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70

  • 不踏覆轍 획순 不踏覆轍(부답복철) : 전철을 밟지 않는다는 뜻으로, 앞사람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不: 아닌가 踏: 밟을 覆: 뒤집힐 轍: 바퀴 자국

  • 取善輔仁 획순 取善輔仁(취선보인) : 을 모으고 인을 돕는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행을 본받아 자기의 인덕을 기르는 것처럼 친구의 유익함을 이르는 말.
    取: 취할 善: 착할 輔: 도울 仁: 어질

  • 積善餘慶 획순 積善餘慶(적선여경) : 착한 일을 많이 한 결과로 경사스럽고 복된 일이 자손에게까지 미침. ≪주역≫의 <문언전(文言傳)>에 나오는 말이다.
    積: 쌓을 善: 착할 餘: 남을 慶: 경사

  • 善惡相半 획순 善惡相半(선악상반) : 과 악이 서로 반씩 섞여 있음.
    善: 착할 惡: 악할 相: 서로 半:

  • 淸濁倂呑 획순 淸濁倂呑(청탁병탄) : 맑은 것과 탁한 것을 함께 삼킨다는 뜻으로, (1) 악(善惡)을 가리지 않고, 있는 그대로 받아들임 (2) 도량(度量)이 큼을 이르는 말.
    淸: 맑을 濁: 흐릴 倂: 아우를 呑: 삼킬

  • 白日飛昇(백일비승) : 도를 극진히 닦아 육신을 가진 채 신이 되어 대낮에 하늘로 올라가는 일.
    白: 日: 飛: 昇: 오를

  • 生面不知(생면부지) : 서로 한 번도 만난 적이 없어서 전혀 알지 못하는 사람. 또는 그런 관계.
    生: 面: 不: 아닌가 知:

  • 善惡不二(선악불이) : 악은 모두 인연에 의하여 생긴 것으로 각각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평등 무차별한 하나의 이치로 돌아간다는 말.
    善: 착할 惡: 악할 不: 아니 二:

  • 滅罪生善(멸죄생선) : 현재의 죄장(罪障)을 없애고 후세의 근(善根)을 일으킴. 또는 그런 일.
    滅: 멸망할 罪: 허물 生: 善: 착할

  • 羽化登仙(우화등선) : 사람의 몸에 날개가 돋아 하늘로 올라가 신이 됨. ≪진서(晉書)≫의 <허매전(許邁傳)>에 나오는 말이다.
    羽: 化: 화할 登: 오를 仙: 신선

  • 芝蘭之交(지란지교) : 지초(芝草)와 난초(蘭草)의 교제라는 뜻으로, 벗 사이의 맑고도 고귀한 사귐을 이르는 말.
    芝: 지초 蘭: 난초 之: 交: 사귈

  • 屋下架屋(옥하가옥) : 지붕 아래 또 지붕을 만든다는 뜻으로, 인(先人)들이 이루어 놓은 일을 후세의 사람들이 무익하게 거듭하여 발전한 바가 조금도 없음을 이르는 말.
    屋: 下: 아래 架: 시렁 屋:

  • 特立之士(특립지사) : 세속에 따르지 아니하고 스스로 믿는 바를 행하는 훌륭한 사람.
    特: 유다를 立: 之: 士: 선비

  • 父祖傳來(부조전래) : 조상 대대로 자손에게 전해 내려옴.
    父: 아비 祖: 할아비 傳: 전할 來:

  • 刻鵠類鶩(각곡유목) : 고니를 조각하다가 실패하더라도 집오리와 비슷하게는 된다는 뜻으로, 큰 뜻을 가지고 노력하다 보면 작은 성과라도 이루게 됨을 이르는 말.
    刻: 새길 鵠: 고니 鶩: 집오리

  • 輪遞天子(윤체천자) : 바퀴가 돌 듯 갈마드는 천자라는 뜻으로, 돌아가며 한번씩 하는 천자자리인 ‘돌림천자’라는 의미인데, 사대주의로부터 벗어나야 한다는 호방한 기상을 엿볼 수 있는 백호(白湖) 임제(林悌)의 주장에서 유래함.[출전]《성호사설(星湖僿說)》〈희학(善戱謔)>.
    遞: 갈마들 天: 하늘 子: 아들

  • 善惡之報(선악지보) : 악에 대한 응보(應報).
    善: 착할 惡: 악할 之: 報: 갚을

  • 喜悲雙曲線(희비쌍곡선) : 기쁨과 슬픔이 동시에 생기어 각각 발전하는 것.
    喜: 기쁠 悲: 슬플 雙: 曲: 굽을 線:

  • 樂而不淫(낙이불음) : 즐거우나 음탕하지 않다는 뜻으로, 즐기되 도를 넘지 않는다는 유가사상의 중용의 가치를 표현하는 의미로 볼 수 있는데, 어떠한 상황에서도 최소한의 기본적인 을 지킨다는 의미로 활용됨. [ = 樂而不荒 (낙이불황) ].
    而: 말 이을 不: 아니 淫: 음란할

  • 止於至善(지어지선) : 더할 수 없이 착한 경지에 이르러 머무른다는 뜻으로, 최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함을 이르는 말.
    止: 그칠 於: 어조사 至: 이를 善: 착할

  • 三絶(삼절) : (1) 위편(韋編) 삼절 (2) 세 가지의 뛰어난 사물(事物)(3) 세 가지의 뛰어난 재주를 가진 사람. 조 때의 시(詩), 서화(書畵)에 능(能)했던 안견(安堅), 최 경과 중종(中宗) 때의 강희안(姜希顔)을 가리키는 말.
    三: 絶: 끊을

  • 生巫殺人(생무살인) : 무당이 사람을 잡는다는 뜻으로, 미숙한 사람이 일을 그르침을 이르는 말.
    生: 巫: 무당 殺: 죽일 人: 사람

  • 墨子悲染(묵자비염) : 묵자가 실이 염색되는 것을 보고 슬퍼했다는 뜻으로, 사람이 습성에 따라 성품이 하게 되거나 악하게 될 수 있다는 주장에서 나온 말.
    墨: 子: 아들 悲: 슬플 染: 물들일

  • 去惡就善(거악취선) : 악(惡)한 것을 버리고 한 것을 취(取)함.
    去: 惡: 악할 就: 이룰 善: 착할

  • 業感緣起(업감연기) : 세계의 삼라만상과 모든 현상은 중생의 업(業)에 의하여 생겨남. 또는 그런 세계관이나 인생관.
    業: 感: 느낄 緣: 가선 起: 일어날

  • 晝高夜卑(주고야비) : 화투 놀이에서, 을 정할 때에 패를 각각 떼어서 밤에는 그 끗수가 낮은 사람, 낮에는 높은 사람으로 정하는 방법.
    晝: 高: 높을 夜: 卑: 낮을

  • 兵塵(병진) : 싸움터에서 일어나는 티끌이라는 뜻으로, 전쟁으로 인하여 어수하고 어지러운 분위기 또는 그런 전쟁 통을 이르는 말.
    兵: 군사 塵: 티끌

  • 寸善尺魔(촌선척마) : 좋은 일은 한 치 정도이고 언짢은 일은 한 자 정도라는 뜻으로, 좋은 일은 적고 언짢은 일은 많음을 이르는 말.
    寸: 마디 善: 착할 尺: 魔: 마귀

  • 懸羊頭賣馬脯(현양두매마포) : 양의 머리를 매달아 놓고 말린 말고기를 판다는 뜻으로, 을 가장하여 악을 행(行)함을 이르는 말.
    懸: 매달 羊: 頭: 머리 賣: 馬: 脯:

  • 勸善懲惡(권선징악) : 착한 일을 권장하고 악한 일을 징계함.
    勸: 권할 善: 착할 懲: 혼날 惡: 악할

  • 壺裏乾坤(호리건곤) : 호리병 속의 천지라는 뜻으로, 늘 술에 취하여 있는 상태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壺: 裏: 乾: 마를 坤: 곤괘

  • 黃雀伺蟬(황작사선) : 참새가 매미를 엿본다는 뜻으로, 자신에게 장차 다가올 위태로운 재난을 인지하지 못하고 눈앞의 이익에만 몰두함을 이르는 말.[= 螳螂窺蟬(당랑규)].
    黃: 누를 雀: 참새 伺: 엿볼 蟬: 매미

  • 家君(가군) : (1)남에게 자기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2)남에게 자기 남편을 이르는 말. (3)남의 남편을 이르는 말.
    家: 君: 임금

  • 善惡隨緣(선악수연) : 악이 모두 진여(眞如)의 인연에 따라 생김을 이르는 말.
    善: 착할 惡: 악할 隨: 따를 緣: 가선

  • 干將莫邪(간장막사) : 명검도 사람의 손길이 가야만 비로소 빛나듯이 사람의 성품(性品)도 원래(原來)는 악하므로 노력(努力)을 기울여야 하게 될 수 있다는 의미(意味).
    干: 방패 將: 장수 莫: 없을 邪: 간사할

  • 獨善其身(독선기신) : 남을 돌보지 아니하고 자기 한 몸의 처신만을 온전하게 함.
    獨: 홀로 善: 착할 其: 身:

  • 斷惡修善(단악수선) : 악업을 끊고 업을 닦아 도(善道)에 들어가는 일.
    斷: 끊을 惡: 악할 修: 닦을 善: 착할

  • 激濁揚淸(격탁양청) : 탁한 물을 내보내고 맑은 물을 끌어들인다는 뜻으로, 악한 것을 없애고 한 것을 가져옴을 이르는 말.
    激: 부딪쳐흐를 濁: 흐릴 揚: 오를 淸: 맑을

  • 求則得之(구즉득지) : 어떤 것을 구하고자 하면 얻을 수 있음.
    求: 구할 則: 得: 얻을 之:

  • 天道不謟(천도부도) : 하늘이 한 사람에게는 복을 주고, 악(惡)한 사람에게는 화(禍)를 주는 것은 조금도 의심할 바 없음.
    天: 하늘 道: 不: 아닌가 謟: 의심할

  • 繼繼承承(계계승승) : (1)자자손손이 대를 이어 감. (2)대에서 하던 일을 후대 사람이 내리 이어받음.
    繼: 이을 繼: 이을 承: 이을 承: 이을

  • 善因善果(선인선과) : 업을 쌓으면 반드시 좋은 과보가 따름.
    善: 착할 因: 인할 善: 착할 果: 실과

  • 從善如流(종선여류) : 을 따르면 모든 것이 물과 같이 흐른다는 뜻으로, 정도를 지켜야 무난히 성공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從: 좇을 善: 착할 如: 같을 流: 흐를

  • 彰善懲惡(창선징악) : 착한 일은 찬양하여 드러내고 악한 일은 징벌함.
    彰: 밝힐 善: 착할 懲: 혼날 惡: 악할

  • 擇言擇行(택언택행) : 말을 가리고 행동을 가린다는 뜻으로, 과 악을 가려서 해야 할 말이나 행동을 이르는 말.
    擇: 가릴 言: 말씀 擇: 가릴 行:

  • 仙露明珠(선로명주) : 인(仙人)이 내려 주는 이슬과 아름다운 구슬이라는 뜻으로, 글씨 쓰는 법이 원활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仙: 신선 露: 이슬 明: 밝을 珠: 구슬

  • 白日昇天(백일승천) : 도를 극진히 닦아 육신을 가진 채 신이 되어 대낮에 하늘로 올라가는 일.
    白: 日: 昇: 오를 天: 하늘

  • 仙姿玉質(선자옥질) : 신의 자태에 옥의 바탕이라는 뜻으로, 몸과 마음이 매우 아름다운 사람을 이르는 말.
    仙: 신선 姿: 맵시 玉: 구슬 質: 바탕

  • 朋友責善(붕우책선) : 벗끼리 서로 좋은 일을 하도록 권함.
    朋: 友: 責: 꾸짖을 善: 착할

  • 三省(삼성) : (1)매일 세 번 자신을 반성함. (2)의정부, 사헌부, 의금부의 관원들이 합좌하여 패륜을 범한 죄인을 국문하던 일. (3)만주 지린성 북부에 있는 개시장(開市場). 무단강과 쑹화강이 만나는 곳에 있으며 잡곡, 목재, 소가죽 따위의 집산지이다. ⇒규범 표기는 ‘싼성’이다. (4)고려 시대에,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 중서성, 문하성, 상서성을 이른다. (5)중국 당나라 때에,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 중서성, 문하성, 상서성을 이른다. (6)발해 때에,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 중대성, 조성, 정당성을 이른다.
    三: 省: 살필

  • 換骨(환골) : (1)뼈대를 바꾸어 낀다는 뜻으로, 고인의 시문의 형식을 바꾸어서 그 짜임새와 수법이 먼저 것보다 잘되게 함을 이르는 말. (2)사람이 보다 나은 방향으로 변하여 전혀 딴사람처럼 됨. (3)도가(道家)에서, 인간이 속골(俗骨)을 골(仙骨)로 바꾸어 몸에 털이 난다는 뜻으로, 신이 되는 일을 이르는 말.
    換: 바꿀 骨:

  • 頓悟漸修(돈오점수) : 고려 시대에, 지눌이 주장한 불교의 (禪) 수행 방법. 무인 정권 시기에 불교 교단을 개혁하기 위하여 주장한 사상 가운데 하나이다. 부처가 되려면 진심을 깨닫고, 점진적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頓: 조아릴 悟: 깨달을 漸: 점점 修: 닦을

  • 桂林一枝(계림일지) : (1)대수롭지 않은 출세를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의 극(郤詵)이 현량과에 제일(第一)로 천거되었으나 이에 만족하지 않고 겨우 계수나무 숲에서 나뭇가지 하나를 얻었을 뿐이라고 말한 데에서 유래한다. (2)사람됨이 출중하면서도 청빈하고 겸손함을 이르는 말.
    桂: 계수나무 林: 수풀 一: 枝: 가지

  • 上善若水(상선약수) : 최고의 은 물과 같다는 뜻으로, 노자의 사상에서, 물을 이 세상에서 으뜸가는 의 표본으로 여기어 이르던 말.
    上: 善: 착할 若: 같을 水:

  • 爲善最樂(위선최락) : 을 행하는 것이 최고의 즐거움이라는 뜻으로, (善)한 일을 하는 것은 인생 최대의 낙(樂이)라는 의미.
    爲: 善: 착할 最: 가장 樂: 즐거울

  • 仙境(선경) : (1)신이 산다는 곳. (2)경치가 신비스럽고 그윽한 곳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仙: 신선 境: 지경

  • 善巧方便(선교방편) : 중생의 수준이나 능력에 따라 그들을 잘 교화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훌륭한 수단과 방법.
    善: 착할 巧: 공교할 方: 便: 편할

  • 主客顚倒(주객전도) : 주인과 손의 위치가 서로 뒤바뀐다는 뜻으로, 사물의 경중ㆍ후ㆍ완급 따위가 서로 뒤바뀜을 이르는 말.
    主: 주인 客: 顚: 넘어질 倒: 넘어질

  • 蜀犬吠日(촉견폐일) : 식견이 좁은 사람이 현인(賢人)의 언행을 의심하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촉나라는 산이 높고 안개가 항상 짙어 해가 보이는 날이 드물기 때문에 개들이 해를 보면 이상히 여겨 짖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蜀: 나라 이름 犬: 吠: 짖을 日:

  • 南橘北枳(남귤북지) : 강남의 귤을 강북에 심으면 탱자가 된다는 뜻으로, 사람은 사는 곳의 환경에 따라 착하게도 되고 악하게도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南: 남녘 橘: 귤나무 北: 북녘 枳: 가지

  • 馭風之客(어풍지객) : ‘신’을 달리 이르는 말. 바람을 부리는 사람이라는 뜻이다.
    馭: 말 부릴 風: 바람 之: 客:

  • 麻中之蓬(마중지봉) : 삼밭 속의 쑥이라는 뜻으로, 곧은 삼밭 속에서 자란 쑥은 곧게 자라게 되는 것처럼 한 사람과 사귀면 그 감화를 받아 자연히 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麻: 中: 가운데 之: 蓬:

  • 壺中天地(호중천지) : 항아리 속에 있는 신기한 세상이라는 뜻으로, 별천지ㆍ별세계ㆍ경(仙境) 따위를 이르는 말.
    壺: 中: 가운데 天: 하늘 地:

  • 至上命令(지상명령) : 칸트 철학에서, 행위의 결과에 구애됨이 없이 행위 그것 자체가 (善)이기 때문에 무조건 그 수행이 요구되는 도덕적 명령.
    至: 이를 上: 命: 목숨 令: 하여금

  • 禍福無門(화복무문) : 화복은 운명적인 것이 아니라 사람이 한 일을 하거나 악한 일을 함에 따라서 각기 받는다는 말.
    禍: 재난 福: 無: 없을 門:

  • 撫摩(무마) : (1)손으로 두루 어루만짐. (2)타이르고 얼러서 마음을 달램. (3)분쟁이나 사건 따위를 시원스럽게 해결하지 못하고 덮어 버림.
    撫: 어루만질 摩:

  • 禪悅爲食(선열위식) : 정(禪定)의 기쁨으로 몸과 마음을 건전하게 하고 지혜로운 생명을 얻는 일. 음식으로 몸을 기르고 목숨을 보존하는 일에 비유한 말이다.
    禪: 봉선 悅: 기쁠 爲: 食:

  • 哀而不傷(애이불상) : 슬퍼하되 정도를 넘지 아니함.
    哀: 슬플 而: 말 이을 不: 아니 傷: 다칠

  • 三樂(삼악) : (1)≪논어≫에 나오는, 사람이 좋아하는 세 가지. 예악(禮樂)을 절도 있게 좋아하고 남의 을 말하기 좋아하고 어진 벗이 많음을 좋아하는 익자삼요와, 교만하게 즐김을 좋아하고 편안히 놀기를 좋아하며 주색을 좋아하는 손자삼요가 있다. (2)군자의 세 가지 즐거움. 부모가 살아 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 하늘과 사람에게 부끄러워할 것이 없는 것,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3)인생의 세 가지 즐거움. 사람으로 태어난 것, 사내로 태어난 것, 장수하는 것을 이른다. (4)삼락(三樂) 가운데 셋째 가는 즐거움. 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가르치는 것을 이른다. (5)국악에서, 아악(雅樂)ㆍ당악(唐樂)ㆍ향악(鄕樂)의 세 갈래 음악을 통틀어 이르는 말.
    三: 樂: 즐거울

  • 刻鵠類鵝(각곡유아) : 고니를 새기려다 실패(失敗)해도 거위와 비슷하게는 된다는 뜻으로, (1) 성현(聖賢)의 글을 배움에 그것을 완전(完全)히 다 익히지는 못하더라도 최소한(最小限) 인(善人)은 될 수 있다는 말 (2) 학업(學業)에 정진(精進)하여 어느 정도(程度) 성과(成果)가 있다는 말.
    刻: 새길 鵠: 고니 鵝: 거위

#재앙 64 #고사 108 #바람 136 #노력 69 #형제 68 #물건 136 #마음 496 #세상 339 #어려움 105 #이익 89 #재능 61 #이름 211 #임금 189 #모양 142 #백성 105 #머리 141 #시대 114 #지위 65 #문장 59 #상대 56 #처음 91 #여자 101 #아래 86 #어머니 72 #은혜 70 #생각 236 #자식 104 #상황 119 #목숨 58 #형용 67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5개) : 사, 삭, 삮, 삯, 산, 살, 삵, 삶, 삷, 삼, 삽, 삿, 상, 샅, 샆, 새, 색, 샋, 샌, 샐, 샘, 샙, 샛, 생, 샤, 샥, 샨, 샬, 샴, 샵, 샷, 샹, 섀, 섐, 섕, 서, 석, 섟, 선, 설, 섥, 섬, 섭, 섯, 성, 섶, 세, 섹, 센, 섿, 셀, 셈, 셉, 셋, 셍, 셑, 셓, 셔, 셗, 션, 셤, 셧, 셮, 셰, 셸, 솀, 솃, 소, 속, 손, 솔, 솕, 솜, 솝, 솟, 송, 솣, 솤, 솥, 솧, 솨, 솩, 솰, 쇄, 쇅, 쇔, 쇠, 쇡, 쇤, 쇰, 쇼, 숀, 숄, 숌, 숏, 숑, 숗, 수, 숙, 숚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