陶走猗頓(도주의돈) 풀이

陶走猗頓

도주의돈

도주(陶走)와 의돈(猗頓)과 같은 큰 부자라는 뜻으로, 막대(莫大)한 재산(財産)이나 돈이 많은 부자를 이르는 말.

# #도주 #의도 #부자 #재산


한자 풀이:
  • (질그릇 ): 질그릇, 화락(和樂)하다, 달리다, 도기(陶器), 화평하게 즐김.
  • (달릴 ): 달리다, 가다, 달아나다, 뜨다, 나가다.
  • (아름다울 ): 아름답다, 더하다, 부드럽다, 붙다, 보탬.
  • (조아릴 ): 조아리다, 둔하다, 이마가 땅에 닿도록 절함, 예리하지 못함, 넘어지다.
🤟 陶走猗頓(도주의돈) 웹스토리 보기
陶走猗頓(도주의돈)의 의미: 도주(陶走)와 의돈(猗頓)과 같은 큰 부자라는 뜻으로, 막대(莫大)한 재산(財産)이나 돈이 많은 부자를 이르는 말.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走伏無地 획순 伏無地(복무지) : 달아나고 엎드리기가 땅이 없다는 뜻으로, 도망치고 숨으려 해도 그럴 만한 곳이 없는 달아나 숨을 곳이 없다는 의미.
  • 無事奔(무사분) : 하는 일 없이 공연히 바쁨.
  • 馬加鞭(마가편) : 달리는 말에 채찍질한다는 뜻으로, 잘하는 사람을 더욱 장려함을 이르는 말.
  • 烏飛(토오비) : 토끼가 달리고 까마귀가 난다는 뜻으로, 달의 상징인 토끼와 해의 상징인 까마귀가 달리고 나는 듯이 세월이 빠르게 지나감을 형용하여 이르는 말.


  • 頓首再拜 획순 首再拜(수재배) : 머리가 땅에 닿도록 두 번 절을 함. 또는 그렇게 하는 절. 경의를 표한다는 뜻으로 주로 편지의 첫머리나 끝에 쓴다.
  • 八寸(사팔촌) : 사돈의 팔촌이라는 뜻으로, 소원(疎遠)한 친척으로 남이나 다를 바 없다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우리나라 속담.
  • 不顧見(불고견) : 전혀 돌아보지 아니함.
  • 悟漸修(오점수) : 고려 시대에, 지눌이 주장한 불교의 선(禪) 수행 방법. 무인 정권 시기에 불교 교단을 개혁하기 위하여 주장한 사상 가운데 하나이다. 부처가 되려면 진심을 깨닫고, 점진적으로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陶走猗頓(도주의돈) 관련 한자

  • 圍籬安置 획순 圍籬安置(위리안치) : 유배된 죄인이 거처하는 집 둘레에 가시로 울타리를 치고 그 안에 가두어 두던 일.
  • 蒙塵(몽진) : 먼지를 뒤집어쓴다는 뜻으로, 임금이 난리를 피하여 안전한 곳으로 떠남.

  • 貧者一燈 획순 貧者一燈(빈자일등) : 가난한 사람이 바치는 하나의 등(燈)이라는 뜻으로, 물질의 많고 적음보다 정성이 중요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왕이 부처에게 바친 백 개의 등은 밤 사이에 다 꺼졌으나 가난한 노파 난타(難陀)가 정성으로 바친 하나의 등은 꺼지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是父是子(시부시자) : 이 아비에 이 아들이라는 뜻으로, 그 아비를 닮은 그 자식이라는 의미에서 부자(父子)가 모두 훌륭함을 이르는 말.
  • 三不去(삼불거) : 유교에서, 칠거지악을 범한 아내일지라도 버리지 못하는 세 가지 경우. 부모의 삼년상을 같이 치렀거나, 장가들 때 가난했다가 나중에 부자가 되었거나, 아내가 돌아가도 의지할 데가 없는 경우이다.

  • 醉翁之意 획순 醉翁之意(취옹지의) : 취한 노인의 뜻이라는 뜻으로, 다른 의도나 속셈이 있거나 안팎의 모습이 다른 상황을 이르는 말.
  • 北轅適楚(북원적초) : 나릇을 북쪽으로 향(向)하게 해 놓고 남쪽인 초(楚)나라로 가려 한다는 뜻으로, 의도(意圖)하는 바와 행(行)하는 바가 서로 어긋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 打草驚蛇(타초경사) : 수풀을 휘저어 뱀을 놀라게 한다는 뜻으로, 의도하지 않은 행동이 뜻밖의 결과를 낳을 수 있음을 이르는 말.

#상황 119 #군자 56 #형제 68 #상대 56 #태도 72 #자연 73 #시대 114 #학문 107 #사용 312 #행동 137 #의미 1817 #죽음 73 #유래 280 #방법 59 #근심 65 #물건 136 #자식 104 #나이 97 #잘못 93 #편안 62 #어버이 60 #나무 166 #처음 91 #때문 58 #상태 110 #가운데 104 #고사 108 #목숨 58 #아침 72 #실패 56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27개) : 다지우다, 답작이다, 대중없다, 대중웂다, 대중읎다, 덕존일대, 덥적이다, 덥젹이다, 데작이다, 도주의돈, 독재아들, 동조운동, 동조잇돌, 되작이다, 되지우다, 두적이다, 두직이다, 뒤적이다, 뒤젝이다, 뒤직이다, 디적이다, 디직이다, 다중 윈도, 대중 운동, 독자 유도, 동질 유도, 등장 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