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 관한 한자 모두 112

  • 兩豆塞耳 획순 兩豆塞耳(양두색이) : 두 콩으로 를 막는다는 뜻으로, 콩알 두 알로도 를 막으면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는 것처럼 조그마한 것이 큰 지장을 초래함을 비유하여 주로 마음이 물욕에 가려지면 도리를 분별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豆: 塞: 막을 耳:

  • 自見耳 획순 自見耳(자견이) : 자기(自己)의 를 본다는 뜻으로, 가 큼을 이르는 말.
    自: 스스로 見: 耳:

  • 提耳面命 획순 提耳面命(제이면명) : 에 입을 가까이하고 얼굴을 맞대고 가르쳐 명함. 또는 간곡히 타이르고 가르침.
    提: 耳: 面: 命: 목숨

  • 三水甲山 획순 三水甲山(삼수갑산) : 우리나라에서 가장 험한 산골이라 이르던 삼수와 갑산. 조선 시대에 양지의 하나였다.
    三: 水: 甲: 갑옷 山:

  • 朝出暮入 획순 朝出暮入(조출모입) : (1)날마다 아침에 일찍 나갔다가 저녁에 늦게 들어온다는 뜻으로, 집에 있는 시간이 얼마 되지 않음을 이르는 말. (2)사물이 항상 바뀌어 정체됨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朝: 아침 出: 暮: 저물 入:

  • 京華子弟(경화자제) : 번화한 서울에서 곱게 자란 젊은이라는 뜻으로, 주로 부잣집 자녀들을 이르는 말.
    京: 서울 華: 빛날 子: 아들 弟: 아우

  • 拜家慶(배가경) : 오래도록 떠나 있던 자식(子息)이 가(歸嫁)해서 부모(父母)를 뵙는 일.
    拜: 家: 慶: 경사

  • 出口入耳(출구입이) : 갑의 입에서 나온 말이 을의 로 들어간다는 뜻으로, 당사자 이외에는 아는 사람이 없으므로 비밀이 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出: 口: 入: 耳:

  • 魔戱(마희) : 신(鬼神)의 장난이라는 뜻으로, 일의 진행(進行)에서 나타나는 뜻밖의 해살을 이르는 말.
    魔: 마귀 戱:

  • 先公後私(선공후사) : 공적인 일을 먼저 하고 사사로운 일은 뒤로 미룸.
    先: 먼저 公: 공변될 後: 私: 사사

  • 響遏行雲(향알행운) : 노래 소리가 지나가는 구름을 멈추게 한다는 뜻으로, 지나가는 구름도 잠깐 머물러 를 기울일 만큼 노래 소리가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響: 울림 遏: 막을 行: 雲: 구름

  • 落葉歸根(락엽귀근) : (1)잎이 떨어져 뿌리로 돌아간다는 뜻으로, 결국은 자기가 본래 났거나 자랐던 곳으로 돌아감을 이르는 말. (2)‘낙엽근’의 북한어.
    葉: 歸: 돌아갈 根: 뿌리

  • 洛陽紙貴(낙양지귀) : 낙양의 종이가 해졌다는 뜻으로, (1) 문장(文章)이나 저서(著書)가 호평(好評)을 받아 잘 팔림을 이르는 말 (2) 쓴 글의 평판(評判)이 널리 알려짐(3) 혹은 저서(著書)가 많이 팔리는 것을 말할 때 쓰임.
    陽: 紙: 종이 貴: 귀할

  • 聰明叡智(총명예지) : 총명하고 지혜가 뛰어나다는 뜻으로, 주로 임금이 슬기로움을 칭송하여 이르는 말.
    聰: 귀밝을 明: 밝을 叡: 밝을 智: 슬기

  • 夜不談鬼(야불담귀) : 밤에는 신을 이야기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밤에는 가급적 신 관련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는 말.
    夜: 不: 아니 談: 말씀 鬼: 귀신

  • 逆耳之言(역이지언) : 에 거슬리는 말이라는 뜻으로, 신랄한 충고를 이르는 말.
    逆: 거스를 耳: 之: 言: 말씀

  • 耳懸鈴鼻懸鈴(이현령비현령) : 에 걸면 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라는 뜻으로, 어떤 사실이 이렇게도 저렇게도 해석됨을 이르는 말.
    耳: 懸: 매달 鈴: 방울 鼻: 懸: 매달 鈴: 방울

  • 口耳之學(구이지학) : 들은 것을 자기 생각 없이 그대로 남에게 전하는 것이 고작인 학문.
    口: 耳: 之: 學: 배울

  • 懷璧有罪(회벽유죄) : 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죄가 된다는 뜻으로, 분수(分數)에 맞지 않는 한 물건을 지니고 있으면 훗날 재앙(災殃)을 부를 수 있음을 이르는 말.
    懷: 품을 璧: 둥근 옥 有: 있을 罪: 허물

  • 尊卑貴賤(존비귀천) : 사회적 지위나 신분의 높음과 낮음 또는 함과 천함.
    尊: 높을 卑: 낮을 貴: 귀할 賤: 천할

  • 懷玉有罪(회옥유죄) : 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죄가 된다는 뜻으로, 분수(分數)에 맞지 않는 한 물건을 지니고 있으면 훗날 재앙(災殃)을 부를 수 있음을 이르는 말.
    懷: 품을 玉: 구슬 有: 있을 罪: 허물

  • 新出貴物(신출귀물) : 새로 나와서 흔하지 아니하고 한 물건.
    新: 出: 貴: 귀할 物: 만물

  • 金科玉條(금과옥조) : 금이나 옥처럼 중히 여겨 꼭 지켜야 할 법칙이나 규정.
    金: 科: 과정 玉: 구슬 條: 가지

  • 廳而不聞(청이불문) : (1) 아무리 를 기울이고 들어도 들리지 않음 (2) 듣고도 못 들은 체함.
    廳: 관청 而: 말 이을 不: 아니 聞: 들을

  • 無祀鬼神(무사귀신) : 자손이 모두 죽어 제사를 지내 줄 사람이 없는 신.
    無: 없을 祀: 제사 鬼: 귀신 神:

  • 山底貴杵(산저귀저) : 산밑에서 절구공이가 하다는 뜻으로, 물건이 그 생산지(生産地)에서 도리어 더 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山: 底: 貴: 귀할 杵: 공이

  • 師心自用(사심자용) : 마음을 스승으로 삼고 스스로 쓴다는 뜻으로, 자기가 생각하는 일은 다 옳다 하여 그대로만 하고 남의 말은 기울이지 않는다는 의미.
    師: 스승 心: 마음 自: 스스로 用:

  • 夫貴妻榮(부귀처영) : 남편이 하면 아내가 영화롭다는 뜻으로, 남편의 신분 고하(高下)에 따라 아내의 영화가 변한다는 의미이나, 현대에 와서는 배우자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역설적 의미로 활용함이 좋을 듯 함.
    夫: 지아비 貴: 귀할 妻: 아내 榮: 영화

  • 驪騾犢特(여라독특) : 나와 노새와 송아지, 즉 가축(家畜)을 말함.
    騾: 노새 犢: 송아지 特: 유다를

  • 聽而不聞(청이불문) : 듣고도 못 들은 체함.
    聽: 들을 而: 말 이을 不: 아니 聞: 들을

  • 呫囁耳語(첩섭이어) : 다른 사람의 에다 입을 대고 소곤거리며 하는 귓속말.
    呫: 소곤거릴 囁: 소곤거릴 耳: 語: 말씀

  • 綠衣黃裏(녹의황리) : 간색(間色)인 녹색으로 옷감을 삼고 정색(正色)인 황색으로 안찝을 댄다는 뜻으로, 존비(尊卑)와 천의 자리가 뒤바뀜을 이르는 말.
    衣: 黃: 누를 裏:

  • 富貴貧賤(부귀빈천) :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은 것과 가난하고 천한 것을 아울러 이르는 말.
    富: 가멸 貴: 귀할 貧: 가난할 賤: 천할

  • 寶貨難售(보화난수) : 보물은 팔기 어렵다는 뜻으로, 너무 한 보물은 값이 비싸 쉽사리 팔리지 않는 것처럼 훌륭한 사람은 기량(器量)이 크므로 남에게 등용되기 어려움을 비유하는 말.
    寶: 보배 貨: 재화 難: 어려울 售:

  • 洗耳(세이) : 를 씻는다는 뜻으로, 1) 더러운 말을 들은 를 씻고 깨끗이 한다는 의미. 2) 잘 들으려고 를 기울임.
    洗: 씻을 耳:

  • 解語花(해어화) : (1)‘기생’을 달리 이르는 말. (2)말을 알아듣는 꽃이라는 뜻으로, ‘미인’을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 때에, 현종이 양 비를 가리켜 말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解: 語: 말씀 花:

  • 俛首帖耳(면수첩이) : 머리를 수그리고 를 드리워 엎드린다는 뜻으로, 온순(溫純)하게 맹종하는 모양.
    俛: 힘쓸 首: 머리 帖: 표제 耳:

  • 斷而敢行鬼神避之(단이감행귀신피지) : 과단성(果斷性) 있게 행(行)하면 신(鬼神)도 이를 피(避)하여 어떠한 일도 성취(成就)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斷: 끊을 而: 말 이을 敢: 감히 行: 鬼: 귀신 神: 避: 피할 之:

  • 伏魔殿(복마전) : (1)마가 숨어 있는 집이나 굴. (2)비밀리에 나쁜 일을 꾸미는 무리들이 모이거나 활동하는 곳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伏: 엎드릴 魔: 마귀 殿: 대궐

  • 黃裳綠衣(황상녹의) : 의(衣)는 위에 입는 상의, 상(裳)은 아래에 입는 치마, 황색은 정색(正色)이어서 존하고, 녹색은 간색(間色)이라 천한 것을 가리키는데 정색인 황(黃)이 아래로 가야 될 치마로 쓰이고 있다는 뜻으로, 본처가 밀려나고 첩이 득세함을 이르는 말.
    黃: 누를 裳: 치마 衣:

  • 見聞覺知(견문각지) : 눈으로 빛을 보고, 로 소리를 듣고, 코ㆍ혀ㆍ몸으로 냄새ㆍ맛ㆍ촉감을 감각하고, 뜻으로 법을 아는 육식(六識) 작용. 외경을 식별ㆍ인식하는 마음의 작용을 이르는 말이다.
    見: 聞: 들을 覺: 깨달을 知:

  • 長句之學(장귀지학) : 문장(文章)의 장(章)과 (句)의 해석(解釋)에만 치우쳐 전체(全體)의 대의(大意)에는 통(通)하지 않으므로, 중국(中國) 한대(漢代) 훈고학(訓詁學)의 일컬음.
    長: 句: 글귀 之: 學: 배울

  • 甘言利說(감언이설) : (1)‘감언이설’의 북한어. (2)가 솔깃하도록 남의 비위를 맞추거나 이로운 조건을 내세워 꾀는 말.
    甘: 言: 말씀 說: 말씀

  • 天光之貴(천광지귀) : 하늘에서 빛나는 것 가운데 가장 한 것이라는 뜻으로, ‘태양’을 이르는 말.
    天: 하늘 光: 之: 貴: 귀할

  • 耳屬于垣(이속우원) : 담에도 가 달려 있다는 뜻으로, 남이 듣지 않는 곳에서도 말을 삼가야 함을 이르는 말.
    耳: 屬: 무리 于: 어조사 垣:

  • 桂玉之艱(계옥지간) : 계수나무보다 비싼 장작과 옥보다 한 쌀로 생활하는 어려움이라는 뜻으로, 물가가 비싼 도회지에서 고학(苦學)하는 어려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桂: 계수나무 玉: 구슬 之: 艱: 어려울

  • 良藥苦口(양약고구) : 좋은 약은 입에 쓰다는 뜻으로, 충언(忠言)은 에 거슬리나 자신에게 이로움을 이르는 말. ≪공자가어≫의 <육본편(六本篇)>과 ≪설원(說苑)≫의 <정간편(正諫篇)>에 나오는 말이다.
    藥: 苦: 口:

  • 垂頭塞耳(수두색이) : 머리를 숙이고 를 막는다는 뜻으로, 머리 숙여 아첨하며 를 막고 세간의 비난을 염두에 두지 않아 아첨만 일삼는다는 의미.
    垂: 드리울 頭: 머리 塞: 막을 耳:

  • 知希之貴(지희지귀) : 아는 이가 드물어 하다는 뜻으로, 노자(老子)가 세상에 무위자연(無爲自然)의 도가 행해지지 못하는 안타까운 상황을 개탄하며, 세상이 나를 아는 사람이 드무니 나 혼자 할 수밖에 없음을 역설한 구절임.
    知: 希: 바랄 之: 貴: 귀할

  • 高官大爵(고관대작) : 지위가 높고 훌륭한 벼슬. 또는 그런 위치에 있는 사람.
    高: 높을 官: 벼슬 大: 爵:

  • 耳目口鼻(이목구비) : ㆍ눈ㆍ입ㆍ코를 아울러 이르는 말. 또는 ㆍ눈ㆍ입ㆍ코를 중심으로 한 얼굴의 생김새.
    耳: 目: 口: 鼻:

  • 驚神泣鬼(경신읍귀) : 신이 놀라고 신(鬼神)이 운다는 뜻으로, 매우 뛰어난 시문(詩文)은 신(鬼神)을 감동(感動)시킨다는 말 또는 그런 시문(詩文).
    驚: 놀랄 神: 泣: 鬼: 귀신

  • 安享富貴(안향부귀) : 부를 평안하게 누림.
    安: 편안할 享: 누릴 富: 가멸 貴: 귀할

  • 善男善女(선남선녀) : (1)성품이 착한 남자와 여자란 뜻으로, 착하고 어진 사람들을 이르는 말. (2)곱게 단장을 한 남자와 여자를 이르는 말. (3)불법에 의한 남자와 여자를 이르는 말.
    善: 착할 男: 사내 善: 착할 女: 여자

  • 富貴窮達(부귀궁달) : 부와 궁달을 아울러 이르는 말.
    富: 가멸 貴: 귀할 窮: 다할 達: 통할

  • 言猶在耳(언유재이) : 들은 말이 아직도 에 쟁쟁하다는 뜻으로, 들은 말을 귓속에 담아 두고 잊어버리지 않는다는 말.
    言: 말씀 猶: 오히려 在: 있을 耳:

  • 鼎食(정식) : 솥을 좍 벌여 놓고 음식을 먹는다는 뜻으로, 한 사람이 밥을 먹는 것을 이르는 말. 또는 그런 진수성찬을 이르는 말.
    鼎: 食:

  • 京華貴客(경화귀객) : 번화한 서울에서 온 한 손님.
    京: 서울 華: 빛날 貴: 귀할 客:

  • 出沒鬼關(출몰귀관) : (1)관(鬼關)에 드나든다는 뜻으로, 죽었다 살았다 함을 이르는 말. (2)죽을 지경에 당함을 이르는 말.
    出: 沒: 빠질 鬼: 귀신 關: 빗장

  • 榮勝之會(영승지회) : 마, 세속, 육신과의 싸움에서 이기고 올라간 곳이라는 뜻으로, ‘천당’을 이르는 말.
    榮: 영화 勝: 이길 之: 會: 모일

  • 桂玉之愁(계옥지수) : 계수나무보다 비싼 장작과 옥보다 한 쌀로 생활하는 근심이라는 뜻으로, 다른 나라에 살면서 겪는 괴로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桂: 계수나무 玉: 구슬 之: 愁: 시름

  • 秋風過耳(추풍과이) : 가을바람이 를 스쳐 간다는 뜻으로, 어떤 말도 담아듣지 않음을 이르는 말.
    秋: 가을 風: 바람 過: 지날 耳:

  • 壁有耳(벽유이) : 벽에 가 있다는 뜻으로, 비밀은 새기 쉽다는 것을 경계하는 의미의 속담.
    壁: 有: 있을 耳:

  • 三俓(삼경) : 삼경(三徑). 정원(庭園) 안의 세 갈래의 좁은 길. 뜻이 바뀌어 은자(隱者)의 문 안의 뜰 또는 그 주거(住居) 도연명(陶淵明) 『거래사(歸去來辭)』.
    三: 俓: 지름길

  • 見佛聞法(견불문법) : 눈으로 대자대비한 부처를 보고, 로 오묘한 교법을 듣는 일.
    見: 佛: 부처 聞: 들을 法:

  • 滿盤珍羞(만반진수) : 상 위에 가득히 차린 하고 맛있는 음식.
    滿: 盤: 소반 珍: 보배 羞: 부끄러울

  • 讀書爲貴人不學作農夫(독서위귀인불학작농부) : 글을 읽으면 (貴)한 사람이 되고, 배우지 않으면 농부(農夫)가 됨.
    讀: 읽을 書: 爲: 貴: 귀할 人: 사람 不: 아니 學: 배울 作: 지을 農: 농사 夫: 지아비

  • 掩耳盜鈴(엄이도령) : 를 막고 방울을 훔친다는 뜻으로, 모든 사람이 그 잘못을 다 알고 있는데 얕은꾀를 써서 남을 속이려 함을 이르는 말. ≪여씨춘추≫ <불구론(不苟論)>의 <자지편(自知篇)>에 나오는 말이다.
    掩: 가릴 耳: 盜: 도둑 鈴: 방울

  • 桂玉(계옥) : 땔나무의 값은 계수나무만큼 비싸고 쌀값은 옥값과 맞먹는다는 뜻으로, 장작과 식량이 비쌈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桂: 계수나무 玉: 구슬

  • 風過耳(풍과이) : 바람이 를 지나간다는 뜻으로, 를 스쳐지나가는 바람처럼 듣고도 흘려보내는 것으로, 개의(介意)하지 않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風: 바람 過: 지날 耳:

  • 長目飛耳(장목비이) : 견문이 멀리 미친다는 뜻으로, 서적(書籍)을 이르는 말.
    長: 目: 飛: 耳:

  • 姦聲亂色(간성난색) : 음란한 음악과 음란한 여색(女色).
    姦: 간사할 聲: 소리 色:

  • 明珠闇投(명주암투) : 명주를 어둠 속에서 남에게 던져 준다는 뜻으로, 중한 물건도 남에게 잘못 주면 오히려 원망을 듣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明: 밝을 珠: 구슬 闇: 닫힌 문 投: 던질

  • 不聞之聞(불문지문) : 들리지 않는 것을 듣는다는 뜻으로, 로 듣지 아니하고 마음으로 들음을 이르는 말.
    不: 아니 聞: 들을 之: 聞: 들을

  • 如風過耳(여풍과이) : 바람이 를 스쳐 지나가는 듯 여긴다는 뜻으로, 남의 말을 담아듣지 않는 태도를 이르는 말.
    如: 같을 風: 바람 過: 지날 耳:

  • 等神(등신) : (1)나무, 돌, 흙, 쇠 따위로 만든 사람의 형상이라는 뜻으로, 몹시 어리석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2)떠돌아다니는 못된 신.
    等: 등급 神:

  • 出告反面(출곡반면) : 나갈 때는 아뢰고 돌아와서 대면한다는 뜻으로, 자식 된 도리로 외출과 가 시에 부모님께 아뢰고 인사를 드린다는 의미. [出必告反必面(출필곡반필면)].
    出: 告: 청할 反: 돌이킬 面:

  • 掩耳偸鈴(엄이투령) : 제 를 막고 방울을 훔친다는 뜻으로, (1) 얕은 꾀로 남을 속이려 하나 아무 소용(所用)이 없음을 이르는 말 (2) 방울 소리가 제 에 들리지 않으면 남의 에도 들리지 않으리라는 어리석은 생각을 이름.
    掩: 가릴 耳: 偸: 훔칠 鈴: 방울

  • 東風吹馬耳(동풍취마이) : 말의 에 동풍이 분다는 뜻으로, 아무런 감각(感覺)이나 반응(反應)이 없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東: 동녘 風: 바람 吹: 馬: 耳:

  • 濯錦以魚(탁금이어) : 비단을 씻는 데 물고기로써 한다는 뜻으로, 천한 것으로써 한 것을 다스림의 비유하여 이르는 말.
    濯: 씻을 錦: 비단 以: 魚: 고기

  • 目食耳視(목식이시) : 눈으로 먹고 로 본다는 뜻으로, 맛있는 것보다 보기에 아름다운 음식(飮食)을 좋아하고, 몸에 맞는 것보다 로 들은 유행(流行)하는 의복(衣服)을 입음. 곧 외관(外觀)을 위(爲)해서 의식(衣食) 본래(本來)의 목적(目的)을 버리고 사치(奢侈)로 흐름을 두고 이르는 말.
    目: 食: 耳: 視:

  • 無子鬼神(무자귀신) : 자손을 두지 못한 사람이 죽어서 된다는 신. 원(冤鬼)로서, 사람에게 해를 끼친다.
    無: 없을 子: 아들 鬼: 귀신 神:

  • 乞神(걸신) : (1)빌어먹는 신. (2)염치없이 지나치게 탐하는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乞: 神:

  • 黃粱一炊夢(황량일취몽) : 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잠이 들어 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산 꿈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黃: 누를 粱: 기장 一: 炊: 불땔 夢:

  • 桂玉之地(계옥지지) : 장작이 계수나무보다 비싸고 쌀이 옥보다 한 곳이라는 뜻으로, 물가가 비싼 도회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桂: 계수나무 玉: 구슬 之: 地:

  • 河圖洛書(하도낙서) : 하도와 낙서를 아울러 이르는 말.
    河: 강 이름 圖: 그림 書:

  • 抱璧有罪(포벽유죄) : 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죄가 된다는 뜻으로, 분수(分數)에 맞지 않는 한 물건을 지니고 있으면 훗날 재앙(災殃)을 부를 수 있음을 이르는 말.
    抱: 안을 璧: 둥근 옥 有: 있을 罪: 허물

  • 男尊女卑(남존여비) : (1)‘남존여비’의 북한어. (2)남자는 지위가 높고 하며, 여자는 지위가 낮고 천하다고 여기는 일.
    男: 사내 尊: 높을 女: 卑: 낮을

  • 黔驢之技(검려지기) : (1)보잘것없는 솜씨와 힘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옛 중국의 검주(黔州)에 어떤 사람이 처음으로 나를 끌고 갔을 때, 그 울음소리가 크므로 범이 나를 보고 두려워하다가 나에게 별다른 힘이 없고 그 발길질도 신통하지 못함을 알고는 오히려 그 나를 잡아먹어 버렸다는 데서 유래한다. (2)자신의 솜씨와 힘이 없음을 모르고 뽐내다가 화를 스스로 부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黔: 검을 驢: 당나귀 之: 技: 재주

  • 魚頭鬼面(어두귀면) : 물고기 머리에 신 낯짝이라는 뜻으로, 몹시 흉한 얼굴을 이르는 말.
    魚: 고기 頭: 머리 鬼: 귀신 面:

  • 烹頭耳熟(팽두이숙) : 머리를 삶으면 까지 익는다는 뜻으로, 한 가지 일이 잘되면 다른 일도 저절로 이루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烹: 삶을 頭: 머리 耳: 熟: 익을

  • 獨脚大王(독각대왕) : (1)신의 하나. (2)말썽이 많고 괴팍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동물이나 사람의 형상을 한 잡된 신의 하나. 비상한 힘과 재주를 가지고 있어 사람을 홀리기도 하고 짓궂은 장난이나 심술궂은 짓을 많이 한다고 한다.
    獨: 홀로 脚: 다리 大: 王: 임금

  • 匠石運斤(장석운근) : 장석이 도끼를 사용한다는 뜻으로, 고대 전설적 명공(名工)인 장석(匠石)이 자를 휘둘러 물건을 만드는데 조금의 착오도 없었다는 데서 ‘기예(技藝)가 오묘한 경지’에 이름을 이르는 말.
    匠: 장인 石: 運: 斤: 도끼

  • 山海珍味(산해진미) : 산과 바다에서 나는 온갖 진한 물건으로 차린, 맛이 좋은 음식.
    山: 海: 바다 珍: 보배 味:

  • 白龍魚服(백룡어복) : (1)흰 용이 물고기의 옷을 입었다는 뜻으로, 신분이 높고 한 사람이 남 모르게 나다님을 이르는 말. (2)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이 남모르게 나다니다가 뜻하지 않게 욕을 봄을 이르는 말. 신령스러운 흰 용이 물고기로 변하여 다니다가 어부의 그물에 잡혔다는 데서 유래한다.
    白: 龍: 魚: 고기 服:

  • 馬耳東風(마이동풍) : 동풍이 말의 를 스쳐 간다는 뜻으로, 남의 말을 담아듣지 아니하고 지나쳐 흘려버림을 이르는 말.
    馬: 耳: 東: 동녘 風: 바람

  • 富貴榮華(부귀영화) : 재산이 많고 지위가 높으며 하게 되어서 세상에 드러나 온갖 영광을 누림.
    富: 가멸 貴: 귀할 榮: 영화 華: 빛날

  • 絶壁江山(절벽강산) : 깎아지른 절벽으로 둘러싸인 곳이라는 뜻으로, 아주 가 먹었거나 남의 말을 잘 알아듣지 못하는 사리에 어두운 꽉 막힌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준말 : 절벽].
    絶: 끊을 壁: 江: 山:

  • 掩耳盜鐘(엄이도종) : 를 막고 종을 훔친다라는 뜻으로, (1) 자기(自己)만 듣지 않으면 남도 듣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어리석은 행동(行動)(2) 또는 결코 넘어가지 않을 얕은 수로 남을 속이려 한다는 말.
    掩: 가릴 耳: 盜: 도둑 鐘:

  • 金枝玉葉(금지옥엽) : (1)금으로 된 가지와 옥으로 된 잎이라는 뜻으로, 임금의 가족을 높여 이르는 말. (2)매우 소중하고 한 자식을 이르는 말. (3)구름의 아름다운 모양을 이르는 말.
    金: 枝: 가지 玉: 구슬 葉:

2
#지위 65 #천하 94 #근본 66 #벼슬 88 #어버이 60 #신하 62 #따위 228 #물건 136 #근심 65 #죽음 73 #재앙 64 #표현 88 #방법 59 #모양 142 #처음 91 #어머니 72 #얼굴 99 #속담 63 #중국 253 #정도 153 #형제 68 #생활 82 #부모 136 #임금 189 #잘못 93 #예전 60 #시대 114 #문장 59 #조금 96 #사물 172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1개) : 가, 각, 간, 갇, 갈, 갉, 갏, 감, 갑, 값, 갓, 강, 갖, 갗, 개, 객, 갠, 갤, 갬, 갭, 갱, 갸, 갹, 걈, 걍, 걔, 걘, 거, 건, 걸, 검, 겁, 겂, 것, 겄, 겇, 겉, 게, 겍, 겐, 겔, 겝, 겟, 겠, 겡, 겥, 겨, 격, 견, 겯, 결, 겸, 겹, 겻, 경, 겿, 곁, 계, 고, 곡, 곤, 곧, 골, 곬, 곰, 곱, 곳, 공, 곶, 곷, 곻, 과, 곽, 관, 괄, 괌, 광, 괘, 괙, 괜, 괠, 괨, 괭, 괴, 괵, 괼, 굄, 굉, 교, 굠, 굥, 구, 국, 굮, 군, 굳, 굴, 굼, 굽, 굿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