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73

  • 虎踞龍盤 획순 虎踞龍盤(호거용반) : 이 걸터앉고 용이 서린 듯한 웅장한 산세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虎: 踞: 쭈그리고 앉을 盤: 소반

  • 徑先處斷 획순 徑先處斷(경선처단) : 인의 진술을 기다리지 않고 처단하는 일.
    徑: 지름길 先: 먼저 處: 머무를 斷: 끊을

  • 畵虎不成 획순 畵虎不成(화호불성) : 을 그리려다가 강아지를 그린다는 뜻으로, 서투른 솜씨로 남의 언행(言行)을 흉내내려 하거나, 어려운 특수(特殊)한 일을 하려다가 도리어 잘못됨의 비유(比喩).
    畵: 그림 虎: 不: 아니 成: 이룰

  • 虎而冠 획순 虎而冠(호이관) : 호랑이면서 관을 쓰고 있다는 뜻으로, 마음은 처럼 잔인 횡포(殘忍橫暴)하면서도, 사람의 의관(衣冠)을 하여 외모를 꾸미고 있음을 이르는 말 .
    虎: 而: 말 이을 冠:

  • 平平凡凡 획순 平平凡凡(평평범범) : ‘평평하다’의 어근.
    平: 평평할 平: 평평할 凡: 무릇 凡: 무릇

  • 苛政猛於虎(가정맹어호) :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무섭다는 뜻으로, 몹시 모질고 독한 정치의 폐가 큼을 이르는 말. ≪예기≫의 〈단궁편(檀弓篇)〉에 나오는 말이다.
    苛: 매울 政: 정사 猛: 사나울 於: 어조사 虎:

  • 無虎洞中(무호동중) : 없는 골에 이리가 노릇 한다는 뜻으로, 높은 사람이 없는 곳에서 보잘것없는 사람이 잘난 체 함을 두고 이르는 말.
    無: 없을 虎: 洞: 中: 가운데

  • 途不拾遺(도불습유) : 길에 떨어진 것을 줍지 않는다는 뜻으로, (1) 나라가 잘 다스려져 백성(百姓)의 풍속(風俗)이 돈후(敦厚)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2) 형벌(刑罰)이 준엄(峻嚴)하여 백성(百姓)이 법을 (犯)하지 아니함의 뜻으로도 쓰임.
    途: 不: 아니 拾: 주울 遺: 남길

  • 虎生文炳(호생문병) : 은 나면서부터 문채가 빛난다는 뜻으로, 영준(英俊)한 사람은 어릴 때부터 기량(器量)이 비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虎: 生: 文: 글월 炳: 밝을

  • 無虎洞中狸作虎(무호동중리작호) : 없는 골에 이리가 노릇 한다는 뜻으로, 높은 사람이 없는 곳에서 보잘것없는 사람이 잘난 체 함을 두고 이르는 말.
    無: 없을 虎: 洞: 中: 가운데 狸: 作: 지을 虎:

  • 鴟目虎吻(치목호문) : 올빼미의 눈과 호랑이의 입술이라는 뜻으로, 탐욕이 많은 상(相)을 이르는 말.
    鴟: 소리개 目: 虎: 吻: 입술

  • 亞父(아부) : (1)‘계부’를 달리 이르는 말. (2)아버지 다음가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흔히 임금이 공신을 존경하여 부르던 말. 중국 초(楚)나라의 항우가 증을 존경하여 부른 데서 유래하였다.
    亞: 버금 父: 아비

  • 猛虎爲鼠(맹호위서) : 사나운 호랑이가 쥐가 된다는 뜻으로, 도 위엄을 잃으면 쥐 신세가 되듯이 제왕도 권력을 잃으면 권신의 제어를 받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猛: 사나울 虎: 爲: 鼠:

  • 虎死留皮(호사유피) :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긴다는 뜻으로, 사람은 죽어서 명예를 남겨야 함을 이르는 말.
    虎: 死: 죽을 皮: 가죽

  • 兩雄相爭(양웅상쟁) : 용과 이 서로 싸운다는 뜻으로, 강자끼리 서로 싸움을 이르는 말.
    雄: 수컷 相: 서로 爭: 다툴

  • 虎前乞肉(호전걸육) : 호랑이 앞에서 고기를 구걸한다는 뜻으로, ‘에게 고기 달래기’로 표현하는 어림도 없는 일을 계획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우리나라 속담.
    虎: 前: 乞: 肉: 고기

  • 餓虎之蹊(아호지혜) : 굶주린 이 다니는 길이라는 뜻으로, 심히 위험(危險)한 곳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餓: 주릴 虎: 之: 蹊: 지름길

  • 虎狼之心(호랑지심) : 과 이리의 마음이라는 뜻으로, 사납고 모질어서 자비롭지 못한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虎: 狼: 이리 之: 心: 마음

  • 三人成市虎(삼인성시호) : 세 사람이 짜면 거리에 이 나왔다는 거짓말도 꾸밀 수 있다는 뜻으로, 근거 없는 말이라도 여러 사람이 말하면 곧이듣게 됨을 이르는 말.
    三: 人: 사람 成: 이룰 市: 저자 虎:

  • 放虎自衛(방호자위) : 을 놓아주고 스스로를 지킨다는 뜻으로, 화(禍)를 자초(自招)함을 비유하는 말.
    放: 놓을 虎: 自: 스스로 衛: 지킬

  • 秋毫不犯(추호불범) : 매우 청렴하여 남의 것을 조금도 건드리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秋: 가을 毫: 가는 털 不: 아니 犯: 범할

  • 養虎遺患(양호유환) : 을 길러서 화근을 남긴다는 뜻으로, 화근이 될 것을 길러서 후환을 당하게 됨을 이르는 말.
    養: 기를 虎: 遺: 남길 患: 근심

  • 虎頭蛇尾(호두사미) : 의 머리에 뱀이 꼬리라는 뜻으로, 처음은 성(盛)하나 끝은 부진한 형상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虎: 頭: 머리 蛇: 尾: 꼬리

  • 虎尾春氷(호미춘빙) : 의 꼬리와 봄철의 얼음이라는 뜻으로, 몹시 위험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虎: 尾: 꼬리 春: 氷: 얼음

  • 兩虎相鬪(양호상투) : 두 마리의 이 서로 싸운다는 뜻으로, 힘이 센 두 편이 맞붙어 다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虎: 相: 서로 鬪: 싸움

  • 虎擲龍拏(호척용나) : 은 던지고 용은 잡는다는 뜻으로, 과 용이 맞잡고 치는 것처럼 영웅끼리 다툼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虎: 擲: 던질 拏: 붙잡을

  • 山中豪傑(산중호걸) : 산속에 사는 호걸이라는 뜻으로, 호랑이나 호랑이의 기상(氣象)을 이르는 말.
    山: 中: 가운데 豪: 호걸 傑: 뛰어날

  • 草網着虎(초망착호) : 썩은 새끼로 엮은 망으로 을 잡으려고 한다는 뜻으로, 되지도 않을 일을 허황되게 꾀함을 이르는 말.
    草: 網: 그물 着: 붙을 虎:

  • 狼貪虎視(낭탐호시) : 이리같이 탐내고 처럼 노려봄을 이르는 말.
    貪: 탐할 虎: 視:

  • 累卵之危(누란지위) : 층층이 쌓아 놓은 알의 위태로움이라는 뜻으로, 몹시 아슬아슬한 위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사기≫ <저채택열전(范雎蔡澤列傳)>에 나오는 말이다.
    卵: 之: 危: 위태할

  • 虎父犬子(호부견자) : 아비는 인데 새끼는 개라는 뜻으로, 훌륭한 아버지에 비하여 자식은 그렇지 못함을 이르는 말.
    虎: 父: 아비 犬: 子: 아들

  • 暴虎馮河(포호빙하) : 맨손으로 을 때려잡고 걸어서 황허강(黃河江)을 건넌다는 뜻으로, 용기는 있으나 무모함을 이르는 말. ≪논어≫의 <술이편(述而篇)>에 나온 말이다.
    暴: 사나울 虎: 馮: 업신여길 河: 강 이름

  • 虎窟(호굴) : 의 굴이라는 뜻으로, 가장 위험한 곳을 이르는 말.
    虎: 窟:

  • 白額大虎(백액대호) : 이마와 눈썹의 털이 허옇게 센 늙은 호랑이.
    白: 額: 이마 大: 虎:

  • 釜中生魚(부중생어) : 솥 안에 물고기가 생긴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하여 오랫동안 밥을 짓지 못함을 이르는 말. ≪후한서≫의 <염전(范冉傳)>에 나오는 말이다.
    釜: 가마 中: 가운데 生: 魚: 고기

  • 遠交近攻(원교근공) : 먼 나라와 친교를 맺고 가까운 나라를 공격함. 중국 전국 시대의 외교 정책으로, ≪사기≫의 <저채택전(范雎蔡澤傳)>에 나오는 말이다.
    遠: 交: 사귈 近: 가까울 攻:

  • 假虎威狐(가호위호) : 여우가 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로(火爐)서,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强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假: 거짓 虎: 威: 위엄 狐: 여우

  • 爲法自弊(위법자폐) : 자기가 정한 법을 스스로 하여 죄를 당한다는 뜻으로, 자기가 한 일로 자기가 고난을 당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爲: 法: 自: 스스로 弊: 해어질

  • 虎豹豈受犬羊欺(호표기수견양기) : 과 표이 어찌 개나 양에게 속임을 당(當)하겠느냐는 뜻으로, 군자(君子)는 소인(小人)의 업신여김을 받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虎: 豹: 표범 豈: 어찌 受: 받을 犬: 羊: 欺: 속일

  • 虎嘯風生(호소풍생) : 이 울어 바람이 일어난다는 뜻으로, 영웅이 때를 만나 떨쳐 일어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虎: 嘯: 휘파람불 風: 바람 生:

  • 燕頷虎頭(연함호두) : 제비 비슷한 턱과 비슷한 머리라는 뜻으로, 먼 나라에서 봉후(封侯)가 될 상(相)을 이르는 말.
    燕: 제비 頷: 虎: 頭: 머리

  • 虎父無犬子(호부무견자) : 아비가 인데 새끼는 개일 수 없다는 뜻으로, 훌륭한 아버지 밑에 못난 자식이 없음을 이르는 말.
    虎: 父: 아비 無: 없을 犬: 子: 아들

  • 咆虎陷浦(포호함포) : 으르렁대는 호랑이가 개펄에 빠진다는 뜻으로, 큰소리만 치고 일은 이루지 못함을 이르는 말.
    咆: 으르렁거릴 虎: 陷: 빠질 浦:

  • 豹死留皮(표사유피) : 표은 죽어서 가죽을 남긴다는 뜻으로, 사람은 죽어서 명예를 남겨야 함을 이르는 말. 구양수의 ≪신오대사≫ <사절전(死節傳)>에 나오는 말이다.
    豹: 표범 死: 죽을 皮: 가죽

  • 道不拾遺(도불습유) : 길에 떨어진 물건을 주워 가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형벌이 준엄하여 백성이 법을 하지 아니하거나 민심이 순후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한비자≫의 <외저설좌상편(外儲說左上篇)>에 나오는 말이다.
    道: 不: 아니 拾: 주울 遺: 남길

  • 虎穴虎子(호혈호자) : 의 굴에 들어가야 의 새끼를 잡는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지 큰 위험(危險)을 각오(覺悟)하지 않으면 큰 수확(收穫)을 얻지 못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虎: 穴: 구멍 虎: 子: 아들

  • 河圖洛書(하도낙서) : 하도와 낙서를 아울러 이르는 말.
    河: 강 이름 圖: 그림 書:

  • 藁網捉虎(고망착호) : 썩은 새끼로 을 잡는다는 뜻으로, 서툰 솜씨로 큰일을 하려는 어리석음을 이르는 말.
    藁: 網: 그물 捉: 잡을 虎:

  • 虎視眈眈(호시탐탐) : 이 눈을 부릅뜨고 먹이를 노려본다는 뜻으로, 남의 것을 빼앗기 위하여 형세를 살피며 가만히 기회를 엿봄. 또는 그런 모양. ≪주역≫의 <이괘편(頥卦篇)>에 나오는 말이다.
    虎: 視: 眈: 노려볼 眈: 노려볼

  • 邪不犯正(사불범정) : 바르지 못하고 요사스러운 것이 바른 것을 건드리지 못함. 곧 정의가 반드시 이김을 이르는 말이다.
    邪: 간사할 不: 아니 犯: 범할 正: 바를

  • 來者可追(내자가추) : 이미 지나간 일은 어쩔 수 없으나 앞으로의 일을 조심하면 지금까지와 같은 잘못은 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이르는 말. ≪논어≫ <미자편(微子篇)>에 나오는 말이다.
    者: 可: 옳을 追: 쫓을

  • 假虎威(가호위) : 여우가 의 위세(威勢)를 빌어 다른 짐승들을 위협(威脅)한 우화로(火爐)서, 신하(臣下)가 군주(君主)의 권세(權勢)에 힘입어 다른 신하(臣下)를 공갈(恐喝)하거나 약자(弱者)가 강자(强者)의 세력(勢力)에 힘입어 백성(百姓)을 협박(脅迫)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假: 거짓 虎: 威: 위엄

  • 一網打盡(일망타진) : 한 번 그물을 쳐서 고기를 다 잡는다는 뜻으로, 어떤 무리를 한꺼번에 모조리 다 잡음을 이르는 말. ≪송사(宋史)≫의 <순인전(范純仁傳)>에 나오는 말이다.
    一: 網: 그물 打: 盡: 다할

  • 風雲之會(풍운지회) : (1)용이 바람과 구름을 얻어서 기운을 얻는 것처럼 총명한 임금과 어진 신하가 서로 만나는 일. (2)영웅호걸이 때를 만나 뜻을 이룰 수 있는 좋은 기회.
    風: 바람 雲: 구름 之: 會: 모일

  • 黔驢之技(검려지기) : (1)보잘것없는 솜씨와 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옛 중국의 검주(黔州)에 어떤 사람이 처음으로 나귀를 끌고 갔을 때, 그 울음소리가 크므로 이 나귀를 보고 두려워하다가 나귀에게 별다른 힘이 없고 그 발길질도 신통하지 못함을 알고는 오히려 그 나귀를 잡아먹어 버렸다는 데서 유래한다. (2)자신의 솜씨와 힘이 없음을 모르고 뽐내다가 화를 스스로 부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黔: 검을 驢: 당나귀 之: 技: 재주

  • 狐假虎威(호가호위) : 남의 권세를 빌려 위세를 부림. ≪전국책≫의 <초책(楚策)>에 나오는 말로 여우가 호랑이의 위세를 빌려 호기를 부린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狐: 여우 假: 거짓 虎: 威: 위엄

  • 入山忌虎(입산기호) : 산속에 들어가고서 잡을 것을 꺼린다는 뜻으로, 정작 바라던 일을 마주하게 되면 꽁무니를 빼는 것을 이르는 말.
    入: 山: 忌: 꺼릴 虎:

  • 虎視牛步(호시우보) : 처럼 노려보고 소처럼 걷는다는 뜻으로, 예리한 통찰력으로 꿰뚫어 보며 성실하고 신중하게 행동함을 이르는 말.
    虎: 視: 牛: 步: 걸을

  • 三十六禽(삼십육금) : 십이지(十二支)에 각각 셋씩 나눈 서른여섯 가지의 짐승. 곧 자(子)에 제비ㆍ쥐ㆍ박쥐, 축(丑)에 소ㆍ게ㆍ자라, 인(寅)에 너구리ㆍ표ㆍ호랑이, 묘(卯)에 고슴도치ㆍ토끼ㆍ오소리, 진(辰)에 용ㆍ교룡ㆍ물고기, 사(巳)에 드렁허리ㆍ지렁이ㆍ뱀, 오(午)에 사슴ㆍ말ㆍ노루, 미(未)에 양ㆍ기러기ㆍ매, 신(申)에 고양이ㆍ원숭이ㆍ긴팔원숭이[猴], 유(酉)에 까마귀ㆍ닭ㆍ꿩, 술(戌)에 개ㆍ이리ㆍ승냥이, 해(亥)에 돼지[豕]ㆍ돼지[猪]ㆍ멧돼지가 있다.
    三: 十: 禽: 날짐승

  • 猛虎伏草(맹호복초) : 사나운 이 풀숲에 엎드려 있다는 뜻으로, 영웅은 일시적으로 숨어 있어도 때가 되면 세상에 드러나게 마련이라는 말.
    猛: 사나울 虎: 伏: 엎드릴 草:

  • 三人成虎(삼인성호) : 세 사람이 짜면 거리에 이 나왔다는 거짓말도 꾸밀 수 있다는 뜻으로, 근거 없는 말이라도 여러 사람이 말하면 곧이듣게 됨을 이르는 말.
    三: 人: 사람 成: 이룰 虎:

  • 綈袍戀戀(제포연연) : 구은(舊恩)을 생각하거나 우정이 두터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에 위나라의 수가(須賈)가 진나라에 사신으로 왔을 때, 전에 허물이 없이 그에게 내쫓김을 당한 저(范雎)가 재상(宰相)이면서도 짐짓 거지 행세를 하고 나타난 것을 보고 가엾이 여겨 옷 한 벌을 주었기 때문에, 저로부터 이전의 죄를 용서받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綈: 袍: 핫옷

  • 龍虎相搏(용호상박) : (1)‘용호상박’의 북한어. (2)용과 이 서로 싸운다는 뜻으로, 강자끼리 서로 싸움을 이르는 말.
    虎: 相: 서로 搏: 잡을

  • 兩虎共鬪(량호공투) : (1)두 마리의 이 서로 싸운다는 뜻으로, 힘이 센 두 편이 맞붙어 다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양호공투’의 북한어.
    虎: 共: 함께 鬪: 싸움

  • 雲龍風虎(운룡풍호) : 구름을 타고 하늘로 오르는 용과 바람을 타고 달리는 이라는 뜻으로, 의기와 기질이 서로 맞거나 성주(聖主)가 현명한 신하를 얻음을 이르는 말.
    雲: 구름 龍: 風: 바람 虎:

  • 養虎後患(양호후환) : 을 길러서 화근을 남긴다는 뜻으로, 화근이 될 것을 길러서 후환을 당하게 됨을 이르는 말.
    養: 기를 虎: 後: 患: 근심

  • 五獸不動(오수부동) : 닭, 개, 사자, 호랑이, 고양이가 한곳에 모이면 서로 두려워하고 꺼리어 움직이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회 조직이 서로 견제하는 여러 세력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이르는 말.
    五: 다섯 獸: 짐승 不: 아닌가 動: 움직일

  • 洪範九疇(홍범구주) : ≪서경≫의 홍에 기록되어 있는, 우(禹)가 정한 정치 도덕의 아홉 원칙. 오행, 오사, 팔정(八政), 오기, 황극, 삼덕, 계의, 서징(庶徵) 및 오복과 육극이다.
    洪: 넓을 範: 九: 아홉 疇: 두둑

  • 回鯉(회리) : 물음이나 편지 따위에 대답함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월나라의 왕인 구천(句踐)의 가신(家臣) 여(范蠡)가 잉어의 배를 따고 그 속에 편지를 넣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回: 鯉: 잉어

  • 虎不食兒(호불식아) : 호랑이는 새끼를 먹지 않는다는 뜻으로, 은 아무리 배가 고파도 제 새끼를 먹지는 않는 것처럼, 아무리 흉악한 사람도 제 식구는 함부로 하지 않는다는 의미.
    虎: 不: 아니 食: 兒: 아이

  • 避獐逢虎(피장봉호) : 노루를 피하다가 호랑이를 만났다는 뜻으로, 작은 해를 피하려다 도리어 큰 화를 당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避: 피할 獐: 노루 逢: 만날 虎:

  • 虎尾難放(호미난방) : 한번 잡은 호랑이의 꼬리는 놓기가 어렵다는 뜻으로, 위험한 일에 손을 대어 그만두기도 어렵고 계속하기도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虎: 尾: 꼬리 難: 어려울 放: 놓을

  • 羊質虎皮(양질호피) : 속은 양이고 거죽은 이라는 뜻으로, 본바탕은 아름답지 아니하면서 겉모양만 꾸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羊: 質: 바탕 虎: 皮: 가죽

#자리 94 #사람 1461 #인간 65 #어머니 72 #형용 67 #따위 228 #유래 280 #죽음 73 #의지 69 #표현 88 #문장 59 #정도 153 #이치 67 #가난 90 #싸움 61 #사이 200 #훌륭 85 #실패 56 #방법 59 #경우 64 #태도 72 #나이 97 #중국 253 #부모 136 #가운데 104 #사물 172 #집안 93 #아침 72 #이익 89 #사랑 91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12개) : 바, 박, 밖, 반, 발, 밤, 밥, 밧, 방, 밭, 밯, 배, 백, 밲, 밴, 밸, 뱀, 뱁, 뱅, 뱍, 뱐, 뱔, 뱜, 버, 벅, 벆, 번, 벋, 벌, 범, 법, 벗, 벙, 벚, 벜, 베, 벡, 벢, 벤, 벨, 벰, 벱, 벳, 벵, 벸, 벹, 벼, 벽, 벾, 변, 볃, 별, 볋, 볌, 볏, 병, 볔, 볕, 보, 복, 볶, 본, 볼, 봄, 봅, 봇, 봉, 봋, 봌, 봏, 뵈, 뵐, 뵘, 뵴, 부, 북, 분, 붇, 불, 붉, 붐, 붑, 붓, 붕, 붘, 붚, 붝, 붞, 붤, 붬, 붴, 붸, 붺, 뷔, 뷖, 뷰, 브, 블, 븟, 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