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한

관련 한자어 20

(1) 輕事重報 (경사중보): 조그마한 일에 후한 답례(…

(2) 好好先生 (호호선생): 좋아하고 기뻐하는 선생이라…

(3) 柯亭 (가정): ‘피리’를 달리 이르는 말…

(4) 望蜀 (망촉): 만족할 줄을 모르고 계속 …

(5) 觀過知仁 (관과지인): 과오를 보고 그 어짊과 어…

(6) 焦頭爛額 (초두난액): 불에 머리를 태우고 이마를…

(7) 月旦評 (월단평): 사람에 대한 평(評). 중…

(8) 建安詞人 (건안사인): 중국 후한 건안 때의 문학…

(9) 雷陳膠漆 (뇌진교칠): 교분이 매우 두터움을 이르…

(10+) 모두 20개

3

2

1

輕事重報


경사중보

조그마한 일에 후한 답례(答禮)를 함.

후한 관련 한자어 20개 중 1번째

好好先生


호호선생

좋아하고 기뻐하는 선생이라는 뜻으로, 어떤 일이든지 ‘좋아 좋아’하는 사람. 후한의 사마위의 별칭.

후한 관련 한자어 20개 중 2번째

柯亭


가정

‘피리’를 달리 이르는 말. 중국 후한 때 채옹이 가정관(柯亭館)의 대나무 서까래로 피리를 만들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후한 관련 한자어 20개 중 3번째

望蜀


망촉

만족할 줄을 모르고 계속 욕심을 부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후한(後漢)의 광무제가 농(隴) 지방을 평정한 후에 다시 촉(蜀) 지방까지 원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후한 관련 한자어 20개 중 4번째

觀過知仁


관과지인

과오를 보고 그 어짊과 어질지 못함을 알 수 있다는 뜻으로, 어진 사람의 과오는 너무 후한 데서 오고 어질지 않은 사람의 과오는 너무 박한 데서 온다는 말.

후한 관련 한자어 20개 중 5번째

焦頭爛額


초두난액

불에 머리를 태우고 이마를 그슬려 가며 불을 끈다는 뜻으로, 어려운 일을 당하여 몹시 애쓰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십팔사략≫, ≪통감(通鑑)≫, ≪한서(漢書)≫의 <곽광전(霍光傳)>에 나…

후한 관련 한자어 20개 중 6번째

月旦評


월단평

사람에 대한 평(評). 중국 후한(後漢) 때에 허소(許劭)라는 사람이 매월 초하루마다 마을 사람들의 인물을 평했다는 데서 유래한다.

후한 관련 한자어 20개 중 7번째

建安詞人


건안사인

중국 후한 건안 때의 문학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

후한 관련 한자어 20개 중 8번째

雷陳膠漆


뇌진교칠

교분이 매우 두터움을 이르는 말. 중국 후한 때 뇌의(雷義)와 진중(陳重) 사이의 고사에서 유래한다.

후한 관련 한자어 20개 중 9번째

平隴望蜀


평롱망촉

농(隴)을 얻고서 촉(蜀)까지 취하고자 한다는 뜻으로, 만족할 줄을 모르고 계속 욕심을 부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후한(後漢)의 광무제가 농(隴) 지방을 평정한 후에 다시 촉(蜀) 지방…

후한 관련 한자어 20개 중 10번째

燕頷虎頭


연함호두

제비 비슷한 턱과 범 비슷한 머리라는 뜻으로, 먼 나라에서 봉후(封侯)가 될 상(相)을 이르는 말.

후한 관련 한자어 20개 중 11번째

靑囊祕訣


청낭비결

중국 후한 말기의 명의(名醫)인 화타(華陀)가 지은 의서. 오늘날 전하지 않는다.

후한 관련 한자어 20개 중 12번째

恬筆倫紙


염필륜지

진국 몽염(蒙恬)은 토끼털로 처음 붓을 만들었고, 후한(後漢) 채륜(蔡倫)은 처음 종이를 만들었음.

후한 관련 한자어 20개 중 13번째

綠林


록림

(1)푸른 숲. (2)화적이나 도둑의 소굴을 이르는 말. 중국 후한 말 왕광(王匡), 왕봉(王鳳) 등 망명자가 녹림산에 숨어 있다가 도둑이 되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3)‘녹림’의 북한어.

후한 관련 한자어 20개 중 14번째

擧案齊眉


거안제미

밥상을 눈썹과 가지런하도록 공손히 들어 남편 앞에 가지고 간다는 뜻으로, 남편을 깍듯이 공경함을 이르는 말.

후한 관련 한자어 20개 중 15번째

得隴望蜀


득롱망촉

농(隴)을 얻고서 촉(蜀)까지 취하고자 한다는 뜻으로, 만족할 줄을 모르고 계속 욕심을 부리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후한(後漢)의 광무제가 농(隴) 지방을 평정한 후에 다시 촉(蜀) 지방…

후한 관련 한자어 20개 중 16번째

永字八法


영자팔법

서예에서, ‘永’ 자 한 글자로써 모든 한자에 공통되는 여덟 가지 쓰기를 보이는 법. 중국 한(漢)나라의 채옹이 고안하였다고 전한다.

후한 관련 한자어 20개 중 17번째

忠厚之風


충후지풍

충직하고 온순하며 인정이 두터운 풍모.

후한 관련 한자어 20개 중 18번째

四知


사지

두 사람만의 비밀이라도 어느 때고 반드시 남이 알게 됨을 이르는 말. 중국 후한(後漢)의 양진(楊震)이 형주 자사(荊州刺史)로 부임했을 때, 왕밀(王密)이 밤중에 찾아와서 당신과 나밖에는 아무도 …

후한 관련 한자어 20개 중 19번째

荊妻


형처

남에게 자기의 아내를 낮추어 이르는 말. 중국 후한 때에 양홍(梁鴻)의 아내 맹광(孟光)이 가시나무 비녀를 꽂고 무명으로 만든 치마를 입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후한 관련 한자어 20개 중 20번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