燕雀之徒(연작지도) 풀이

燕雀之徒

연작지도

소인(小人)의 무리를 이름.

#소인 #이름 #무리


한자 풀이:
  • (제비 ): 제비, 연 나라, 잔치, 편안하다, 어여쁜 모양.
  • (참새 ): 참새, 검붉은 빛깔, 적흑색(赤黑色).
  • (갈 ): 가다, 변하여 가다, 이용하다, 끼치다, 걸어가다.
  • (무리 ): 무리, 걷다, 보병(步兵), 제자, 종.
🎗 燕雀之徒(연작지도) 웹스토리 보기
燕雀之徒(연작지도)의 의미: 소인(小人)의 무리를 이름.

한자 활용 더 알아보기

  • 翼之謀(익지모) : 조상이 자손을 돕기 위한 좋은 계교.
  • 雁代飛(안대비) : 제비가 날아올 때는 기러기가 날아가고 기러기가 날아올 때에는 제비가 날아가 서로 교체하여 각각 다른 방향으로 간다는 뜻으로, 사람의 일이 서로 어긋남을 이르는 말.
  • 鴻之歎(홍지탄) : 제비와 고니의 탄식이라는 뜻으로, 여름새인 제비와 겨울새인 기러기가 만나지 못하는 것처럼 길이 어긋나거나 서로 소식 없이 만나지 못함을 한탄하는 말.

  • 掩目捕(엄목포) : 눈을 가리고 참새를 잡는다는 뜻으로, 아주 얕은 꾀로 남을 속이려 함을 이르는 말.
  • 明珠彈(명주탄) : 새를 잡는 데 구슬을 쓴다는 뜻으로, 작은 것을 탐내다가 큰 것을 손해 보게 됨을 이르는 말.
  • 欣然躍(흔연약) : 기뻐하며 참새처럼 뛴다는 뜻으로, 너무나 좋아서 뛰며 기뻐한다는 의미.

  • 殺活之權 획순 殺活權(살활권) : 살리고 죽일 수 있는 권리.
  • 刎頸友(문경우) : 서로를 위해서라면 목이 잘린다 해도 후회하지 않을 정도의 사이라는 뜻으로, 생사를 같이할 수 있는 아주 가까운 사이, 또는 그런 친구를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의 인상여(藺相如)와 염파(廉頗)의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 風木悲(풍목비) : 효도를 다하지 못한 채 어버이를 여읜 자식의 슬픔을 이르는 말.
  • 七步才(칠보재) :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 위나라의 시인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家徒四壁 획순 四壁(가사벽) : 집안이 네 벽 뿐이라는 뜻으로, 집안 형편(形便)이 매우 어렵다는 것을 이르는 말.
  • 無爲食(무위식) : 하는 일 없이 놀고먹음.
  • 壁立(가벽립) : 가난한 집이라서 집 안에 세간살이는 하나도 없고 네 벽만 서 있다는 뜻으로, 매우 가난하다는 말. ≪한서≫의 <사마상여전(司馬相如傳)>에 나오는 말이다.


燕雀之徒(연작지도) 관련 한자

  • 觀過知仁(관과지인) : 과오를 보고 그 어짊과 어질지 못함을 알 수 있다는 뜻으로, 어진 사람의 과오는 너무 후한 데서 오고 어질지 않은 사람의 과오는 너무 박한 데서 온다는 말.
  • 不惡而嚴(불오이엄) : 미워하지 않으면서도 엄하다는 뜻으로, 미워하여 꾸짖거나 하지 않으면서도 위엄 있는 태도를 가진다는 의미인데, 주로 소인을 멀리하는 방법을 이르는 말.

#부부 76 #정도 153 #물건 136 #표현 88 #방법 59 #형제 68 #경우 64 #얼굴 99 #여자 101 #나이 97 #가난 90 #사이 200 #의미 1817 #어버이 60 #지위 65 #태도 72 #부모 136 #재앙 64 #잘못 93 #소리 96 #의지 69 #어머니 72 #생활 82 #이익 89 #조금 96 #집안 93 #모양 142 #어려움 105 #편안 62 #음식 79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45개) : 안잠자다, 안전지대, 애자지다, 애직잖다, 야잣잖다, 야젓잖다, 야짓잖다, 어줍잖다, 어집잔다, 어집잖다, 어짓잖다, 오죽잖다, 우지지다, 우지짖다, 움주쥐다, 웨지지다, 위자지도, 육종진동, 으줍잖다, 으직잖다, 의젓잖다, 의짓잖다, 안전 진단, 안정 진동, 양적 증대, 업적 제도, 엔진 진동, 역조정 댐, 연접 전달, 연접 전도, 영장 제도, 영점 진동, 완전 절단, 외주 조달, 운전 작동, 원자 진동, 육종 집단, 이종 자동, 이중 잣대, 이중 저당, 이질 집단, 인자 전달, 인조 잔디, 인증 제도, 인지 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