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에 관한 한자 모두 82

  • 自身之策 획순 自身之策(자신지책) : 자기(自己) 한 몸의 생활(生活)을 꾀해 나갈 계책(計策).
    自: 스스로 身: 之: 策:

  • 吸風飮露 획순 吸風飮露(흡풍음로) : 바람을 호흡하며 이슬을 마신다는 뜻으로, 신선(神仙)의 생활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吸: 숨들이쉴 風: 바람 飮: 마실 露: 이슬

  • 簞食瓢飮 획순 簞食瓢飮(단사표음) : 대나무로 만든 밥그릇에 담은 밥과 표주박에 든 물이라는 뜻으로, 청빈하고 소박한 생활을 이르는 말.
    簞: 대광주리 食: 瓢: 飮: 마실

  • 糊口之策 획순 糊口之策(호구지책) : 가난한 살림에서 그저 겨우 먹고살아 가는 방책.
    糊: 口: 之: 策:

  • 四邪命食 획순 四邪命食(사사명식) : 승려의 떳떳하지 못한 네 가지 생활 방식. 하구식(下口食), 앙구식(仰口食), 방구식(方口食), 유구식(維口食)이다. 비구는 본디 걸식 생활을 본의로 하는데 다른 생활도 함을 이르는 말이다.
    四: 邪: 간사할 命: 목숨 食:

  • 梅妻鶴子(매처학자) : 유유자적한 풍류 생활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임포(林逋)가 서호(西湖)에 은거하면서, 처자도 없이 오직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며 생활을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
    梅: 매화나무 妻: 아내 鶴: 子: 아들

  • 草根木皮(초근목피) : (1)풀뿌리와 나무껍질이라는 뜻으로, 맛이나 영양 가치가 없는 거친 음식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한약의 재료를 이르는 말.
    草: 根: 뿌리 木: 나무 皮: 가죽

  • 天寒白屋(천한백옥) : 추운 날의 허술한 초가집이라는 뜻으로, 엄동설한에 떠는 가난한 생활을 이르는 말.
    天: 하늘 寒: 白: 屋:

  • 陋巷簞瓢(누항단표) : (1)‘누항단표’의 북한어. (2)누항에서 먹는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물이라는 뜻으로, 선비의 청빈한 생활을 이르는 말.
    巷: 거리 簞: 대광주리 瓢:

  • 坐臥起居(좌와기거) : (1)‘일상생활’을 달리 이르는 말. (2)좌와와 기거를 아울러 이르는 말.
    坐: 앉을 臥: 누울 起: 일어날 居: 있을

  • 采菊東籬下(채국동리하) : 동쪽 울타리 밑의 국화를 따다는 뜻으로, 은자(隱者)의 생활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도잠(陶潛)의 시 고사에서 연유함.
    采: 菊: 국화 東: 동녘 籬: 울타리 下: 아래

  • 自然選擇(자연선택) : 자연계에서 그 생활 조건에 적응하는 생물은 생존하고, 그러지 못한 생물은 저절로 사라지는 일. 다윈이 도입한 개념이다.
    自: 스스로 然: 그러할 選: 가릴 擇: 가릴

  • 溫衣美飯(온의미반) : 따뜻한 옷과 맛좋은 밥이라는 뜻으로, 따뜻한 의복을 입고 맛있는 음식을 먹는 안락한 생활을 한다는 의미.
    溫: 따뜻할 衣: 美: 아름다울 飯:

  • 各房居處(각방거처) : 부부 또는 가족이 한집에 살면서 각각 딴 방에서 생활함.
    各: 각각 房: 居: 있을 處: 머무를

  • 波瀾萬丈(파란만장) : 사람의 생활이나 일의 진행이 여러 가지 곡절과 시련이 많고 변화가 심함.
    波: 물결 瀾: 물결 萬: 일만 丈: 어른

  • 冶家無食刀(야가무식도) : 대장간에서 식칼이 논다는 뜻으로, 생활에 쫓겨 남의 바라지만 하고 정작 제 집엔 등한시한다는 의미나, 마땅히 흔해야 할 곳에 도리어 그 물건이 부족하거나 없는 상황을 이르는 의미를 지닌 한역(漢譯) 속담.
    冶: 불릴 家: 無: 없을 食: 刀:

  • 水火無交(수화무교) : 물과 불도 교류함이 없다는 뜻으로, 물이나 불처럼 생활의 필수품도 서로 빌리지 않는 것처럼 아주 담을 쌓고 지낸다는 의미.
    水: 火: 無: 없을 交: 사귈

  • 父傳子承(부전자승) : 아들의 성격이나 생활 습관 따위가 아버지로부터 대물림된 것처럼 같거나 비슷함.
    父: 아비 傳: 전할 子: 아들 承: 이을

  • 江湖歌道(강호가도) : 조선 시대에, 은자(隱者)나 시인(詩人), 묵객(墨客) 들이 현실을 도피하여 자연을 벗 삼아 지내면서 일으킨 시가 창작의 한 경향.
    江: 湖: 호수 歌: 노래 道:

  • 波瀾曲折(파란곡절) : 사람의 생활이나 일의 진행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나 시련. 또는 그런 변화.
    波: 물결 瀾: 물결 曲: 굽을 折: 꺾을

  • 美風良俗(미풍양속) : 아름답고 좋은 풍속이나 기풍.
    美: 아름다울 風: 바람 俗: 풍속

  • 節儉之心(절검지심) : 절약하고 검소하게 생활하는 마음.
    節: 마디 儉: 검소할 之: 心: 마음

  • 魚鹽柴水(어염시수) : 생선ㆍ소금ㆍ땔나무ㆍ물이라는 뜻으로, 생활에 필요한 물품을 통틀어 이르는 말.
    魚: 고기 鹽: 소금 柴: 水:

  • 身邊雜記(신변잡기) : 자신의 주변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일을 적은 수필체의 글.
    身: 邊: 雜: 섞일 記: 적을

  • 晝寢夜梳(주침야소) : 낮잠 자는 일과 밤에 하는 빗질이라는 뜻으로, 위생에 해로운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晝: 寢: 잠잘 夜: 梳:

  • 醉飽淫臥(취포음와) : 취하도록 배불리 먹고 음탕하게 누워잔다는 뜻으로, 술과 음식을 배불리 먹고 음탕하게 잠을 자듯 문란한 생활을 이르는 말.
    醉: 취할 飽: 배부를 淫: 음란할 臥: 누울

  • 塗炭之苦(도탄지고) : 진구렁에 빠지고 숯불에 타는 괴로움을 이르는 말. ≪서경≫의 <중훼지고편(仲虺之誥篇)>에 나오는 말이다.
    塗: 진흙 炭: 之: 苦:

  • 居敬窮理(거경궁리) : 주자학에서 중시하는, 학문 수양의 두 가지 방법. 거경은 내적 수양법으로 항상 몸과 마음을 삼가서 바르게 가지는 일이고, 궁리는 외적 수양법으로 널리 사물의 이치를 궁구하여 정확한 지식을 얻는 일이다.
    居: 있을 敬: 공경 窮: 다할 理: 다스릴

  • 樂而思蜀(낙이사촉) : (1) 타향(他鄕)의 생활(生活)이 즐거워 고향(故鄕) 생각을 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 (2) 눈앞의 즐거움에 겨워 근본(根本)을 잊게 될 때를 비유(比喩).
    而: 말 이을 思: 생각할 蜀: 나라 이름

  • 市井無賴(시정무뢰) : 펀둥펀둥 놀면서 방탕한 생활을 하며 시중에 떠돌아다니는 점잖지 못한 무리.
    市: 저자 井: 우물 無: 없을 賴: 힘입을

  • 邯鄲之枕(한단지침) :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邯: 땅 이름 鄲: 조나라 서울 之: 枕: 베개

  • 桂玉之艱(계옥지간) : 계수나무보다 비싼 장작과 옥보다 귀한 쌀로 생활하는 어려움이라는 뜻으로, 물가가 비싼 도회지에서 고학(苦學)하는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桂: 계수나무 玉: 구슬 之: 艱: 어려울

  • 暖衣飽食(난의포식) : 따뜻하게 입고 배불리 먹음.
    暖: 따뜻할 衣: 飽: 배부를 食:

  • 父子相傳(부자상전) : 아들의 성격이나 생활 습관 따위가 아버지로부터 대물림된 것처럼 같거나 비슷함.
    父: 아비 子: 아들 相: 서로 傳: 전할

  • 飽暖生淫欲(포난생음욕) : 배부르고 따뜻하면 음탕한 욕구가 생긴다는 뜻으로, 안일한 생활을 하면 저절로 음탕한 생각을 하게 된다는 의미.
    飽: 배부를 暖: 따뜻할 生: 淫: 음란할 欲: 하고자 할

  • 酒池肉林(주지육림) : 술로 연못을 이루고 고기로 숲을 이룬다는 뜻으로, 호사스러운 술잔치를 이르는 말. 중국 은나라 주왕이 못을 파 술을 채우고 숲의 나뭇가지에 고기를 걸어 잔치를 즐겼던 일에서 유래한다.
    酒: 池: 肉: 고기 林: 수풀

  • 不正腐敗(부정부패) : 바르지 못하고 타락함.
    不: 아닌가 正: 바를 腐: 썩을 敗: 패할

  • 浮浪子弟(부랑자제) : 떠돌아다니며 방탕한 생활을 하는 청소년을 완곡하게 이르는 말.
    浮: 浪: 물결 子: 아들 弟: 아우

  • 山上垂訓(산상수훈) : 신약 성경 가운데 <마태복음> 5~7장에 실려 있는 예수의 가르침. 신앙생활의 근본 원리가 간명하게 정리ㆍ기술되어 있다.
    山: 上: 垂: 드리울 訓: 가르칠

  • 耕山釣水(경산조수) : 산에서 밭을 갈고 물에서 고기를 낚는다는 뜻으로, 속세를 떠나 산중에서 농사를 짓고 사는 은둔 생활을 이르는 말.
    耕: 山: 釣: 낚시 水:

  • 長醉不醒(장취불성) : 늘 술에 취하여 깨어나지 아니함.
    長: 醉: 취할 不: 아니 醒:

  • 捉襟見肘(착금현주) : 옷깃을 당기면 팔꿈치가 드러난다는 뜻으로, 생활이 극도로 빈한(貧寒)하거나 이것저것 미처 돌볼 수 없는 딱한 사정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捉: 잡을 襟: 옷깃 見: 나타날 肘: 팔꿈치

  • 八包大商(팔포대상) : (1)조선 후기에, 중국 청나라 연경에 가는 사신을 따라가서 홍삼을 팔도록 허가를 받은 의주 상인. (2)생활에 걱정이 없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八: 여덟 包: 大: 商: 헤아릴

  • 桂玉之愁(계옥지수) : 계수나무보다 비싼 장작과 옥보다 귀한 쌀로 생활하는 근심이라는 뜻으로, 다른 나라에 살면서 겪는 괴로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桂: 계수나무 玉: 구슬 之: 愁: 시름

  • 朝不食夕不食(조불식석불식) : 아침도 굶고 저녁도 굶는다는 뜻으로, 몹시 가난하여 끼니를 늘 굶음을 이르는 말.
    朝: 아침 不: 아니 食: 夕: 저녁 不: 아니 食:

  • 米珠薪桂(미주신계) : 쌀은 구슬처럼 비싸고 땔감은 계수나무처럼 비싸다는 뜻으로, 기본적인 생활의 필수품들이 너무 비싸 살기가 어렵다는 의미.
    米: 珠: 구슬 薪: 섶나무 桂: 계수나무

  • 食玉炊桂(식옥취계) : 옥을 먹고 계수나무를 땐다는 뜻으로, 식량이 옥보다 비싸고 땔감이 계수나무보다 비싸기 때문에 옥을 먹고 계수나무를 때는 것처럼, 물가가 비싸 생활이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食: 玉: 구슬 炊: 불땔 桂: 계수나무

  • 擊鐘鼎食(격종정식) : 종을 쳐서 식솔(食率)을 모아 솥을 걸어 놓고 먹는다는 뜻으로, 부유(富裕)한 생활(生活)을 이르는 말.
    擊: 鐘: 鼎: 食:

  • 利用厚生(이용후생) : (1)‘이용후생’의 북한어. (2)기구를 편리하게 쓰고 먹을 것과 입을 것을 넉넉하게 하여, 국민의 생활을 나아지게 함.
    用: 厚: 두터울 生:

  • 別無長物(별무장물) : 필요한 것 이외에는 갖지 않음. 검소한 생활(生活).
    別: 나눌 無: 없을 長: 物: 만물

  • 波瀾重疊(파란중첩) : 사람의 생활이나 일의 진행에 여러 가지 곤란이나 시련이 많음.
    波: 물결 瀾: 물결 重: 무거울 疊: 겹쳐질

  • 風餐露宿(풍찬노숙) : 바람을 먹고 이슬에 잠잔다는 뜻으로, 객지에서 많은 고생을 겪음을 이르는 말.
    風: 바람 餐: 먹을 宿: 묵을

  • 擊壤老人(격양노인) : 태평(太平)한 생활(生活)을 즐거워하여 노인(老人)이 땅을 치며 노래함.
    擊: 壤: 人: 사람

  • 同苦同樂(동고동락) : 괴로움도 즐거움도 함께함.
    同: 한가지 苦: 同: 한가지 樂: 즐거울

  • 穴居野處(혈거야처) : 흙이나 바위의 굴속이나 한데에서 삶.
    穴: 구멍 居: 있을 野: 處: 머무를

  • 鼓腹(고복) : 배를 두드린다는 뜻으로, 생활이 풍족하여 태평한 세월을 즐김을 이르는 말.
    鼓: 腹:

  • 父傳子傳(부전자전) : 아들의 성격이나 생활 습관 따위가 아버지로부터 대물림된 것처럼 같거나 비슷함.
    父: 아비 傳: 전할 子: 아들 傳: 전할

  • 山上寶訓(산상보훈) : 신약 성경 가운데 <마태복음> 5~7장에 실려 있는 예수의 가르침. 신앙생활의 근본 원리가 간명하게 정리ㆍ기술되어 있다.
    山: 上: 寶: 보배 訓: 가르칠

  • 下流階級(하류계급) : 신분이나 생활 수준 따위가 낮은 사람들의 계급.
    下: 아래 流: 흐를 階: 섬돌 級: 등급

  • 筆耕硯田(필경연전) : 붓으로 쟁기질하고 벼루로 밭을 일군다는 뜻으로, 글을 쓰는 문필(文筆)로 생활을 함을 이르는 말.
    筆: 耕: 硯: 벼루 田:

  • 飽食暖衣(포식난의) : 배부르게 먹고 따뜻하게 입는다는 뜻으로, 의식(衣食)이 넉넉하게 지냄을 이르는 말.
    飽: 배부를 食: 暖: 따뜻할 衣:

  • 閑雲野鶴(한운야학) : 한가로이 떠도는 구름과 들에 노니는 학이라는 뜻으로, 아무 매인 데 없는 한가로운 생활로 유유자적하는 경지를 이르는 말.
    閑: 한가할 雲: 구름 野: 鶴:

  • 朝薺暮鹽(조제모염) : 아침에는 냉이를 저녁에는 소금을 먹는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한 살림살이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朝: 아침 薺: 냉이 暮: 저물 鹽: 소금

  • 安貧樂道(안빈낙도) : 가난한 생활을 하면서도 편안한 마음으로 도를 즐겨 지킴.
    安: 편안할 貧: 가난할 道:

  • 錦衣玉食(금의옥식) : 비단옷과 흰쌀밥이라는 뜻으로, 호화스럽고 사치스러운 생활을 이르는 말.
    錦: 비단 衣: 玉: 구슬 食:

  • 塗中曳尾(도중예미) : 진흙 속에 꼬리를 끌고 다닌다는 뜻으로, 세상을 피하여 숨어서 사는 생활의 자유로움을 이르는 말. 거북이 죽은 뒤에 그 등껍질이 점치는 데 귀하게 쓰이는 것보다는 살아서 꼬리를 진흙 속에 끌고 다니는 것이 더 좋은 것처럼 벼슬하여 속박을 받기보다는 은거하여 자유롭게 사는 것이 더 낫다고 한 장자(莊子)의 말에서 유래하였다.
    塗: 진흙 中: 가운데 曳: 尾: 꼬리

  • 鐘鳴鼎食(종명정식) : 끼니때에 종을 쳐서 식구를 모으고 솥을 늘어놓고 먹는다는 뜻으로, 부귀한 집의 생활을 이르는 말.
    鐘: 鳴: 鼎: 食:

  • 木壚酒店(목로주점) : (1)널빤지로 좁고 기다랗게 만든 상인 목로를 차려 놓고 술을 파는 집. (2)프랑스의 자연주의 문학의 거장 졸라의 소설. ≪루공 마카르 총서(叢書)≫의 제7권으로 1877년 간행했다. 여주인공인 제르베즈의 생애를 통해 문란한 생활과 알코올 중독으로 파멸해 가는 노동자들의 생활상을 그리고 있다.
    木: 나무 壚: 흑토 酒: 店: 가게

  • 朝東暮西(조동모서) : 아침에는 동쪽, 저녁에는 서쪽이라는 뜻으로, 일정한 주소가 없이 이리저리 옮겨 다니는 생활을 이르는 말.
    朝: 아침 東: 동녘 暮: 저물 西: 서녘

  • 規矩準繩(규구준승) : (1)목수가 쓰는 걸음쇠, 곱자, 수준기, 다림줄을 통틀어 이르는 말. (2)일상생활에서 지켜야 할 법도.
    規: 矩: 곱자 準: 법도 繩: 노끈

  • 經世濟民(경세제민) : 세상을 다스리고 백성을 구제함.
    經: 지날 世: 인간 濟: 건널 民: 백성

  • 擊壤歌(격양가) : 풍년이 들어 농부가 태평한 세월을 즐기는 노래. 중국의 요임금 때에, 태평한 생활을 즐거워하여 불렀다고 한다.
    擊: 壤: 歌: 노래

  • 山上說敎(산상설교) : 신약 성경 가운데 <마태복음> 5~7장에 실려 있는 예수의 가르침. 신앙생활의 근본 원리가 간명하게 정리ㆍ기술되어 있다.
    山: 上: 說: 말씀 敎: 가르칠

  • 象牙塔(상아탑) : (1)속세를 떠나 오로지 학문이나 예술에만 잠기는 경지. 프랑스의 시인이자 비평가인 생트뵈브가 낭만파 시인 비니의 태도를 비평하며 쓴 데서 유래한다. (2)‘대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象: 코끼리 牙: 어금니 塔:

  • 山棲谷飮(산서곡음) : 산에 깃들어 살며 계곡 물을 마신다는 뜻으로, 은자(隱者)의 생활을 비유하는 말.
    山: 棲: 谷: 飮: 마실

  • 三遷之敎(삼천지교) : 맹자가 어렸을 때 묘지 가까이 살았더니 장사 지내는 흉내를 내기에, 맹자 어머니가 집을 시전 근처로 옮겼더니 이번에는 물건 파는 흉내를 내므로, 다시 글방이 있는 곳으로 옮겨 공부를 시켰다는 것으로, 맹자의 어머니가 아들을 가르치기 위하여 세 번이나 이사를 하였음을 이르는 말.
    三: 遷: 옮길 之: 敎: 가르칠

  • 簞瓢陋巷(단표누항) : 누항에서 먹는 한 그릇의 밥과 한 바가지의 물이라는 뜻으로, 선비의 청빈한 생활을 이르는 말.
    簞: 대광주리 瓢: 巷: 거리

  • 塗炭(도탄) : 진구렁에 빠지고 숯불에 탄다는 뜻으로, 몹시 곤궁하여 고통스러운 지경을 이르는 말.
    塗: 진흙 炭:

  • 鑿飮耕食(착음경식) : 우물을 파서 마시며 밭을 갈아먹는다는 뜻으로, 천하가 태평하고 생활이 안락함을 이르는 말. 요나라 때에 어떤 노인이 부른 배와 땅을 두들기며 읊은 노래에서 유래한다.
    鑿: 뚫을 飮: 마실 耕: 食:

  • 自然淘汰(자연도태) : 자연계에서 그 생활 조건에 적응하는 생물은 생존하고, 그렇지 못한 생물은 저절로 사라지는 일. 다윈이 도입한 개념이다.
    自: 스스로 然: 그러할 淘: 汰:

  • 長者三代(장자삼대) : 부자(富者)는 3대(三代)까지 가기 어렵다는 말, 곧 아버지가 고생(苦生)해서 재산(財産)을 만들고, 그것을 보고 자란 아들인 2대는 그것을 잘 지키지만, 3대인 손자(孫子)는 생활(生活)이 사치(奢侈)하여 마침내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이룩한 가산을 탕진(蕩盡)하는 예가 많음을 이르는 말.
    長: 者: 三: 代: 대신

  • 呂翁枕(여옹침) : 인생의 덧없음과 영화의 헛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 노생(盧生)이라는 소년이 한단(邯鄲)의 여사(旅舍)에서 도사 여옹(呂翁)의 베개를 베고 잠을 자는데 메조 밥을 짓는 사이에 팔십 년간의 영화스러운 생활을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翁: 늙은이 枕: 베개

#모양 142 #나이 97 #은혜 70 #의미 1817 #재주 82 #가운데 104 #근본 66 #방법 59 #벼슬 88 #바람 136 #사이 200 #행동 137 #아침 72 #여자 101 #유래 280 #물건 136 #구름 67 #천하 94 #세월 71 #훌륭 85 #목숨 58 #서로 71 #모습 66 #무리 64 #관계 90 #때문 58 #아래 86 #사용 312 #형용 67 #인간 65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615개) : 사하, 사학, 사한, 사할, 사함, 사합, 사항, 사해, 사핵, 사행, 사향, 사헐, 사헤, 사혁, 사현, 사혈, 사혐, 사형, 사혜, 사호, 사혹, 사혼, 사홈, 사화, 사환, 사활, 사황, 사홰, 사회, 사횡, 사효, 사후, 사훈, 사훤, 사훼, 사휘, 사흔, 사흘, 사흥, 사희, 삭하, 삭회, 삭흔, 산하, 산학, 산한, 산합, 산해, 산행, 산향, 산험, 산현, 산혈, 산협, 산형, 산호, 산화, 산회, 산효, 산후, 산훼, 산휴, 산희, 살해, 살헤, 살현, 살홍, 살활, 살획, 살흉, 살흙, 삼하, 삼학, 삼한, 삼함, 삼합, 삼행, 삼향, 삼허, 삼헌, 삼혁, 삼현, 삼형, 삼혜, 삼호, 삼혹, 삼혼, 삼화, 삼환, 삼황, 삼회, 삼효, 삼휘, 삼흉, 삼힐, 삽향, 삽혈, 삽혜, 삽화, 상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