒)하여 세월(歲月)이 가는 줄을 모름.
    忘: 잊을 世: 인간 間: 之: 甲: 갑옷 子: 아들

  • 豚蹄一酒(돈제일주) : 돼지 발굽과 한 잔이라는 뜻으로, 작은 물건으로 많은 물건을 구하려 한다는 뜻.
    豚: 돼지 蹄: 一: 酒:

  • 鄕飮酒禮(향음주례) : 예전에, 온 고을의 유생(儒生)이 모여 향약(鄕約)을 읽고 을 마시며 잔치하던 일.
    鄕: 시골 飮: 마실 酒: 禮: 예도

  • 酒入舌出(주입설출) : 이 들어가면 혀가 나온다는 뜻으로, 을 마시면 수다스러워진다는 의미.
    酒: 入: 舌: 出:

  • 鼓盆之痛(고분지통) : 물동이를 두드리는 슬픔이라는 뜻으로, 아내가 죽은 슬픔을 이르는 말.
    鼓: 盆: 동이 之: 痛: 아플

  • 自酌自飮(자작자음) : 자기 스스로 을 따라 마심.
    自: 스스로 酌: 따를 自: 스스로 飮: 마실

  • 忘憂之物(망우지물) : (1) 시름을 잊게 하는 물건(物件) (2) 의 딴이름, 을 마시면 근심 걱정을 잊게 된다는 데서 온 말.
    忘: 잊을 憂: 근심 之: 物: 만물

  • 三不惑(삼불혹) : 혹하여 빠지지 말아야 할 세 가지. , 여자, 재물을 이른다.
    三: 不: 아니 惑: 미혹할

  • 無祝單獻(무축단헌) : 제사 지낼 때 축문은 읽지 아니하고 만 한 잔 올림.
    無: 없을 祝: 單: 獻: 바칠

  • 醉眼朦朧(취안몽롱) : 에 취(醉)하여 눈이 흐려 앞이 똑똑히 보이지 않는 상태(狀態)를 이르는 말.
    醉: 취할 眼: 朦: 흐릴 朧: 흐릿할

  • 契酒生面(계주생면) : 곗로 생면한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의 것을 마치 자기의 것처럼 생색냄을 이르는 말.
    契: 맺을 酒: 生: 面:

  • 醉中眞談(취중진담) : 에 취한 동안 털어놓는 진심에서 우러나온 말.
    醉: 취할 中: 가운데 眞: 談: 말씀

  • 巵酒(치주) : 잔의 이라는 뜻으로, 적은 양의 을 이르는 말.
    巵: 酒:

  • 壟斷之術(롱단지술) : (1)이익을 혼자 차지하는 재주. (2)‘농단지’의 북한어.
    斷: 끊을 之: 術:

  • 不酒草肉(부주초육) : 승려가 , 담배, 고기를 입에 대지 아니하는 일.
    不: 아닌가 酒: 草: 肉: 고기

  • 宴安酖毒(연안짐독) : 행실(行實)이 바르지 못하여 놀고 즐기는 것은, 마시면 죽는 독주인 짐주(짐새의 깃을 에 담근 독주)의 독과 같아서 사람의 몸을 상하게 한다는 말.
    宴: 잔치 安: 편안할 酖: 독조 이름 毒:

  • 惜花愁夜雨病酒怨春鶯(석화수야우병주원춘앵) : 꽃을 아끼니 밤 비를 근심하고, 에 병드니 봄 꾀꼬리를 원망(怨望)함.
    惜: 아낄 花: 愁: 시름 夜: 雨: 病: 酒: 怨: 원망할 春: 鶯: 꾀꼬리

  • 荒淫無道(황음무도) : 주색에 빠져 사람으로서 마땅히 할 도리를 돌아보지 않는 면이 있음.
    荒: 거칠 淫: 음란할 無: 없을 道:

  • 獻壽(헌수) : 환갑잔치 따위에서, 주인공에게 장수를 비는 뜻으로 잔을 올림.
    獻: 바칠 壽: 목숨

  • 酒有別腸(주유별장) : 마시는 사람은 창자가 따로 있다는 뜻으로, 주량(酒量)은 몸집의 크고 작음에 관계가 없음을 이르는 말.
    酒: 有: 있을 別: 나눌 腸: 창자

  • 沈於酒色(침어주색) : 과 여자에 혹하여 빠짐.
    沈: 잠길 於: 어조사 酒: 色:

  • 南柯夢(남가몽) :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의 부마가 되어 남가군(南柯郡)을 다스리며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南: 남녘 柯: 가지 夢:

  • 三十六禽(삼십육금) : 십이지(十二支)에 각각 셋씩 나눈 서른여섯 가지의 짐승. 곧 자(子)에 제비ㆍ쥐ㆍ박쥐, 축(丑)에 소ㆍ게ㆍ자라, 인(寅)에 너구리ㆍ표범ㆍ호랑이, 묘(卯)에 고슴도치ㆍ토끼ㆍ오소리, 진(辰)에 용ㆍ교룡ㆍ물고기, 사(巳)에 드렁허리ㆍ지렁이ㆍ뱀, 오(午)에 사슴ㆍ말ㆍ노루, 미(未)에 양ㆍ기러기ㆍ매, 신(申)에 고양이ㆍ원숭이ㆍ긴팔원숭이[猴], 유(酉)에 까마귀ㆍ닭ㆍ꿩, (戌)에 개ㆍ이리ㆍ승냥이, 해(亥)에 돼지[豕]ㆍ돼지[猪]ㆍ멧돼지가 있다.
    三: 十: 禽: 날짐승

  • 斗酒不辭(두주불사) : 말도 사양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을 매우 잘 마심을 이르는 말.
    斗: 酒: 不: 아니 辭: 말씀

  • 太白捉月(태백착월) : 이백(李白)이 에 취(醉)하여 채석강(采石江)에서 물 속의 달을 잡으려다 죽은 일을 이르는 말.
    太: 白: 捉: 잡을 月:

  • 木壚酒店(목로주점) : (1)널빤지로 좁고 기다랗게 만든 상인 목로를 차려 놓고 을 파는 집. (2)프랑스의 자연주의 문학의 거장 졸라의 소설. ≪루공 마카르 총서(叢書)≫의 제7권으로 1877년 간행했다. 여주인공인 제르베즈의 생애를 통해 문란한 생활과 알코올 중독으로 파멸해 가는 노동자들의 생활상을 그리고 있다.
    木: 나무 壚: 흑토 酒: 店: 가게

  • 如水投水(여수투수) : 물에 물 탄 듯하다는 뜻으로, 태도가 분명하지 못하거나 일 처리가 야무지지 못함을 이르는 말.
    如: 같을 水: 投: 던질 水:

  • 杜撰(두찬) : (1)전거나 출처가 확실하지 못한 저. (2)틀린 곳이 많은 작품.
    杜: 팥배나무 撰: 지을

  • 飯囊酒袋(반낭주대) : 밥을 담는 주머니와 을 담는 부대라는 뜻으로, 과 음식을 축내며 일은 아니하는 사람을 이르는 말.
    飯: 囊: 주머니 酒: 袋: 자루

  • 白酒紅人面黃金黑吏心(백주홍인면황금흑리심) : 흰 은 사람의 얼굴을 붉게 하고, 황금(黃金)은 아전의 마음을 검게 함.
    白: 酒: 紅: 붉을 人: 사람 面: 黃: 누를 金: 黑: 검을 吏: 벼슬아치 心: 마음

  • 酒百藥之長(주백약지장) : 은 모든 약의 으뜸이라는 뜻으로, 을 기리어 이르는 말.
    酒: 百: 일백 藥: 之: 長:

  • 鼓盆(고분) : 물동이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아내의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장자(莊子)의 아내가 죽어서 혜자(惠子)가 조문하러 갔더니 장자가 다리를 뻗고 앉아 동이를 두드리며 노래하고 있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鼓: 盆: 동이

  • 牛飮馬食(우음마식) : 소같이 을 많이 마시고 말같이 음식을 많이 먹는다는 뜻으로, 많이 마시고 먹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牛: 飮: 마실 馬: 食:

  • 主酒客飯(주주객반) : 주인은 손님에게 을 권하고 손님은 주인에게 밥을 권하며 서로 다정하게 식사를 하는 일.
    主: 주인 酒: 客: 飯:

  • 壺中天地(호중천지) : 항아리 속에 있는 신기한 세상이라는 뜻으로, 별천지ㆍ별세계ㆍ선경(仙境) 따위를 이르는 말.
    壺: 中: 가운데 天: 하늘 地:

  • 有酒無量(유주무량) : 을 얼마든지 마실 만큼 주량이 큼. 공자의 주량을 언급한 ≪논어≫ <향당(鄕黨)> 편의 ‘을 마실 때는 일정한 양이 없었는데 어지러운 지경에 이르지 않았다.’에서 유래한 말이다.
    有: 있을 酒: 無: 없을 量: 헤아릴

  • 糟糠之妻(조강지처) : 지게미와 쌀겨로 끼니를 이을 때의 아내라는 뜻으로, 몹시 가난하고 천할 때에 고생을 함께 겪어 온 아내를 이르는 말. ≪후한서≫의 <송홍전(宋弘傳)>에 나오는 말이다.
    糟: 지게미 糠: 之: 妻: 아내

  • 南柯一夢(남가일몽) :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의 부마가 되어 남가군(南柯郡)을 다스리며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南: 남녘 柯: 가지 一: 夢:

  • 十匙一飯(십시일반) : 밥 열 이 한 그릇이 된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이 조금씩 힘을 합하면 한 사람을 돕기 쉬움을 이르는 말.
    十: 匙: 숟가락 一: 飯:

#경계 56 #부모 136 #고사 108 #형용 67 #상태 110 #동안 70 #처음 91 #소리 96 #이치 67 #잘못 93 #의미 1817 #자리 94 #사람 1461 #이름 211 #벼슬 88 #실패 56 #상황 119 #모양 142 #세상 339 #은혜 70 #근본 66 #예전 60 #재앙 64 #생활 82 #천하 94 #자식 104 #문장 59 #나무 166 #비유 1177 #시대 114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5개) : 사, 삭, 삮, 삯, 산, 살, 삵, 삶, 삷, 삼, 삽, 삿, 상, 샅, 샆, 새, 색, 샋, 샌, 샐, 샘, 샙, 샛, 생, 샤, 샥, 샨, 샬, 샴, 샵, 샷, 샹, 섀, 섐, 섕, 서, 석, 섟, 선, 설, 섥, 섬, 섭, 섯, 성, 섶, 세, 섹, 센, 섿, 셀, 셈, 셉, 셋, 셍, 셑, 셓, 셔, 셗, 션, 셤, 셧, 셮, 셰, 셸, 솀, 솃, 소, 속, 손, 솔, 솕, 솜, 솝, 솟, 송, 솣, 솤, 솥, 솧, 솨, 솩, 솰, 쇄, 쇅, 쇔, 쇠, 쇡, 쇤, 쇰, 쇼, 숀, 숄, 숌, 숏, 숑, 숗, 수, 숙, 숚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