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41

  • 割鷄牛刀 획순 割鷄牛刀(할계우도) : 잡는데 소 잡는 칼이라는 뜻으로, 을 잡는 데 소를 잡는 칼을 쓸 필요가 없는 것처럼 조그만 일을 처리하는 데에 지나치게 큰 수단을 쓸 필요는 없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 割鷄 焉用牛刀(할계 언용우도) <論語(논어)> ].
    割: 나눌 鷄: 牛: 刀:

  • 牛刀割鷄 획순 牛刀割鷄(우도할계) : (1)소 잡는 칼로 을 잡는다는 뜻으로, 작은 일에 어울리지 아니하게 큰 도구를 씀을 이르는 말. (2)지나치게 과장된 표현이나 몸짓 따위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牛: 刀: 割: 나눌 鷄:

  • 使鷄司夜 획순 使鷄司夜(사계사야) : 으로 하여금 밤을 맡긴다는 뜻으로, 에게 밤 시각을 알리는 일을 맡기는 것처럼, 알맞은 인재에 적합한 일을 맡긴다는 의미.
    使: 부릴 鷄: 司: 맡을 夜:

  • 寧爲鷄口 획순 寧爲鷄口(영위계구) : 차라리 의 부리가 된다는 뜻으로, 작은 일이라도 책임자가 될지언정 큰 사람 밑에서 지배받기는 싫다는 의미.
    爲: 鷄: 口:

  • 鷄棲鳳凰食 획순 鷄棲鳳凰食(계서봉황식) : 집에서 봉황(鳳凰)이 함께 살면서 모이를 먹는다는 뜻으로, 충신(忠臣)이 천(賤)한 죄인(罪人)들과 함께 하는 삶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鷄: 棲: 鳳: 봉새 凰: 봉황새 食:

  • 逐鷄望籬(축계망리) : 쫓던 개 지붕 쳐다본다는 뜻으로, 애써 하던 일이 실패로 돌아가거나 남보다 뒤떨어져 맥이 빠진 경우를 이르는 말.
    逐: 쫓을 鷄: 望: 바랄 籬: 울타리

  • 割鷄焉用牛刀(할계언용우도) : 을 가르는 데에 소잡는 큰 칼을 쓸 필요(必要)까지는 없다는 뜻으로, 조그만 일을 처리(處理)하는 데에 지나치게 큰 수단(手段)을 쓸 필요(必要)는 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割: 나눌 鷄: 焉: 어찌 用: 牛: 刀:

  • 鷄鶩爭食(계목쟁식) : 과 집오리가 먹이를 서로 먼저 먹으려고 다툰다는 뜻으로, 여염(閭閻)의 사람들이 서로 다툼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鷄: 鶩: 집오리 爭: 다툴 食:

  • 卵育(란육) : (1)어미 이 알을 품듯, 품에 안아서 고이 기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난육’의 북한어.
    育: 기를

  • 鳥逐花間蹀鷄爭草中蟲(조축화간접계쟁초중충) : 새는 꽃 사이의 나비를 쫓고, 은 풀가운데의 벌레와 다툼.
    鳥: 逐: 쫓을 花: 間: 蹀: 밟을 鷄: 爭: 다툴 草: 中: 가운데 蟲: 벌레

  • 鷄尸牛從(계시우종) : 대가리는 될지언정 쇠꼬리는 되어서는 안 된다는 말로, 남의 위에 서야지 남의 꽁무니에 따라다녀서는 안 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鷄: 尸: 주검 牛: 從: 좇을

  • 鷄鳴狗吠(계명구폐) : 이 울고 개가 짖는다는 뜻으로, 인가(人家)가 잇대어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鷄: 鳴: 狗: 吠: 짖을

  • 鷄狗馬之血(계구마지혈) : 임금이나 신하가 맹세할 때에 신분에 따라 셋으로 구분하여 쓰던 희생의 피. 임금은 소나 말의 피를, 제후는 개나 수퇘지의 피를, 대부(大夫) 이하는 의 피를 마셨다.
    鷄: 狗: 馬: 之: 血:

  • 鷄皮鶴髮(계피학발) : 피부는 의 살갗 같고 머리털은 학처럼 희다는 뜻으로, 늙은이를 이르는 말.
    鷄: 皮: 가죽 鶴: 髮: 터럭

  • 鷄鳴丑時(계명축시) : 첫이 울 무렵인 축시(丑時). 곧 새벽 한 시에서 세 시 사이를 이른다.
    鷄: 鳴: 丑: 時:

  • 鷄犬聲不到處(계견성부도처) : '이나 개의 소리가 미치지 못하는 곳' 이란 뜻으로 '인가(人家)와 멀리 떨어진 외진 곳'을 비유(比喩)하는 말.
    鷄: 犬: 聲: 소리 不: 아닌가 到: 이를 處: 머무를

  • 家鷄野鶩(가계야목) : 집의 을 미워하고 들의 물오리를 사랑한다는 뜻으로, 일상(日常) 흔한 것을 피(避)하고 새로운 것, 진기한 것을 존중(尊重)함을 비유(比喩).
    家: 鷄: 野: 鶩: 집오리

  • 借鷄騎還(차계기환) : 을 빌려 타고 돌아간다는 뜻으로, 손님을 박대(薄待)하는 것을 빗대어 이르는 말.
    借: 鷄: 騎: 말 탈 還: 돌아올

  • 鷄群一鶴(계군일학) : 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鷄: 群: 무리 一: 鶴:

  • 鷄犬相聞(계견상문) : 이 울고 개가 짖는다는 뜻으로, 인가(人家)가 잇대어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鷄: 犬: 相: 서로 聞: 들을

  • 鷄口(계구) : 의 주둥이라는 뜻으로, 작은 단체의 우두머리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鷄: 口:

  • 鷄鳴之客(계명지객) : 울음소리를 잘 흉내 내는 사람을 이르는 말.
    鷄: 鳴: 之: 客:

  • 啐啄同時(줄탁동식) : 울고 쪼는 것이 같은 시기에 한다는 뜻으로, 알에서 나오려는 병아리의 껍질 쪼는 소리에 어미 이 껍질을 쪼아서 나오도록 도와주는 것을 동시에 한다는 의미에서 사제간(師弟間)의 연분이 서로 무르익은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로 사용됨.
    啐: 떠들 啄: 쪼을 同: 한가지

  • 七香鷄烝(칠향계증) : 칠향계짐. 찜의 하나.
    七: 일곱 香: 향기 鷄: 烝:

  • 鷄豚同社(계돈동사) : 같은 고향 사람끼리 계(契)를 모아 친목을 꾀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鷄: 豚: 돼지 同: 한가지 社: 토지신

  • 偸鷄摸狗(투계모구) : 을 훔치고 개를 잡는다는 뜻으로, 손버릇이 나쁘거나 살금살금 나쁜 짓만 하는 경우를 이르는 말.
    偸: 훔칠 鷄: 摸: 찾을 狗:

  • 鷄窓(계창) : ‘서재’를 달리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 송처종(宋處宗)이 서재의 창 밑에서 기른 이 사람의 말을 이해하고 그와 더불어 이야기하며 학식을 도왔다는 데서 유래한다.
    鷄: 窓:

  • 鷄肋(계륵) : (1)의 갈비라는 뜻으로, 그다지 큰 소용은 없으나 버리기에는 아까운 것을 이르는 말. ≪후한서(後漢書)≫의 <양수전(楊修傳)>에 나오는 말이다. (2)몸이 몹시 약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鷄: 肋: 갈빗대

  • 貴鵠賤鷄(귀곡천계) : 고니를 귀하게 여기고 을 천하게 여긴다는 뜻으로, 드문 것은 귀하게, 흔한 것은 천하게 여김을 이르는 말.
    貴: 귀할 鵠: 고니 賤: 천할 鷄:

  • 鶴立鷄群(학립계군) : 학이 의 무리 속에 서 있다는 뜻으로, 호걸(豪傑)이 뭇사람 가운데에서 뚜렷하게 두각(頭角)을 나타냄의 비유하여 이르는 말.
    鶴: 立: 鷄: 群: 무리

  • 三十六禽(삼십육금) : 십이지(十二支)에 각각 셋씩 나눈 서른여섯 가지의 짐승. 곧 자(子)에 제비ㆍ쥐ㆍ박쥐, 축(丑)에 소ㆍ게ㆍ자라, 인(寅)에 너구리ㆍ표범ㆍ호랑이, 묘(卯)에 고슴도치ㆍ토끼ㆍ오소리, 진(辰)에 용ㆍ교룡ㆍ물고기, 사(巳)에 드렁허리ㆍ지렁이ㆍ뱀, 오(午)에 사슴ㆍ말ㆍ노루, 미(未)에 양ㆍ기러기ㆍ매, 신(申)에 고양이ㆍ원숭이ㆍ긴팔원숭이[猴], 유(酉)에 까마귀ㆍㆍ꿩, 술(戌)에 개ㆍ이리ㆍ승냥이, 해(亥)에 돼지[豕]ㆍ돼지[猪]ㆍ멧돼지가 있다.
    三: 十: 禽: 날짐승

  • 函谷鷄鳴(함곡계명) : 함곡관의 울음 소리라는 뜻으로, (1) 점잖은 사람이 배울 것이 못되는 천(賤)한 기능(技能) (2) 그런 기능(技能)을 가진 사람(3) 천(賤)한 기능(技能)을 가진 사람도 때로는 쓸모가 있음의 비유(比喩).
    函: 谷: 鷄: 鳴:

  • 陶犬瓦鷄(도견와계) : 도제(陶製)의 개와 와제(瓦製)의 이라는 뜻으로, 겉모습은 훌륭하나 실속이 없어 아무 쓸모도 없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陶: 질그릇 犬: 瓦: 기와 鷄:

  • 鷄群孤鶴(계군고학) : 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鷄: 群: 무리 孤: 외로울 鶴:

  • 群鷄一鶴(군계일학) : 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을 이르는 말. ≪진서(晉書)≫의 <혜소전(嵆紹傳)>에 나오는 말이다.
    群: 무리 鷄: 一: 鶴:

  • 鷄鳴之助(계명지조) : 어질고 현명한 왕비의 내조를 이르는 말. 예전에 어진 왕비는 새벽이면 반드시 왕께 나아가 이 울었으니 일어나라고 권하여 왕이 아침 일찍부터 일어나 정사를 보도록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鷄: 鳴: 之: 助: 도울

  • 鷄鳴狗盜(계명구도) : 비굴하게 남을 속이는 하찮은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사람을 이르는 말. 중국 제나라의 맹상군이 진(秦)나라 소왕(昭王)에게 죽게 되었을 때, 식객(食客) 가운데 개를 가장하여 남의 물건을 잘 훔치는 사람과 의 울음소리를 잘 흉내 내는 사람의 도움으로 위기에서 빠져나왔다는 데서 유래한다.
    鷄: 鳴: 狗: 盜: 도둑

  • 鷄鳴狗吠相聞(계명구폐상문) : 이 울고 개가 짖는다는 뜻으로, 인가(人家)가 잇대어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鷄: 鳴: 狗: 吠: 짖을 相: 서로 聞: 들을

  • 五獸不動(오수부동) : , 개, 사자, 호랑이, 고양이가 한곳에 모이면 서로 두려워하고 꺼리어 움직이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회 조직이 서로 견제하는 여러 세력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이르는 말.
    五: 다섯 獸: 짐승 不: 아닌가 動: 움직일

  • 家鷄野雉(가계야치) : 집에 있는 과 들에 있는 꿩이라는 뜻으로, 가까이 있는 흔한 것은 천하게 여기고, 멀리 있는 드문 것을 귀하게 여김을 이르는 말.
    家: 鷄: 野: 雉:

  • 鷄口牛後(계구우후) : 의 주둥이와 소의 꼬리라는 뜻으로, 큰 단체의 꼴찌보다는 작은 단체의 우두머리가 되는 것이 오히려 나음을 이르는 말. ≪전국책(戰國策)≫의 〈한책(韓策)〉과 ≪사기≫의 〈소진전(蘇秦傳)〉에 나오는 말이다.
    鷄: 口: 牛: 後:

#형용 67 #경우 64 #세월 71 #유래 280 #여자 101 #어려움 105 #비유 1177 #이치 67 #마음 496 #천하 94 #이름 211 #머리 141 #경계 56 #행동 137 #예전 60 #상태 110 #정도 153 #하늘 251 #아래 86 #태도 72 #사용 312 #노력 69 #시대 114 #사물 172 #어머니 72 #가운데 104 #구름 67 #문장 59 #잘못 93 #나이 97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00개) : 다, 닥, 닦, 단, 닫, 달, 닭, 담, 답, 닷, 당, 닻, 닼, 닽, 대, 댁, 댄, 댈, 댐, 댓, 댕, 댯, 더, 덕, 덗, 던, 덛, 덜, 덤, 덥, 덧, 덩, 덫, 덭, 데, 덱, 덴, 델, 뎁, 뎅, 뎌, 뎔, 뎜, 뎡, 뎧, 뎨, 도, 독, 돆, 돈, 돌, 돍, 돐, 돓, 돔, 돗, 동, 돛, 돜, 돝, 됀, 되, 됙, 됨, 됴, 두, 둑, 둔, 둘, 둟, 둠, 둥, 둬, 둼, 둿, 뒈, 뒘, 뒝, 뒤, 뒴, 뒷, 뒹, 뒿, 듀, 드, 득, 든, 들, 듥, 듬, 듯, 등, 듸, 디, 딘, 딜, 딤, 딥, 딩, 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