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나라

관련 한자어 11

(1) 詠雪之才 (영설지재): 여자의 뛰어난 글재주. 중…

(2) 楚材晉用 (초재진용): 초나라의 인재를 진(晉)나…

(3) 秦庭之哭 (진정지곡): 남에게 원조를 청함을 비유…

(4) 法三章 (법삼장): 중국 한나라 때에, 고조가…

(5) 白眼視 (백안시): 남을 업신여기거나 무시하는…

(6) 完璧 (완벽): (1)빌린 물건을 정중히 …

(7) 綈袍戀戀 (제포연연): 구은(舊恩)을 생각하거나 …

(8) 螢雪之功 (형설지공): 반딧불ㆍ눈과 함께 하는 노…

(9) 結草報恩 (결초보은): 죽은 뒤에라도 은혜를 잊지…

(10+) 모두 11개

3

2

1

詠雪之才


영설지재

여자의 뛰어난 글재주. 중국 진나라 사(謝) 씨의 딸이 시를 짓는데 눈을 보고 바람에 날리는 버들가지 같다고 한 데서 유래한다.

진나라 관련 한자어 11개 중 1번째

楚材晉用


초재진용

초나라의 인재를 진(晉)나라에서 쓴다는 뜻으로, 같은 무리 안에서는 그 진가를 알아주지 못하고 남이 그것을 이용함을 이르는 말.

진나라 관련 한자어 11개 중 2번째

秦庭之哭


진정지곡

남에게 원조를 청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초(楚)나라의 신포서(申包胥)가 진(秦)나라로 가서 담에 의지하여 이레 동안 곡(哭)을 한 후에 비로소 원군을 얻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진나라 관련 한자어 11개 중 3번째

法三章


법삼장

중국 한나라 때에, 고조가 진나라 때의 가혹한 법을 없애고 단 세 가지 죄만을 정한 법. 사람을 죽이는 자는 죽고, 사람을 상하게 하거나 물건을 훔치는 자는 벌을 받는다는 내용이었다.

진나라 관련 한자어 11개 중 4번째

白眼視


백안시

남을 업신여기거나 무시하는 태도로 흘겨봄. 중국의 ≪진서(晉書)≫ <완적전(阮籍傳)>에서 나온 말로, 진나라 때 죽림칠현의 한 사람인 완적(阮籍)이 반갑지 않은 손님은 백안(白眼)으로 대하고, 반…

진나라 관련 한자어 11개 중 5번째

完璧


완벽

(1)빌린 물건을 정중히 돌려보냄. 중국 전국 시대 조나라의 인상여(藺相如)가 진(秦)나라의 소양왕이 열다섯 성(城)과 화씨(和氏)의 벽(璧)을 바꾸자고 하여 진나라에 갔으나 소양왕이 거짓말을 하…

진나라 관련 한자어 11개 중 6번째

綈袍戀戀


제포연연

구은(舊恩)을 생각하거나 우정이 두터움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전국 시대에 위나라의 수가(須賈)가 진나라에 사신으로 왔을 때, 전에 허물이 없이 그에게 내쫓김을 당한 범저(范雎)가 재상(宰…

진나라 관련 한자어 11개 중 7번째

螢雪之功


형설지공

반딧불ㆍ눈과 함께 하는 노력이라는 뜻으로, 고생을 하면서 부지런하고 꾸준하게 공부하는 자세를 이르는 말. 중국≪진서(晉書)≫의 <차윤전(車胤傳)>ㆍ<손강전(孫康傳)>에 나오는 말로, 진나라 차윤(…

진나라 관련 한자어 11개 중 8번째

結草報恩


결초보은

죽은 뒤에라도 은혜를 잊지 않고 갚음을 이르는 말. 중국 춘추 시대에, 진나라의 위과(魏顆)가 아버지가 세상을 떠난 후에 아버지의 첩을 개가시켜 순사(殉死)하지 않게 하였더니, 그 뒤 싸움터에서 …

진나라 관련 한자어 11개 중 9번째

江左七賢


강좌칠현

고려 후기에 명예와 이익을 떠나 사귀던 일곱 선비. 이인로, 오세재, 임춘, 조통, 황보항(皇甫抗), 함순(咸淳), 이담지를 중국 진나라 때의 죽림칠현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진나라 관련 한자어 11개 중 10번째

朝秦暮楚


조진모초

아침에는 북쪽의 진나라에서 저녁에는 남쪽의 초나라에서 거처한다는 뜻으로, 일정한 주소가 없이 유랑하거나 이편에 붙었다 저편에 붙었다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진나라 관련 한자어 11개 중 11번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