鶴首苦待(학수고대) 풀이

鶴首苦待

학수고대

학의 목처럼 목을 길게 빼고 간절히 기다림.

#머리 #간절 #기다림 #고통 #


한자 풀이:
  • (학 ): 학, 희다, 호미의 머리.
  • (머리 ): 머리, 첫머리, 우두머리, 칼자루, 요처(要處).
  • (쓸 ): 쓰다, 멀미, 쓴 맛, 차멀미, 배멀미 따위, 씀바귀.
  • (기다릴 ): 기다리다, 대접하다, 막다, 때, 임용(任用)하다.

같은 의미의 한자:
  • 학수(鶴首)
🍓 鶴首苦待(학수고대) 웹스토리 보기
鶴首苦待(학수고대)의 의미: 학의 목처럼 목을 길게 빼고 간절히 기다림.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鶴首苦待(학수고대) 관련 한자

  • 擧覺 획순 擧覺(거각) : 스승이 들어 보여서 학인(學人)이 깨닫는다는 뜻으로, 스승과 학인이 만나는 일을 이르는 말.
  • 梅妻鶴子(매처학자) : 유유자적한 풍류 생활을 이르는 말. 중국 송나라의 임포(林逋)가 서호(西湖)에 은거하면서, 처자도 없이 오직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며 생활을 즐겼다는 데서 유래한다.
  • 多岐亡羊(다기망양) : (1)갈림길이 많아 잃어버린 양을 찾지 못한다는 뜻으로, 두루 섭렵하기만 하고 전공하는 바가 없어 끝내 성취하지 못함을 이르는 말. ≪열자(列子)≫<설부(雪符)>에 나오는 말이다. (2)방침이 많아서 도리어 갈 바를 모름.

  • 人鬼相半 획순 人鬼相半(인귀상반) : 반은 사람이고 반은 귀신이라는 뜻으로, 오랜 병이나 심한 고통으로 몹시 쇠약해져 뼈만 남아 있음을 이르는 말.
  • 抱痛西河(포통서하) : 서하에서 고통을 품는다는 뜻으로, 공자의 제자 자하(子夏)가 서하에 있을 때, 그의 아들을 잃고 너무 비통한 나머지 실명한 고사에서 유래되어 자식을 잃고 슬퍼하는 일을 이르는 말로 사용됨.
  • 苦盡甘來(고진감래) : 쓴 것이 다하면 단 것이 온다는 뜻으로, 고생 끝에 즐거움이 옴을 이르는 말.

  • 渴民待雨 획순 渴民待雨(갈민대우) : 목마른 백성이 비를 기다린다는 뜻으로, 아주 간절히 기다림을 이르는 말.
  • 三年不蜚不鳴(삼년불비불명) : 새가 삼 년 간을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는다는 뜻으로, 뒷날에 큰 일을 하기 위(爲)하여 침착(沈着)하게 때를 기다림을 이르는 말.
  • 三年不飛又不鳴(삼년불비우불명) : 새가 멀리 날고 크게 울 날을 기다려 삼 년 동안이나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는다는 뜻으로, 큰 뜻을 펼치기 위하여 적절한 때를 기다림을 이르는 말. ≪사기≫의 <골계열전(滑稽列傳)>과 ≪여씨춘추≫의 <심응람(審應覽)>에 나오는 말이다.

#경계 56 #조금 96 #재능 61 #사용 312 #고사 108 #임금 189 #죽음 73 #인간 65 #모습 66 #형용 67 #백성 105 #자신 208 #문장 59 #중국 253 #어버이 60 #소리 96 #여자 101 #아침 72 #자리 94 #근본 66 #정도 153 #이익 89 #무리 64 #나무 166 #천하 94 #싸움 61 #가난 90 #이름 211 #부모 136 #형제 68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20개) : 학수고대, 한사결단, 함실구들, 험상궂다, 혈심고독, 혼성기둥, 화살기도, 황새고디, 후신경도, 흠상궂다, 학생 길드, 합성 기둥, 항성 광도, 핵상 교대, 행성 궤도, 향심 기도, 현상 과다, 현상 과도, 혼성 궤도, 흑산 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