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풀이

🍀 이룰
  • 이루다 , 이루어지다 , 다스리다 , 무성하다 , 중재하다
  • ‘丁(정-성)’은 발음부분, ‘戊’는 ‘茂(무)’와 동일해서 ‘성하다’는 의미부분. ‘충실하고 성하게 이루어져 간다’는 의미에서 ‘이루다’는 뜻 발생. 혹 ‘人+戈’로 보기도 함. ◎ 禮(례) 신에게 섬기는 도리에서 ‘사람이 행해야할 중요한 도리’인 ‘예도(禮度)’의 의미 생성

# 에 관한 한자 모두 84

  • 可與樂成 획순 可與樂(가여낙성) : 더불어 성공을 즐길 수 있다는 뜻으로, 함께 일의 성공을 즐길 수 있음을 이르는 말.
    可: 옳을 與: 成: 이룰

  • 精神一到何事不成 획순 精神一到何事不(정신일도하사불성) : 정신(精神)을 한 곳으로 하면 무슨 일인들 이루어지지 않으랴라는 뜻으로, 정신(精神)을 집중(集中)하여 노력(努力)하면 어떤 어려운 일이라도 성취(就)할 수 있다는 말.
    精: 정미할 神: 一: 到: 이를 何: 어찌 事: 不: 아니 成: 이룰

  • 自手成家 획순 自手家(자수성가) : 물려받은 재산이 없이 자기 혼자의 힘으로 집안을 일으키고 재산을 모음.
    自: 스스로 手: 成: 이룰 家:

  • 開物成務 획순 開物務(개물성무) : 만물의 뜻을 깨달아 모든 일을 이룸.
    開: 物: 만물 成: 이룰 務: 힘쓸

  • 畵虎不成 획순 畵虎不(화호불성) : 범을 그리려다가 강아지를 그린다는 뜻으로, 서투른 솜씨로 남의 언행(言行)을 흉내내려 하거나, 어려운 특수(特殊)한 일을 하려다가 도리어 잘못됨의 비유(比喩).
    畵: 그림 虎: 不: 아니 成: 이룰

  • 事事不(사사불성) : 일마다 이루어지지 않음. 또는 모든 일이 이루어지지 않음.
    事: 事: 不: 아니 成: 이룰

  • 德立(도성덕립) : 도를 이루어 덕이 섬.
    道: 成: 이룰 德: 立:

  • 擇日禮(택일성례) : 날을 가려 혼례를 올린다는 뜻으로, 좋은 날짜를 골라 혼례(婚禮)를 치름을 이르는 말.
    擇: 가릴 日: 成: 이룰 禮: 예도

  • 獨木不林(독목불성림) : 홀로 선 나무는 숲을 이루지 못한다는 뜻으로, 여럿이 힘을 합쳐야 일이 된다는 의미(意味).
    獨: 홀로 木: 나무 不: 아니 成: 이룰 林: 수풀

  • 赤手家(적수성가) : 몹시 가난한 집에서 태어나 제 스스로의 힘으로 노력하여 가산(家産)을 이룸.
    赤: 붉을 手: 成: 이룰 家:

  • 創業守(창업수성) : 나라를 세우는 일과 이를 지켜 나가는 일이라는 뜻으로, 일을 시작하는 것은 쉽지만 이룬 것을 지키는 것은 어려움을 이르는 말.
    創: 비롯할 業: 守: 지킬 成: 이룰

  • 點鐵金(점철성금) : (1)쇠를 달구어 황금을 만든다는 뜻으로, 나쁜 것을 고쳐서 좋은 것을 만듦을 이르는 말. (2)옛사람의 말을 따다가 글을 지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點: 鐵: 成: 이룰 金:

  • 家和萬事(가화만사성) : 집안이 화목하면 모든 일이 잘 이루어짐.
    家: 和: 고를 萬: 일만 事: 成: 이룰

  • 半字不(반자불성) : (1)글자를 반만 쓰고 중간에 그만둠. (2)일을 중도에서 그만두어 이루지 못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半: 字: 글자 不: 아니 成: 이룰

  • 萬口碑(만구성비) : 많은 사람의 말이 비석을 이룬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의 칭찬은 송덕비를 세우는 것과 같음을 이르는 말.
    萬: 일만 口: 成: 이룰 碑: 비석

  • 炊沙飯(취사성반) : 모래를 때어 밥을 짓는다는 뜻으로, 헛된 수고를 비유하여 이르는 말.
    炊: 불땔 沙: 모래 成: 이룰 飯:

  • 咳唾珠(해타성주) : 기침과 침이 다 구슬이 된다는 뜻으로, 권세가(權勢家)를 형용하거나 일언일구(一言一句)가 다 귀중하다는 의미로 사용됨. 혹은 시문(詩文)의 재주가 뛰어남을 형용하기도 함. 〔= 月章星句(월장성구)〕.
    咳: 기침 唾: 成: 이룰 珠: 구슬

  • 七步詩(칠보성시) : 일곱 걸음에 한 편의 시를 완성한다는 뜻으로, 시를 빨리 잘 짓는 재주를 이르는 말.
    七: 일곱 步: 걸을 成: 이룰 詩:

  • 弄假眞(롱가성진) : (1)장난삼아 한 것이 진심으로 한 것같이 됨. (2)‘농가성진’의 북한어.
    假: 거짓 成: 이룰 眞:

  • 百事不(백사불성) : 여러 가지 일이 하나도 이루어지지 않음. 또는 하는 일마다 실패하여 일이 잘 이루어지지 않음.
    百: 일백 事: 不: 아니 成: 이룰

  • 積土山(적토성산) : 작거나 적은 것도 쌓이면 크게 되거나 많아짐.
    積: 쌓을 土: 成: 이룰 山:

  • 年少冠(연소성관) : 젊은 나이에 관례를 치르는 일.
    少: 적을 成: 이룰 冠:

  • 積塵山(적진성산) : 작거나 적은 것도 쌓이면 크게 되거나 많아짐.
    積: 쌓을 塵: 티끌 成: 이룰 山:

  • 事以密(사이밀성) : 무슨 일이나 기밀(機密)을 지킴으로써 성취(就)됨.
    事: 以: 密: 빽빽할 成: 이룰

  • 事無二(사무이성) : 일은 두 가지가 이루어질 수 없다는 뜻으로, 한 번에 두 가지 일이 모두 이루어질 수 없어 적어도 한 가지는 실패한다는 의미.
    事: 無: 없을 二: 成: 이룰

  • 風窓燈易滅月屋夢難(풍창등역멸월옥몽난성) : 바람 부는 창에서 등불은 꺼지기 쉽고, 달 뜬 집에서 꿈은 꾸기가 어려움.
    風: 바람 窓: 燈: 등불 易: 바꿀 滅: 멸망할 月: 屋: 夢: 難: 어려울 成: 이룰

  • 射石虎(사석성호) : 성심(誠心)을 다하면 아니 될 일도 이룰 수 있다는 것. 돌을 범인 줄 알고 쏘았더니 화살이 꽂혔다는 말.
    射: 石: 成: 이룰 虎:

  • 事實(기성사실) : 이미 이루어진 사실.
    旣: 이미 成: 이룰 事: 實: 열매

  • 集小大(집소성대) : 작은 것을 모아서 큰 것을 이룸.
    集: 모일 小: 작을 成: 이룰 大:

  • 弄仮眞(농가성진) : 농가성진(弄假眞).
    仮: 거짓 成: 이룰 眞:

  • 威力黨(위력성당) : 떼 지어 으르고 협박함. ⇒규범 표기는 ‘울력성당’이다.
    威: 위엄 力: 成: 이룰 黨: 무리

  • 萬不樣(만불성양) : 전혀 꼴이 갖추어지지 아니함.
    萬: 일만 不: 아니 成: 이룰 樣: 모양

  • 一村(자성일촌) : 한집안끼리, 또는 뜻이 같은 사람끼리 모여 한 마을을 이룸.
    自: 스스로 成: 이룰 一: 村: 마을

  • 弄巧拙(농교성졸) : 기교를 너무 부리다가 도리어 서투르게 됨.
    巧: 공교할 成: 이룰 拙: 못날

  • 三人市虎(삼인성시호) : 세 사람이 짜면 거리에 범이 나왔다는 거짓말도 꾸밀 수 있다는 뜻으로, 근거 없는 말이라도 여러 사람이 말하면 곧이듣게 됨을 이르는 말.
    三: 人: 사람 成: 이룰 市: 저자 虎:

  • 運斤風(운근성풍) : 도끼를 움직여 바람을 일으킨다는 뜻으로, 아주 교묘한 장인(匠人)의 최고 경지의 솜씨를 형용하는 말.
    運: 斤: 도끼 成: 이룰 風: 바람

  • 作舍道傍三年不(작사도방삼년불성) : 집을 길가에 지으려고 왕래(往來)하는 사람들에게 상의 한즉, 사람마다 의견(意見)이 달라서 삼년이 지나도록 짓지 못했다는 뜻으로, 어떤 일에 異見(이견)이 구구해 결론(結論)을 내리지 못함을 이르는 말.
    作: 지을 舍: 道: 傍: 三: 年: 不: 아니 成: 이룰

  • 流血川(유혈성천) : 흐르는 피가 내를 이룬다는 뜻으로, 전쟁터에 사상자가 많음을 이르는 말.
    血: 成: 이룰 川:

  • 衆議林(중의성림) : 뭇사람들의 의논은 평지에 숲도 이룬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이 말하면 그렇지 않은 일도 그럴 듯하게 되어짐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衆: 무리 議: 의논할 成: 이룰 林: 수풀

  • 百無所(백무소성) : 하는 일마다 이루어지는 것이 하나도 없음.
    百: 일백 無: 없을 所: 成: 이룰

  • 積水淵(적수성연) : 한 방울의 물이 모여 연못을 이룬다는 뜻으로, 작은 것도 모이면 큰 것이 됨을 이르는 말.
    積: 쌓을 水: 成: 이룰 淵:

  • 烏焉馬(오언성마) : ‘烏’와 ‘焉’이 ‘馬’가 된다는 뜻으로, 글자의 모양이 비슷하기 때문에 혼동하여 잘못 씀을 이르는 말.
    烏: 까마귀 焉: 어찌 成: 이룰 馬:

  • 事事無(사사무성) : 한 가지 일도 이루지 못하거나 하는 일마다 다 실패(失敗)함.
    事: 事: 無: 없을 成: 이룰

  • 弄過嗔(농과성진) : (1)‘농과성진’의 북한어. (2)장난도 지나치면 상대편의 노염을 사게 됨.
    過: 지날 成: 이룰 嗔: 성낼

  • 過目誦(과목성송) : 어떤 책이든 한번 보기만 하면 곧 왼다는 뜻으로, 기억력이 좋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過: 지날 目: 成: 이룰 誦:

  • 下筆文(하필성문) : 붓을 내리면 글을 이룬다는 뜻으로, 붓만 대면 문장이 되는 것처럼 글을 짓는 것이 아주 빠름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下: 아래 筆: 成: 이룰 文: 글월

  • 習與性(습여성성) : 습관이 오래되면 마침내 천성이 됨.
    習: 익힐 與: 性: 성품 成: 이룰

  • 一簣(미성일궤) : 산을 만들 때에 마지막 한 삼태기를 덜 얹어 산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뜻으로, 마지막 노력을 소홀히 하면 일이 실패함을 이르는 말.
    未: 아닐 成: 이룰 一: 簣: 삼태기

  • 桃李不言下自蹊(도리불언하자성혜) : 복숭아(桃)와 오얏(李)은 꽃이 곱고 열매가 맛이 좋으므로, 오라고 하지 않아도 찾아오는 사람이 많아 그 나무 밑에는 길이 저절로 생긴다는 뜻으로, 덕이 있는 사람은 스스로 말하지 않아도 사람들이 따름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桃: 복숭아나무 李: 오얏나무 不: 아니 言: 말씀 下: 아래 自: 스스로 成: 이룰 蹊: 지름길

  • 每事不(매사불성) : 하는 일마다 실패함.
    每: 매양 事: 不: 아니 成: 이룰

  • 望眼穿(망안성찬) : 눈을 바라보아 구멍이 생긴다는 뜻으로, 구멍이 날 정도로 응시하는 뚫어지게 바라본다는 의미.
    望: 바랄 眼: 成: 이룰

  • 三十道(삼십성도) : 석가모니가 서른 살에 대도(大道)를 이룬 일.
    三: 十: 成: 이룰 道:

  • 萬不說(만불성설) : 말이 전혀 사리에 맞지 아니함.
    萬: 일만 不: 아니 成: 이룰 說: 말씀

  • 專任責(전임책성) : 오로지 남에게 맡겨서 책임을 지게 함.
    專: 오로지 任: 맡길 責: 꾸짖을 成: 이룰

  • 假弄眞(가롱성진) : 장난삼아 한 것이 진심으로 한 것같이 됨.
    假: 거짓 弄: 희롱할 成: 이룰 眞:

  • 人之美(성인지미) : 남의 훌륭한 점을 도와 더욱 완전하게 함.
    成: 이룰 人: 사람 之: 美: 아름다울

  • 婦人之(부인지성) : 남자(男子)로서 여자(女子)처럼 편벽(偏僻)되고 좁은 성질(性質).
    婦: 며느리 人: 사람 之: 成: 이룰

  • 化民俗(화민성속) : 백성을 교화하여 아름다운 풍속을 만듦.
    化: 화할 民: 백성 成: 이룰 俗: 풍속

  • 水到渠(수도거성) : 물이 흐르면 도랑이 이루어진다는 뜻으로, 학문을 깊이 닦으면 저절로 도가 이루어진다는 의미나, 때가 되면 일이 저절로 이루어진다는 의미로 사용됨.
    水: 到: 이를 渠: 도랑 成: 이룰

  • 集大(집대성) : 여러 가지를 모아 하나의 체계를 이루어 완성함.
    集: 모일 大: 成: 이룰

  • 四歸一(사귀일성) : 넷이 모여 하나를 이룸. 목화 네 근이 솜 한 근이 되고 말리지 아니한 인삼 네 근이 건삼 한 근이 되는 것 따위를 이른다.
    四: 歸: 돌아갈 一: 成: 이룰

  • 下筆章(하필성장) : 붓을 대면 문장이 된다는 뜻으로, 글을 짓는 것이 빠름을 이르는 말.
    下: 아래 筆: 成: 이룰 章: 문채

  • 無一不(무일불성) : 이루지 못하는 일이 한 가지도 없음.
    無: 없을 一: 不: 아니 成: 이룰

  • 衆心城(중심성성) : 여러 사람의 마음이 성을 이룬다는 뜻으로, 여러 사람의 마음이 하나로 단결하면 성처럼 굳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衆: 무리 心: 마음 成: 이룰 城:

  • 大器晩(대기만성) : 큰 그릇을 만드는 데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뜻으로, 크게 될 사람은 늦게 이루어짐을 이르는 말.
    大: 器: 그릇 晩: 늦을 成: 이룰

  • 老人(엄성노인) : 갑자기 노인이 된다는 뜻으로, 빨리 늙음을 이르는 말.
    奄: 가릴 成: 이룰 人: 사람

  • 水積川(수적성천) : 물이 모이면 시내를 이룬다는 뜻으로, 물방울도 쌓이면 내를 이룰 수 있듯이 작은 것이 모여 큰 것을 이룰 수 있다는 의미.
    水: 積: 쌓을 成: 이룰 川:

  • 哲夫哲婦傾城(철부성성철부경성) : 현명(賢明)한 남자(男子)는 성을 흥하게 하지만, 영리(怜悧ㆍ伶俐)한 여자(女子)는 성을 기울게 한다는 뜻으로, 지나치게 똑똑한 여성(女性)은 오히려 화를 불러옴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
    哲: 밝을 夫: 지아비 成: 이룰 成: 이룰 哲: 밝을 婦: 며느리 傾: 기울 城:

  • 聚蚊雷(취문성뢰) : 모기가 모이면 우레 소리를 낸다는 뜻으로, 작은 모기도 많이 모이면 소리가 우레처럼 들리는 것 같이, 간악한 무리들이 모여 하찮은 일을 과장하여 떠들어대면 작은 일도 대단한 일이 되는 간신배들의 참소(讒訴)가 횡행(橫行)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聚: 모일 蚊: 모기 成: 이룰 雷: 우레

  • 積小大(적소성대) : 작거나 적은 것도 쌓이면 크게 되거나 많아짐.
    積: 쌓을 小: 작을 成: 이룰 大:

  • 投筆字(투필성자) : 글씨에 능한 사람은 정성을 들이지 아니하고 붓을 아무렇게나 던져도 글씨가 잘됨을 이르는 말.
    投: 던질 筆: 成: 이룰 字: 글자

  • 無物不(무물불성) : 물질이나 돈이 없이는 아무 일도 이루어지지 않음을 이르는 말.
    無: 없을 物: 만물 不: 아니 成: 이룰

  • 胸有竹(흉유성죽) : 가슴에 대나무를 이룸이 있다는 뜻으로, 대나무를 그리는데 마음속에 이미 완성된 대나무를 품고 있는 것처럼, 일을 처리하는 데 있어 이미 충분한 복안이 서 있음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胸: 가슴 有: 있을 成: 이룰 竹:

  • 三人虎(삼인성호) : 세 사람이 짜면 거리에 범이 나왔다는 거짓말도 꾸밀 수 있다는 뜻으로, 근거 없는 말이라도 여러 사람이 말하면 곧이듣게 됨을 이르는 말.
    三: 人: 사람 成: 이룰 虎:

  • 創業易守難(창업이수성난) : 나라를 세우기는 쉬우나 이를 지켜 나가기는 어렵다는 뜻으로, 일을 시작하는 것은 쉽지만 이룬 것을 지키는 것은 어려움을 이르는 말.
    創: 비롯할 業: 易: 쉬울 守: 지킬 成: 이룰 難: 어려울

  • 刻薄家(각박성가) : 남에게 인정을 베풀지 않는 인색한 짓으로 부자가 됨.
    刻: 새길 薄: 엷을 成: 이룰 家:

  • 毛羽未(모우미성) : 어린 새가 아직 깃이 다 나지 않아 날지 못한다는 뜻으로, 사람이 아직 어림을 이르는 말.
    毛: 羽: 未: 아닐 成: 이룰

  • 殺身仁(살신성인) : 자기의 몸을 희생하여 인(仁)을 이룸. ≪논어≫의 <위령공편(衛靈公篇)>에 나오는 말이다.
    殺: 죽일 身: 成: 이룰 仁: 어질

  • 語不說(어불성설) : 말이 조금도 사리에 맞지 아니함.
    語: 말씀 不: 아니 成: 이룰 說: 말씀

  • 酌水禮(작수성례) : 물 한 그릇만 떠 놓고 혼례를 치른다는 뜻으로, 가난한 집안의 혼례를 이르는 말.
    酌: 따를 水: 成: 이룰 禮: 예도

  • 土積山(토적성산) : 작은 물건도 많이 모이면 큰 것이 됨.
    土: 積: 쌓을 成: 이룰 山:

  • 一家(자성일가) : 자기 혼자의 힘으로 어떤 재주나 기술에 통달하여 따로 일가(一家)를 이룸.
    自: 스스로 成: 이룰 一: 家:

  • 魚變龍(어변성룡) : 물고기가 변하여서 용이 된다는 뜻으로, 아주 곤궁하던 사람이 부귀를 누리게 되거나 보잘것없던 사람이 큰 인물이 됨을 이르는 말.
    魚: 고기 變: 변할 成: 이룰 龍:

  • 門前市(문전성시) : 찾아오는 사람이 많아 집 문 앞이 시장을 이루다시피 함을 이르는 말. ≪한서≫의 <정숭전(鄭崇傳)>에 나오는 말이다.
    門: 前: 成: 이룰 市: 저자

#가난 90 #얼굴 99 #인간 65 #의미 1817 #서로 71 #부부 76 #하늘 251 #지위 65 #형용 67 #아침 72 #머리 141 #조금 96 #소리 96 #행동 137 #사물 172 #표현 88 #임금 189 #자신 208 #실패 56 #형제 68 #나라 392 #재주 82 #중국 253 #재앙 64 #잘못 93 #부모 136 #비유 1177 #동안 70 #신하 62 #때문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