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129

  • 濫竽 획순 濫竽(남우) : 무능한 사람이 재능이 있는 체하는 것이나 또는 실력이 없는 사람이 어떤 지위에 붙어 있는 일을 이르는 말. 중국 제(齊)나라 때에, 남곽이라는 사람이 생황을 줄 모르면서 악사(樂士)들 가운데에 끼어 있다가 한 사람씩 게 하자 도망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竽: 피리

  • 雪上加霜 획순 雪上加霜(설상가상) :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으로, 난처한 일이나 행한 일이 잇따라 일어남을 이르는 말.
    雪: 上: 加: 더할 霜: 서리

  • 薪盡火滅 획순 薪盡火滅(신진화멸) : 나무가 다 타서 없어지고 이 꺼졌다는 뜻으로, 사람의 죽음이나 사물의 멸망을 이르는 말.
    薪: 섶나무 盡: 다할 火: 滅: 멸망할

  • 長夜之飮 획순 長夜之飮(장야지음) : 밤새도록 술을 마심. 또는 그 술.
    長: 夜: 之: 飮: 마실

  • 驟雨不終日 획순 驟雨不終日(취우부종일) : 소나기는 하루 종일 오지 않는다는 뜻으로, 위세(威勢)를 부리는 자는 오래가지 않음을 비유하거나, 급히 서두르는 일이 오래 계속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權不十年 (권십년)].
    驟: 달릴 雨: 不: 아닌가 終: 끝날 日:

  • 人生無常(인생무상) : 인생이 덧없음.
    人: 사람 生: 無: 없을 常: 항상

  • 負薪入火(부신입화) : 섶을 짊어지고 로 들어간다는 뜻으로, 자신의 그릇된 짓으로 인해 화를 당한다는 의미.
    負: 薪: 섶나무 入: 火:

  • 度外視(도외시) : 상관하지 아니하거나 무시함.
    度: 법도 外: 바깥 視:

  • 杯水車薪(배수거신) : 한 잔의 물로 수레의 장작에 끼얹는다는 뜻으로, 아무 소용없는 짓을 비유하는 말.
    杯: 水: 車: 수레 薪: 섶나무

  • 香火一爐燈一盞(향화일로등일잔) : 하나의 향롯과 하나의 등이라는 뜻으로, 중의 주거(住居)를 이르는 말.
    香: 향기 火: 一: 爐: 화로 燈: 등불 一: 盞:

  • 無量淸淨土(무량청정토) : 아미타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로, 괴로움이 없으며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 인간 세계에서 서쪽으로 10만억 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다.
    無: 없을 量: 헤아릴 淸: 맑을 淨: 깨끗할 土:

  • 解義抱火(해의포화) : 옷을 벗고 을 안는다는 뜻으로, 재난(災難)을 자초함을 이르는 말.
    解: 義: 옳을 抱: 안을 火:

  • 燃眉之厄(연미지액) : 눈썹에 이 붙은 것처럼 매우 급하게 닥친 액화.
    燃: 사를 眉: 눈썹 之: 厄: 재앙

  • 胡馬依北風(호마의북풍) : 호(胡)나라의 말은 호나라 쪽에서 어오는 북풍이 때마다 고향을 그리워한다는 뜻으로, 고향을 몹시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胡: 오랑캐 馬: 依: 의지할 北: 북녘 風: 바람

  • 炮烙之刑(포락지형) : (1)뜨겁게 달군 쇠로 살을 지지는 형벌. (2)중국 은나라 주왕(紂王) 때, 기름칠한 구리 기둥을 숯 위에 걸쳐 놓고 죄인을 그 위로 건너가게 하던 형벌.
    炮: 구울 烙: 지질 之: 刑: 형벌

  • 抱炭希涼(포탄희량) : 을 끼고 있으면서 시원하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하는 일과 바라는 일이 일치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抱: 안을 炭: 希: 바랄 涼: 서늘할

  • 往生極樂(왕생극락) : 죽어서 극락에 다시 태어남.
    往: 生: 極: 다할 樂: 즐거울

  • 井中求火(정중구화) : 우물 속에서 을 구한다는 뜻으로, 어리석어 사리에 밝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井: 우물 中: 가운데 求: 구할 火:

  • 白白紅紅(백백홍홍) : 희끗희끗하고 긋한 모양.
    白: 白: 紅: 붉을 紅: 붉을

  • 難行苦行(난행고행) : (1)아주 심하게 고생함. (2)몹시 괴로운 수행.
    難: 어려울 行: 苦: 行:

  • 照松之勤(조송지근) : 소나무에 비춘 부지런함이라는 뜻으로, 등을 켤 돈이 없어서 관솔[송진이 많이 엉긴 소나무 가지나 옹이에 붙인 ]에 비춰 글을 읽는 일에서 면학(勉學)에 간절함을 이르는 말.
    照: 비출 松: 之: 勤: 부지런할

  • 水火無交(수화무교) : 물과 도 교류함이 없다는 뜻으로, 물이나 처럼 생활의 필수품도 서로 빌리지 않는 것처럼 아주 담을 쌓고 지낸다는 의미.
    水: 火: 無: 없을 交: 사귈

  • 燈臺不自照(등대부자조) : 등대는 자신을 비추지 못한다는 뜻으로, 남의 일은 잘 보이나 자신의 일은 도리어 잘 보지 못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燈: 등불 臺: 不: 아닌가 自: 스스로 照: 비출

  • 自然悟道(자연오도) : 남의 가르침을 받지 아니하고 스스로 도를 깨달음.
    自: 스스로 然: 그러할 悟: 깨달을 道:

  • 得魚忘筌(득어망전) : 물고기를 잡으면 통발을 잊는다는 뜻으로, 바라던 바를 이루고 나면 이를 이루기 위하여 했던 일들을 잊어버림을 이르는 말. ≪장자≫의 <외물편(外物篇)>에 나오는 말이다.
    得: 얻을 魚: 고기 忘: 잊을 筌: 통발

  • 茶飯事(다반사) : 차를 마시고 밥을 먹는 일이라는 뜻으로, 보통 있는 예사로운 일을 이르는 말.
    茶: 飯: 事:

  • 半身不隨(반신불수) : 병이나 사고로 반신이 마비되는 일. 또는 그런 사람.
    半: 身: 不: 아니 隨: 따를

  • 羊腸小徑(양장소경) : 양의 창자처럼 구 휘고 좁은 길이라는 뜻으로, 대학(大學) 입시나 입사 시험(試驗) 등(等)의 합격(合格)의 어려움을 이르는 말.
    羊: 腸: 창자 小: 작을 徑: 지름길

  • 燒眉之急(소미지급) : 눈썹에 이 붙었다는 뜻으로, 매우 급함을 이르는 말.
    燒: 사를 眉: 눈썹 之: 急: 급할

  • 焦眉之急(초미지급) : 눈썹에 이 붙어 다급하다는 뜻으로, 매우 급함을 이르는 말.
    焦: 그스를 眉: 눈썹 之: 急: 급할

  • 抱火臥薪(포화와신) : 을 안고 섶나무 위에 눕는다는 뜻으로, 점점 더 위험(危險)한 짓을 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抱: 안을 火: 臥: 누울 薪: 섶나무

  • 戒足(계족) : ‘계’를 달리 이르는 말. 사람 몸의 발과 같이 계가 자를 열반에 이르게 한다는 뜻이다.
    戒: 경계할 足:

  • 安樂國(안락국) : 아미타이 살고 있는 정토(淨土)로, 괴로움이 없으며 지극히 안락하고 자유로운 세상. 인간 세계에서 서쪽으로 10만억 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다.
    安: 편안할 樂: 즐거울 國: 나라

  • 自業自得(자업자득) : 자기가 저지른 일의 결과를 자기가 받음.
    自: 스스로 業: 自: 스스로 得: 얻을

  • 乞火不若取燧(걸화불약취수) : 남의 을 꾸기보다는 제 부시로 을 일으키는 것이 낫다는 뜻으로, 구걸(求乞)하기보다는 스스로 노력(努力)하는 것이 낫다는 말.
    乞: 火: 不: 아니 若: 같을 取: 취할 燧: 부싯돌

  • 水火相克(수화상극) : 물과 이 서로 부딪힌다는 뜻으로, 수화(水火)가 용납되지 못하는 것처럼 서로 원수 사이가 되는 것.
    水: 火: 相: 서로 克: 이길

  • 唯我獨尊(유아독존) : (1)우주 가운데 자기보다 더 존귀한 이는 없음. 석가모니가 태어났을 때 처음으로 한 말이라고 한다. (2)세상에서 자기 혼자 잘났다고 뽐내는 태도.
    唯: 오직 我: 獨: 홀로 尊: 높을

  • 火上添油(화상첨유) : 위에 기름을 더한다는 뜻으로, 난데 기름을 끼얹듯 화란(禍亂)을 조장(助長)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火: 上: 添: 더할 油: 기름

  • 抱薪救火(포신구화) : 땔나무를 안고 을 끈다는 뜻으로, 잘못된 방법으로 해를 막으려다가 도리어 더 해롭게 함을 이르는 말.
    抱: 안을 薪: 섶나무 救: 건질 火:

  • 焦頭爛額(초두난액) : 에 머리를 태우고 이마를 그슬려 가며 을 끈다는 뜻으로, 어려운 일을 당하여 몹시 애쓰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십팔사략≫, ≪통감(通鑑)≫, ≪한서(漢書)≫의 <곽광전(霍光傳)>에 나온다.
    焦: 그스를 頭: 머리 額: 이마

  • 斷不饒貸(단불요대) : 단연코 용서하지 아니함.
    斷: 끊을 不: 아니 饒: 넉넉할 貸: 빌릴

  • 惡因惡果(악인악과) : 나쁜 일을 하면 반드시 나쁜 결과가 따름.
    惡: 악할 因: 인할 惡: 악할 果: 실과

  • 過火熟食(과화숙식) : 지나가는 에 음식이 익는다는 뜻으로, 어떤 사람을 위하여 한 것은 아니지만 그 사람에게 은혜가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過: 지날 火: 熟: 익을 食:

  • 電光石火(전광석화) : 번갯이나 부싯돌의 이 번쩍거리는 것과 같이 매우 짧은 시간이나 매우 재빠른 움직임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電: 번개 光: 石: 火:

  • 解衣抱火(해의포화) : 옷을 벗고 을 안는다는 뜻으로, 재난을 자초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解: 衣: 抱: 안을 火:

  • 生老病死(생로병사) : 사람이 나고 늙고 병들고 죽는 네 가지 고통.
    生: 老: 늙을 病: 死: 죽을

  • 花田衝火(화전충화) : 꽃밭에 을 지른다는 뜻으로, 젊은이의 앞길을 막거나 그르치게 함을 이르는 말.
    花: 田: 衝: 찌를 火:

  • 蕙焚蘭悲(혜분난비) : 혜초(蕙草)가 에 타면 난초가 슬퍼한다는 뜻으로, 벗의 행을 함께 슬퍼함을 이르는 말.
    蕙: 향풀 이름 焚: 불사를 悲: 슬플

  • 惡知惡覺(악지악각) : 과(佛果)를 얻는 것을 방해하는 사악한 지식.
    惡: 악할 知: 惡: 악할 覺: 깨달을

  • 突不燃不生煙(돌불연불생연) : 굴뚝에 을 지피지 않으면 연기가 나지 않는다는 뜻으로, 원인이 없는 결과는 없음을 이르는 말.
    突: 갑자기 不: 아니 燃: 사를 不: 아니 生: 煙: 연기

  • 明若觀火(명약관화) : 을 보듯 분명하고 뻔함.
    明: 밝을 若: 같을 觀: 火:

  • 浮雲之志(부운지지) : 뜬구름과 같은 일시적인 부귀공명을 바라는 마음.
    浮: 雲: 구름 之: 志:

  • 才氣煥發(재기환발) : 사리(事理) 판단(判斷)이 날카롭고 재능(才能)이 빛난다는 뜻으로, 재주와 슬기가 일어나듯이 나타남을 이르는 말.
    才: 재주 氣: 기운 煥: 불꽃 發:

  • 善男善女(선남선녀) : (1)성품이 착한 남자와 여자란 뜻으로, 착하고 어진 사람들을 이르는 말. (2)곱게 단장을 한 남자와 여자를 이르는 말. (3)법에 귀의한 남자와 여자를 이르는 말.
    善: 착할 男: 사내 善: 착할 女: 여자

  • 舞馬之災(무마지재) : ‘화재’를 달리 이르는 말. 말이 춤을 추는 꿈을 꾸면 이 난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舞: 춤출 馬: 之: 災: 재앙

  • 桑中之喜(상중지희) : 남녀 간의 의(不義)의 쾌락이나 풍속의 퇴폐를 풍자하여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공실(公室)이 음탕하여 뽕나무밭에서 정을 통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桑: 뽕나무 中: 가운데 之: 喜: 기쁠

  • 火得薪而熾(화득신이치) : 은 땔나무를 얻어야 활활 탄다는 뜻으로, 알맞은 때를 만나야 영화롭게 됨을 비유한 말.
    火: 得: 얻을 薪: 섶나무 而: 말 이을 熾: 성할

  • 敢不生意(감불생의) : 감히 엄두도 내지 못함.
    敢: 감히 不: 아니 生: 意:

  • 火德眞君(화덕진군) : 을 맡아 다스린다는 신령.
    火: 德: 眞: 君: 임금

  • 無名業火(무명업화) : 깨우치지 못하고 번뇌(煩惱)에 얽혀 짓는 악업(惡業)을 에 비유(比喩)한 말.
    無: 없을 名: 이름 業: 火:

  • 敲氷求火(고빙구화) : 얼음을 두드려 을 구(求)한다는 뜻으로, 어떤 일의 가능(不可能)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敲: 두드릴 氷: 얼음 求: 구할 火:

  • 燎原之火(료원지화) : (1)무서운 형세로 타 나가는 벌판의 이라는 뜻으로, 세력이 매우 대단하여 막을 수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요원지화’의 북한어.
    原: 언덕 之: 火:

  • 自行化他(자행화타) : 자기 스스로 도를 닦고 그 얻은 바에 따라 다시 다른 중생을 교화하는 일.
    自: 스스로 行: 化: 화할 他: 다를

  • 負薪救火(부신구화) : 땔나무를 지고 을 끈다는 뜻으로, 재해(災害)를 방지(防止)하려다가, 자기(自己)도 말려들어가 자멸하거나 도리어 크게 손해(損害)를 입음을 이르는 말.
    負: 薪: 섶나무 救: 건질 火:

  • 無眼人(무안인) : 눈이 없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의심이 많고 도를 믿지 않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無: 없을 眼: 人: 사람

  • 有名無實(유명무실) : 이름만 그럴듯하고 실속은 없음.
    有: 있을 名: 이름 無: 없을 實: 열매

  • 玉石俱焚(옥석구분) : 옥이나 돌이 모두 다 에 탄다는 뜻으로, 옳은 사람이나 그른 사람이 구별 없이 모두 재앙을 받음을 이르는 말.
    玉: 구슬 石: 俱: 함께 焚: 불사를

  • 呑刀吐火(탄도토화) : 칼을 삼키고 을 토한다는 뜻으로, 요술이나 마술의 한가지라는 의미.
    呑: 삼킬 刀: 吐: 토할 火:

  • 恒茶飯事(항다반사) : 차를 마시고 밥을 먹는 일이라는 뜻으로, 보통 있는 예사로운 일을 이르는 말.
    恒: 항상 茶: 飯: 事:

  • 煙火中人(연화중인) : 에 익힌 음식을 먹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도가에서 속세의 인간을 이르는 말.
    煙: 연기 火: 中: 가운데 人: 사람

  • 抱火厝薪(포화조신) : 을 안아 땔나무에 놓는다는 뜻으로, 이 타오르는 장작더미 위에 눕는 것처럼, 위험한 짓을 하면서 일시적인 편안을 탐냄을 이르는 말.
    抱: 안을 火: 厝: 薪: 섶나무

  • 善因善果(선인선과) : 선업을 쌓으면 반드시 좋은 과보가 따름.
    善: 착할 因: 인할 善: 착할 果: 실과

  • 赤舌燒城(적설소성) : 군자(君子)를 참해(讒害)하는 소인(小人)의 붉은 혀는 같아서 성곽(城郭)이라도 태워버릴 만하다는 뜻으로, 참소(讒訴ㆍ譖訴)하는 말의 무서움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赤: 붉을 舌: 燒: 사를 城:

  • 火燒眉毛(화소미모) : 이 눈썹 털을 태운다는 뜻으로, 일이 절박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火: 燒: 사를 眉: 눈썹 毛:

  • 曼陀羅供(만다라공) : 진언종에서, 만다라를 공양하는 일. 또는 그런 법회.
    曼: 羅: 그물 供: 이바지할

  • 火光衝天(화광충천) : 이 하늘을 찌를 듯이 몹시 맹렬하게 일어남.
    火: 光: 衝: 찌를 天: 하늘

  • 如蛾赴火(여아부화) : 부나비가 에 날아드는 것과 같다는 뜻으로, 탐욕으로 말미암아 몸을 망치거나 화를 차초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如: 같을 蛾: 나방 赴: 나아갈 火:

  • 府帑蹈火(부탕도화) : 끊는 물이나 뜨거운 도 헤아리지 않고 뛰어든다 함이니, 목숨을 걸고 하는 아주 어렵고 힘든 고욕이나 수난을 이르는 말.
    府: 곳집 帑: 금고 蹈: 밟을 火:

  • 長登施主(장등시주) : 부처 앞에 을 켜는 기름을 시주(施主)함.
    長: 登: 오를 施: 베풀 主: 주인

  • 渴不飮盜泉水(갈불음도천수) : 목이 말라도 도천의 물을 마시지는 않음. 아무리 어려운 상황에 처하여도 잘못된 길을 가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渴: 목마를 不: 아니 飮: 마실 盜: 도둑 泉: 水:

  • 舍車而徒(시거이도) : 수레를 버리고 걸어간다는 뜻으로, 의(不義)의 지위를 버리고 청빈(淸貧)에 만족함을 이르는 말.
    車: 수레 而: 말 이을 徒: 무리

  • 無上之道(무상지도) : ‘도’를 달리 이르는 말. 더할 나위 없이 훌륭한 도라 하여 이렇게 이른다.
    無: 없을 上: 之: 道:

  • 回祿之災(회록지재) : 이 나는 재앙. 또는 로 인한 재난.
    回: 祿: 之: 災: 재앙

  • 杯水輿薪(배수여신) : 잔의 물로 수레에 가득 실린 땔나무에 붙은 을 끄려 한다는 뜻으로, 능력이 도저히 미치지 않아 가능함에도 구하고 어리석은 짓을 한다는 말.
    杯: 水: 輿: 수레 薪: 섶나무

  • 燃眉(연미) : 눈썹에 이 붙었다는 뜻으로, 매우 급함을 이르는 말.
    燃: 사를 眉: 눈썹

  • 茶毘(다비) : 에 태운다는 뜻으로, 시체를 화장(火葬)하는 일을 이르는 말. 육신을 원래 이루어진 곳으로 돌려보낸다는 의미가 있다.
    茶: 毘: 도울

  • 半身不遂(반신불수) : 반신수(半身不隨). (1) 몸의 좌우(左右) 어느 한쪽을 마음대로 잘 쓰지 못함 (2) 또는 그런 사람.
    半: 身: 不: 아니 遂: 드디어

  • 祿不疊受(록불첩수) : (1)두 가지 벼슬을 겸하는 사람이 양쪽의 녹을 겹쳐 받지 아니하고 한 벼슬의 녹만 받도록 하던 규정. (2)‘녹첩수’의 북한어.
    不: 아니 疊: 겹쳐질 受: 받을

  • 戀戀不忘(련련불망) : (1)그리워서 잊지 못함. ⇒규범 표기는 ‘연연망’이다. (2)그리워서 잊지 못함. (3)‘연연망’의 북한어.
    不: 아니 忘: 잊을

  • 依草附木(의초부목) : 풀에 의지하고 나무에 붙는다는 뜻으로, 초목에 의지하는 것처럼 남에게 의뢰함을 이르거나, 가(佛家)에서 사후(死後)에 다음 생(生)을 받지 못한 중간에 영혼이 초목의 그늘에 머물고 있다는 의미로도 사용됨.
    依: 의지할 草: 附: 붙을 木: 나무

  • 死灰復然(사회부연) : 사그라진 재에서 이 되살아난다는 뜻으로, 세력(勢力)을 잃은 사람이 다시 세력(勢力)을 얻음.
    死: 죽을 灰: 復: 다시 然: 그러할

  • 石火光陰(석화광음) : 돌이 부딪칠 때 빛이 한 번 번쩍하고 곧 없어진다는 뜻으로, 세월이 매우 빨리 지나감을 이르는 말.
    石: 火: 光: 陰: 응달

  • 飛蛾赴火(비아부화) : 나방이 날아 로 달려든다는 뜻으로, 스스로 위험한 곳에 뛰어들어 화를 자초한다는 의미.《양서(梁書)》.
    飛: 蛾: 나방 赴: 나아갈 火:

  • 杯水救車(배수구거) : 한 잔의 물로 수레에 가득 실린 땔나무에 붙은 을 끄려 한다는 뜻으로, 능력이 도저히 미치지 않아 가능함에도 구하고 어리석은 짓을 한다는 말.
    杯: 水: 救: 건질 車: 수레

  • 死灰復燃(사회부연) : 죽은 씨에 다시 이 붙었다는 뜻으로, 세력을 잃었던 사람이 다시 세력을 얻음을 이르는 말. ≪사기≫의 <한장유열전(韓長孺列傳)>에 나오는 말이다.
    死: 죽을 灰: 復: 다시 燃: 사를

  • 鼻頭出火(비두출화) : 코끝에서 을 뿜는다는 뜻으로, 곧 기세가 몹시 성함을 비유하는 말.
    鼻: 頭: 머리 出: 火:

  • 勇猛精進(용맹정진) : 용맹스럽게 힘써 나간다는 뜻으로, 가(佛家)에서 용맹스럽게 도(佛道)를 수행(修行)함을 이르거나, 아주 강하게 정진(精進)에 힘씀을 이르는 말.
    勇: 날랠 猛: 사나울 精: 정미할 進: 나아갈

  • 旁岐曲徑(방기곡경) : 서려 있는 계곡과 구한 길이라는 뜻으로, 일을 순서대로 정당하게 하지 아니하고 그릇된 수단을 써서 억지로 함을 이르는 말.
    旁: 岐: 갈림길 曲: 굽을 徑: 지름길

  • 頓悟漸修(돈오점수) : 고려 시대에, 지눌이 주장한 교의 선(禪) 수행 방법. 무인 정권 시기에 교 교단을 개혁하기 위하여 주장한 사상 가운데 하나이다. 부처가 되려면 진심을 깨닫고, 점진적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頓: 조아릴 悟: 깨달을 漸: 점점 修: 닦을

  • 三不孝(삼불효) : 세 가지의 큰 효. 부모를 의(不義)에 빠지게 하는 일, 부모가 늙고 집이 가난하여도 벼슬하지 않는 일, 자식이 없어 조상의 제사를 끊어지게 하는 일을 이른다.
    三: 不: 아니 孝: 효도

2
#처음 91 #잘못 93 #머리 141 #의미 1817 #얼굴 99 #따위 228 #구름 67 #표현 88 #학문 107 #생활 82 #가난 90 #비유 1177 #경우 64 #모양 142 #어려움 105 #자연 73 #의지 69 #상황 119 #세상 339 #정도 153 #음식 79 #부모 136 #하늘 251 #백성 105 #마음 496 #형용 67 #아내 81 #중국 253 #모습 66 #문장 59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12개) : 바, 박, 밖, 반, 발, 밤, 밥, 밧, 방, 밭, 밯, 배, 백, 밲, 밴, 밸, 뱀, 뱁, 뱅, 뱍, 뱐, 뱔, 뱜, 버, 벅, 벆, 번, 벋, 벌, 범, 법, 벗, 벙, 벚, 벜, 베, 벡, 벢, 벤, 벨, 벰, 벱, 벳, 벵, 벸, 벹, 벼, 벽, 벾, 변, 볃, 별, 볋, 볌, 볏, 병, 볔, 볕, 보, 복, 볶, 본, 볼, 봄, 봅, 봇, 봉, 봋, 봌, 봏, 뵈, 뵐, 뵘, 뵴, 부, 북, 분, 붇, 불, 붉, 붐, 붑, 붓, 붕, 붘, 붚, 붝, 붞, 붤, 붬, 붴, 붸, 붺, 뷔, 뷖, 뷰, 브, 블, 븟, 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