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풀이

🦋 , 움직일
  • , 움직이다 , 꿈틀거림 , 젊은 때 , 남녀의 연정
  • 태양 빛에 의해 대지에서 싹이 돋아나는 모양을 본뜬 글자. 후에 왕성한 ‘청춘’의 의미 파생

# 에 관한 한자 모두 71

  • 春山如笑 획순 山如笑(춘산여소) : 봄철의 산이 온자(蘊藉)함을 이르는 말.
    春: 山: 如: 같을 笑: 웃을

  • 春分 획순 分(춘분) : 이십사절기의 하나. 경칩(驚蟄)과 청명(淸明)의 사이에 들며 양력 3월 21일 무렵이다. 태양이 춘분점에 이르러 적도의 위를 직사(直射)하여 밤과 낮의 길이가 거의 같지만, 빛의 굴절 현상 때문에 낮의 길이가 약간 더 길다.
    春: 分: 나눌

  • 春府 획순 府(춘부) : 남의 아버지에 대(對)한 존칭(尊稱).
    春: 府: 곳집

  • 天下皆春 획순 天下皆(천하개춘) : 온 천하(天下)에 봄기운(氣運)이 가득함.
    天: 하늘 下: 아래 皆: 春:

  • 陽春和氣 획순 和氣(양춘화기) : 봄철의 따뜻하고 화창한 기운.
    陽: 春: 和: 고를 氣: 기운

  • 丈(춘장) : 춘부장(府丈)의 준말.
    春: 丈: 어른

  • 秋鼎盛(춘추정성) : 젊고 혈기가 왕성할 때.
    春: 秋: 가을 鼎: 盛: 담을

  • 到處風(도처춘풍) : 누구에게나 좋게 대하는 일. 또는 그런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到: 이를 處: 머무를 春: 風: 바람

  • 堂(춘당) : 편지(便紙) 등(等)에서, 남의 아버지를 높여 이르는 말.
    春: 堂:

  • 耕田埋色汲水斗月光(경전매춘색급수두월광) : 밭을 가니 봄빛을 묻고, 물을 길으니 달빛을 되질함.
    耕: 田: 埋: 묻을 春: 色: 汲: 길을 水: 斗: 月: 光:

  • 花爛盛(화란춘성) : 꽃이 만발(滿發)한 한창 때의 봄.
    花: 爛: 문드러질 春: 盛: 담을

  • 秋筆法(춘추필법) : ≪춘추≫와 같이 비판적이고 엄정한 필법을 이르는 말. 대의명분을 밝히어 세우는 역사 서술 방법이다.
    春: 秋: 가을 筆: 法:

  • 夏秋冬(춘하추동) : 봄ㆍ여름ㆍ가을ㆍ겨울의 네 계절.
    春: 夏: 여름 秋: 가을 冬: 겨울

  • 三月(모춘삼월) : 봄이 저물어 가는 음력(陰曆) 삼월(三月).
    暮: 저물 春: 三: 月:

  • 佳節(양춘가절) : 따뜻하고 좋은 봄철.
    陽: 春: 佳: 아름다울 節: 마디

  • 壁危花笑立好鳥啼來(벽위화소립춘호조제래) : 벽이 위태(危殆)로우나 꽃은 웃으며 서 있고, 봄이 좋으나 새는 울면서 옴.
    壁: 危: 위태할 花: 笑: 웃을 立: 春: 好: 좋을 鳥: 啼: 來:

  • 稻熟黃滿野來綠遍山(도숙황만야춘래록편산) : 벼가 익으니 누런 빛이 들에 가득하고, 봄이 오니 푸르름이 산을 둘렀음.
    稻: 熟: 익을 黃: 누를 滿: 野: 春: 來: 綠: 초록빛 遍: 두루 山:

  • 四時長(사시장춘) : (1)어느 때나 늘 봄과 같음. (2)늘 잘 지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四: 時: 長: 春:

  • 水滿四澤(춘수만사택) : 봄물이 사방의 연못에 가득하다는 뜻으로, 봄이 되어 겨우내 얼었던 얼음이 녹아 못의 물이 불어난 것처럼 봄이 다가왔다는 의미.
    春: 水: 滿: 四: 澤:

  • 來梨花白夏至樹葉靑(춘래이화백하지수엽청) : 봄이 오니 배꽃은 희게 피고, 여름이 이르니 나뭇잎이 푸르름.
    春: 來: 花: 白: 夏: 여름 至: 이를 樹: 나무 葉: 靑: 푸를

  • 蚓秋蛇(춘인추사) : 봄철의 지렁이와 가을철의 뱀이라는 뜻으로, 글줄이 비뚤어지고 글씨가 가늘어 힘이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春: 蚓: 지렁이 秋: 가을 蛇:

  • 無三日晴(춘무삼일청) : 봄에는 사흘 맑은 날이 없다는 뜻으로, (1) 봄에 꽃필 무렵이면 비가 많이 내린다는 말 (2) 전(傳)하여 좋은 일에는 어려움도 많이 따름을 이르는 말.
    春: 無: 없을 三: 日: 晴:

  • 水滿四澤夏雲多奇峯(춘수만사택하운다기봉) : 봄 물은 사방(四方) 연못에 가득하고, 여름 구름은 기이(奇異)한 봉우리가 많음.
    春: 水: 滿: 四: 澤: 夏: 여름 雲: 구름 多: 많을 奇: 기이할 峯: 봉우리

  • 風駘蕩(춘풍태탕) : 봄바람이 온화(溫和)하게 분다는 뜻으로, 인품(人品)이나 성격(性格)이 온화(溫和)하고 여유(餘裕)가 있음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春: 風: 바람 駘: 둔마 蕩: 쓸어없앨

  • 雉自鳴(춘치자명) : 봄철의 꿩이 스스로 운다는 뜻으로, 제 허물을 제 스스로 드러냄으로써 남이 알게 된다는 말.
    春: 雉: 自: 스스로 鳴:

  • 大吉(입춘대길) : 입춘을 맞이하여 길운을 기원하며 벽이나 문짝 따위에 써 붙이는 글귀.
    春: 大: 吉: 길할

  • 秋葉霜前落花雨後紅(추엽상전락춘화우후홍) : 가을 잎은 서리 앞에서 떨어지고, 봄꽃은 비온 뒤에 붉음.
    秋: 가을 葉: 霜: 서리 前: 落: 떨어질 春: 花: 雨: 後: 紅: 붉을

  • 和時(방춘화시) : 바야흐로 봄이 한창 화창한 때.
    方: 春: 和: 고를 時:

  • 露秋霜(춘로추상) : 봄 이슬과 가을 서리라는 뜻으로, ‘露’는 은택(恩澤)을, ‘秋霜’은 위엄(威嚴)을 비유적으로 표현하는 말로 사용됨.
    春: 露: 이슬 秋: 가을 霜: 서리

  • 虎尾氷(호미춘빙) : 범의 꼬리와 봄철의 얼음이라는 뜻으로, 몹시 위험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虎: 尾: 꼬리 春: 氷: 얼음

  • 來不似(춘래불사춘) : 봄이 왔지만 봄 같지 않다는 뜻으로, 어떤 처지나 상황이 때에 맞지 않음을 이르는 말.
    春: 來: 不: 아니 似: 같을 春:

  • 秋月風(추월춘풍) : 가을 달과 봄바람이라는 뜻으로, 흘러가는 세월(歲月)을 이르는 말.
    秋: 가을 月: 春: 風: 바람

  • 寒老健(춘한노건) : 봄추위와 늙은이의 건강이라는 뜻으로, 사물이 오래가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春: 寒: 健: 튼튼할

  • 年年草生(연년춘초생) : 풀은 해마다 봄이 되면 다시 돋아남.
    年: 春: 草: 生:

  • 蛙秋蟬(춘와추선) : 봄의 개구리와 가을의 매미라는 뜻으로, 쓸모없는 언론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春: 蛙: 개구리 秋: 가을 蟬: 매미

  • 華秋實(춘화추실) : 봄꽃과 가을 열매라는 뜻으로, 문조(文藻)나 덕행(德行) 혹은 문질(文質)이 뛰어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春: 華: 빛날 秋: 가을 實: 열매

  • 一場夢(일장춘몽) : (1)한바탕의 봄꿈이라는 뜻으로, 헛된 영화나 덧없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단가의 하나. 세상 공명(功名) 하직하고, 부귀영화도 일장춘몽에 지나지 않으니 경치나 찾아다니며 흥취를 돋우자는 내용이다.
    一: 場: 마당 春: 夢:

  • 樹暮雲(춘수모운) : 봄철의 나무와 저문 날의 구름이라는 뜻으로, 먼 곳에 있는 벗을 그리는 마음이 일어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春: 樹: 나무 暮: 저물 雲: 구름

  • 二八靑(이팔청춘) : 16세 무렵의 꽃다운 청춘. 또는 혈기 왕성한 젊은 시절.
    二: 八: 여덟 靑: 푸를 春:

  • 柳塘水漫花塢夕陽遲(류당춘수만화오석양지) : 버들나무 연못에 봄 물은 넘치고, 꽃동산에 저녁 볕은 더딤.
    柳: 버들 塘: 春: 水: 漫: 질펀할 花: 塢: 夕: 저녁 陽: 遲: 늦을

  • 府丈(춘부장) : 남의 아버지에 대(對)한 존칭(尊稱).
    春: 府: 곳집 丈: 어른

  • 日遲遲(춘일지지) : 봄날의 길어서 저무는 것이 더딤.
    春: 日: 遲: 늦을 遲: 늦을

  • 蘭秋菊(춘란추국) : 봄의 난초(蘭草)와 가을의 국화(菊花)는 각각(各各) 특색(特色)이 있어 어느 것이 더 낫다고 할 수 없음.
    春: 蘭: 난초 秋: 가을 菊: 국화

  • 府大人(춘부대인) : 남의 아버지에 대(對)한 존칭(尊稱).
    春: 府: 곳집 大: 人: 사람

  • 聚散十(취산십춘) : 친구(親舊)와 헤어진 지가 어느덧 십 년이나 지나감.
    聚: 모일 散: 흩을 十: 春:

  • 夏秋冬節東西南北方(춘하추동절동서남북방) : 봄, 여름, 가을, 겨울은 계절(季節)이요, 동서(東西) 남북(南北)은 방위(方位)임.
    春: 夏: 여름 秋: 가을 冬: 겨울 節: 마디 東: 동녘 西: 서녘 南: 남녘 北: 북녘 方:

  • 生秋殺(춘생추살) : 봄에는 낳게 하고 가을에는 죽인다는 뜻으로, 때에 따라 사랑하기도 하고 벌하기도 함을 이르는 말.
    春: 生: 秋: 가을 殺: 죽일

  • 庭(춘정) : 남의 아버지에 대(對)한 존칭(尊稱).
    春: 庭:

  • 風化雨(춘풍화우) : 봄바람과 알맞게 내리는 비라는 뜻으로, (1) 자연(自然)이 만물(萬物)을 육성(育成)하는 힘 (2) 이를 교육(敎育)에 비유(比喩)해 인재(人材) 육성(育成)을 위(爲)한 훌륭한 교육(敎育)을 이르는 말.
    春: 風: 바람 化: 화할 雨:

  • 四時風(사시춘풍) : 누구에게나 좋게 대하는 일. 또는 그런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四: 時: 春: 風: 바람

  • 若涉氷(약섭춘빙) : 마치 봄 얼음을 건너듯 한다는 뜻으로, 얇은 얼음을 밟고 건너는 것 같이 대단히 위험함을 이르는 말.
    若: 같을 涉: 건널 春: 氷: 얼음

  • 山深然後寺花落以前(산심연후사화락이전춘) : 산이 깊은 뒤에 절이 있고, 꽃이 떨어지기 이전(以前)이 봄임.
    山: 深: 깊을 然: 그러할 後: 寺: 花: 落: 떨어질 以: 前: 春:

  • 花秋月(춘화추월) : 봄철의 꽃과 가을철의 달이라는 뜻으로, 자연의 아름다움을 이르는 말.
    春: 花: 秋: 가을 月:

  • 八字山(팔자춘산) : 여덟 팔 자 모양의 봄 산이라는 뜻으로, 미인의 눈썹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八: 여덟 字: 글자 春: 山:

  • 滿面風(만면춘풍) : 온 얼굴에 봄바람 불듯 가득히 웃음을 띠운다는 뜻으로, 얼굴에 가득 찬 기쁜 빛이라는 의미.[= 滿面色].
    滿: 面: 春: 風: 바람

  • 和景明(춘화경명) : 봄날이 화창(和暢)하고, 풍광(風光)이 명미(明媚)함.
    春: 和: 고를 景: 明: 밝을

  • 惜花愁夜雨病酒怨鶯(석화수야우병주원춘앵) : 꽃을 아끼니 밤 비를 근심하고, 술에 병드니 봄 꾀꼬리를 원망(怨望)함.
    惜: 아낄 花: 愁: 시름 夜: 雨: 病: 酒: 怨: 원망할 春: 鶯: 꾀꼬리

  • 四面風(사면춘풍) : 누구에게나 좋게 대하는 일. 또는 그런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四: 面: 春: 風: 바람

  • 意無分別人情有淺深(춘의무분별인정유천심) : 봄의 뜻은 분별(分別)이 없으나(따스한 기운(氣運)으로 만물(萬物)을 생장(生長)시킴), 사람의 정은 깊고 얕음이 있음.
    春: 意: 無: 없을 分: 나눌 別: 나눌 人: 사람 情: 有: 있을 淺: 얕을 深: 깊을

  • 風和氣(춘풍화기) : 봄날의 화창한 기운.
    春: 風: 바람 和: 고를 氣: 기운

  • 長長日(장장춘일) : 기나긴 봄날.
    長: 長: 春: 日:

  • 有脚陽(유각양춘) : 다리가 있는 양춘이라는 뜻으로, 각양각처(各樣各處)에 은혜를 베푸는 사람을 이르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
    有: 있을 脚: 다리 陽: 春:

  • 風秋雨(춘풍추우) : 봄바람과 가을비라는 뜻으로, 지나간 세월을 이르는 말.
    春: 風: 바람 秋: 가을 雨:

  • 白日莫虛送靑不再來(백일막허송청춘부재래) : 세월(歲月)을 헛되이 보내지 말라, 청춘(靑)은 다시 오지 아니 함.
    白: 日: 莫: 없을 虛: 送: 보낼 靑: 푸를 春: 不: 아닌가 再: 來:

  • (청춘) : (1)새싹이 파랗게 돋아나는 봄철이라는 뜻으로, 십 대 후반에서 이십 대에 걸치는 인생의 젊은 나이 또는 그런 시절을 이르는 말. (2)1914년 10월에 최남선이 창간한 우리나라 최초의 월간 종합지. 청년을 상대로 한 계몽지로서 ≪소년≫지가 폐간된 후 그 후신으로 발간한 것으로, 신문학 운동이 일어나던 무렵에 문학 작품의 발표 및 문예 작품 현상 모집에 의한 창작 의욕의 진작, 해외 문학 번역 소개 등 문학 발전에 큰 구실을 하였다. 1918년 8월까지 통권 15호를 냈다. (3)독일의 극작가 할베(Halbe, M.)가 지은 희곡. 주인공 안헨은 대학생인 한스와 사랑을 나누나, 안헨의 이복 오빠가 질투심에서 한스를 죽이려다 잘못해서 동생 안헨을 죽이게 된다는 내용이다. 청춘의 사랑을 주제로 한 작품으로 그 당시 연애 희곡의 대표작이다. 1893년에 초연되었다. 3막. (4)1936년에 극작가 남궁만(南宮滿)이 쓴 희곡. 평양 변두리의 빈민굴에서 살아가는 실직 노동자 가족의 비극을 다룬 작품이다.
    靑: 푸를 春:

  • 波投石(춘파투석) : 봄 물결에 돌을 던진다는 뜻으로, 삼봉 정도전이 전국 팔도의 사람들의 특성을 표현한 것 중에서 황해도를 표현한 것인데, 봄바람 타고 살랑대는 물결에 돌을 던져 파문이 일어나는 것처럼 부드럽게 호응 하는 특성을 이르는 말.
    春: 波: 물결 投: 던질 石:

  • 九十光(구십춘광) : (1)봄의 석 달 동안. (2)석 달 동안의 화창한 봄 날씨.
    九: 아홉 十: 春: 光:

  • 江南一枝(강남일지춘) : 강남에서 매화나무 가지 하나를 꺾어 보낸다는 뜻으로, 친구에게 선물이나 정표를 보내 우정을 전함을 이르는 말.
    江: 南: 남녘 一: 枝: 가지 春:

  • 皮裏秋(피리춘추) : 말로는 잘잘못을 가리지 아니하는 사람도 마음속으로는 셈속과 분별력이 있음.
    皮: 가죽 裏: 春: 秋: 가을

  • 寸草暉(촌초춘휘) : 작은 풀과 봄볕이라는 뜻으로, 봄철의 작은 풀이 봄 햇살에 무럭무럭 자랄 수 있듯이 부모의 은혜는 만분의 하나라도 갚기가 어려움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寸草’는 봄풀로 자식의 효심을, ‘暉’는 봄볕으로 부모의 은혜를 비유.
    寸: 마디 草: 春: 暉:

  • 北秋南雁朝西暮東虹(춘북추남안조서모동홍) : 봄에는 북으로 가을에는 남으로 가는 기러기요, 아침에는 서쪽에서 저녁에는 동쪽에서 빛나는 무지개임.
    春: 北: 북녘 秋: 가을 南: 남녘 雁: 기러기 朝: 아침 西: 서녘 暮: 저물 東: 동녘 虹: 무지개

#관계 90 #소리 96 #은혜 70 #인간 65 #실패 56 #행동 137 #형용 67 #조금 96 #의미 1817 #얼굴 99 #백성 105 #사용 312 #이익 89 #근심 65 #목숨 58 #고사 108 #따위 228 #군자 56 #천하 94 #모양 142 #구름 67 #어려움 105 #모습 66 #자연 73 #재앙 64 #가난 90 #지위 65 #의지 69 #형제 68 #문장 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