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의 단어: 558개

한 글자:1개 두 글자:138개 세 글자:143개 네 글자:159개 다섯 글자:55개 여섯 글자 이상:62개 🦚모든 글자: 558개

  • : (1)우리나라 성(姓)의 하나. 본관은 파평(坡平), 해남(海南), 칠원(漆原), 남원(南原) 등 40여 본이 현존한다. (2)반질반질하고 매끄러운 기운. (3)-우-. 주로 수식받는 성분이 대상임을 나타내는 데에 쓴다.
  • : (1)임금이 신하의 청을 허락함.
  • 가되다 : (1)신하의 청이 임금에게 허락되다.
  • 가하다 : (1)임금이 신하의 청을 허락하다.
  • : (1)조선 중기의 무신(1665~1724). 자는 여성(汝誠). 함경남도 병마절도사가 되어 중국 청나라 사신과 함께 백두산의 경계를 사정(査定)하여 백두산 남쪽의 지형을 그렸다. 신임사화 때에 장살(杖殺)되었다.
  • : (1)한 사람을 여러 사람이 돌려 가며 강간함.
  • 간하다 : (1)한 사람을 여러 사람이 돌려 가며 강간하다.
  • 갈마 : (1)밀교 특유의 불구(佛具). 세 가락의 금강저를 십자 모양으로 엇걸어 만든 형태로 부처가 본래 갖추고 있는 지혜의 작용을 상징한다.
  • : (1)‘감기’의 방언 (2)전염성이 있는 감기.
  • : (1)오륜(五倫)과 삼강(三綱)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여러 사람이 차례로 돌아가며 강의함.
  • 강하다 : (1)여러 사람이 차례로 돌아가며 강의하다.
  • : (1)바퀴 달린 수레라는 뜻으로, 자동차나 기차를 이르는 말.
  • 거형 : (1)조선 숙종 때의 학자(1654~1715). 자는 임중(壬重). 호는 송파(松坡). 구경(九經)ㆍ백가(百家)를 비롯하여 고금(古今)의 치란(治亂)ㆍ국도(國都)ㆍ인물(人物) 등에 이르기까지 통달하였으며, 유학에도 정통하여 격물치지(格物致知)에 주력하였다.
  • : (1)윤자(綸子)로 만든 두건의 하나.
  • : (1)포장의 주변을 따라 돌면서 밭갈이를 하는 방법.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갈아 들어가는 방법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갈아 나가는 방법이 있다.
  • 경남 : (1)조선 선조 때의 학자(1556~1614). 자는 여술(汝述). 호는 영호(瀯湖).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집하여 활약하였다.
  • 경 화전 : (1)화전에서 경작을 하다가 지력이 떨어지면 경작을 중지하였다가 지력이 회복되면 다시 화전을 만들어 경작을 실시하는 원시 농법.
  • 경회 : (1)경전을 여러 사람이 서로 돌려 읽는 법회. 경전을 여러 사람이 서로 돌려 읽어, 공덕을 나누어 가지는 신앙 의식이다. 경전 신앙(經典信仰)을 의식화한 것으로, 고려 시대에는 크게 성행하였다. 한때는 신앙적 의미가 퇴색되고 놀이화되어 이를 금하기도 하였다. 이와 유사한 것으로 전장(轉藏)이 있다.
  • 고산 수적 및 관계 문서 : (1)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시조 작가인 윤선도가 직접 쓰거나 엮은 시와 그에 관한 문헌. ≪금쇄동집고≫, ≪금쇄동기≫, ≪산중신곡≫, ≪은사첩≫, ≪예조입안≫ 등이 있다. 전라남도 해남군 해남읍 연동리 윤씨 종가에 소장되어 있다. 보물 정식 명칭은 ‘윤선도 종가 문적’이다.
  • 곤강 : (1)시인(1911~1950). 본명은 붕원(朋遠). 경향파(傾向派) 시인으로 출발하여 고전에 관심을 가졌다. 동인지 ≪시학(詩學)≫을 주재하였으며, 시집으로 ≪대지(大地)≫, ≪만가(輓歌)≫, ≪피리≫, ≪살어리≫ 따위가 있다.
  • : (1)진실로 공손함. (2)‘윤공하다’의 어근.
  • 공하다 : (1)진실로 공손하다. (2)성실하고 공손하다.
  • : (1)일이나 사건의 대체적인 줄거리. (2)사물의 테두리나 대강의 모습. (3)인지적으로 낱말이 지시하는 실체를 받아들이는 틀. 바탕이 되는 큰 단위에서 하위 구조를 부각 시킴으로써 나타난다. 예를 들어 ‘손가락’은 더 큰 바탕인 몸, 팔, 그리고 손으로 영역이 좁혀지면서 그 안에서 지위를 획득한다.
  • 곽 가공 : (1)불규칙한 표면의 기계 가공.
  • 곽 게이지 : (1)부품의 윤곽을 검사하는 데에 쓰는 게이지. 보통 검사할 부분과 반대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검사할 부분에 맞대었을 때 윤곽선과 게이지 사이에 빛이 통과하지 않으면 합격이 된다.
  • 곽 결정소 : (1)구나 문장 전체의 윤곽을 결정하는 요소. 예를 들어 ‘지하철에서 목도리를 짜는 소녀’라는 문장에는 ‘지하철’, ‘목도리를 짜다’, ‘소녀’ 따위의 많은 구성 요소가 존재한다. 그러나 ‘소녀’만이 전체 구를 ‘명사구’라는 위상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 곽 광선 : (1)역광의 결과로 피사체의 가장자리에 생기는 광채.
  • 곽괘 : (1)짠 판(版)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굵은 장식괘.
  • 곽 단체 : (1)공공 단체나 정당 따위에서 형식적으로 독립한 조직이면서도 인사와 재정 면에서 특별한 관계를 가지며, 그 단체 기능의 일부를 전문적으로 떠맡아 지원 활동을 하는 단체. 철도청의 홍익회나 보건 복지 가족부의 대한 결핵 협회 따위가 있다.
  • 곽 대비 : (1)컴퓨터 그래픽에서 물체의 모습이 마치 밖으로 튀어나온 것처럼 보이거나 안으로 들어간 것처럼 보이게 하려고 여러 가지 화면 효과를 사용하여 물체의 표면 윤곽을 만드는 작업.
  • 곽 따내기 : (1)포토샵을 이용하여 사진을 편집할 때, 원하는 부분을 추출하고자 할 경우 명도가 바뀌는 부분에는 가는 선을 그리고 나머지 부분에는 흰색을 써서 윤곽선을 드러나게 하는 방법.
  • 곽미 : (1)뚜렷이 드러나는 윤곽의 아름다움.
  • 곽 부여 : (1)인지 언어학의 용어로, 인지적 관심의 대상이 되는 전경과 주목을 받지 못하는 배경이 있고 배경에 있던 어떤 요소가 주목을 받아 전경화되어 가는 과정. 예를 들어 ‘월요일’에 대해 인지할 때 우리는 ‘주’와 ‘주중’을 바탕으로 그 안의 하위 분야에 있던 ‘월요일’을 윤곽화한다.
  • 곽 분산 : (1)광섬유에서 파장에 대한 굴절률 분포의 변화에 기여하는 분산.
  • 곽 분산 매개 변수 : (1)파장과 함께 굴절률 명암의 변화로 인하여 윤곽 분산의 부분을 특징짓는 양.
  • 곽 분석 : (1)필기체나 문자 따위의 인식을 위하여 윤곽을 추출하고 해독하는 기술. 광학 문자 인식, 필기체 인식, 영상 속의 객체 인식 따위에 사용된다.
  • 곽 빔 안테나 : (1)안테나의 빔이 표면 형태의 특정한 윤곽 위에 입사한 등가 전력 선속 밀도의 표면 선을 가로지를 때와 같은 방식으로 설계된 성형 빔 안테나.
  • 곽색 : (1)미용에서, 얼굴이나 특정 부위를 작아 보이게 하려고 칠하는 색.
  • 곽선 : (1)사물의 테두리를 잇는 선. (2)한 페이지 또는 전 페이지 안에서 한 부분의 테두리에 두른 선.
  • 곽선 다루기 : (1)그림을 그릴 때, 사물의 테두리를 잇는 선을 처리하는 일.
  • 곽 이론 : (1)집합 이론의 응용 이론 가운데 하나. 선율적 윤곽, 즉 음의 상대적 높낮이에 집합 이론의 개념을 적용한 이론이다.
  • 곽 제어 : (1)엔시 공작 기계에서 둘 이상의 축 작동을 동시에 연속적으로 제어하여 피가공물에 대한 공구의 경로를 제어하는 방식.
  • 곽 조명 : (1)인물이나 대상의 뒤에 위치한 조명으로, 역광의 하나. 이 조명을 사용하면 후면은 밝게 촬영되는 반면 카메라 쪽은 어둡게 나타난다.
  • 곽 투영기 : (1)나사나 게이지 따위의 검사 대상물을 광학적으로 확대한 뒤 스크린 위에 투영하여 윤곽의 형상이나 치수를 검사하고 측정하는 장치. 광원(光源), 스크린, 콘덴서, 투영 렌즈, 반사경 또는 프리즘으로 구성된다.
  • 곽 폰트 : (1)직선 또는 곡선의 윤곽선으로 표현한 인쇄용 폰트. 데이터 폰트를 고정된 도트의 집합체로 구성하는 도트 폰트와 달리, 문자의 윤곽을 벡터 계산식으로 인자(印字)의 크기에 따라 최적의 이미지를 전개한다. 따라서 문자의 크기나 인쇄기의 해상도에 상관없이 자유로운 크기로 확대하거나 축소해도 미려한 인쇄가 가능하고 자체의 변형이나 장식 문자 등의 가공이 쉽다.
  • 곽화 : (1)인지 언어학의 용어로, 인지적 관심의 대상이 되는 전경과 주목을 받지 못하는 배경이 있고 배경에 있던 어떤 요소가 주목을 받아 전경화되어 가는 과정. 예를 들어 ‘월요일’에 대해 인지할 때 우리는 ‘주’와 ‘주중’을 바탕으로 그 안의 하위 분야에 있던 ‘월요일’을 윤곽화한다.
  • : (1)고려 예종 때의 학자ㆍ장군(?~1111). 자는 동현(同玄). 본관은 파평(坡平). 어사대부ㆍ한림학사ㆍ이부상서 등을 지내고 예종 2년(1107)에 여진 정벌을 하고 구성(九城)을 쌓았다. (2)생황에서 사용하지 아니하는 관(管). 협종관(夾鍾管)과 황종관(黃鍾管) 사이에 끼여 있다. (3)상관(上官)이 하관(下官)에게 내려 차례로 돌려 보게 하던 공문(公文).
  • 관 장군 묘 : (1)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분수리에 있는, 고려 시대의 학자ㆍ장군인 윤관의 묘. 무덤의 위치를 명확히 알지 못하였다가, 조선 영조 40년(1764)에 지금의 자리임이 공인되었다. 후대에 세워진 비석과 석등이 있으며, 묘역 아래에는 장군의 영정이 봉안된 여충사가 있어 매년 제사를 지내고 있다. 사적 정식 명칭은 ‘파주 윤관 장군 묘’이다.
  • : (1)반질반질하고 매끄러운 기운.
  • : (1)자동차에서, 오른쪽과 왼쪽에 있는 두 바퀴 사이의 거리. 이중 바퀴인 경우는 두 바퀴의 중심에서 중심까지의 거리를 이른다.
  • 구 시비 : (1)나무 주위에 지표로부터 20~30cm 깊이의 원형 구덩이를 파고 비료를 뿌린 다음 묻어 주는 방법. 어린 나무를 심은 과수원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깊이갈이 효과가 있어 토양의 물리성도 개선된다.
  • 구 시비법 : (1)나무 주위에 지표로부터 20~30cm 깊이의 원형 구덩이를 파고 비료를 뿌린 다음 묻어 주는 방법. 어린 나무를 심은 과수원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깊이갈이 효과가 있어 토양의 물리성도 개선된다.
  • : (1)윗사람의 아들을 높여 이르는 말.
  • 극영 : (1)동요 작가(1903~1988). 일본 우에노(上野) 음악 학원을 졸업하였으며, 우리나라 동요와 동시의 선구적 역할을 하였다. 작품에 동요 <설날>, <반달>, <고드름> 따위의 500여 곡과 동시 100여 편이 있다.
  • : (1)조임근과 같이 구멍 주위를 둘러싸는 근육. 입둘레근, 눈둘레근이 있다.
  • 근수 : (1)조선 선조 때의 문학자ㆍ공신(1537~1616). 자는 자고(子固). 호는 월정(月汀). 중국 명나라와의 외교를 담당하여 국난 극복에 힘썼으며, 이황의 제자로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였다. 특히 그는 영화(永和)의 체라는 독특한 서체를 사용하였다. 저서에 ≪사서토석(四書吐釋)≫ 따위가 있다.
  • : (1)조선 영조 때의 서가(書家)(1697~1770). 자는 경유(景孺). 호는 근암(近菴). 영조의 탕평책을 반대하였으며, 필법과 그 체가 독특하여 윤상서체(尹尙書體)라고 칭하였다. 저서에 ≪근암집≫, ≪근암연행일기≫가 있다.
  • 급 초상 : (1)서울특별시 용산구 용산동 국립 중앙 박물관에 소장된, 조선 후기의 문신인 윤급의 초상화. 사모(紗帽)와 흑단령(黑團領)을 착용한 채 반우향으로 교의자(交椅子)에 앉아 있는 모습을 그렸다. 얼굴의 사마귀나 검버섯 따위가 세밀하게 표현되어 있다. 보물 제1496호.
  • : (1)윤리와 기강(紀綱)을 아울러 이르는 말. (2)반질반질하고 매끄러운 기운. (3)씨름이나 태껸에서, 발로 상대편의 다리를 옆으로 치거나 끌어당겨 넘어뜨리는 기술. (4)‘천륜’의 방언
  • 기정 : (1)소설가ㆍ비평가(1903~?). 서울 출생으로 염군사, 조선 프로 예맹, 카프(KAPF) 등에 가담하여 활동하였으며, 광복 후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 동맹에서 활동하다가 월북하였다. 카프에서 활동하던 시절 아나키스트 논쟁에 참여한 바 있다. 그의 소설은 계급 문학 운동의 이념을 반영하며, 노동자들의 고통스러운 현실을 비판적으로 형상화하였다.
  • 기헌 : (1)조선 시대의 학자(?~?). 자는 원옹(元翁). 호는 장빈자(長貧子). 성리학에 밝았으며 저서에 ≪장빈호찬(長貧胡撰)≫이 있다.
  • 나다 : (1)윤택한 기운이 나타나다.
  • : (1)태양력에서 윤년에 드는 날. 곧 2월 29일을 이른다.
  • : (1)허락하여 받아들임. (2)금품 따위를 여러 사람이 차례로 돌려 가며 바침.
  • 납하다 : (1)허락하여 받아들이다. (2)금품 따위를 여러 사람이 차례로 돌려 가며 바치다.
  • 내기 : (1)기계 부품의 겉면에 윤을 내는 가공 방법.
  • 내기 가공 : (1)직물에 내구성과 광택을 더해 주는 가공. 합성수지로 처리한 후 캘린더링 가공을 한다. 친츠나 시레 따위가 이에 해당한다.
  • 내기 가공기 : (1)가죽 표피층을 단단하게 만들고 윤이 나게 하는 기계. 기계에 부착된 마노의 원석으로 가죽의 표면을 마찰시켜 생기는 열로 광택이 나게 한다.
  • 내다 : (1)윤택한 기운이 나게 하다.
  • : (1)‘맏딸’의 북한어.
  • : (1)윤달이나 윤일이 든 해. 지구가 태양을 한 번 공전하는 데에 365일 5시간 48분 46초 걸리므로 태양력에서는 그 나머지 시간을 모아 4년마다 한 번 2월을 하루 늘리고, 태음력에서는 1년을 354일로 정하므로 계절과 역월(曆月)을 조절하기 위하여 19년에 일곱 번, 5년에 두 번의 비율로 1년을 13개월로 하여 윤년으로 만든다.
  • 노리나무 : (1)장미과의 떡잎윤노리나무, 꼭지윤노리나무, 털윤노리나무 따위를 통틀어 이르는 말. (2)장미과의 낙엽 관목. 높이는 5미터 정도이며, 잎은 타원형이다. 5월에 흰 꽃이 겹산방(繖房) 화서로 가지 끝에 피고 열매는 달걀 모양의 이과(梨果)로 10월에 붉게 익는다. 목재는 코뚜레, 땔감 따위로 쓴다. 한국과 일본에 분포한다.
  • 노리낭 : (1)‘윤노리나무’의 방언
  • 누리 : (1)‘윤노리나무’의 방언
  • 누리낭 : (1)‘윤노리나무’의 방언
  • 단학 노비 허여 문기 및 입안 : (1)고려 공민왕 3년(1354)에, 윤광전이 아들 윤단학에게 노비를 상속한 문서. 소지 6장과 입안 2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고려 시대 노비첩으로는 송광사의 노비첩과 더불어 유일한 문서이다. 보물 제483호.
  • : (1)윤년에 드는 달. 달력의 계절과 실제 계절과의 차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1년 중의 달수가 어느 해보다 많은 달을 이른다. 즉, 태양력에서는 4년마다 한 번 2월을 29일로 하고, 태음력에서는 19년에 일곱 번, 5년에 두 번의 비율로 한 달을 더하여 윤달을 만든다.
  • 달에 만난 회양목 : (1)회양목이 윤달이 되면 그 키가 한 치씩 준다는 전설에서, 키가 작은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2)일이 진행되는 정도가 더딤을 이르는 말.
  • : (1)주기적으로 밭 상태로 바꾸어 작물을 재배하는 논. 또는 그러한 방식.
  • 답법 : (1)같은 땅에 주기적으로 벼농사와 밭농사를 번갈아 하는 방법.
  • : (1)‘윤당하다’의 어근.
  • 당하다 : (1)진실로 마땅하다.
  • 당히 : (1)진실로 마땅하게.
  • : (1)조선 시대에, 백관(百官)이 차례로 임금에게 정치에 관한 의견을 아뢰던 일. (2)도자기를 만들 때, 흙을 빚거나 무늬를 넣는 데 사용하는 기구. 축의 아래와 위에 넓고 둥근 널빤지를 대어 만드는데 아래 판을 발로 돌리면 위 판도 함께 돌아 그 회전력을 이용하여 작업한다. (3)조선 순조 때에 창작된 춘대옥촉(春臺玉燭)을 추기 위하여 만든 간이 무대. 높이는 두 자, 길이와 너비는 각각 여덟 자 다섯 푼이다. (4)엉덩 관절에서 관절 주머니의 섬유가 넙다리뼈 목의 둘레를 에워싸는 부분.
  • 대관 : (1)윤대(輪對)의 차례가 된 낭관(郎官).
  • 대하다 : (1)조선 시대에, 백관(百官)이 차례로 임금에게 정치에 관한 의견을 아뢰다.
  • 덕영 : (1)구한말의 문신(1873~1940). 국권 강탈 때, 시종원경(侍從院卿)으로서 순종(純宗)을 강요하여 조약 문서에 옥새를 찍게 하였다.
  • 덕희 : (1)조선 후기의 화가(1685~1776). 자는 경백(敬伯). 호는 낙서(駱西)ㆍ연포(蓮圃)ㆍ연옹(蓮翁). 글씨와 그림에 능하였으며, 특히 말과 신선 등을 잘 그렸다. 작품으로 <하경산수도(夏景山水圖)>, <기마부인도(騎馬婦人圖)>가 있다.
  • : (1)‘인두’의 방언
  • : (1)여러 개의 회로 소자를 서로 접속하여 구성한 전류가 흐르는 통로. 저항, 콘덴서, 유도자 등의 수동 회로 소자와 전압원, 전류원의 전원으로 구성된다. (2)방위(方位)를 재는 데에 쓰는 기구의 하나. 가운데에 지남침이 꽂혀 있으며, 가장자리에 24방위로 나뉜 원이 그려져 있다. (3)‘인두’의 방언
  • 도리 : (1)소를 남에게 빌려주고 그 대가로 새끼를 그냥 가지는 일
  • 도장 : (1)윤도를 제작하는 장인. 국가 무형 문화재 제110호.
  • : (1)여러 사람이 같은 글이나 책을 돌려 가며 읽음.
  • 독하다 : (1)여러 사람이 같은 글이나 책을 돌려 가며 읽다.
  • : (1)‘런던’의 음역어.
  • : (1)벌레나 장기(臟器) 따위가 꿈틀거림. ⇒규범 표기는 ‘연동’이다. (2)‘연동’의 북한어. (3)벌레 따위가 꿈적거린다는 뜻으로, 불순한 세력이나 보잘것없는 무리가 법석을 부림을 이르는 말. ⇒규범 표기는 ‘연동’이다.
  • 동규 : (1)조선 영조 때의 실학자(1695~1773). 자는 유장(幼章). 호는 소남(邵南). 상위(象緯), 역법(曆法), 천문, 지리, 의학 등 실용 학문을 주장하였다. 여러 역사를 참고하여 자수(訾水)ㆍ열수(冽水)ㆍ패수(浿水)ㆍ대수(帶水)의 ≪사수변(四水辨)≫을 저술하였다.
  • 동야 : (1)조선 정조 때의 학자(1757~1827). 자는 성교(聖郊). 호는 소심(小心)ㆍ현와(弦窩). ≪예기≫, ≪주역≫, ≪춘추≫ 등을 그림으로 풀이하여 알기 쉽게 풀이하고, 여러 유학자의 문집에 나타나는 와전(訛傳)과 오기(誤記)를 바로잡았다. 저서로 ≪현와집≫이 전한다.
  • 동운동 : (1)‘꿈틀 운동’의 북한어.
  • 동주 : (1)시인(1917~1945). 북간도에서 출생하였으며, 연희 전문학교를 거쳐 일본에 유학한 후 1943년에 독립운동의 혐의로 일본 경찰에 검거되어 규슈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옥사하였다. 광복 후 그의 유고를 모은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발간되었다.
2 3 4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61개) : 아, 악, 앆, 안, 않, 알, 앎, 앒, 앓, 암, 압, 앗, 았, 앙, 앛, 앜, 앝, 앞, 애, 액, 앤, 앰, 앱, 앳, 앵, 야, 약, 얀, 얄, 얍, 얏, 양, 얖, 얘, 얫, 어, 억, 언, 얼, 엄, 업, 엇, 었, 엉, 에, 엑, 엔, 엘, 엠, 엣, 엥, 여, 역, 연, 엳, 열, 엻, 염, 엽, 엿, 였, 영, 옆, 예, 옐, 옘, 옙, 옛, 옝, 오, 옥, 옦, 온, 옫, 올, 옭, 옰, 옳, 옴, 옵, 옷, 옹, 옻, 와, 왁, 완, 왇, 왈, 왑, 왓, 왕, 왜, 왝, 왠, 왬, 왯, 왱, 외, 왹, 왼 ...

실전 끝말 잇기

윤으로 끝나는 단어 (141개) : 정상 이윤, 원윤, 내윤, 혜윤, 도윤, 옥윤, 한치윤, 경윤, 이재윤, 상업 이윤, 삼사좌윤, 좌서윤, 군윤, 기윤, 응윤, 암성 침윤, 좌사윤, 삼세치윤, 길옥윤, 의윤, 후윤, 불윤, 절윤, 회계적 이윤, 한성부 판윤, 암 침윤, 수윤, 조윤, 팽윤, 서윤 ...
윤으로 끝나는 단어는 141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윤으로 시작하는 모든 글자 단어는 558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