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풀이

🎊
  • , , , …은 , 조자(助字)
  • 본래 장작불을 태우면서 제사지내는 모양에서 출발해, 후에 단순한 대명사로 전용되어 사용되고 있음

# 에 관한 한자 모두 92

  • 奢者心常貧 획순 心常貧(사자심상빈) : 사치하는 사람은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는 뜻으로, 사치를 좋아하는 사람은 만족할 줄 몰라 마음이 항상 가난하다는 의미.
    奢: 사치할 者: 心: 마음 常: 항상 貧: 가난할

  • 貧者一燈 획순 一燈(빈자일등) : 가난한 사람이 바치는 하나의 등(燈)이라는 뜻으로, 물질의 많고 적음보다 정성이 중요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왕이 부처에게 바친 백 개의 등은 밤 사이에 다 꺼졌으나 가난한 노파 난타(難陀)가 정성으로 바친 하나의 등은 꺼지지 않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貧: 가난할 者: 一: 燈: 등불

  • 仁者安仁 획순 安仁(인자안인) : 어진 사람은 천명을 알아 인(仁)에 만족하고 마음이 흔들리지 아니함.
    仁: 어질 者: 安: 편안할 仁: 어질

  • 漆者不畵 획순 不畵(칠자불화) : 옻칠을 하는 사람은 그림을 그리지 않는다는 뜻으로, 한 사람이 두 가지 일을 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곧 분업을 의미함.
    漆: 者: 不: 아니 畵: 그림

  • 綠衣使者 획순 綠衣使(녹의사자) : 푸른 옷을 입은 사자(使)라는 뜻으로, 앵무새의 다른 명칭.
    衣: 使: 부릴 者:

  • 川廣魚大(천광자어대) : 하천(河川)이 넓어야 큰 고기가 모여듦.
    川: 廣: 넓을 者: 魚: 고기 大:

  • 之能(술자지능) : (1)글이 잘되고 못 되는 것은 쓴 사람의 능력에 달렸음을 이르는 말. (2)일이 잘되고 안되는 것은 그 사람의 수단에 달렸음을 이르는 말.
    述: 지을 者: 之: 能: 능할

  • 恃德昌(시덕자창) : 덕을 믿는 사람은 창성한다는 뜻으로, 올바른 덕에 의지하는 사람은 번영(繁榮)한다는 의미.
    恃: 믿을 德: 者: 昌: 창성

  • 丹靑(맹자단청) : 맹자의 단청 구경이라는 뜻으로, 보아도 이해하지 못할 사물을 보는 것을 이르는 말.
    盲: 소경 者: 丹: 붉을 靑: 푸를

  • 解之(결자해지) : 맺은 사람이 풀어야 한다는 뜻으로, 자기가 저지른 일은 자기가 해결하여야 함을 이르는 말.
    結: 맺을 者: 解: 之:

  • 西方行(서방행자) : 극락에 가려고 염불하는 사람.
    西: 서녘 方: 行: 者:

  • 善騎墮(선기자타) : 말을 잘 타는 사람이 말에서 떨어진다는 뜻으로, 한 가지 재주가 뛰어난 사람이 그 재주만 믿고 자만하다가 도리어 재앙을 당한다는 의미.
    善: 착할 騎: 말 탈 者: 墮: 떨어질

  • 定離(회자정리) : 만난 자는 반드시 헤어짐. 모든 것이 무상함을 나타내는 말이다.
    會: 모일 者: 定: 정할 離: 떠날

  • 不言(지자불언) : 지자는 깊이 재능을 감추고 함부로 말을 하지 아니함을 이르는 말. ≪노자(老子)≫ 56장에 나오는 말이다.
    知: 者: 不: 아니 言: 말씀

  • 敬復(경복자) : 공경하여 답장한다는 뜻으로, 주로 한문 투의 편지글 답장 첫머리에 쓰는 말.
    敬: 공경 復: 회복할 者:

  • 樂山(인자요산) : 어진 사람은 의리에 만족하여 몸가짐이 무겁고 덕이 두터워 그 마음이 산과 비슷하므로 자연히 산을 좋아함.
    仁: 어질 者: 樂: 좋아할 山:

  • 勿止(왕자물지) : 가는 것은 그치게 하지 말라는 뜻으로, 가는 것은 그 자연에 맡겨 가게 할 것이요, 부질없이 잡아 두어서는 안 된다는 집착과 고집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의미. <莊子>.
    往: 者: 勿: 止: 그칠

  • 知足富(지족자부) : 분수를 지켜 만족할 줄 아는 사람은 넉넉함. ≪노자≫ 제33장에 나오는 말이다.
    知: 足: 者: 富: 가멸

  • 怨之本(탐자원지본) : 무엇을 탐한다는 것은 남의 원한(怨恨)을 사는 근본(根本)임.
    貪: 탐할 者: 怨: 원망할 之: 本:

  • 善游溺(선유자익) : 헤엄을 잘 치는 사람이 빠진다는 뜻으로, 재주 많은 사람이 그 재주를 믿고 까불다가 화를 입는다는 의미.
    善: 착할 游: 者:

  • 慈幼幼敬長(장자자유유자경장) : 어른은 어린이를 사랑하고 어린이는 어른을 공경(恭敬)해야 함.
    長: 者: 慈: 사랑 幼: 어릴 幼: 어릴 者: 敬: 공경 長:

  • 正也(정자정야) : 정(政)이라는 글자의 본뜻은 나라를 바르게 한다는 것임.
    政: 정사 者: 正: 바를 也: 잇기

  • 愛人人恒愛之(애인자인항애지) : 다른 사람들을 사랑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도 늘 그를 사랑해줌.
    愛: 사랑 人: 사람 者: 人: 사람 恒: 항상 愛: 사랑 之:

  • 當局迷(당국자미) : 일을 담당한 사람이 미혹된다는 뜻으로, 방관자(傍觀)보다 직접 담당자가 사리의 판단에 더 어둡다는 의미. ‘燈下不明(등하불명)’의 비유적 표현.
    當: 마땅할 局: 者: 迷: 미혹할

  • 不知(언자부지) : 말하는 자는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안다고 자처하며 지껄이는 자는 사실상 알지 못한다는 도가(道家) 무위자연(無爲自然)의 이치를 깨우치는 노자(老子)의 말.
    言: 말씀 者: 不: 아닌가 知:

  • 必衰(성자필쇠) : 융성하는 것은 결국 쇠퇴해짐.
    盛: 담을 者: 必: 반드시 衰: 쇠할

  • 敬人人恒敬之(경인자인항경지) : 다른 사람들을 공경(恭敬)하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도 늘 그를 공경(恭敬)해준다는 말.
    敬: 공경 人: 사람 者: 人: 사람 恒: 항상 敬: 공경 之:

  • 三友(익자삼우) : 사귀어서 자기에게 도움이 되는 세 가지의 벗. 심성이 곧은 사람과 믿음직한 사람, 문견이 많은 사람을 이른다.
    益: 더할 者: 三: 友:

  • 賊仁謂之賊(적인자위지적) : 인(仁)을 해(害)치는 자가 진짜 도적(盜賊)이라는 말.
    賊: 도둑 仁: 어질 者: 謂: 이를 之: 賊: 도둑

  • 爭魚濡(쟁어자유) : 고기를 잡으려는 사람은 물에 젖는다는 뜻으로, 이익(利益)을 얻으려고 다투는 사람은 언제나 고생(苦生)을 면치 못함을 비유(比喩)하는 말.
    爭: 다툴 魚: 고기 者: 濡: 젖을

  • 生生不生(생생자불생) : 삶에 집착(執着)하는 자는 도리어 살지 못함.
    生: 生: 者: 不: 아니 生:

  • 爲棟梁(대자위동량) : 큰 재목(材木)을 기둥과 들보로 쓴다는 뜻으로, 인재(人材)도 역시 기량(器量)의 크고 작음에 따라 쓰임을 이르는 말.
    大: 者: 爲: 棟: 용마루 梁: 들보

  • 三樂(손자삼요) : 사람의 몸에 손실이 되는 세 가지. ≪논어≫에 있는 말로, 분에 넘치게 즐기는 것, 일하지 아니하고 노는 것을 즐기는 것, 주색을 좋아하는 것을 이른다.
    損: 者: 三: 樂: 좋아할

  • 易飮(갈자이음) : 목이 마른 자는 무엇이든 잘 마신다는 뜻으로, 곤궁(困窮)한 사람은 은혜(恩惠)에 감복하기 쉬움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渴: 목마를 者: 易: 쉬울 飮: 마실

  • 無敵(인자무적) : 어진 사람은 남에게 덕을 베풂으로써 모든 사람의 사랑을 받기에 세상에 적이 없음.
    仁: 어질 者: 無: 없을 敵: 원수

  • 樂水(지자요수) : 슬기로운 사람은 사리에 밝아 막힘이 없는 것이 흐르는 물과 같아서 물과 친하여 물을 즐김을 이르는 말. ≪논어≫ <옹야편(雍也篇)>에 나오는 말이다.
    知: 者: 樂: 좋아할 水:

  • 不知(박자부지) : 넓게 통하는 사람은 알지 못한다는 뜻으로, 모든 일에 다 통한다 하는 따위의 사람은 한 가지에도 정통하지 못했으므로 도리어 아무것도 모른다는 의미. <老子>.
    博: 넓을 者: 不: 아닌가 知:

  • 如堵(관자여도) : 보는 사람들이 마치 담장 같다는 뜻으로, 구경하는 사람이 많아 마치 담장처럼 쭉 줄지어 늘어서 있음을 이르는 말.
    觀: 者: 如: 같을 堵:

  • 過之(현자과지) : 현인(賢人)은 중용(中庸)을 지나 고상(高尙)한 행위(行爲)를 함을 이르는 말.
    賢: 어질 者: 過: 지날 之:

  • 欲勞(식자욕로) : 쉬는 사람이 힘쓰고자 한다는 뜻으로, 안락(安樂)하게 지내는 사람은 대로 고된 일이라도 해보고 싶다는 의미에서 인간은 자신의 환경에 만족하지 않고 남을 부러워함을 이르는 말.
    息: 숨쉴 者: 欲: 하고자 할 勞: 일할

  • 不憂(인자불우) : 어진 사람은 마음이 항상 평화스러워 근심을 가지지 아니함.
    仁: 어질 者: 不: 아니 憂: 근심

  • 自現不明(자현자불명) : 스스로 나타내는 자는 밝지 못하다는 뜻으로, 스스로 자신의 덕을 밖으로 나타내 보이려고 하는 사람은 도리어 그 덕을 어둡게 한다는 의미.
    自: 스스로 現: 나타날 者: 不: 아니 明: 밝을

  • 厭人責其行無進(염인책자기행무진) : 남의 꾸짖음을 싫어하는 사람은 그 행실(行實)에 전진(前進)이 없음.
    厭: 싫어할 人: 사람 責: 꾸짖을 者: 其: 行: 無: 없을 進: 나아갈

  • 敬啓(경계자) : 삼가 말씀드린다는 뜻으로 한문 투 편지의 첫머리에 쓰는 말.
    敬: 공경 啓: 者:

  • 鳥起伏也(조기자복야) : 날아가던 새가 앉으려다가 놀라 높이 뜰 때에는 그 밑에 적의 복병(伏兵)이 있음을 이르는 말.
    鳥: 起: 일어날 者: 伏: 엎드릴 也: 잇기

  • 速登易顚(속등자이전) : 빨리 오르는 자는 넘어지기 쉽다는 뜻으로, 출세가 빠른 사람은 도리어 재난이 많음을 비유하는 말.
    速: 빠를 登: 오를 者: 易: 쉬울 顚: 넘어질

  • 自勝强(자승자강) : 자신을 이기는 것을 강이라 한다는 뜻으로, 자신을 이기는 사람이 강한 사람임을 이르는 말.
    自: 스스로 勝: 이길 者: 强: 굳셀

  • 三多(학자삼다) : 배우는 사람은 세 가지가 많아야 한다는 뜻으로, 학자가 되기 위해서는 독서(讀書)와 지론(持論)과 저술(著述)의 세 가지가 많아야 한다는 의미.
    學: 배울 者: 三: 多: 많을

  • 無齒(각자무치) : 뿔이 있는 짐승은 이가 없다는 뜻으로, 한 사람이 여러 가지 재주나 복을 다 가질 수 없다는 말.
    角: 者: 無: 없을 齒:

  • 先手(약자선수) : 바둑이나 장기 따위에서, 수가 약한 사람이 선수가 되어 먼저 두는 일.
    弱: 약할 者: 先: 먼저 手:

  • 勿追(거자물추) : 가는 사람을 억지로 막지 말라는 말.
    去: 者: 勿: 追: 쫓을

  • 小人(빈자소인) : 가난한 사람은 굽히는 일이 많아 떳떳하게 기를 펴지 못하므로 저절로 낮은 사람이 됨.
    貧: 가난할 者: 小: 작을 人: 사람

  • 必反(거자필반) : 가버린 사람은 반드시 돌아온다는 뜻으로, 불교의 윤회 사상에 의거해 '會定離(회자정리)와 함께 만물의 운명은 계속해서 돌고 돈다는 의미.
    去: 者: 必: 반드시 反: 돌이킬

  • 有田(경자유전) : 밭을 가는 사람이 밭을 소유해야 한다는 뜻으로, 실지로 농사를 짓는 사람이 그 농토를 소유하고 있어야 한다는 의미인데, 고대부터 현대까지 항상 토지 개혁의 이상적 목표로 설정되어 온 가치의 원칙이나 이루어지지 않음을 시사한다.
    耕: 者: 有: 있을 田:

  • 逆德(노자역덕) : 사람이 노하게 되면 서로 싸우게 되므로, 노하는 것은 덕을 역행하는 일이라는 말.
    怒: 성낼 者: 逆: 거스를 德:

  • 不殺(항자불살) : 항복하는 사람은 죽이지 아니함.
    降: 항복할 者: 不: 아니 殺: 죽일

  • 近墨黑(근묵자흑) : 먹을 가까이하는 사람은 검어진다는 뜻으로, 나쁜 사람과 가까이 지내면 나쁜 버릇에 물들기 쉬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近: 가까울 墨: 者: 黑: 검을

  • 用缺盆(도자용결분) : 도공(陶工)은 깨진 동이만 사용(使用)한다는 뜻으로, 남을 위(爲)해서는 하지만 자기(自己)를 위(爲)해서는 하지 못함을 두고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陶: 질그릇 者: 用: 缺: 이지러질 盆: 동이

  • 自知不怨人(자지자불원인) : 자기(自己)를 아는 사람은 남을 원망(怨望)하지 않음.
    自: 스스로 知: 者: 不: 아니 怨: 원망할 人: 사람

  • 悅人讚百事皆僞(열인찬자백사개위) : 남의 칭찬(稱讚)을 좋아하는 사람은 온갖일이 모두 거짓됨.
    悅: 기쁠 人: 사람 讚: 기릴 者: 百: 일백 事: 皆: 僞: 거짓

  • 勿拒(내자물거) : 오는 사람을 막지 말라는 말. ≪춘추≫ <공양전(公羊傳)>에 나오는 말이다.
    者: 勿: 拒: 막을

  • 多笑(치자다소) : 어리석고 못난 사람이 잘 웃는다는 뜻으로, 실없이 잘 웃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癡: 어리석을 者: 多: 많을 笑: 웃을

  • 勿禁(내자물금) : 오는 사람을 막지 말라는 말.
    者: 勿: 禁: 금할

  • 自矜不長(자긍자부장) : 스스로 공을 자랑하는 자는 오래 가지 않음을 이르는 말.
    自: 스스로 矜: 불쌍히 여길 者: 不: 아닌가 長:

  • 鼎立(삼자정립) : 세 사람이 마치 솥의 발처럼 마주 늘어선 형상(形狀)이나 상태(狀態)를 이르는 말.
    三: 者: 鼎: 立:

  • 似而非(사이비자) : 겉으로 보기에는 비슷한 것 같으나 실지(實地)로는 아주 다른 가짜.
    似: 같을 而: 말 이을 非: 아닐 者:

  • 逐獸目不見太山(축수자목불견태산) : 짐승을 쫓는 사람의 눈에는 태산(泰山)이 보이지 않는다는 뜻으로, 이욕(利慾)에 빠진 자는 큰 해가 눈앞에 있는 것도 모름을 이르는 말.
    逐: 쫓을 獸: 짐승 者: 目: 不: 아니 見: 太: 山:

  • 風度(장자풍도) : 덕망이 높고 많은 경험으로 세상일에 익숙한 사람의 풍채와 태도.
    長: 者: 風: 바람 度: 법도

  • 擇一(량자택일) : (1)둘 중에서 하나를 고름. (2)‘양자택일’의 북한어.
    者: 擇: 가릴 一:

  • 凶器(병자흉기) : 무기는 흉악한 기구라는 뜻으로, 전쟁은 사람을 해치는 흉학한 일이라는 의미.
    兵: 군사 者: 凶: 흉할 器: 그릇

  • 難幷(사자난병) : 네 가지는 함께 아우르기는 어렵다는 뜻으로, 양신(良辰)ㆍ미경(美景)ㆍ상심(賞心)ㆍ낙사(樂事)의 네가지를 동시(同時)에 겸하여 얻기는 어렵다는 말.
    四: 者: 難: 어려울 幷: 어우를

  • 殉財(탐자순재) : 탐욕스러운 사람은 재물을 위해 목숨까지 버린다는 뜻으로, 탐욕스러운 사람은 재물 때문에 목숨을 잃음을 이르는 말.
    貪: 탐할 者: 殉: 따라 죽을 財: 재물

  • 不惑(지자불혹) : 지혜로운 사람은 미혹되지 않는다는 뜻으로, 지혜로운 사람은 이치에 밝으므로 어떤 사물에도 미혹(迷惑)되지 않는다는 의미.
    知: 者: 不: 아니 惑: 미혹할

  • 一得(우자일득) : 어리석은 사람이라도 잘하는 것이 있음.
    愚: 어리석을 者: 一: 得: 얻을

  • 自知明(자지자명) : 자기(自己)를 아는 사람은 총명(聰明)한 사람이라 할 수 있다는 말.
    自: 스스로 知: 者: 明: 밝을

  • 可追(내자가추) : 이미 지나간 일은 어쩔 수 없으나 앞으로의 일을 조심하면 지금까지와 같은 잘못은 범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이르는 말. ≪논어≫ <미자편(微子篇)>에 나오는 말이다.
    者: 可: 옳을 追: 쫓을

  • 先病醫(선병자의) : 먼저 병을 앓아 본 사람이 의원이라는 뜻으로, 먼저 경험을 해 본 사람은 비슷한 상황에 처한 사람을 도와줄 수 있음을 이르는 말.
    先: 먼저 病: 者: 醫: 의원

  • 逐鹿不見山(축록자불견산) : 사슴을 쫓는 사람은 산을 보지 못한다는 뜻으로, 눈앞의 작은 일에 치우치다가 다른 중요한 것을 놓치게 됨을 이르는 말.
    逐: 쫓을 鹿: 사슴 者: 不: 아니 見: 山:

  • 失杖(맹자실장) : 소경이 지팡이를 잃다는 뜻으로, 믿고 의지할 곳이 없어졌다는 의미.
    盲: 소경 者: 失: 잃을 杖: 지팡이

  • 直門(맹자직문) : 어리석은 사람이 어쩌다 이치에 들어맞는 일을 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盲: 소경 者: 直: 곧을 門:

  • 甘食(기자감식) : 배고픈 사람은 음식을 가리지 않고 달게 먹음을 이르는 말.
    飢: 주릴 者: 甘: 食:

  • 生存(적자생존) : 환경에 적응하는 생물만이 살아남고, 그렇지 못한 것은 도태되어 멸망하는 현상. 영국의 철학자 스펜서가 제창하였다.
    適: 者: 生: 存: 있을

  • 日疎(거자일소) : 죽은 사람에 대한 생각은 날이 갈수록 잊게 된다는 뜻으로, 서로 멀리 떨어져 있으면 점점 사이가 멀어짐을 이르는 말.
    去: 者: 日: 疎: 트일

  • 三樂(익자삼요) : 사람이 좋아하여 유익한 세 가지. ≪논어≫에 있는 말로, 예악(禮樂)을 적당히 좋아하는 것, 사람의 착함을 좋아하는 것, 착한 벗이 많음을 좋아하는 것을 이른다.
    益: 더할 者: 三: 樂: 좋아할

  • 正門(맹자정문) : 맹자가 정문을 바로 찾아 들어간다는 뜻으로, 어리석은 사람이 어쩌다 이치에 들어맞는 일을 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盲: 소경 者: 正: 바를 門:

  • 難得兄弟(난득자형제) : 얻기 어려운 게 형제(兄弟)란 뜻으로, 형제(兄弟)는 인력(人力)으로 얻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형제(兄弟) 간(間)에 의가 좋아야 한다는 말.
    難: 어려울 得: 얻을 者: 兄: 弟: 아우

  • 三友(손자삼우) : 사귀면 손해가 되는 세 종류의 벗. 편벽한 벗, 착하기만 하고 줏대가 없는 벗, 말만 잘하고 성실하지 못한 벗을 이른다.
    損: 者: 三: 友:

  • 逐鹿不顧兎(축록자불고토) : 사슴을 쫓는 자는 토끼를 돌아보지 않는다는 뜻으로, (1) 명예(名譽)나 욕심(慾心)에 사로잡힌 사람은 도리(道理)를 저버리거나 눈앞의 위험(危險)을 돌보지 않음의 비유(比喩) (2) 큰 일을 이루려는 사람은 작은 일에 사로잡히지 않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逐: 쫓을 鹿: 사슴 者: 不: 아니 顧: 돌아볼 兎: 토끼

  • 三代(장자삼대) : 부자(富)는 3대(三代)까지 가기 어렵다는 말, 곧 아버지가 고생(苦生)해서 재산(財産)을 만들고, 그것을 보고 자란 아들인 2대는 그것을 잘 지키지만, 3대인 손자(孫子)는 생활(生活)이 사치(奢侈)하여 마침내 할아버지와 아버지가 이룩한 가산을 탕진(蕩盡)하는 예가 많음을 이르는 말.
    長: 者: 三: 代: 대신

  • 必滅(생자필멸) : 생명이 있는 것은 반드시 죽음. 존재의 무상(無常)을 이르는 말이다.
    生: 者: 必: 반드시 滅: 멸망할

  • 不追來不拒(거자불추내자불거) : 가는 사람 붙들지 말고 오는 사람은 물리치지도 않는다는 뜻.
    去: 者: 不: 아니 追: 쫓을 者: 不: 아니 拒: 막을

  • 萬燈(장자만등) : 장자의 일만 개의 등(等)이라는 뜻으로, 불교(佛敎)에서, 부자(富)가 신불(神佛)에게 일만 개의 등(等)을 올리는 반면에 가난한 여인(女人)은 단 하나의 등(等)을 바치지만, 그 참뜻만 있으면 가난한 여인(女人)의 한 등(等)이 장자의 만 등(等)에 못지 않다는 말.
    長: 者: 萬: 일만 燈: 등불

#행동 137 #자리 94 #아내 81 #머리 141 #은혜 70 #아침 72 #나라 392 #집안 93 #따위 228 #표현 88 #백성 105 #문장 59 #여자 101 #인간 65 #어머니 72 #사람 1461 #때문 58 #부모 136 #죽음 73 #태도 72 #처음 91 #정도 153 #신하 62 #얼굴 99 #무리 64 #천하 94 #자식 104 #상태 110 #관계 90 #어버이 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