稽顙再拜(계상재배) 풀이

稽顙再拜

계상재배

이마가 땅에 닿도록 몸을 굽혀 두 번 절함. 흔히 한문 투의 편지글에서 상제(喪制)가 상대편에 대한 경의를 표하기 위하여 편지 첫머리에 쓴다.

#상투어 # # #경의 #이름 #이마 #한문투 #상제 #상대편 #머리 #의미 #다음 #자신 #첫머리 #선조


한자 풀이:
  • (생각할 ): 생각하다, 조아리다, 검토함, 머무르다, 머무르게 하다.
  • (이마 ): 이마, 조아리다, 머리, 뺨, 이마를 땅에 대어 절함.
  • (두 ): 두, 거듭하다, 둘, 반복, 두 번.
  • (절 ): 절, 경의(敬意)를 나타내는 접두어, 벼슬을 내리다, 받다, 이르다.

같은 의미의 한자:
  • 계상(稽顙)
  • 돈수재배(頓首再拜)
  • 계수재배(稽首再拜)
🐠 稽顙再拜(계상재배) 웹스토리 보기
稽顙再拜(계상재배)의 의미: 이마가 땅에 닿도록 몸을 굽혀 두 번 절함. 흔히 한문 투의 편지글에서 상제(喪制)가 상대편에 대한 경의를 표하기 위하여 편지 첫머리에 쓴다.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荒唐無稽 획순 荒唐無(황당무) : ‘황당무계하다’의 어근.
  • 古之力(고지력) : 옛일을 자세히 살피어 공부하는 노력이라는 뜻으로, 학문이 넓고 지식이 많음을 이르는 말.
  • 之恥(회지치) : 회계산에서의 수치라는 뜻으로, 전쟁에 패한 치욕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월왕(越王) 구천(句踐)이 오왕(吳王) 부차(夫差)에게 후이지산(會稽山)에서 패전하고 생포되어 굴욕적인 강화를 맺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稽顙再拜(계상재배) 관련 한자

  • 天方地方 획순 天方地方(천방지방) : 너무 급하여 허둥지둥 함부로 날뛰는 모양.
  • 頂天履地(정천이지) : 하늘을 이고 땅을 밟음.
  • 賜牌之地(사패지지) : 고려ㆍ조선 시대에, 임금이 내려 준 논밭. 주로 외교와 국방 따위의 분야에서 나라에 큰 공을 세운 왕족이나 벼슬아치에게 내려 주었으며, 세습이 되는 토지와 안 되는 토지가 있었다.

  • 三釜之養 획순 三釜之養(삼부지양) : 박한 봉록(俸祿)으로 몇 번이고 되풀이해서 경의(敬意)를 표함.
  • 頓首再拜(돈수재배) : 머리가 땅에 닿도록 두 번 절을 함. 또는 그렇게 하는 절. 경의를 표한다는 뜻으로 주로 편지의 첫머리나 끝에 쓴다.
  • 拜具(배구) : 삼가 글월을 갖춘다는 뜻으로, 편지 끝에 써서 받는 사람에게 경의를 표하는 말.

  • 蚇蠖之屈 획순 蚇蠖之屈(척확지굴) : 자벌레가 몸을 굽히는 것은 다음에 몸을 펴고자 함이라는 뜻으로, 훗날에 성공을 위(爲)해 잠시 굽힘을 이르는 말.
  • 阿父(아부) : 예전에, ‘아버지’를 정답게 이르던 말.
  • 大願本尊(대원본존) : ‘지장보살’을 달리 이르는 말. 육도(六道) 중생을 모두 제도한 다음에야 부처가 되겠다고 하는 큰 서원을 세운 데서 유래한다.

  • 三年不弔 획순 三年不弔(삼년부조) : 삼년상을 치르는 상제는 상기(喪期) 삼 년 동안 남의 상사(喪事)에 조상하지 못하거나 아니함.
  • 省禮(생례) : 예절을 생략하고 씀. 예전에 상중(喪中)에 있는 사람에게 편지를 보낼 때, 첫머리에 썼던 말이다.
  • 三喪不問(삼상불문) : 삼년상을 치르는 상제는 상기(喪期) 삼 년 동안 남의 상사(喪事)에 조상하지 못하거나 아니함.

  • 父祖傳來 획순 父祖傳來(부조전래) : 조상 대대로 자손에게 전해 내려옴.
  • 桑梓之鄕(상재지향) : 선조의 자취가 남아 있는 고향.
  • 三省(삼성) : (1)매일 세 번 자신을 반성함. (2)의정부, 사헌부, 의금부의 관원들이 합좌하여 패륜을 범한 죄인을 국문하던 일. (3)만주 지린성 북부에 있는 개시장(開市場). 무단강과 쑹화강이 만나는 곳에 있으며 잡곡, 목재, 소가죽 따위의 집산지이다. ⇒규범 표기는 ‘싼성’이다. (4)고려 시대에,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 중서성, 문하성, 상서성을 이른다. (5)중국 당나라 때에,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 중서성, 문하성, 상서성을 이른다. (6)발해 때에, 최고의 의정 기능을 하던 세 기관. 중대성, 선조성, 정당성을 이른다.

  • 擧棋不定 획순 擧棋不定(거기부정) : 바둑을 두는 데 포석(布石)할 자리를 결정(決定)하지 않고 둔다면 한 집도 이기기 어렵다는 뜻으로, 사물(事物)을 명확(明確)한 방침(方針)이나 계획(計劃)을 갖지 않고 대함을 의미(意味).
  • 束手無策(속수무책) : 손을 묶은 것처럼 어찌할 도리가 없어 꼼짝 못 함.
  • 空前絶後(공전절후) : 앞에도 비어있고, 뒤에도 끊어졌다는 뜻으로, 비교할 것이 이전에도 없고 이후에도 없다는 의미로 워낙 독특해서 비교할 만한 것이 없다는 의미.

  • 豊上銳下 획순 豊上銳下(풍상예하) : 이마는 살찌고 뺨은 여윔.
  • 焦頭爛額(초두난액) : 불에 머리를 태우고 이마를 그슬려 가며 불을 끈다는 뜻으로, 어려운 일을 당하여 몹시 애쓰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십팔사략≫, ≪통감(通鑑)≫, ≪한서(漢書)≫의 <곽광전(霍光傳)>에 나온다.
  • 疾首蹙頞(질수축알) : 몹시 싫어서 이마를 찡그림.

  • 人海戰術 획순 人海戰術(인해전술) : 우수한 화기보다 다수의 병력을 투입하여 적을 압도하는 전술. 6ㆍ25 전쟁에서 중국 공산군이 썼던 전법이다.
  • 煙幕作戰(연막작전) : 어떤 사실을 숨기기 위하여 약삭빠르고 능청스러운 말이나 수단 따위를 써서 상대편이 갈피를 못 잡게 하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刮目相對(괄목상대) : 눈을 비비고 상대편을 본다는 뜻으로, 남의 학식이나 재주가 놀랄 만큼 부쩍 늚을 이르는 말.

  • 除煩 획순 除煩(제번) : 번거로운 인사말을 덜어 버리고 할 말만 적는다는 뜻으로, 간단한 편지의 첫머리에 쓰는 말.
  • 敬啓(경계) : 삼가 말씀드린다는 뜻으로 한문 투 편지의 첫머리에 쓰는 말.
  • 敬復者(경복자) : 공경하여 답장한다는 뜻으로, 주로 한문 투의 편지글 답장 첫머리에 쓰는 말.

  • 叩盆之痛 획순 叩盆之痛(고분지통) : 고분지통(鼓盆之痛). 아내가 죽은 설움을 한문투(漢文-)로 이르는 말.
  • 敬復(경복) : 경복(敬覆). 공경(恭敬)하여 삼가 답장(答狀)한다는 뜻으로, 주(主)로 한문투(漢文-)의 회답(回答) 편지(便紙) 첫머리에 쓰는 말.
  • 敬覆(경복) : 경복(敬復). 공경(恭敬)하여 삼가 답장(答狀)한다는 뜻으로, 주로 한문투(漢文-)의 회답(回答) 편지(便紙) 첫머리에 쓰는 말.

#근본 66 #이치 67 #사이 200 #상대 56 #구름 67 #군자 56 #백성 105 #서로 71 #표현 88 #재앙 64 #근심 65 #세상 339 #자식 104 #집안 93 #벼슬 88 #자신 208 #은혜 70 #어려움 105 #가난 90 #아침 72 #실패 56 #어머니 72 #경우 64 #처음 91 #형제 68 #아내 81 #때문 58 #문장 59 #나무 166 #임금 189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45개) : 각산진비, 간석지벌, 간세지배, 간송전보, 갈색제비, 갑신정변, 강상지변, 거소지법, 건새지붕, 경신정변, 계상재배, 계수재배, 고산제비, 굴식재배, 금시작비, 기술정비, 가성 적분, 가스 증배, 갈색 지방, 감사 정배, 감성 정부, 감시 장비, 감시 정보, 개선 정비, 개시 정보, 건설 장비, 검사 장비, 결손 전보, 겹손 준비, 경사 장부, 경사 지붕, 경성 지방, 고실 지붕, 공사 준비, 과세 정보, 과수 재배, 관세 장벽, 광선 정반, 교수 준비, 군사 정보, 군사 정부, 군수 정비, 기상 전보, 기상 정보, 기술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