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관련 한자어 52

(1) 堂內至親 (당내지친): 팔촌 안의 가까운 일가붙이.

(2) 屠門大嚼 (도문대작): 조선 시대에, 허균이 전국…

(3) 三水甲山 (삼수갑산): 우리나라에서 가장 험한 산…

(4) 落花流水 (락화류수): (1)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5) 諸行無常 (제행무상): 우주의 모든 사물은 늘 돌…

(6) 葉錢 (엽전): (1)예전에 사용하던, 놋…

(7) 錦繡江山 (금수강산): 비단에 수를 놓은 것처럼 …

(8) 桃源 (도원):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나…

(9) 四十初襪 (사십초말): 사십에 첫 버선이라는 뜻으…

(10+) 모두 52개

3

2

1

堂內至親


당내지친

팔촌 안의 가까운 일가붙이.

우리 관련 한자어 52개 중 1번째

屠門大嚼


도문대작

조선 시대에, 허균이 전국 팔도의 식품과 명산지에 관하여 적은 책.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식품 전문서이다. 1권.

우리 관련 한자어 52개 중 2번째

三水甲山


삼수갑산

우리나라에서 가장 험한 산골이라 이르던 삼수와 갑산. 조선 시대에 귀양지의 하나였다.

우리 관련 한자어 52개 중 3번째

落花流水


락화류수

(1)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가는 봄의 경치를 이르는 말. (2)살림이나 세력이 약해져 아주 보잘것없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떨어지는 꽃에 정(情)이 있으면 물에도 또…

우리 관련 한자어 52개 중 4번째

諸行無常


제행무상

우주의 모든 사물은 늘 돌고 변하여 한 모양으로 머물러 있지 아니함.

우리 관련 한자어 52개 중 5번째

葉錢


엽전

(1)예전에 사용하던, 놋쇠로 만든 돈. 둥글고 납작하며 가운데에 네모진 구멍이 있다. 고려 시대의 삼한중보ㆍ삼한통보ㆍ동국중보ㆍ해동중보 따위와, 조선 시대의 조선통보ㆍ상평통보ㆍ당백전ㆍ당오전 따위를…

우리 관련 한자어 52개 중 6번째

錦繡江山


금수강산

비단에 수를 놓은 것처럼 아름다운 산천이라는 뜻으로, 우리나라의 산천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우리 관련 한자어 52개 중 7번째

桃源


도원

도연명의 <도화원기>에 나오는 말로, 이상향, 별천지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중국 진(晉)나라 때 호남(湖南) 무릉의 한 어부가 배를 저어 복숭아꽃이 아름답게 핀 수원지로 올라가 굴속에서 진(秦…

우리 관련 한자어 52개 중 8번째

四十初襪


사십초말

사십에 첫 버선이라는 뜻으로, 나이 들어 처음으로 해 보는 일을 이르는 말.

우리 관련 한자어 52개 중 9번째

沙鉢農事


사발농사

사발로 짓는 농사라는 뜻으로, 일을 하지 아니하고 밥을 빌어먹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우리 관련 한자어 52개 중 10번째

弄假成眞


롱가성진

(1)장난삼아 한 것이 진심으로 한 것같이 됨. (2)‘농가성진’의 북한어.

우리 관련 한자어 52개 중 11번째

百八煩惱


백팔번뇌

(1)최남선이 지은 시조집. 우리나라 최초의 개인 시조집으로, 1926년에 간행하였다. (2)사람이 지닌 108가지의 번뇌. 6근(根)에 각기 고(苦), 낙(樂), 불고불락(不苦不樂)이 있어 18…

우리 관련 한자어 52개 중 12번째

白衣同胞


백의동포

흰옷을 입은 민족이라는 뜻으로, ‘한민족’을 이르는 말. 예로부터 우리 민족이 흰옷을 즐겨 입은 데서 유래한다.

우리 관련 한자어 52개 중 13번째

虎前乞肉


호전걸육

호랑이 앞에서 고기를 구걸한다는 뜻으로, ‘범에게 고기 달래기’로 표현하는 어림도 없는 일을 계획함을 비유하여 이르는 우리나라 속담.

우리 관련 한자어 52개 중 14번째

査頓八寸


사돈팔촌

사돈의 팔촌이라는 뜻으로, 소원(疎遠)한 친척으로 남이나 다를 바 없다는 것을 비유하여 이르는 우리나라 속담.

우리 관련 한자어 52개 중 15번째

士大夫


사대부

(1)사(士)와 대부(大夫)를 아울러 이르는 말. 문무 양반(文武兩班)을 일반 평민층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2)벼슬이나 문벌이 높은 집안의 사람.

우리 관련 한자어 52개 중 16번째

四捨五入


사사오입

‘반올림’의 전 용어.

우리 관련 한자어 52개 중 17번째

越鳥巢南枝


월조소남지

월나라 새가 남쪽 가지에 둥우리를 튼다는 뜻으로, 월조가 남쪽 고국을 생각하며 남쪽 가지에 집을 짓듯이 고향을 잊지 못함을 비유함.

우리 관련 한자어 52개 중 18번째

臂不外曲


비불외곡

팔은 안으로 굽지 밖으로 굽지 않음을 이르는 말.

우리 관련 한자어 52개 중 19번째

婦老爲姑


부로위고

며느리가 늙으면 시어머니가 된다는 뜻으로, 나이가 어리다고 업신여기지 말라는 말.

우리 관련 한자어 52개 중 20번째

射空中鵠


사공중곡

무턱대고 쏜 화살이 과녁에 맞았다는 뜻으로, 멋모르고 한 일이 우연히 들어맞아 성공하였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우리 관련 한자어 52개 중 21번째

自稱


자칭

(1)자기 자신이나 자기가 한 일을 스스로 칭찬함. (2)자기 자신을 스스로 일컬음. (3)실제로 어떻든지 상관하지 아니하고 집단으로 어떤 신분, 직함, 이름을 가지고 있다고 자기가 스스로 이르는…

우리 관련 한자어 52개 중 22번째

大東


대동

동방의 큰 나라라는 뜻으로, ‘우리나라’를 이르는 말.

우리 관련 한자어 52개 중 23번째

落張不入


낙장불입

(1)‘낙장불입’의 북한어. (2)화투ㆍ투전ㆍ트럼프 따위를 할 때에, 판에 한번 내어놓은 패는 물리기 위하여 다시 집어 들이지 못함.

우리 관련 한자어 52개 중 24번째